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그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스그룹은 특정 주제에 대한 게시글을 주고받는 온라인 토론 그룹으로,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파일 형태로 나뉜다. 뉴스그룹은 초기에는 텍스트 기반으로 시작되었으나, 바이너리 파일 공유 기능이 추가되면서 사진, 음악, 비디오 등 다양한 파일을 공유하는 데 사용되었다. 뉴스그룹은 계층 구조로 구성되어 관련 그룹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빅 8(comp.*, news.*, sci.*, rec.*, soc.*, talk.*, misc.*, humanities.*)과 alt.* 계층 등이 존재한다. 뉴스그룹은 네트워크 뉴스 전송 프로토콜(NNTP)을 사용하여 배포되며, 뉴스 서버는 다양한 기관에서 호스팅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뉴스그룹 | |
---|---|
주제 | |
종류 | 뉴스 그룹 |
프로토콜 | NNTP |
사용 방식 | 유즈넷 |
기술적 정보 | |
기원 | 유즈넷 |
구조 | 게시판 |
프로토콜 | NNTP (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
서버 | 뉴스 서버 |
메시지 | 뉴스 기사 |
메시지 전송 | 뉴스 피드를 통해 전송 |
기능 | |
주요 기능 | 메시지 그룹화 토론 정보 공유 |
게시물 구성 | 제목 (Subject) 작성자 (From) 날짜 (Date) 본문 (Body) |
접근 방식 | 뉴스 리더 소프트웨어 웹 브라우저 |
활용 | |
활용 분야 | 토론 질문 및 답변 정보 제공 파일 공유 |
역사적 의미 | 인터넷 포럼의 초기 형태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뉴스 그룹 유즈넷 NNTP 뉴스 서버 뉴스 기사 뉴스 피드 뉴스 리더 |
2. 유형
뉴스그룹은 크게 바이너리 뉴스그룹과 텍스트 뉴스그룹 두 가지로 나뉜다. 기술적인 차이는 없지만, 이름 표기의 차이를 통해 사용자와 서버는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유즈넷 규칙과 관례는 네트워크 트래픽 및 자원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
뉴스그룹은 보통 동물 사육, 폴볼트, 글로켄슈필 MIDI 파일 등 특정 주제에 집중한다. 뉴스그룹에 보내는 메시지를 "게시글"이라고 한다. 일부 뉴스그룹은 다양한 주제의 게시글을 허용하지만, 다른 뉴스그룹은 특정 주제를 엄격하게 지키며 주제에서 벗어난 게시글을 제한한다. 뉴스 서버 관리자는 게시글이 서버에 보관되는 기간인 보존 기간을 결정한다. 서버마다 보존 기간이 다르며, 짧게는 1~2주, 길게는 수년 동안 게시글을 보관한다.[2]
초기에는 게시글 작성자가 개인적인 이해관계(재정적, 정치적 등) 유무를 밝히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현재는 드물다. 개인 정보 보호 및 피싱 문제도 중요해졌다.[2]
뉴스그룹 게시자와 운영자는 일반적으로 해당 플랫폼에서 수익을 얻지 않는다.[2] 1983년 100개 이상이던[2] 뉴스그룹은 11만 개 이상으로 증가했지만, 활성화된 것은 약 2만 개 정도이다.[3] 뉴스그룹의 인기는 다양하며, 연간 게시글 수가 12개 미만인 곳도 있고, 가장 인기 있는 곳은 1시간 이내에 수천 개의 게시글이 올라오기도 한다.
2. 1. 바이너리 뉴스그룹
뉴스그룹은 원래 사진, 음악, 비디오와 같은 파일을 배포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목적에 매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2022년 현재 일부 뉴스그룹은 비트토렌트의 대안으로 파일 공유 및 다운로드에 여전히 인기가 있다.[5]뉴스그룹은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 업로드된 파일은 여러 서버로 확산되며, 무제한의 사용자가 다운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 기계(제한된 연결을 가질 수 있음)에서 다운로드하는 것이 아니라, 피어 투 피어 기술과 달리 로컬 뉴스 서버에서 다운로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순히 리치하는 것이 허용되고 종종 권장된다.
