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므롯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므롯은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노아의 후손이자 구스의 아들로 묘사되며, "세상에서 큰 용사"이자 "여호와 앞에서 특출한 사냥꾼"으로 묘사된다. 창세기 10장 10절에 따르면 그의 왕국은 바빌론, 우루크, 아카드, 시날 등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걸쳐 있었다. 유대교와 기독교 전승에서는 니므롯을 바벨탑 건설을 주도한 인물로 보며, 신에 대한 반역으로 해석한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해석과 전승이 존재하며, 헝가리, 아르메니아 등 여러 민족의 전설에도 등장한다. 또한, 대중문화에서 어리석은 사람을 지칭하는 속어로 사용되기도 하며, 음모론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 (성경 인물) - 함족
함족 가설은 성경 속 노아의 아들 함의 후손을 지칭하는 용어에서 비롯되어, 특정 인류학적 의미를 띠기도 했으나 인종주의적 함의와 과학적 근거 부족으로 현대 학계에서 비판받으며 아프리카 식민 정책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 함 (성경 인물) - 함의 저주
함의 저주는 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이야기로, 노아가 술 취해 벌거벗은 것을 본 함이 그의 아들 가나안과 함께 저주를 받는 내용이며, 역사적으로 노예제와 인종차별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비판받고 있다. - 사냥꾼 - 에서
창세기에 등장하는 야곱의 쌍둥이 형이자 장자인 에서는 붉은 죽으로 장자권을 팔아넘긴 일화로 유명하며, 에돔 족속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사냥꾼 - 사냥꾼 허른
사냥꾼 허른은 셰익스피어의 희극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에 처음 등장한 뿔 달린 머리와 떡갈나무 갑옷을 입은 모습으로 묘사되는 영국의 전설적인 사냥꾼 유령으로, 윈저 숲과 관련되어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등장하며, 켈트 신화의 케르눈노스와 연결되고 국가적 징조로 여겨지기도 한다.
| 니므롯 | |
|---|---|
| 기본 정보 | |
![]() | |
| 다른 이름 | 강력한 사냥꾼 쿠시의 아들 |
| 출생 | 바빌로니아 |
| 직업 | 왕 사냥꾼 |
| 종교 | 고대 근동 종교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구스 |
| 할아버지 | 함 |
| 증조할아버지 | 노아 |
| 성경 | |
| 구약성경 | 창세기 10:8-12 역대기상 1:10 |
| 신약성경 | 히브리서 11:7 |
| 이슬람교 | |
| 꾸란 | 언급 없음 |
| 유대교 | |
| 탈무드 | 전설적인 왕 |
| 어원 | |
| 히브리어 | נִמְרוֹד (님로드, Nimrod) |
| 의미 | 반역자 |
| 추가 정보 | |
| 관련 인물 | 길가메시 |
2. 성경 속 니므롯
니므롯은 창세기 10장 "민족들의 계보"에 등장한다.[37] 그는 구스의 아들이자 함의 손자이며, 노아의 증손으로 "세상에 처음 나타난 영걸(용사)"이자 "여호와 앞(앞에선) 힘센(뛰어난) 사냥꾼"으로 묘사된다. 이 내용은 역대기 1서 1장 10절에서 반복되며, 미가서 5장 6절에서는 앗시리아 또는 메소포타미아의 동의어로 "니므롯의 땅"이 언급된다.
창세기 10장 9절은 "그는 주 앞에서 힘 있는 사냥꾼이었다. 그러므로 "주 앞에서 힘 있는 사냥꾼 니므롯처럼"이라고 일컬어지게 되었다."라고 기록한다.(공동번역)
그의 왕국은 시날 땅의 바벨, 에렉(우루크), 악갓(아카드), 갈레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땅에서 앗수르로 나아가 니느웨, 레센, 르호보딜, 갈라를 건설했다.
2. 1. 창세기 10장의 묘사
니므롯은 구스의 아들이자 함의 손자이며, 노아의 증손이다.[37] 그는 "세상에 처음 나타난 영걸(용사)"이자 "여호와 앞(앞에선) 힘센(뛰어난) 사냥꾼"으로 묘사된다.그의 왕국은 시날 땅의 바벨, 에렉(우루크), 악갓(아카드), 갈레에서 시작되었다. 그 땅에서 앗수르로 나아가 니느웨, 레센, 르호보딜, 갈라를 건설했다.
