노히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히메는 미노 국의 영주 사이토 도산의 딸로, 본명은 알려져 있지 않다. 1549년 오다 노부나가와 정략결혼을 통해 오다 가문에 시집갔으며, 미노와 오와리 간의 평화를 다지는 역할을 했다. 결혼 후 노부나가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지 못했고, 혼노지의 변에서 노부나가와 함께 최후를 맞이했다는 설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실제 그녀의 행적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존재한다.
노히메는 '미노 국의 귀부인'이라는 뜻으로, 에도 시대의 책인 ''회본 태합기''와 ''무장 감정기''에 등장하면서 널리 알려진 이름이다. 그러나 이는 본명이 아니라 미노 국에서 온 귀인을 뜻하는 말이었다.[1][2] 당시 여성의 본명은 공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노히메의 본명은 알려져 있지 않다. ''신장공기''에서도 그녀는 사이토 도산의 딸로만 언급될 뿐, 구체적인 이름은 나오지 않는다.[3][7]
노히메에 대한 신뢰할 만한 역사적 문서는 거의 없으며, 그녀의 실제 정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3][4] 역사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신장공기''에는 그녀의 결혼에 대한 간략한 설명만 있을 뿐, 그 후 그녀의 이름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2. 이름 및 가계
에도 시대 문헌에는 '기초(帰蝶)' 또는 '고초(胡蝶)'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기도 하지만, 이것이 실제 이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1] '기초'는 ''미노국 서초기''에, '고초'는 ''무후 야와''에 나오는데, '기(帰)'와 '고(胡)'의 초서체가 비슷하여 필사 과정에서 잘못 적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3][7]
노히메는 게코쿠조를 통해 미노 국의 영주가 된 사이토 도산과 그의 정실 부인 오미노 카타 사이에서 태어났다. 오미노 카타는 '미노 최고의 미녀'로 알려져 있었으며, 아케치 미쓰히데와 사촌 관계라는 설도 있다.[1][3]
2. 1. 사이토 가문
사이토 도산은 미노 국 슈고였던 도키 씨족의 내분을 이용하여 세력을 확장했고, 영주인 토키 요리나리를 몰아낸 후 미노 국의 영주가 되었다. 그는 요리나리가 넘겨준 측실 미요시노가 낳은 장남 요시타츠를 미노 슈고로 임명했는데, 이는 요리나리의 사생아라고 주장하여 미노 지역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함이었다.[2] 당시 오다 노부나가의 아버지 오다 노부히데는 이웃 오와리 국에서 사이토 도산과 적대 관계였으므로 토키 요리나리를 지원하며 미노를 침략했다. 도산은 오다 노부히데와 아사쿠라 다카카게에게 각각 자신의 딸과 결혼하는 조건으로 평화를 맺으려 했다. 그는 노부히데에게 딸을 노부히데의 아들이자 상속자인 노부나가와 결혼시키고, 다카카게에게는 그의 조카인 토키 요리즈미를 미노 슈고로 만들고 또 다른 딸을 결혼시키겠다고 약속했다.[2][3]
1546년, 도산은 아사쿠라 다카카게와 평화를 맺고 요리나리가 슈고 지위를 요리즈미에게 넘겨주는 조건으로 토키 요리노리와 토키 요리즈미가 미노에 들어오는 것을 허용했다. 우정의 표시로 그는 자신의 딸을 요리즈미와 결혼시켰다. 이 딸이 노히메이며, 만약 사실이라면 요리즈미는 23세였고 노히메는 12세였다. 도산은 요리즈미를 꼭두각시로 만들어 미노를 장악했지만, 1년 후 요리노리와 요리즈미는 도산에 대항하여 군대를 일으킬 준비를 시작했다. 도산은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하고 선수를 쳐서 공격했고, 그 결과 요리노리는 에치젠 국으로 도망치고 요리즈미는 사망했다. 13세였던 노히메는 과부가 되어 아버지의 성으로 돌아갔다.[1][6]
