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소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늑대소굴은 아돌프 히틀러의 별명 '볼프(Wolf, 늑대)'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히틀러의 동부 전선 사령부였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히틀러가 800일 이상 머물렀으며, 7·20 음모(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가 발생한 장소이기도 하다. 벙커, 참호, 지뢰밭 등으로 구성된 3중 보안 구역으로 이루어졌으며, 각국 고위 관계자들이 방문했다. 1944년 파괴 명령이 내려지고, 1945년 붉은 군대에 점령된 후, 현재는 역사 유적지로 보존되어 연간 3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프로이센 - 타넨베르크 전투 (1914년)
1914년 동프로이센에서 독일 제8군이 러시아 제2군을 격파하며 러시아군의 침공을 저지한 타넨베르크 전투는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를 스타로 만들었으나 서부 전선의 취약성을 드러냈고 러시아군의 보급 및 지휘 문제와 독일군의 정보전이 승패에 영향을 미쳤다. - 동프로이센 -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는 1544년 프로이센 공작 알브레히트가 설립한 루터교 신학 기반의 대학으로, 임마누엘 칸트 등 계몽주의 철학자들이 교수로 재직하며 쾨니히스베르크 세기를 이끌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된 후 칼리닌그라드 국립대학교로 개편되었다. - 퓌러본부 - 알베르트 슈페어
알베르트 슈페어는 아돌프 히틀러의 총애를 받은 나치 독일의 건축가이자 군수장관으로, 제3제국의 주요 건축 프로젝트들을 담당하며 전쟁 물자 생산 극대화에 기여했으나,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석방 후 회고록을 통해 나치 시대를 회고했으나 책임에 대한 논란과 비판이 지속되고 있다. - 퓌러본부 - 요제프 괴벨스
요제프 괴벨스는 나치 독일의 선전장관이자 정치가로서 뛰어난 선전 능력으로 나치당의 권력 장악에 기여하고 국민계몽선전부 장관으로서 독일의 문화와 언론을 통제하며 전쟁 선동에 앞장섰으나, 극단적인 반유대주의와 홀로코스트에 대한 책임으로 평가받고 베를린 함락 직전 가족과 함께 자살했다.
늑대소굴 | |
---|---|
개요 | |
![]() | |
명칭 | 볼프스샨체 (Wolfsschanze) |
다른 이름 | 빌치 샤니에츠 (Wilczy Szaniec, 폴란드어) 늑대 소굴 |
종류 | 위장된 콘크리트 벙커 |
위치 | 기엘워즈, 폴란드 바르미아마주르스키에 주, 켯신 군 |
과거 소속 | 퓌러하우프트쿼티에 |
건설 시기 | 1941년 |
사용 기간 | 1941년 6월 ~ 1945년 1월 |
건설사 | 호흐티프 AG, 토트 기관 |
재료 | 철근 콘크리트 |
현재 상태 | 대부분 파괴됨 |
소유주 | 폴란드 정부 |
일반 공개 여부 | 예 |
주둔군 | 제국보안국 (Reichssicherheitsdienst) 총통경호여단 (Führerbegleitbrigade) |
과거 지휘관 | 요한 라텐후버 |
점령자 | 아돌프 히틀러 나치 독일 정부 국방군 최고 사령부 |
주요 사건 | 7월 20일 사건 |
![]() | |
역사 | |
건설 목적 |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돌프 히틀러의 동부 전선 군사 본부 |
건설 시기 | 1940년 |
사용 시기 | 1941년 6월 21일 처음 사용, 약 3년 반 동안 사용 |
파괴 시기 | 1945년 1월 27일 퇴각하는 독일군에 의해 부분적으로 폭파됨 |
구조 | |
특징 | 위장된 콘크리트 벙커 단지 |
방어 | 강력하게 요새화됨 |
기타 정보 | |
관련 장소 | 총통대본영 |
독일어 명칭 | Wolfsschanze |