2. 1. 1. 바이너리 파일 전송의 문제점
뉴스그룹은 사진, 음악, 비디오와 같은 파일 배포를 목적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목적으로 매우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2022년 현재 일부 뉴스그룹은 비트토렌트의 대안으로 파일 공유 및 다운로드에 여전히 인기가 있다.[5]뉴스그룹은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 업로드된 파일은 여러 서버로 확산되며, 무제한의 사용자가 다운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 기계(제한된 연결을 가질 수 있음)에서 다운로드하는 것이 아니라, 피어 투 피어 기술의 경우와 달리 로컬 뉴스 서버에서 다운로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순히 리치하는 것이 허용되고 종종 권장된다.
원래 Usenet을 통해 바이너리 파일을 전송하는 데는 여러 가지 장애물이 있었다. Usenet은 원래 텍스트 전송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으므로, 게시물의 인코딩으로 인해 프로토콜의 문자 집합에 포함되지 않은 바이너리 데이터가 손실되었다. 결과적으로, 오랫동안 바이너리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덱인 UUencode와 그 후속으로 Base64 및 yEnc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코덱은 전송할 파일(예: 음악 또는 비디오 파일)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Usenet을 통한 전송에서 손실되지 않는 텍스트 문자로 인코딩했다. 수신자 측에서는 사용자의 뉴스 클라이언트를 통해 데이터를 디코딩해야 했다.
또한, 개별 게시물의 크기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큰 파일을 단일 게시물로 보낼 수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긴 파일을 여러 게시물로 분할할 수 있는 뉴스리더가 개발되었다. 지능형 뉴스리더는 이러한 분할된 파일을 자동으로 단일 파일로 그룹화하여 사용자가 파일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발전으로 Usenet은 하루에 많은 테라바이트의 파일을 주고받는 데 사용된다.
뉴스그룹을 통해 대용량 파일을 전송하는 데는 완료율과 보존율이라는 두 가지 주요 문제가 있다. 프리미엄 뉴스 서버 사업은 우수한 완료율 및 보존율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매우 빠른 연결을 제공하는 능력에 주로 의존한다. 완료율은 사용자가 여러 조각으로 분할된 대용량 파일을 다운로드하려는 경우 중요하며, 조각 중 하나라도 누락되면 원하는 파일을 성공적으로 다운로드하고 다시 조립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archive(PAR)로 알려진 중복 체계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많은 주요 뉴스 서버는 7년 이상의 보존 기간을 갖는다.[6] 바이너리 뉴스그룹에 게시된 파일의 색인을 유지하는 여러 웹사이트가 있다.
2. 1. 2. 백업 저장소로서의 활용

뉴스그룹은 사진, 음악, 비디오와 같은 파일 배포를 목적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목적으로 매우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2022년 현재 일부 뉴스그룹은 비트토렌트의 대안으로 파일 공유 및 다운로드에 여전히 인기가 있다.[5]
뉴스그룹은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 업로드된 파일은 여러 서버로 확산되며, 무제한의 사용자가 다운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 기계가 아닌 로컬 뉴스 서버에서 다운로드하는데, 이는 피어 투 피어 기술과 달리 사용자가 공유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원래 Usenet을 통해 바이너리 파일을 전송하는 데는 여러 가지 장애물이 있었다. Usenet은 텍스트 전송을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게시물 인코딩 과정에서 데이터 손실이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UUencode, Base64, yEnc와 같은 코덱이 개발되어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 문자로 인코딩했다. 수신자는 뉴스 클라이언트를 통해 데이터를 디코딩해야 했다. 또한, 게시물 크기 제한으로 인해 큰 파일을 여러 게시물로 분할해야 했고, 이를 위해 파일을 자동으로 그룹화하는 뉴스리더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발전으로 Usenet은 하루에 많은 테라바이트의 파일을 주고받는 데 사용된다.
뉴스그룹을 통해 대용량 파일을 전송하는 데는 완료율과 보존율이라는 두 가지 주요 문제가 있다. 프리미엄 뉴스 서버 사업은 우수한 완료율 및 보존율, 빠른 연결 제공 능력에 의존한다. 완료율은 여러 조각으로 분할된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중요하며, 누락된 조각이 있으면 파일을 받을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archive(PAR)와 같은 중복 체계가 사용된다.
많은 주요 뉴스 서버는 7년 이상의 보존 기간을 갖는다.[6] 바이너리 뉴스그룹에 게시된 파일의 색인을 유지하는 여러 웹사이트가 있다.