한편, 도산은 1547년과 1548년 사이에 노부히데와 여러 차례 싸웠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수년 전의 정략 결혼이 평화를 위해 재논의되었다. 노부히데는 도산과의 전투에서 패배했고, 이마가와 요시모토와 전면적인 대결을 시작하여 궁지에 몰렸다. 도산은 아들 사이토 요시타츠와 사이가 좋지 않았고, 노부히데와 동맹을 맺고 싶어 했다. 병치레를 하던 노부히데는 오다 씨족 사이의 갈등 속에서 노부나가의 지원이 필요했고, 도산에게 약속 이행을 촉구했다.[3] 히라테 마사히데는 노부나가의 후견인으로서 휴전을 중재했고, 두 사람은 결혼하게 되었다. 미노와 오와리 간에 평화 협정이 체결되자 노히메는 오와리로 가서 노부나가와 결혼했다.[8]
이후, 미노를 평정한 도산은 1554년에 통치권을 후계자인 요시타츠에게 넘기고 은퇴했다. 그러나 도산은 첩의 아들인 요시타츠를 싫어했고, 정실 부인(그리고 노히메의 남동생)의 자녀인 두 아들에게 편애하여 요시타츠를 폐위시키고 그들이 지위를 계승하도록 음모를 꾸몄다. 요시타츠는 이를 알고 가짜 병을 이용하여 남동생들을 죽이고 도산에 대항하여 군대를 일으켰다. 1556년, 도산은 나가라 강 전투에서 요시타츠에게 살해당했다.[2][9]
2. 2. 아케치 가문
오미노 카타는 미노 동부의 유력 가문인 아케치 씨족 출신이었다.[2] 족보와 아케치 씨족의 미야기 가계도에 따르면, 오미노 카타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아버지인 아케치 미츠츠나의 여동생으로, 노히메와 미쓰히데는 사촌 관계이다.[1][3][4] 그러나 미츠히데의 출신은 불분명하며, 그에 대한 여러 가지 다른 족보가 존재하여 어떤 것이 정확한지, 혹은 모두 틀린 것인지조차 알 수 없다.[1][3][4]
3. 생애
정확한 출생 및 사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미노노쿠니 쇼큐키''에는 1535년에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5][6] 생애 전반부는 어느 정도 추적할 수 있지만, 후반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사망일, 가족 사찰, 계명도 알려져 있지 않아 다양한 설들이 혼재되어 있다.[2][4]
당시 여성의 본명(이름)을 공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출생지 또는 부모의 거주지' + '도노(殿)', '히메(姫)', '가타(方)' 등으로 불렀다. 따라서 노히메의 본명은 그 시대 대부분의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알려져 있지 않다. ''신장공기''에서도 그녀는 도산의 딸로만 언급될 뿐, 구체적인 이름은 언급되지 않는다.[3][7]
'노히메'라는 이름은 에도 시대의 책인 ''회본 태합기''와 ''무장 감정기''에 등장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는 "노슈의 귀부인"을 의미하는 후대의 이름이었다. 때때로 오노노 카타|於濃の方일본어라고 불리기도 한다.[2][7]
기초|帰蝶일본어 또는 코초|胡蝶일본어는 에도 시대의 책에 언급되어 있지만, 이것이 그녀의 진짜 이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1] 기초는 ''미노국 서초기''에서만 발견된다. 코초라는 이름은 ''무후 야와''에서 사용된다. 기(帰)와 코(胡)의 초서체가 매우 비슷해서 필사 과정에서 오기되었을 가능성도 있다.[3][7]
''미노국 서초기''에는 그녀가 아버지의 거처인 사기야마성에서 노부나가에게 시집을 갔기 때문에 사기야마 도노|鷺山殿일본어라고 불렸다고도 한다. 이는 당시의 관습에 부합한다.[1][8]