폴란드어 명칭 | Wilczy Szaniec |
2. 명칭 유래
''Wolfsschanze''라는 이름은 아돌프 히틀러가 스스로 사용한 별명인 "Wolf"(볼프, 늑대)에서 유래되었다. 그는 1920년대부터 이 별명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측근들은 종종 그를 이 별명으로 불렀다. "Wolf"는 점령된 유럽 전역에 걸쳐 있는 히틀러의 여러 본부의 이름에 사용되었으며, 벨기에와 프랑스에 있는 ''볼프슐루흐트'' I 및 II, 그리고 우크라이나에 있는 ''베어볼프''가 그 예이다.[58]
바르바로사 작전 준비의 일환으로, 1940년 말 동유럽에 총통을 위한 군사 본부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 본부는 펠제네스트와 같이 전선에 가깝지만 적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한 곳이어야 했다.[1]
복합 단지 내 건물들은 평평한 지붕에 덤불, 풀, 인공 나무로 위장되었으며, 건물과 주변 숲 사이에도 그물이 쳐져 있어 공중에서 보면 빽빽한 숲처럼 보였다.[2] 이 시설은 세 개의 동심원 보안 구역으로 구성되었다.[2]
영어에서 일반적인 번역은 "Wolf's Lair"이지만, 독일어에서 ''Schanze''는 참호, 요새, 또는 임시 야전 공사를 의미한다. 늑대의 굴을 뜻하는 독일어는 ''Höhle''(동굴) 또는 ''Bau''(주거지)이다. 아돌프 히틀러의 "아돌프"는 고대 고지 독일어의 "adal(고귀한)"과 "wolf(늑대)"에서 유래되었다.
3. 역사
최종적으로 동프로이센의 마주리 숲 한가운데, 도로와 도시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비밀 장소가 선택되었다. 이곳은 철도와 작은 비행장으로만 접근할 수 있었다. 기밀 유지를 위해 지역 주민들에게는 새로운 시멘트 공장을 건설하는 것이라고 알렸다. 토트 기관은 1941년 6월 21일까지 6.5km2에 달하는 전체 단지를 완공했다.[1]
아우토반 건설자인 프리츠 토트 박사가 이끄는 토트 기관이 건설을 담당했다. 소련 침공 시작 이틀 후인 1941년 6월 24일 히틀러는 수도 베를린에서 이곳으로 옮겼다. 당시 공사는 일부 진행 중이었다. 히틀러는 1944년 11월 20일 이곳을 떠날 때까지 총통 대본영 기능을 이곳에 두었다. 히틀러는 오버잘츠베르크의 베르크호프에 머무는 것 외에는 대부분 이곳에서 시간을 보냈다.
히틀러는 바르바로사 작전이 시작된 지 이틀 후인 1941년 6월 24일에 처음으로 본부에 도착했다. 1944년 중반,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부지 내의 많은 기존 건물을 확대하고 강화하는 작업이 시작되었지만, 발트 공세 동안 붉은 군대의 급속한 진격으로 인해 완료되지 못했다.[1]
히틀러는 3년 반 동안 그곳에서 800일 이상을 보낸 후, 1944년 11월에 마지막으로 "늑대 소굴"을 떠났다. 이는 그가 전쟁 기간 동안 머물렀던 어떤 장소보다 가장 긴 기간이었다.
베를린 함락 약 3개월 전인 1945년 1월 27일, 소련군이 동프로이센에 침입했을 때, 늑대 소굴의 모든 시설은 12톤의 폭약을 사용하여 독일군에 의해 폭파되었다.
4. 시설 구조
육군 본부 시설 또한 단지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5] FBK와 RSD는 부지 내 히틀러 개인의 안전을 책임졌으며, 단지의 외부 방어는 1944년 7월에 연대가 된 FBB가 제공했다. FBB는 전차, 대공포 및 기타 중무기로 무장했다. 접근하는 항공기는 부지에서 최대 100km까지 감지할 수 있었다. 추가 병력이 약 75km 떨어진 곳에 주둔했다.[6]
건설된 장소는 동프로이센 주의 라스텐부르크(현재: 폴란드령 켄트신)의 동쪽 약 8km 떨어진 숲 속이다.
이 시설에는 거주동, 후생동(식당·오락실·영화관 등), 관리동이 약 40동, 콘크리트로 된 대형 엄폐호(벙커)가 7동, 소형이 40동이 있었다. 벙커의 콘크리트 두께는 6m에서 8m에 달했다. 이 외에도 철도 인입선과 활주로가 2곳 있었다.