이러한 긴 보존 기간과 증가하는 업로드 및 다운로드 속도 때문에, Usenet은 "Usenet 백업" 또는 uBackup이라는 방법으로 개인이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도 사용된다.[7] 상용 공급업체는 사용하기 쉬운 온라인 백업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Usenet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무료이다(Usenet 자체에 대한 액세스는 무료가 아닐 수 있음). 사용자는 데이터를 수동으로 선택, 준비 및 업로드해야 한다. 누구나 백업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암호화된다. 파일이 업로드된 후 업로더는 파일을 제어할 수 없으며, 파일은 자동으로 업로드된 뉴스그룹을 구독하는 모든 Usenet 공급업체에 배포되어 전 세계에 복사본이 배포된다.
2. 2. 텍스트 뉴스그룹
뉴스그룹은 바이너리 또는 텍스트,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기술적인 차이는 없지만, 명명법의 차이를 통해 시설이 제한적인 사용자와 서버는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즈넷 규칙 및 관례는 전반적인 네트워크 트래픽 및 자원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시행된다.[2]뉴스그룹은 보통 특정 관심 주제("동물 사육", "폴볼트", "글로켄슈필 MIDI 파일" 등)에 중점을 둔다. 뉴스그룹에 게시하기 위해 보낸 메시지를 "게시글"이라고 한다. 일부 뉴스그룹에서는 회원이 주제에 맞는 내용으로 논의하기로 선택한 모든 것에 대한 다양한 주제의 게시글을 허용하는 반면, 다른 뉴스그룹에서는 특정 주제에 더 엄격하게 고수하며 주제에서 벗어난 게시글을 꺼린다. 뉴스 관리자(뉴스 서버 관리자)는 게시글이 만료(삭제)되기 전에 서버에 보관되는 기간을 결정하는데, 이를 보존 기간이라고 한다. 동일한 뉴스그룹에 대해 서버마다 보존 기간은 다르다. 일부 서버는 게시글을 1~2주 동안만 보관하는 반면, 다른 서버는 수년 동안 보관할 수 있다.[2]
초기 커뮤니티가 선구적인 컴퓨터 사회였을 때, 많은 게시글에서 작성자가 게시글 작성에 대한 개인적인 이해관계(재정적, 정치적 또는 기타)가 있는지(또는 없는지)를 밝히는 공지가 글의 끝부분에 흔히 있었다. 이는 현재는 드물며, 다른 미디어와 마찬가지로 게시글을 더 회의적으로 읽어야 한다. 개인 정보 보호 및 피싱 문제도 중요성이 커졌다.[2]
유즈넷 뉴스그룹 게시자와 운영자는 일반적으로 해당 플랫폼에서의 직업으로 돈을 벌지 않는다.[2]
3. 계층 구조
뉴스그룹은 관련된 그룹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계층 구조로 정리되는 경우가 많다. "최상위 계층"이라는 용어는 첫 번째 점(.) 이전의 접두사로 정의되는 계층 구조를 가리킨다.
가장 일반적인 계층 구조는 유즈넷 계층 구조이다. 예를 들어 "rec.arts.sf.starwars.games" 뉴스그룹은 "rec.*" 최상위 유즈넷 계층에 속한다. 여기서 별표(*)는 와일드카드 문자를 의미한다.
원래 "빅 7"이라고 불렸던 7개의 주요 유즈넷 뉴스그룹 계층은 다음과 같다.
- ''comp.*'' — 컴퓨터 관련 주제 토론
- ''news.*'' — 유즈넷 자체에 대한 토론
- ''sci.*'' — 과학 주제 토론
- ''rec.*'' — 레크리에이션 활동 (게임, 취미 등) 토론
- ''soc.*'' — 사회화 및 사회 문제 토론
- ''talk.*'' — 종교, 정치 등 논쟁적인 문제 토론
- ''misc.*'' — 기타 다른 계층에 맞지 않는 모든 것
이들은 1986년~1987년의 대규모 이름 변경 과정에서 만들어졌으며, 이전에는 이러한 모든 뉴스그룹이 net.* 계층에 속해 있었다. 당시에는 레시피, 오락용 약물 사용, 성과 관련된 뉴스그룹은 허용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alt.*'' 유즈넷 계층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대안"(alternative)을 의미한다. alt.*에서는 빅 7에 비해 뉴스그룹 생성 규칙이 느슨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새로운 주제가 인기를 얻어 빅 7 뉴스그룹을 얻게 되었고, alt.*는 빠르게 성장했다. 이러한 경향은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alt.*의 무정부적인 성격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ALT가 "Anarchists, Lunatics, Terrorists" (역어)의 약자라고 농담하기도 했다.