노히메는 게코쿠조를 통해 미노의 영주가 된 센고쿠 시대의 다이묘인 사이토 도산과 그의 정실 부인인 오미노 카타(1513-1551) 사이에서 태어났다. 오미노 카타는 '미노 최고의 미녀'로 알려져 있었다.[1][3]
''미노노쿠니 쇼큐키''에 따르면 오미노 카타는 미노 동부의 아케치 씨족 출신이며, 노히메는 도산의 세 딸 중 정실 부인인 오미노 카타 사이에서 태어난 유일한 딸이다.[2] 족보와 아케치 씨족의 미야기 가계도에 따르면, 오미노 카타는 아케치 미츠히데의 아버지인 아케치 미츠츠나의 여동생이며, 이는 노히메와 미츠히데가 사촌 관계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미츠히데의 출신은 불분명하며, 여러 족보가 존재해 எது가 정확한지 알 수 없다.[1][3][4]
사이토 도산은 미노 슈고인 토키 씨족의 내분을 이용하여 세력을 확장했고, 영주인 토키 요리나리를 몰아낸 후 미노 국의 영주가 되었다. 그는 요리나리가 넘겨준 측실 미요시노가 낳은 장남 요시타츠를 미노 슈고로 임명했는데, 이는 요리나리의 사생아라고 주장하여 미노 지역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함이었다. 당시 오다 노부나가의 아버지 오다 노부히데는 이웃 오와리 국에서 사이토 도산과 적대 관계였으므로 토키 요리나리를 지원하며 미노를 침략했다.
''미노노쿠니 쇼큐키''에 따르면, 도산은 오다 노부히데와 아사쿠라 다카카게가 각각 자신의 딸과 결혼하는 조건으로 평화를 맺으려 했다. 그는 노부히데에게 딸을 노부히데의 아들이자 상속자인 노부나가와 결혼시키고, 타카카게에게는 조카 토키 요리즈미를 미노 슈고로 만들고 또 다른 딸을 결혼시키겠다고 약속했다.[2][3]
1546년, 도산은 아사쿠라 타카카게와 평화를 맺고 요리나리가 슈고 지위를 요리즈미에게 넘겨주는 조건으로 토키 요리노리와 토키 요리즈미가 미노에 들어오는 것을 허용했다. 우정의 표시로 딸을 요리즈미와 결혼시켰는데, 이 딸이 노히메이고 사실이라면 요리즈미는 23세, 노히메는 12세였다. 도산은 요리즈미를 꼭두각시로 만들어 미노를 장악했지만, 1년 후 요리노리와 요리즈미는 도산에 대항하여 군대를 일으킬 준비를 했다. 도산은 이를 감지하고 선수를 쳐서 공격했고, 요리노리는 에치젠 국으로 도망치고 요리즈미는 사망했다. 13세였던 노히메는 과부가 되어 아버지의 성으로 돌아갔다.[1][6]
한편, 도산은 1547년과 1548년 사이에 노부히데와 여러 차례 싸웠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수년 전의 정략 결혼이 평화를 위해 재논의되었다. ''신초 코키''에 따르면, 히라테 마사히데는 노부나가의 모리야쿠(후견인)로서 휴전을 중재했고, 두 사람은 결혼하게 되었다. 미노와 오와리 간에 평화 협정이 체결되자 노히메는 오와리로 가서 노부나가와 결혼했다.[8]
이후 도산은 1554년에 통치권을 요시타츠에게 넘기고 은퇴했다. 그러나 도산은 첩의 아들인 요시타츠를 싫어했고, 정실 부인(노히메의 남동생)의 자녀인 두 아들에게 편애하여 요시타츠를 폐위시키고 그들이 계승하도록 음모를 꾸몄다. 요시나가는 이를 알고 가짜 병을 이용하여 남동생들을 죽이고 도산에 대항하여 군대를 일으켰다. 1556년, 도산은 나가라 강 전투에서 요시타츠에게 살해당했다.[2][9]
노히메에 대한 마지막 기록은 그녀가 사이토 가문의 보다이지인 조자이지 절에 도산의 초상화를 기증했다는 것이며, 그 후 그녀는 기록상에서 사라졌다.[9]
3. 1. 출생과 초기 생애
사이토 도산의 정실 부인인 오미노 카타는 '미노 제일의 미녀'로 알려져 있었으며, 아케치 미츠히데의 숙모였다. 노히메는 도산과 오미노 카타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미츠히데와는 사촌 관계였다.[1][3]
노히메의 출생에 대해서는 1535년에 태어났다는 설이 ''미노노쿠니 쇼큐키''에 기록되어 있으나,[5][6] 정확한 출생 기록은 없다. 어린 시절에 대한 기록도 거의 남아있지 않다.