주변은 50m에서 150m 폭의 지뢰밭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철조망은 10km에 달했으며, 면적은 주변의 산림 지대를 포함하여 8제곱킬로미터에 달했다. 경비하는 장병은 1944년 시점에서 약 2,000명에 달했다.
5. 히틀러의 일상
히틀러는 오전 10시쯤 개와 함께 산책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했고, 오전 10시 30분에는 항공편이나 특급 열차로 배달된 우편물을 검토했다. 정오에는 상황 브리핑이 소집되었는데, 이는 카이텔 또는 요들의 벙커에서 열렸으며, 종종 두 시간 동안 진행되었다.[5] 오후 2시에는 식당에서 점심 식사를 했다. 히틀러는 요들과 오토 디트리히 사이에 앉았고, 카이텔, 마르틴 보어만, 그리고 괴링의 부관인 카를 보덴샤츠 장군이 그와 마주 보고 앉았다.[5]
점심 식사 후, 히틀러는 오후 내내 비군사적 문제들을 처리했다. 오후 5시쯤 커피가 제공되었고, 오후 6시에 요들의 두 번째 군사 브리핑이 진행되었다. 저녁 식사는 오후 7시 30분에 시작하여 두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었으며, 식사 후에는 영화관에서 영화가 상영되었다. 그 후 히틀러는 개인 숙소로 물러나 측근들에게 늦게까지 독백을 했고, 보통 오전 3시나 4시쯤 잠자리에 들었다. 때때로 히틀러와 측근들은 축음기 음반으로 베토벤 교향곡, 바그너 또는 다른 오페라, 또는 독일 가곡을 들었다.[5]
6. 주요 방문객
이름 | 직책 | 국가 | 비고 |
---|---|---|---|
안토네스쿠, 이온[13][14][15] | 원수 | 루마니아 | |
보리스 3세[16][17] | 차르 | 불가리아 | |
보스, 수바스 찬드라[18] | 인도 | 민족 지도자 | |
치아노, 갈레아초[20][21] | 외무부 장관 | 이탈리아 | |
호르티, 미클로시[26] | 섭정 | 헝가리 | |
무솔리니, 베니토[38][39][40][41] | 두체 | 이탈리아 | |
오시마, 히로시[44][45][46] | 대사 | 일본 | |
루우코넨, 파니[33] | 핀란드 | 여성 자원 봉사 단체 대표 | |
만네르헤임, 칼 구스타프[34] | 핀란드 | 군 지도자 및 정치가 |
7. 7·20 음모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1944년 7월 20일 목요일, 늑대소굴에서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히틀러를 제거하고 독일의 불가피한 패배가 양측 모두에게 명백해지기 전에 연합국과 평화로운 전쟁 종식을 협상할 새로운 민주주의 정부를 수립하려는 현역 및 예비 육군 장교, 일부 민간인 그룹에 의해 조직되었다.[12] 그러나 공모자들이 직면한 주요 과제는 히틀러가 일정에 대한 막바지 변경을 하는 습관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그를 암살하려는 시도가 실패했다는 점이었다.
결국 공모자들은 히틀러를 암살하기에 충분히 가까이 접근할 수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였기 때문에 늑대소굴을 히틀러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장소로 선택했다. 참모 장교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대령은 일반적으로 벙커에서 열리는 일일 군사 브리핑 중 하나에 서류 가방에 숨겨진 폭탄을 가지고 들어가, 벙커의 강력한 보강 시설이 폭발의 충격파를 방의 튼튼하게 보강된 벽에서 반사시켜 히틀러에게 쏟아지게 하여 그를 확실하게 죽게 만들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암살 계획 당일, 회의 장소가 그날 벙커 내부의 엄청난 더위에 대한 히틀러의 불평으로 인해 예상치 않게 가벼운 벽돌 오두막으로 변경되었다.[12] 이러한 장소 변경은 히틀러가 예상보다 일찍 회의를 소집하는 것과 같은 다른 요인과 함께 음모의 최종 실패에 기여했다. 이러한 계획 변경에도 불구하고 슈타우펜베르크는 계획을 실행했다. 그는 폭탄이 들어 있는 서류 가방을 회의 오두막으로 가져갔고, 북아프리카에서 싸우는 동안 입은 전투 부상으로 인해 듣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이유로 히틀러 옆에 배치해 달라고 요청했는데, 이는 폭탄이 히틀러에게 효과적일 만큼 충분히 가까이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서였다.