1995년에는 인문학(문학, 철학 등) 토론을 위한 ''humanities.*''가 만들어져 빅 7은 빅 8이 되었다.
''alt.*'' 계층 구조에는 모든 종류의 주제에 대한 토론이 있으며, 특정 지역이나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 특정한 토론을 위한 많은 계층 구조도 있다.
새로운 빅 8 뉴스그룹을 만들려면 [news:news.announce.newgroups news.announce.newgroups] 뉴스그룹에 RFD(토론 요청)를 게시하고, [news:news.groups.proposals news.groups.proposals]에서 토론해야 한다. 제안이 이름, 설명, 헌장으로 공식화되면 빅-8 관리 위원회가 그룹 생성 여부를 투표로 결정한다. 빅-8 관리 위원회가 제안을 승인하면 그룹이 생성된다. 그룹은 유사한 방식으로 제거된다.
alt.* 계층에서 새로운 그룹을 만드는 것은 동일한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 누구나 뉴스그룹을 만들고 제거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뉴스 관리자는 지역 사용자가 이름으로 그룹을 요청하지 않는 한 이러한 요청을 무시한다.
3. 1. 빅 8 (Big 8)
뉴스그룹은 관련 그룹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계층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1995년에 인문학 관련 토론을 위해 ''humanities.*''가 추가되어, 기존의 "빅 7"은 "빅 8"이 되었다.빅 8은 다음과 같다.
계층 구조 | 설명 |
---|---|
comp.* | 컴퓨터 관련 주제 토론 |
news.* | 유즈넷 자체에 대한 토론 |
sci.* | 과학 주제 토론 |
humanities.* | 인문학(문학, 철학 등) 토론 |
rec.* | 레크리에이션 활동 (게임, 취미 등) 토론 |
soc.* | 사회화 및 사회 문제 토론 |
talk.* | 종교, 정치 등 논쟁적인 문제 토론 |
misc.* | 기타 다른 계층 구조에 맞지 않는 모든 것 |
humanities.*를 제외한 7개 그룹(빅 7)은 1986년부터 1987년 사이의 대규모 이름 변경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그 이전에는 모든 주제가 net.* 계층 아래에 있었다. 당시 어떤 뉴스그룹을 만들어야 할지에 대한 큰 논쟁이 있었는데, 레시피, 오락용 약물 사용, 성 관련 그룹은 허용되지 않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alt.*''' 계층 구조가 만들어졌다. 빅 7에 비해 alt.*에서의 뉴스그룹 생성 규칙은 느슨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많은 새로운 주제가 인기를 얻어 빅 8 뉴스그룹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alt.*는 빠르게 성장했으며, 이러한 경향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alt.*의 무정부적인 성격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ALT가 "'''A'''narchists, '''L'''unatics, '''T'''errorists" (역어)의 약자"라고 농담하기도 했다.
새로운 빅 8 뉴스그룹을 만들려면 RFD(토론 요청)를 [news:news.announce.newgroups news.announce.newgroups] 뉴스그룹에 게시하고, [news:news.groups.proposals news.groups.proposals]에서 토론해야 한다. 제안이 이름, 설명, 헌장으로 공식화되면 빅-8 관리 위원회가 그룹 생성 여부를 투표로 결정한다. 빅-8 관리 위원회가 제안을 승인하면 그룹이 생성된다. 그룹은 유사한 방식으로 제거된다.
3. 2. alt.\* 계층
alt.* 계층 구조는 모든 종류의 주제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지는 곳이며, 특정 지역이나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 특정한 토론을 위한 많은 하위 계층 구조가 존재한다.1986년부터 1987년 사이의 대규모 이름 변경 이전에는 레시피, 오락용 약물 사용, 성과 같은 주제는 유즈넷 카발에 의해 허용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대안"(alternative)을 의미하는 ''alt.*'' 유즈넷 계층 구조의 생성을 이끌었다. alt.*는 민감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talk.*의 운영이 혼란스러워짐에 따라 그 "대안"으로 준비된 것이었으며, 빅7에서 허용되지 않는 주제의 뉴스그룹은 alt.* 아래에서 생성을 허용받을 수 있었다. 심지어 생성 방법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새로운 뉴스그룹을 만들 수 있었기에 alt.*는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특히 급격하게 성장한 것은 성 관련 alt.sex.*와 파일 교환(대용량 음란물, 음악, 소프트웨어 불법 다운로드 등) 관련 alt.binaries.*였다. 또 다른 그룹에서도 논의할 수 있는 주제(예: 영화)라도 alt.*에서는 더욱 세분화된 주제의 뉴스그룹을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모든 주제의 뉴스그룹이 만들어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빅 7에 비해 alt.*에서의 뉴스그룹 생성 규칙이 느슨해지면서, 많은 새로운 주제가 인기를 얻어 빅 7 뉴스그룹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alt.*는 빠르게 성장했으며, 이러한 경향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alt.* 계층 구조의 무정부적인 성격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ALT가 "Anarchists, Lunatics, Terrorists" (역어)의 약자라고 농담하기도 했다.