사기야마성에서 성장한 노히메의 이름은, 당시 여성의 본명을 공개하지 않는 관습에 따라 '노히메'라는 이름은 에도 시대의 책인 ''회본 태합기''와 ''무장 감정기''에 등장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된 것으로, "노슈의 귀부인"을 뜻하는 후대의 이름이었다.[2][7] 키노시타 사토시는 기초帰蝶|일본어라는 이름은 센고쿠 시대 여성의 이름에 어울리지 않으며, 에도 시대의 창작으로 추정하고 있다.[1]
3. 2. 오다 노부나가와의 결혼
1549년 3월 23일(덴분 18년 2월 24일), 노히메는 오다 노부나가와 정략결혼을 통해 오다 가문에 시집왔다.[8] 이는 미노 국과 오와리 국 사이의 평화를 위한 것이었다. 결혼 당시 노히메는 세는 나이로 15세, 노부나가는 16세였다.[5] 오다 노부히데는 사이토 도산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이마가와 요시모토와의 대결로 궁지에 몰렸기에, 도산과의 동맹을 원했다. 도산 역시 아들 사이토 요시타츠와의 관계가 좋지 않아 노부히데와의 동맹이 필요했다.[3]
히라테 마사히데가 중매를 맡아 결혼이 성사되었고, 미노와 오와리 사이에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8]
노히메가 오다 가문으로 시집갈 때, 아버지 사이토 도산은 호신용 개이켄을 주며 "노부나가가 소문처럼 바보라면 그 칼로 찔러 죽여라"라고 말했다. 그러자 노히메는 "알겠습니다. 하지만 어쩌면 이 칼날이 당신을 향하게 될지도 모릅니다."라고 대답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10] 하지만 이는 '독사 도산의 딸'이라는 이미지에서 비롯된 에도 시대의 허구일 뿐이다.[3][5]
결혼 후, 노부나가가 밤마다 몰래 침실을 빠져나가는 것을 수상하게 여긴 노히메가 이유를 묻자, 노부나가는 사이토 가신들을 배반하게 만들 계략을 세웠다고 답했다. 노히메는 아버지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도산은 노부나가의 계략에 빠져 가신들을 죽였다는 이야기도 있지만,[10] 이 역시 에도 시대의 허구로 여겨진다.[3][5]
3. 3. 결혼 생활과 역할
오다 노부나가와의 결혼은 히라테 마사히데의 중재로 이루어진 정략결혼이었다.[8] 노히메는 노부나가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지 못했다.[5][8] 17세기에 쓰여진 ''세이슈 군키''와 ''소켄키''에는 노히메가 아들을 낳지 못했기 때문에 측실에게서 태어난 기묘마루(오다 노부타다)를 노부나가의 적자로 입적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다.[3][9] 또한, 아이를 낳았지만 아들이 아니었기 때문에 노부타다를 입적시켜 노부나가의 후계자로 삼았다고도 한다.[3][9]
노히메는 노부나가의 정실 부인으로서, 아버지 사이토 도산과의 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고, 오와리 국과 미노 국 사이의 평화 협정에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노부나가의 정치적, 외교적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4. 혼노지의 변과 최후
1582년 혼노지의 변에서 오다 노부나가와 함께 최후를 맞이했다는 설이 널리 알려져 있다. 창작물에서는 노히메가 나기나타를 들고 싸우다 전사했다는 묘사가 자주 등장하지만, 이는 역사적 사실과는 다를 수 있다.[3][9] 실제로 혼노지의 변 당시 노히메가 전사했다는 기록은 사료에서 확인되지 않는다.[3]
『회본 태합기』의 장면을 그린 것으로, 중앙 오른쪽 뒤, 야스다 사쿠베의 맞은편에서 장도를 휘두르는 꽃무늬 기모노를 입은 인물은 노히메를 그린 것이다.