폭탄은 정확히 오후 12시 42분에 폭발했고, 슈타우펜베르크는 몇 분 전에 회의에서 나왔다. 건물의 내부는 파괴되었고, 4명의 장교가 부상을 입고 나중에 상처로 사망했지만, 히틀러는 약간의 부상만 입었다.[12] 이는 회의에 참석한 다른 장교 중 한 명이 자신의 편의를 위해 슈타우펜베르크가 히틀러 가까이에 놓은 서류 가방을 회의에 사용된 튼튼한 참나무 테이블 다리 중 하나에 놓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두껍고 무거운 테이블이 폭발의 대부분을 흡수했고, 이와 함께 오두막의 얇은 벽 일부가 무너져 충격파가 소멸되면서 총통의 생명을 구했다.
폭탄이 터지기도 전에 슈타우펜베르크와 그의 부관인 베르너 폰 해프텐 중위는 이미 동료 공모자들과 함께 국가를 장악할 계획으로 베를린으로 출발했다. 그들의 탈출에는 현장 주변의 모든 접근을 통제하는 다양한 보안 구역을 통과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스페르크라이스 1 외부의 RSD 경비 초소에서 잠시 지연된 후, 그들은 차량으로 떠나는 것이 허용되었다. 두 장교는 그 후 라스텐부르크 근처의 군사 활주로를 향해 남쪽 출구 도로를 따라 운전했다.[12]
경보가 그들이 스페르크라이스 2의 경계에 있는 경비 초소에 도착했을 때 울렸다. 공식 RSHA 보고서에 따르면 "처음에는 슈타우펜베르크가 그에게 설득하여 사령관의 부관에게 연락하여 최종 승인을 받을 때까지 경비병은 통과를 거부했다."라고 한다.[12] 해프텐이 사용하지 않은 두 번째 폭탄이 들어 있는 또 다른 서류 가방을 차 밖으로 던진 곳은 여기와 스페르크라이스 3의 최종 검문소 사이였다. 두 사람은 보안 구역의 외부 한계에 도달했고 베를린의 육군 참모 본부로 돌아가는 비행기를 탈 수 있었다.
암살 시도는 히틀러가 때 이른 죽음을 맞이할 경우 예비군이 통제권을 잡고 국가의 반란을 진압하도록 히틀러가 공식적으로 승인한 비밀 계획인 발키리 작전에서 파생되었으며, 공모자들은 이를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적용했다. 불행하게도 공모자들에게는 히틀러가 여전히 살아 있다는 소식이 늑대소굴에서 곧 도착했다. 선전부 장관 요제프 괴벨스로부터 히틀러가 실제로 살아 있다는 소식을 듣고, 또한 정권에 여전히 충성하는 베를린의 예비군 부대를 지휘하는 오토 에른스트 레머 소령과 직접 대화를 나눈 후, 히틀러의 생존을 완전히 확신하고 주요 정부 건물의 통제권을 신속하게 재확립하고 공모자들을 체포했다.[12]
그날 저녁, 슈타우펜베르크와 그의 공모자들은 베를린의 벤들러블록 밖에서 총살로 요약 처형되었다.
