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눈의 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의 진군"은 청일전쟁 당시 일본 군인들의 고난을 묘사한 일본 군가이다. 나가이 켄시가 작곡했으며, 병사들의 불만을 솔직하게 담아 당시 군가로서는 이례적으로 언문일치체를 사용했다. 메이지 시대에 학교 교재로 사용되었으나, 쇼와 시대에 가사가 개정되고, 태평양 전쟁 중에는 가창이 금지되었다. 이 노래는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1977년 영화 ''하코다 산''과 애니메이션 ''걸즈 앤 판처''에서 언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일 전쟁 - 삼국 간섭
    삼국 간섭은 청일전쟁 후 일본이 얻은 요동반도를 러시아, 프랑스, 독일이 반환하도록 요구한 사건으로, 일본의 국력 강화와 동아시아 질서 재편에 영향을 주었으며, 열강의 중국 분할 야욕과 러일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청일 전쟁 - 웨이하이 점령군
    웨이하이 점령군은 청일 전쟁 후 웨이하이웨이의 안전을 위해 1895년에 편성되어 1898년까지 주둔하며 행정 업무를 수행한 일본군 부대이다.
  • 일본의 군가 - 아아 가미카제 특별공격대 (군가)
    1944년 레이테 만 해전 이후 가미카제 특별공격대의 전과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일본 군가인 아아 가미카제 특별공격대는 노무라 토시오 작사, 오세키 유우지 작곡으로 같은 해 11월 라디오 보도 가요로 방송되었으며 2000년 CD 앨범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 일본의 군가 - 발도대 (군가)
    발도대는 세이난 전쟁의 발도대 활약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일본 군가로, 일본 최초의 서양식 군가로 발표된 후 행진곡풍으로 편곡되어 일본 육군, 자위대, 경찰에서 사용된다.
눈의 진군
곡 정보
제목눈의 진군
원어 제목雪の進軍 (유키노 신군)
로마자 표기Yuki no Shingun
장르군가, 행진곡
국가일본 제국
제작 정보
작사미야케 유즈루
작곡나가이 겐시
발표 연도1885년

2. 역사

1900년 《일동군가》의 《눈의 진군》 악보


『눈의 진군』의 작가, 나가이 켄시


나가이 켄시는 청일전쟁 발발 당시 오야마 이와오 대장이 지휘하는 제2군사령부 군악대의 군악차장으로 복무했으며, 여순, 위해 등지에서 종군했다.[22] 특히 웨이하이웨이 전투에 참여했을 당시의 체험을 바탕으로 1895년 2월 중순경 이 곡을 작곡했다.[23] 당시 일본군 병사들은 눈 속에서 굶주림과 추위에 시달렸으며, 나가이는 그 모습을 자세히 관찰하여 곡에 반영했다.[23] 웨이하이웨이 전투 동안, 일본 제국 육군은 물, 식량, 연료 부족 상태에서 폭설과 저온을 겪었다.[3] 나가이는 자신의 노래에서 일본 군인들이 겪은 고난과 전쟁에 대한 불만을 반영했다.[4]

곡조는 경쾌한 요나누키 음계 77조다. 메이지 시대 군가로서는 이례적으로 언문일치체가 사용되었다. 훗날에는 언문일치체를 이용한 군가, 국민가도 등장했지만 당시에는 문예작품에도 언문일치체가 허용되지 않던 시절이었다.[24][25] 그 가사는 주류 군가와 달리 병사의 불평불만을 적나라하게 묘사하여,[26] 병사의 고난을 다룬 군가로서 「전우」, 「무츠의 눈보라」보다 앞서 일본 최초로 등장한 것이다.[27]

이 곡은 1895년 8월 『음악잡지 52호』에 가사가 게재되고, 동년 10월 『대동군가 꽃의 권』에서부터 군가집에 수록되었다.[28][29] 곡은 현장 장병들 사이에 빠르게 퍼졌고, 나가이의 상관이었던 제2군사령관 오야마도 이 곡을 애창해 임종 때 머리맡의 축음기로 틀어놓았다는 일화가 있다.[30] 메이지 시대 후기에는 러일전쟁의 영향으로 「용감한 수병」 등 다른 군가들과 함께 학교의 창가 교재로 이용되었다. 이 곡들은 모두 문부성 검정필로 전의 고조의 임무를 수행했다.[31]