alt.* 계층 구조에서 새로운 그룹을 만드는 것은 빅 8 뉴스그룹을 만드는 것처럼 엄격한 규칙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누구나 뉴스그룹을 만들고 제거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뉴스 관리자는 지역 사용자가 이름으로 그룹을 요청하지 않는 한 이러한 요청을 무시한다.
3. 3. 기타 계층
뉴스그룹은 종종 계층 구조로 정리되어 관련 그룹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최상위 계층"이라는 용어는 첫 번째 점(.) 이전의 접두사로 정의된 계층 구조를 가리킨다.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계층 구조는 유즈넷 계층 구조이다. 1995년 인문학(예: 문학, 철학)에 대한 토론을 위해 ''humanities.*''가 만들어졌고, 빅 7은 빅 8이 되었다.
''alt.*'' 계층 구조에는 모든 종류의 주제에 대한 토론이 있으며, 특정 지역이나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 특정한 토론을 위한 많은 계층 구조가 있다.
많은 뉴스 서버에서 상위 8개(및 alt.*) 뉴스그룹 외에도 여러 뉴스그룹 계층 구조를 찾을 수 있다. 여기에는 비영어권 그룹, 회사 또는 조직에서 제품에 대해 관리하는 그룹, 지역/현지 계층 구조, 심지어 NNTP로 라우팅되는 비인터넷 네트워크 게시판도 포함된다.
계층 | 설명 |
---|---|
aus.* | 오스트레일리아 뉴스그룹 |
ba.* |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토론 |
ca.* | 캘리포니아 토론 |
can.* | 캐나다 뉴스그룹 |
cn.* | 중국어 그룹 |
chi.* | 시카고 지역 토론 |
de.* | 독일어 토론 |
england.* | (주로) 잉글랜드 지역 토론, uk.*도 참조 |
fidonet.* | 피도넷에서 라우팅된 토론 |
fr.* | 프랑스어 토론 |
fj.* | "From Japan," 일본어 토론 |
gnu.* | GNU 소프트웨어에 대한 토론 |
hawaii.* | (주로) 하와이 지역 토론 |
hk.* | 홍콩 뉴스그룹 |
hp.* | 휴렛패커드 내부 뉴스그룹 |
it.* | 이탈리아어 토론 |
microsoft.* |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에 대한 토론 |
nl.* | 네덜란드 뉴스그룹 |
no.* | 노르웨이 뉴스그룹 |
pl.* | 폴란드 뉴스그룹 |
tw.* | 타이완 뉴스그룹 |
uk.* | 영국 관련 토론 |
yale.* | (주로) 예일 대학교 지역 토론 |
또한, "alt.*보다 더 alt"로 간주될 수 있는 ''free.*'' 계층 구조가 있다. 이 계층 구조 내에는 일반적으로 특정 국가 또는 문화권(예: 이탈리아의 ''free.it.*'')에 대한 많은 지역 하위 계층 구조가 있다.