1944년 8월 20일, 히틀러는 폭탄 폭발 생존자들에게 "1944년 7월 20일 부상 훈장"을 직접 수여했다. 폭발로 사망한 사람들의 직계 가족에게도 이 상이 수여되었다.[12]
8. 파괴와 점령
붉은 군대는 1944년 10월 발트 해 공세 동안 동프로이센 국경에 도달했다.[1] 아돌프 히틀러는 1944년 11월 20일 마지막으로 늑대 소굴을 떠났는데, 이는 소련군의 진격이 앙거부르크(현재 벵고제보)에 도달했을 때였다. 이틀 후, 늑대 소굴을 파괴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1]
파괴는 1945년 1월 24~25일 밤에 일어났으며, 이는 붉은 군대의 비스툴라-오데르 공세가 시작된 지 10일 후였다. 하나의 벙커에 약 8000kg의 TNT가 사용되는 등 수 톤의 폭발물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건물은 거대한 크기와 강화된 구조로 인해 부분적으로만 파괴되었다.[1]
붉은 군대는 1945년 1월 27일,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가 남쪽에서 해방된 날, 총 한 발도 쏘지 않고 ''늑대 소굴''의 버려진 잔해를 점령했다.[1]
9. 역사 유적지
전쟁 이후, 54,000개 이상의 지뢰가 이 지역에서 제거되었고, 버려진 탄약과 함께 이 전체 부지는 폴란드 공산 정부에 의해 방치되었다.[49] 1990년대 초 공산주의 몰락 이후, 늑대 굴은 관광 명소로 개발되었다. 방문객들은 바르샤바나 그단스크에서 당일 여행을 할 수 있다.[49] 호텔과 레스토랑이 이 부지 근처에 생겨났다.[50] 역사적 전시물 설치를 포함하여 이 지역을 복원하려는 계획이 주기적으로 제안되었다.[51]
2019년 현재, 이 부지에는 연간 거의 30만 명의 방문객이 방문했다. 이 부지를 관리하는 스로코보 숲 지구는 새로운 숙박 시설, 확장된 역사 전시회 및 방문객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기타 업그레이드를 포함하여 역사적 부지에 대한 개보수 및 복원 계획을 발표했다. 비평가들은 계획된 변경 사항으로 인해 이 부지가 신나치 순례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지만, 지구 대변인은 "역사적 진실에 대한 적절한 진지함과 존중"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전문으로 하는 폴란드 역사학자 파벨 마흐체비츠는 "[전쟁으로 남겨진 상처는] 교훈과 경고로 보존하고 제시해야 한다... 전시회는 역사를 설명하고, 장소의 맥락을 설명해야 하지만, 이를 완전히 압도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다.[52]
2023년 2월, 스로코보 숲 지구 관계자는 "빌치 샤니에츠" 부지의 개보수가 시작되어 2024년 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호텔 및 레스토랑 건물 확장 및 개보수, 새로운 회의실 추가, 전시 공간 재설계, 새로운 전망대 건설 등이 포함될 것이다.[53]
2024년, 헤르만 괴링의 이전 거주지를 탐사한 고고학자들은 벽돌 주거지 아래에서 손과 발이 없고 옷이나 개인 소지품의 흔적이 없는 5구의 사람 뼈(성인 3명, 십 대 1명, 아기 1명, 가족으로 추정)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54] 각 해골 옆에는 벼락 돌(도너케일) - 베렘노이드라고 불리는 멸종된 오징어와 같은 생물의 총알 모양 화석이 발견되었다.[55][56]
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영토가 된 뷜프스샨체 주변에는 처리되지 않은 지뢰가 다수 남아 있어 오랫동안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었다. 폴란드 정부에 의한 지뢰 제거는 1955년에 종료되었다.
현재 뷜프스샨체 유적은 켄트신시 최대의 관광 명소가 되었으며, 방문객은 관람료를 지불한 후 안내원(폴란드어, 독일어, 영어)의 안내에 따라 둘러보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입구에는 호텔이 있어 숙박도 가능하다. 최대 볼거리는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현장이었던 회의실 유적, 히틀러의 방공호 유적, 괴링 방공호 유적이다. 암살 미수 사건 당일, 슈타우펜베르크 대령이 국내 예비군 사령부가 있던 베를린 벤들러 거리와 이곳을 왕복하는 데 사용했던 비행장도 그대로 현존하고 있다.
뷜프스샨체 유적은 2008년 공개된 미국 영화 『작전명 발키리』로 인지도를 높였다. 지역에서는 정비를 위한 투자를 모금하고 있다.[57]
10. 볼프 씨
히틀러가 사용한 "볼프(Wolf)"라는 별명은 고대 고지 독일어의 "adal(고귀한)"과 "wolf(늑대)"에서 유래했다. 히틀러는 1920년대부터 은밀하게 활동할 때 "Wolf(늑대)"를 가명으로 사용했으며, 가까운 사람들은 그를 "Herr Wolf"(Herr는 독일어로 남성에 대한 존칭으로, 영어의 Mr.에 해당)라고 불렀다[58]。 히틀러는 대전 중 늑대소굴 외에도 유럽 각지에 총통 대본영을 건설했는데, 그 이름 중 일부는 다음과 같이 Wolf(볼프)를 포함한다.