그 후 오래도록 애창되었지만 “용장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쇼와 시대에 가사가 일부 개정당했고, 태평양 전쟁 때는 아예 가창이 금지되었지만 잘 지켜지지 않아 종전 시점까지 불렸다. 나가이의 노래는 이후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동안 병사들에게 널리 언급되었다. 노래에서 표현된 전쟁에 대한 불만은 일본 군국주의에 적대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금지되었지만, 이 명령의 효력은 의심스러웠다.[10]

2. 1. 초기 반응과 보급

2. 2. 가사의 변화와 금지

이 노래는 오랫동안 애창되었지만, "용감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쇼와(昭和) 시대에 가사가 일부 개정되었다.[32] 예를 들어, "(상부가 병사를) 어차피 살려서 돌려보낼 생각 없으니"라는 가사는 "(병사 자신이) 어차피 살아서 돌아갈 생각 없으니"로 바뀌었다.[32] 태평양 전쟁 때는 가창이 금지되었지만, 실제로는 종전 시점까지 불렸다.

3. 곡의 특징

원 작곡에는 파(fa)가 두 번 들어가 있다. 7마디에 ‘미미파미레도’, 9마디에 ‘솔솔-파’인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 부분의 파를 미(mi)로 부르게 되어, 점차 요나누키 장조 곡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원래 노래는 4/4박자로 작곡되어 있었는데, 점차 빠르게 부르며 2/4박자화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2020년 현재는 요나누키 음계로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메이지 시대의 원곡은 요, 즉 파도 선율에 포함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말은 쓰러진다"와 "마음대로 대담" 부분의 선율은 2020년 현재는 "솔솔 솔 라솔 미 도"와 같이 요나누키 음계로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메이지·다이쇼 시대에는 "솔솔 솔 라솔 미 도"였다.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 전반까지의 악보를 봐도 "파"(히후미 창법에서는 요, 공척보에서는 범, 숫자보에서는 4로 표기)가 나온다. 예를 들어, 메이지 34년(1901년) 간행된 공척보([https://dl.ndl.go.jp/info:ndljp/pid/855886/5 아키바 누이시 (후우쿄 산시) 저 『월금 호금 명적 독계고』메이지 34년=1901년 간행, p.6])의 "범"(파), 다이쇼 4년(1915년) 간행된 하모니카용 숫자보([https://dl.ndl.go.jp/info:ndljp/pid/905782/60 타치바나 미코, 사이토 사사후네 저 『음표 하모니카 독마나비』(국화당, 다이쇼 4년=1915년)p.67])의 "4"(파)의 부분을, 현대의 일본인들은 미로 바꿔 부르는 경우가 많다.

3. 1. 음가 변화

원 작곡에는 파(fa)가 두 번 들어가 있다. 7마디에 ‘미미파미레도’, 9마디에 ‘솔솔-파’인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 부분의 파를 미(mi)로 부르게 되어, 점차 요나누키 장조 곡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원래 노래는 4/4박자로 작곡되어 있었는데, 점차 빠르게 부르며 2/4박자화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2020년 현재는 요나누키 음계로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메이지 시대의 원곡은 요, 즉 파도 선율에 포함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말은 쓰러진다"와 "마음대로 대담" 부분의 선율은 2020년 현재는 "솔솔 솔 라솔 미 도"와 같이 요나누키 음계로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메이지·다이쇼 시대에는 "솔솔 솔 라솔 미 도"였다.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 전반까지의 악보를 봐도 "파"(히후미 창법에서는 요, 공척보에서는 범, 숫자보에서는 4로 표기)가 나온다. 예를 들어, 메이지 34년(1901년) 간행된 공척보([https://dl.ndl.go.jp/info:ndljp/pid/855886/5 아키바 누이시 (후우쿄 산시) 저 『월금 호금 명적 독계고』메이지 34년=1901년 간행, p.6])의 "범"(파), 다이쇼 4년(1915년) 간행된 하모니카용 숫자보([https://dl.ndl.go.jp/info:ndljp/pid/905782/60 타치바나 미코, 사이토 사사후네 저 『음표 하모니카 독마나비』(국화당, 다이쇼 4년=1915년)p.67])의 "4"(파)의 부분을, 현대의 일본인들은 미로 바꿔 부르는 경우가 많다.