4. 이후의 기록과 여러 설
노히메에 대한 신뢰할 만한 역사적 문서는 거의 없으며, 그녀의 실제 정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3][4] 역사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신장공기』에는 그녀의 결혼에 대한 간략한 설명만 있을 뿐, 그 후 그녀의 이름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그녀의 정확한 출생 및 사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사망일, 가족 사찰, 계명도 알려져 있지 않아 다양한 설들이 혼재되어 있다.[2][4]
당시 여성의 본명(이름)을 공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출생지 또는 부모의 거주지' + '殿|도노일본어 또는 姫|히메일본어 또는 方|가타일본어'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노히메의 본명은 그 시대 대부분의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알려져 있지 않다. 심지어 『신장공기』에서도 그녀는 사이토 도산의 딸로만 언급될 뿐, 구체적인 이름은 언급되지 않는다.[3][7]
'노히메'라는 이름은 에도 시대의 책인 『회본 태합기』와 『무장 감정기』에 등장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는 단지 "濃州|노슈|노 지방일본어의 귀부인"을 의미하는 후대의 이름이었다. 그녀는 때때로 於濃の方|오노노 카타일본어라고 불리기도 한다.[2][7]
帰蝶|기초일본어 또는 胡蝶|코초일본어는 에도 시대의 책에 언급되어 있지만, 이것이 그녀의 진짜 이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1]
그녀가 실제로 언제 오다 노부나가와 결혼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부부가 좋은 관계였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신뢰할 수 있는 문서에 따르면 그녀는 노부나가와의 사이에 자녀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5][8]
노히메는 게코쿠조를 통해 미노의 영주가 된 센고쿠 시대의 다이묘인 사이토 도산과 그의 정실 부인인 오미노 카타(1513-1551)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아케치 미츠히데와 사촌 관계라는 설이 있다.
노히메에 대한 마지막 기록은 그녀가 사이토 가문의 보다이지인 조자이지 절에 도산의 초상화를 기증했다는 것이며, 그 후 그녀는 기록상에서 사라졌다.[9]
이후 노히메로 추정되는 인물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야마시나 도키쓰구의 일기인 『도키쓰구 쿄키』(1569년 7월)에는 사이토 요시타츠 사후에도 노히메가 생존했을 뿐만 아니라, 정실 지위를 유지하며 오다 노부나가에게 의견을 낼 수 있을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 루이스 프로이스는 그의 저서 『일본사』에서 기후에 있는 노부나가의 궁전을 방문하여 정원을 본 후 노부나가의 왕비가 거주하는 금으로 장식된 방을 방문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이 왕비가 노히메를 지칭하는지는 증명되지 않았다.[2][11]
- 아즈치 성에는 노히메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노부나가의 정실 부인 역할은 그의 측실인 오나베노 카타가 수행했다.[2]
- 최근에는 安土殿|아즈치 도노일본어 라는 여성이 노히메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오다 노부카츠가 제작한 문서에 따르면, 아즈치 도노는 오다 가문 내에서 높은 지위에 있었으며, 오다 노부나가의 거점인 아즈치의 이름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노부나가의 정실 부인인 노히메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된다.[4][9]