- Felsennest(펠젠네스트) - 바위산에 있는 새나 작은 동물의 둥지
- Wolfsschlucht(볼프스슐루흐트) - 늑대가 사는 협곡
- Adlerhorst(아들러호르스트) - 높은 나무에 있는 매의 둥지
- Werwolf(베어볼프) - 늑대인간
참조
[1]
웹사이트
Hitler's only surviving food taster reveals the horrors of the 'Wolf's Lair'
https://www.independ[...]
2014-09-17
[2]
웹사이트
Location and construction of Wolf's Lair – Why Gierloz / Ketrzyn?
https://wolfsschanze[...]
2022-01-14
[3]
서적
Guarding Hitler: The Secret World of the Führer
Pen and Sword Military
[4]
서적
Hitler's Last Witness: The Memoirs of Hitler's Bodyguard
Frontline Books–Skyhorse Publishing, Inc
[5]
문서
Kershaw 2000 p. 55
[6]
웹사이트
Location and construction of Wolf's Lair – Why Gierloz / Ketrzyn?
http://wolfsschanze.[...]
[7]
서적
Until the Final Hour
Weidenfeld & Nicolson
[8]
서적
Inside the Third Reich
Weidenfeld & Nicolson
1995
[9]
문서
Until the Final Hour
Weidenfeld & Nicolson
[10]
문서
Inside the Third Reich
[11]
문서
Until the Final Hour
Weidenfeld & Nicolson
[12]
서적
Stalingrad: The Fateful Siege: 1942–1943
Penguin Books
[13]
간행물
pict.
http://www.audiovis.[...]
National Digital Archives
1942-02-11
[14]
간행물
pict.
http://www.audiovis.[...]
National Digital Archives
1943-01-10
[15]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4-08-05
[16]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2-03-24
[17]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2-08-14
[18]
간행물
Image-No.: 50059436 (search inside).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2-05-29
[19]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3-11-05
[20]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1-10-25
[21]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2-12-18
[22]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3-08-17
[23]
간행물
pict.
http://www.audiovis.[...]
National Digital Archives
1942-07-15
[24]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2-05-07
[25]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3-10
[26]
간행물
pict.
http://www.audiovis.[...]
National Digital Archives
1941-09-08
[27]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2-05-16
[28]
간행물
pict.
http://www.audiovis.[...]
National Digital Archives
1942-06-06
[29]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3-10-18
[30]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1-07-21
[31]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2-12-19
[32]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1-12-08
[33]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3-05-26
[34]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2-06-27
[35]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1941-09-11
[36]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37]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38]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39]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40]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41]
간행물
pict.
http://www.audiovis.[...]
Narodowe Archiwum Cyfrowe|National Digital Archives
2013-09-20
[42]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43]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44]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45]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46]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47]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48]
간행물
pict.
http://bpkgate.pictu[...]
Prussian Heritage Image Archive
2013-09-20
[49]
웹사이트
How to Visit Wolf's Lair from Warsaw
https://www.globotre[...]
2013-12-13
[50]
웹사이트
Wolf's Lair sightseeing and tourist attractions - what to see in Wolfsschanze
http://wolfsschanze.[...]
[51]
뉴스
Restoring the Walls, and the History, at Hitler's Wolf's Lair
https://www.nytimes.[...]
2012-09-17
[52]
뉴스
Wolf's Lair: Will Hitler HQ makeover create a Nazi theme park?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7-31
[53]
웹사이트
Hotel i restauracja w "Wilczym Szańcu" zostaną zmodernizowane
https://www.pap.pl/a[...]
2023-07-25
[54]
뉴스
Five skeletons found under Wolf's Lair home of Hermann Göring in Poland
https://www.theguard[...]
2024-04-30
[55]
뉴스
Human remains and occult symbols found in Hermann Göring's bunker
https://www.thetimes[...]
2024-04-30
[56]
서적
Hitler's Master of the Dark Arts: Himmler's Black Knights and the Occult Origins of the SS
Zenith Press
2010
[57]
뉴스
ヒトラー暗殺計画の舞台を観光地に、ポーランド当局が投資誘致
https://jp.reuters.c[...]
2012-01-19
[58]
웹사이트
Im Führerhauptquartier (FHQ)
http://www.christ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