4. 가사

이 가사는 메이지 44년(1911년) 『군가걸작집』에 실린 것을 기준으로 한다.[32] 가사 마지막의 “(상부가 병사를) 어차피 살려서 돌려보낼 생각 없으니” 라는 가사는 쇼와 시대에 상술한 이유로 “(병사 자신이) 어차피 살아서 돌아갈 생각 없으니”로 바뀌었다.[32]

역사적 가나현대 가나현재 발음한국어 번역



(1911)에 게재된 "눈의 진군".


4. 1. 가사 (한국어 번역)

눈 위를 진군 얼음을 밟아가며[32]

어디가 강인지 길인지도 모른 채[32]

말들이 쓰러지나 버리지도 못하네[32]

여기는 어디려나 사방이 적의 나라[32]

될 대로 되라면서 한 개비 피우니[32]

기대도 하지 않던 남은 담배 두 개비[32]

굽지도 않은 건어물에 설익은 밥 먹네[32]

어중간한 목숨이 붙어있는 동안엔[32]

견뎌낼 수가 없는 추위에는 모닥불[32]

연기만 날 수밖에 생나무를 태우니[32]

떨떠름한 표정에 늘어놓는 참전담[32]

시큼하다 느끼는 건 매실장아찌 한 알[32]

입던 옷 그대로 속 편하게 누워서[32]

배낭을 베개 삼고 외투를 이불 삼자[32]

등의 온기로 눈이 녹기 시작하네[32]

침대용 지푸라기 흥건하게 젖으니[32]

맺을 수가 없는 야영의 꿈을[32]

달님은 냉정한 낯으로 내려다본다[32]

목숨을 바치려고 나온 몸인 이상엔[32]

죽겠다는 각오로 돌격하지만[32]

운이 나빠서 전사하지 못하면[32]

의리로 묶어놓은 위문주머니가[32]

슬며시 슬며시 목을 졸라 오겠지[32]

어차피 산채로 돌아가지 못하니[32][19]

5. 대중문화 속의 "눈의 진군"


  • 1977년 영화 ''하코다 산''은 "눈의 진군"을 사용했으며, 이 노래를 하코다 산 조난 사건과 연관시켰다.[10]
  • 2007년에 출시된 2005년 비디오 게임 ''데스트로이 올 휴먼스!''의 일본어 버전은 이 노래의 첫 두 소절을 언급했다.[10]
  • 2012년 애니메이션 ''걸즈 앤 판처''에서는 아키야마 유카리와 마츠모토 "에르빈" 리코가 9화에서 눈 속 정찰 행군 중에 이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나오며, 애니메이션의 속편 영화인 ''걸즈 앤 판처 극장판''[11]과 ''걸즈 앤 판처 최종장''에서는 일본 제국 육군을 테마로 한 치하탄 고등학교의 주요 모티프로 사용된다.


'''『천황·황후와 청일전쟁』'''

: 청일 전쟁을 소재로 한 전후 영화로, 설중 야영 장면에서 극중 가사로 사용되었다.

'''『야코다 산』'''

: 하코다 산 눈 속 행군 조난 사건을 소재로 한 전후 영화로, 극중 가사로 사용되었다.

'''『개일족』'''

: 1977년TBS 계열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판에서 극중 가사로 사용되었다.

'''『걸즈 & 판처』'''

: 2012년 TV 애니메이션 제9화와 OVA 5화에서 에르빈과 아키야마 유카리가 아카펠라로 불렀으며, 걸즈 & 판처 극장판에서는 치하탄 학원의 테마곡으로 사용되었다.