- comp.* - 컴퓨터 관련 주제를 논의하는 그룹
- news.* - 뉴스넷 자체에 대한 논의를 하는 그룹
- sci.* - 과학 관련 주제를 논의하는 그룹
- humanities.* - 인문학에 대한 논의를 하는 그룹 (예: 문학, 철학)
- rec.* - 오락에 대한 논의를 하는 그룹 (예: 게임, 취미)
- soc.* - 사회 및 문화에 대한 논의를 하는 그룹
- talk.* - 종교 및 정치에 대한 논의를 하는 그룹
- misc.* - 기타 다른 계층에 속하지 않는 모든 주제에 대한 논의를 하는 그룹
이 중 humanities.*를 제외한 7개 그룹(빅7, ''Big 7'')은 1986년부터 1987년 사이의 재편성(Great Renaming) 과정에서 만들어졌다(이전에는 모든 주제가 net.* 계층 아래에 있었다). 당시 어떤 뉴스그룹을 만들어야 할지에 대한 큰 논쟁이 있었다. 당시 뉴스넷과 이 7개 뉴스그룹의 재편 및 관리를 담당하던 집단(적대적인 사용자들로부터 속칭 'usenet cabal'이라고 불렸던 사람들)은 요리 레시피, 마약, 성행위 등에 대한 그룹 생성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 결과 '''alt.*'''가 탄생했다. 이는 민감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talk.*의 운영이 혼란스러워짐에 따라 그 "대안(alternative)"으로 준비된 것이었지만, 빅7에서 허용되지 않는 주제의 뉴스그룹은 alt.* 아래라면 생성을 허용받을 수 있게 되었고, 심지어 생성 방법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새로운 뉴스그룹을 만들 수 있었기에 alt.*는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성 관련 주제와 기타 서브컬처 관련으로 활성화된 무정부적인 alt.*는 "ALT는 아나키스트, 광신자, 테러리스트(Anarchists, Lunatics and Terrorists)의 약자"라고 불리기도 했다. 특히 급격하게 성장한 것은 성 관련 alt.sex.*와 파일 교환(대용량 음란물, 음악, 소프트웨어 불법 다운로드 등) 관련 alt.binaries.*였다. 또 다른 그룹에서도 논의할 수 있는 주제(예: 영화)라도 alt.*에서는 더욱 세분화된 주제의 뉴스그룹을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모든 주제의 뉴스그룹이 만들어졌다.
3. 4. 한국의 유즈넷 환경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유즈넷 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내용을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에는 유즈넷 계층 구조의 일부 예시와 일본 관련 뉴스그룹에 대한 간략한 정보만 제공되고 있습니다.4. 관리되는 뉴스그룹
대부분의 뉴스그룹은 관리되지 않지만, 관리되는 뉴스그룹은 게시물이 게시되기 전에 한 명 이상의 관리자가 승인해야 한다. 게시물을 제출하는 데는 별도의 주소가 사용되며, 관리자는 승인한 게시물만 전파한다. RFC 2235 ("Hobbes' Internet Timeline")에 따르면, 최초의 관리형 뉴스그룹은 1984년 mod.* 아래에 등장했다.
5. 배포
뉴스그룹 서버는 다양한 조직과 기관에서 호스팅한다.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는 자체 뉴스 서버를 호스팅하거나 구독자를 위해 뉴스 서버에 대한 접근 권한을 임대한다. 프리미엄 뉴스 서버에 대한 접근 권한을 판매하는 여러 회사도 있다.
뉴스 서버의 각 호스트는 정기적으로 동기화하기 위해 인근의 다른 뉴스 서버와 계약을 체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뉴스 서버는 중복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사용자가 하나의 뉴스 서버에 게시물을 게시하면 해당 게시물은 로컬에 저장된다. 그런 다음 서버는 해당 뉴스그룹을 모두 보유하는 연결된 서버와 게시물을 공유한다. 해당 서버도 마찬가지로 네트워크를 통해 게시물을 전파한다. 광범위하게 전달되지 않는 뉴스그룹의 경우, 때로는 크로스포스팅을 지원하기 위해 캐리어 그룹을 사용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제거된 그룹이나 새로운 ''alt.*'' 그룹에만 유용하다. Big 8 및 ''alt.*'' 계층 외의 계층 간 크로스포스트는 실패하기 쉽다.
참조
[1]
ietf
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NNTP)
IETF
2019-06-03
[2]
뉴스
Usenet / A Bulletin Board for Unix Users
https://archive.org/[...]
2015-01-31
[3]
웹사이트
List of Active Newsgroups
https://www.tech-ins[...]
2024-12-20
[4]
웹사이트
Usenet storage is more than 60 petabytes (60000 terabytes)
https://www.binsearc[...]
binsearch.info
2020-10-20
[5]
웹사이트
newsgroup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4-28
[6]
웹사이트
Retention Increase to 2600 Days at NewsDemon
http://www.newsdemon[...]
Newsdemon.com
2016-04-10
[7]
웹사이트
usenet backup (uBackup)
http://www.wikihow.c[...]
wikihow.com
2012-02-14
[8]
웹사이트
the end of tnn newsgroups
https://groups.googl[...]
Google
2006-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