- 다이쇼 시대에 편집된 묘신지의 역사 기록에 따르면, 노부나가의 부인이 그의 1주기를 치렀다는 기록이 있다. 이 여성은 1612년 교토의 노부나가 가문의 사찰인 다이토쿠지 소켄인에 묻혔으며, 만약 이 여성과 아즈치 도노가 모두 노히메를 지칭한다면, 그녀는 매우 장수한 셈이 된다.[3][4][9][12]
4. 1. 초기 사망설
노히메가 결혼 직후 병으로 사망했다는 설이 있다.[3][9] 織田 가문의 공식 행사 등을 기록한 사료에 노히메에 관한 내용이 등장하지 않는 것은, 병 등 어떤 이유로 사망했기 때문이라고 보는 견해이다.[15]쿠와타 타다치카는 노히메가 덴분 17년(1548년)에 14세의 나이로 오다 노부나가에게 시집가 정실 부인이 되었지만, 이코마 씨가 코지 3년(1557년)에 노부나가의 적남 오다 노부타다를 낳기 전에 20세 전후로 병사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4. 2. 이혼설
노히메가 자녀를 낳지 못해 이혼당했다는 설이 있다. 17세기에 쓰여진 전쟁 연대기인 ''세이슈 군키''와 ''소켄키''에는 그녀가 아들을 두지 못했기 때문에 측실에게서 태어난 기묘마루(오다 노부타다)를 노부나가의 적자로 입적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다.[3][9] 또한 아이는 낳았지만 아들이 아니었기에 노부타다를 입적시켜 노부나가의 후계자로 삼았다고도 기록되어 있다.[3][9]1557년, 노부나가의 측실 키츠노가 노부타다를 임신하자 노히메를 친정인 아케치 성으로 돌려보내면서 이혼했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측실을 두는 것이 허용되던 시대에 자녀를 갖지 못했다는 이유로 정실 부인을 친정으로 돌려보내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므로 신빙성이 떨어진다.[9]
사이토 도산 사망 이후 정치적 가치를 잃고 자녀도 없었기에 오다 가문에서 추방되었다는 설도 있다.[3]
4. 3. 생존설
노히메가 혼노지의 변 이후에도 생존했다는 설이 있다.오다 노부나가의 사후에도 노히메로 추정되는 인물에 대한 기록이 여럿 존재한다. 1569년 7월, 구게(조정 귀족) 야마시나 도키쓰구의 일기인 『도키쓰구 쿄키』에는 노히메로 보이는 '노부나가의 본처'에 대한 묘사가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사이토 요시타츠 사후에도 노히메가 생존했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정실 지위를 유지하며 오다 노부나가에게 의견을 낼 수 있을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3][5] 같은 해 8월에는 '노부나가가 장모를 보러 갔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노히메의 친어머니인 오미노 카타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3][5]
포르투갈 예수회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는 그의 저서 『일본사』에서 기후에 있는 노부나가의 궁전을 방문하여 정원을 본 후, 노부나가의 왕비가 거주하는 금으로 장식된 방을 방문했다고 기록했다. 2016년, 노부나가의 거주지에서 발굴 작업 결과 금박 타일 조각과 정원 유적이 실제로 발견되었으나, 이 왕비가 노히메인지는 증명되지 않았다.[2][11]
아즈치 성에는 노히메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노부나가의 정실 부인 역할은 그의 측실인 오나베노 카타가 수행했다.[2] 그러나 혼노지의 변 당시, 가모 씨의 히노 성으로 피신한 사람들 중에는 北の方|기타노 카타일본어 와 御台|미다이일본어 와 같이 정실 부인을 지칭하는 호칭을 가진 여성들에 대한 묘사가 있다. 오나베노 카타는 이 시기에 기후 성으로 갔으며, 이러한 이름들이 노히메를 가리킬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되었다.[4]