5. 1. 영화

1977년 영화 ''하코다 산''에서 "눈의 진군"을 사용하여 하코다 산 조난 사건과 연관시켰다.[10] 청일 전쟁을 소재로 한 영화 ''천황·황후와 청일전쟁''에서 설중 야영 장면의 극중 가사로 사용되었다. 하코다 산 눈 속 행군 조난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야코다 산''에서도 극중 가사로 사용되었다. 1977년 TBS 계열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 ''개일족''에서도 극중 가사로 사용되었다. 2012년 TV 애니메이션 ''걸즈 앤 판처'' 제9화와 OVA 5화에서 에르빈과 아키야마 유카리가 아카펠라로 불렀으며, 걸즈 앤 판처 극장판에서는 치하탄 학원의 테마곡으로 사용되었다.[11]

5. 2. 게임

2005년 비디오 게임 ''데스트로이 올 휴먼스!''의 일본어 버전(2007년 출시)은 이 노래의 첫 두 소절을 언급했다.[10]

5. 3. 애니메이션

1977년 영화 ''하코다 산''은 "눈의 진군"을 사용했으며, 이 노래를 하코다 산 조난 사건과 연관시켰다.[10] 2012년 애니메이션 ''걸즈 앤 판처''에서는 아키야마 유카리와 마츠모토 "에르빈" 리코가 9화에서 눈 속 정찰 행군 중에 이 노래를 불렀다. 애니메이션의 속편 영화인 ''걸즈 앤 판처 극장판''[11]과 ''걸즈 앤 판처 최종장''에서는 일본 제국 육군을 테마로 한 치하탄 고등학교의 주요 모티프로 사용된다. ''개일족''에서 극중 가사로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Japanese culture in the Meiji era https://books.google[...] Toyo Bunka 1969
[2] 웹사이트 【北京春秋】日清戦争激戦の地・威海は韓国にも近い タコの躍り食いに思う遠い日々 https://www.sankei.c[...] 2018-07-13
[3] 서적 児玉源太郎: 日露戦争における陸軍の頭脳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04-07-23
[4] 웹사이트 永井健子氏が作詞作曲を手掛けた「雪の進軍」について https://www.savag.ne[...] 2017-11-10
[5] 서적 The Japan Year Book https://books.google[...] Japan Year Book Office 1941
[6] 서적 Culture and Identity: Japanese Intellectuals during the Interwar Year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7-14
[7] 서적 Christianity and the Modern Woman in East Asia https://books.google[...] BRILL 2018-09-13
[8] 서적 Japan's First Modern War: Army and Society in the Conflict with China, 1894-5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4-08-30
[9] 서적 The influence of the Meiji period of Japanese children's mus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3
[10] 웹사이트 雪の進軍 http://www.world-ant[...] 2019-05-11
[11] 서적 るるぶ ガールズ&パンツァー https://books.google[...] Jtbパブリッシング 2015-07-24
[12] 문서 堀内 1969
[13] 문서 小村 2011
[14] 문서 小山 2005
[15] 문서 小川 2011
[16] 간행물 明治・昭和軍歌にみる近代的特徴 -楽曲・テーマ・言語表現を中心に- 2016-12
[17] 간행물 明治時代出版「軍歌集」にみる軍歌の変遷について 『図書館情報メディア研究』編集委員会 2009-10
[18] 문서 小川2011
[19] 문서 堀内1969
[20] 간행물 我が国唱歌教育の変遷 1968-03
[21] 문서 るるぶガールズ&パンツァー JTBパブリッシング 2015
[22] 문서 堀内 1969
[23] 문서 小村 2011
[24] 문서 堀内 1969
[25] 문서 小山 2005
[26] 문서 小川 2011
[27] 간행물 明治・昭和軍歌にみる近代的特徴 -楽曲・テーマ・言語表現を中心に- 2016-12
[28] 간행물 明治時代出版「軍歌集」にみる軍歌の変遷について 『図書館情報メディア研究』編集委員会 2009-10
[29] 문서 小川2011
[30] 문서 堀内1969
[31] 간행물 我が国唱歌教育の変遷 1968-03
[32] 문서 堀内19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