최근에는 安土殿|아즈치 도노일본어 라는 여성이 노히메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오다 노부카츠가 제작한 문서에 따르면, 아즈치 도노는 오다 가문 내에서 높은 지위에 있었으며, 오다 노부나가의 거점인 아즈치의 이름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노부나가의 정실 부인인 노히메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된다.[4][9]
다이쇼 시대에 편집된 묘신지의 역사 기록에 따르면, 노부나가의 부인이 그의 1주기를 치렀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하시바 히데요시가 주최한 것과는 다른 것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노히메를 지칭했을 수 있다. 이 여성은 1612년 교토의 노부나가 가문의 사찰인 다이토쿠지 소켄인에 묻혔으며, 만약 이 여성과 아즈치 도노가 모두 노히메를 지칭한다면, 그녀는 매우 장수한 셈이 된다.[3][4][9][12]
4. 4. 대중문화 속 노히메
에도 시대 서적 『회본 태합기』와 『무장 감정기』에는 노히메와 관련된 일화가 전해진다. 노히메가 오다 씨족으로 시집갈 때, 사이토 도산은 개이켄을 주며 "노부나가가 소문처럼 바보라면 그 칼로 찔러 죽여라"라고 했다. 노히메는 "알겠습니다. 하지만 칼날이 당신을 향하게 될지도 모릅니다."라고 답했다. 결혼 1년 후, 노부나가가 밤마다 몰래 빠져나가는 것을 의심한 노히메에게 그는 사이토 씨족 가신들을 반역하게 만들 계략을 세웠다고 말했다. 노히메는 아버지에게 알렸고, 도산은 편지에 적힌 가신들을 죽였다. 그러나 이는 도산이 가신들을 죽이도록 유도하기 위한 노부나가의 계략이었다.[10] 하지만 이 일화들은 '독사 도산의 딸'이라는 이미지에서 비롯된 에도 시대의 허구일 뿐이다.[3][5]4. 4. 1. 영화
- 무쌍 시리즈에서 노히메는 암살 무기와 폭탄을 사용하는 요염하고 치명적인 여성으로 묘사된다. 노부나가와의 관계는 독한 사랑으로 묘사되어, 그녀는 항상 남편을 죽이려 하고 노부나가는 그것을 재미있는 게임으로 여긴다. 하지만 그들의 관계는 게임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 전국 바사라 게임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노히메는 아름답고 우아한 여성으로 묘사되며, 남편에게 충실하며, 화승총, 잭해머 및 총을 무기로 사용한다.
- 게임 니오에서 노히메는 설녀로 등장한다. 그녀는 메인 악당에 의해 부활했으며, 6월 중순 갑자기 나타난 눈의 배후를 밝히기 위해 혼노지 사원에 파견된 주인공과의 일대일 전투에서 사망한다. 전투에서 그녀는 얼음 마법과 얼음으로 만들어진 나기나타를 사용한다. 그녀는 프리퀄 니오 2에서 주인공 히데의 이복 여동생으로 재등장하며, 혼노지 사건에서 남편 노부나가와 함께 사망한다.
4. 4. 2. 드라마
- 무쌍 시리즈에서 노히메는 암살 무기와 폭탄을 사용하는 요염하고 치명적인 여성으로 묘사된다. 노부나가와의 관계는 독한 사랑으로 묘사되어, 그녀는 항상 남편을 죽이려 하고 노부나가는 그것을 재미있는 게임으로 여긴다. 하지만 그들의 관계는 게임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 전국 바사라 게임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노히메는 아름답고 우아한 여성으로 묘사되며, 남편에게 충실하며, 화승총, 잭해머 및 총을 무기로 사용한다.
- 게임 니오에서 노히메는 설녀로 등장한다. 그녀는 메인 악당에 의해 부활했으며, 6월 중순 갑자기 나타난 눈의 배후를 밝히기 위해 혼노지 사원에 파견된 주인공과의 일대일 전투에서 사망한다. 전투에서 그녀는 얼음 마법과 얼음으로 만들어진 나기나타를 사용한다. 그녀는 프리퀄 니오 2에서 주인공 히데의 이복 여동생으로 재등장하며, 혼노지 사건에서 남편 노부나가와 함께 사망한다.
4. 4. 3. 게임
- 무쌍 시리즈에서 노히메는 암살 무기와 폭탄을 사용하는 요염하고 치명적인 여성으로 묘사된다. 노부나가와의 관계는 독한 사랑으로 묘사되어, 그녀는 항상 남편을 죽이려 하고 노부나가는 그것을 재미있는 게임으로 여긴다. 하지만 그들의 관계는 게임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 전국 바사라 게임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노히메는 아름답고 우아한 여성으로 묘사되며, 남편에게 충실하며, 화승총, 잭해머 및 총을 무기로 사용한다.
- 게임 니오에서 노히메는 설녀로 등장한다. 그녀는 메인 악당에 의해 부활했으며, 6월 중순 갑자기 나타난 눈의 배후를 밝히기 위해 혼노지 사원에 파견된 주인공과의 일대일 전투에서 사망한다. 전투에서 그녀는 얼음 마법과 얼음으로 만들어진 나기나타를 사용한다. 그녀는 프리퀄 니오 2에서 주인공 히데의 이복 여동생으로 재등장하며, 혼노지 사건에서 남편 노부나가와 함께 사망한다.
참조
[1]
웹사이트
斎藤道三の娘にして織田信長の正室・濃姫の波乱と謎に満ちた生涯を追う【前編】
https://www.excite.c[...]
Excite Japan
2023-07-21
[2]
뉴스
『レジェンド&バタフライ』が描く信長夫妻の夢 天下取りを支えた「帰蝶エフェクト」とは
https://www.yomiuri.[...]
2023-07-21
[3]
뉴스
大河ドラマ「麒麟がくる」、川口春奈の帰蝶は「定番」を超えるか
https://www.yomiuri.[...]
2023-07-21
[4]
웹사이트
織田信長の妻・帰蝶は"本能寺の変の後も生きていた"と思える理由
https://shuchi.php.c[...]
PHP Institute, Inc.
2023-07-21
[5]
웹사이트
織田信長の妻・帰蝶はなぜ"気の強い女性"として描かれるのか? キャラを決定づけた "壺事件"と謎めいた半生
https://www.cyzo.com[...]
Caizo
2023-07-21
[6]
웹사이트
ミステリアスな姫。謎に包まれた織田信長の法的妻「濃姫」の生涯
https://www.excite.c[...]
Excite Japan
2023-07-21
[7]
뉴스
信長の妻の名、「帰蝶」でなかった?「胡蝶」読み違えか
https://www.asahi.co[...]
2023-07-21
[8]
웹사이트
織田信長の妻帰蝶 謀反の動き、父に伝える?
https://otonanswer.j[...]
Media Vague
2023-07-21
[9]
웹사이트
斎藤道三の娘にして織田信長の正室・濃姫の波乱と謎に満ちた生涯を追う【後編】
https://www.excite.c[...]
Excite Japan
2023-07-21
[10]
웹사이트
近江国輿地志略. 下(巻49至100) -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dl.ndl.go.jp/[...]
2019-04-25
[11]
뉴스
信長、妻の濃姫に金箔御殿? 岐阜の公居館跡で瓦の破片
http://www.nikkei.co[...]
2023-07-21
[12]
서적
"信長正室・斎藤氏" 『織田信長総合事典』 雄山閣出版
雄山閣
1999-09
[13]
간행물
大日本史料. 第11編之1
http://dl.ndl.go.jp/[...]
東京大学
[14]
간행물
大日本史料. 第11編之1
http://dl.ndl.go.jp/[...]
東京大学
[15]
서적
山内一豊と妻千代101の謎
PHP研究所
[16]
서적
美濃土岐氏―平安から戦国を駆け抜けた本宗家の戦い
戎光祥出版株式会社
2024-04-10
[17]
간행물
絵本太閤記. 初編 巻1,2
http://dl.ndl.go.jp/[...]
東京同益出版社
[18]
간행물
武将感状記
http://dl.ndl.go.jp/[...]
博文館
[19]
문서
『総見記』23、先君御家督定事
https://clioimg.hi.u[...]
[20]
뉴스
信長、妻の濃姫に金箔御殿? 岐阜の公居館跡で瓦の破片
https://www.nikkei.c[...]
2018-09-27
[21]
웹사이트
織田信長と岐阜 13.信長の正室・濃姫
http://www.gifucvb.o[...]
2022-06-01
[22]
간행물
妙心寺史
http://dl.ndl.go.jp/[...]
妙心寺派教務本所
[23]
논문
信長の正室、帰蝶(濃姫)の生存を検証する
1992
[24]
논문
濃 織田信長・室―謎に包まれた生涯を解明する―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