월터 롤리는 그의 저서 ''세계사''(1614)에서 니므롯과 앗수르 중 누가 앗시리아의 도시들을 건설했는지에 대한 과거 학자들의 연구를 여러 페이지에 걸쳐 언급했다.[6]
2. 2. 미가서의 언급
『미가서』(5장)에서는 아시리아에 대해 예언할 때, 그 땅을 "니므롯의 땅"이라고 언급하고 있다.3. 성경 외 전승과 해석
니므롯은 성경 외의 다양한 전승에서 여러 가지 모습으로 등장한다. 유대교와 이슬람 전통에서는 니므롯과 아브라함의 대결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이 둘을 격변적인 충돌로 묘사하며, 선과 악의 대결 또는 일신교 대 다신교의 상징으로 본다. K. 반 데르 토른과 P. W. 반 데르 호르스트에 따르면, 이 전통은 처음으로 가짜 필로의 저작에서 증명되었으며,[21] 탈무드와 중세 시대의 랍비 문헌에서도 발견된다.[22]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니므롯이 자신의 뜻을 하느님의 뜻에 반하는 인물로 묘사했다. 다른 전승에서는 그가 스스로를 신이라고 선포하고 신하들에게 숭배받으며, 때로는 그의 배우자인 세미라미스가 그의 곁에서 여신으로 숭배받는다.
별들의 징조는 니므롯과 그의 점성가들에게 우상 숭배를 끝낼 아브라함의 임박한 탄생을 알렸다. 니므롯은 모든 신생아를 죽이라고 명령하지만, 아브라함의 어머니는 들판으로 도망쳐 비밀리에 아이를 낳는다. 아브라함은 어린 나이에 하느님을 깨닫고 숭배하며, 니므롯에게 우상 숭배를 멈추라고 말한다. 그러자 니므롯은 그를 화형에 처하라고 명령한다.
어떤 전승에서는 니므롯과 아브라함이 결투를 벌인다. 니므롯이 거대한 군대를 이끌고 나타나자, 아브라함은 각다귀 군대를 소환하여 니므롯의 군대를 파괴한다.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각다귀나 모기가 니므롯의 뇌로 들어가 그를 미치게 한다 (유대교 전통에서는 로마 황제 티투스, 예루살렘 성전 파괴자에게도 이와 같은 신의 징벌을 부여했다).
니므롯이 회개하고 하느님을 받아들여 하느님이 거부하는 많은 희생을 바쳤다는 전승( 가인의 경우처럼)도 있고, 아브라함에게 화해의 선물로 거인 노예 엘리에셀을 주었다는 전승도 있다. 엘리에셀을 니므롯의 아들로 묘사하는 이야기도 있지만, 성경에는 엘리에셀이 아브라함의 집사로 언급될 뿐, 그와 니므롯 사이의 연관성은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창세기 15:2).
또 다른 전승에서는 니므롯이 하느님에 대한 반역을 지속하거나 재개한다. 아브라함이 메소포타미아를 떠나 가나안에 정착한 것은 니므롯의 복수를 피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 이야기는 모세의 탄생 이야기(사악한 왕이 무고한 아기를 죽이고 산파에게 죽이라고 명령)와 불에서 상처 없이 나온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의 이야기에서 요소를 가져와, 니므롯에게 느부갓네살과 파라오의 속성을 부여한다. 일부 유대교 전통에서는 그를 키루스와 동일시하기도 하는데,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그의 탄생은 징조를 동반하여 그의 할아버지가 그를 죽이려 했다.
코란에서도 이름이 언급되지 않은 왕과 이브라힘(아브라함) 사이의 대결이 언급된다. 일부 무슬림 주석가들은 니므롯을 그 왕으로 지목한다. 코란의 이야기에서 이브라힘은 왕과 논쟁을 벌이는데, 그는 하느님이 생명을 주시고 죽음을 가져가신다고 주장하는 반면, 왕은 자신이 생명을 주고 죽음을 가져간다고 대답한다.[23] 이브라힘은 하느님이 해를 동쪽에서 뜨게 하시니, 왕에게 서쪽에서 뜨게 해 보라고 요구하며 그를 반박한다.
니므롯은 유대교와 이슬람 전통에서 상징적인 악인, 즉 우상 숭배자이자 폭군 왕의 전형으로 남아 있었다. 랍비 문헌에서 그는 거의 예외 없이 "악한 니므롯"()으로 불린다.
바하이 경전에서 니므롯은 키타브-이-이칸(바하이 신앙의 주요 신학 저서)을 포함한 여러 곳에서 이름으로 언급된다. 니므롯은 "꿈을 꿨고" 그의 점술가들이 그것을 하늘에 새로운 별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했으며, "아브라함의 출현"을 알리는 사자가 그 땅에 나타났다고 한다.[25] 바브(바하이 신앙의 전령)는 니므롯을 하느님의 힘에 대항한 인물로 언급한다.[26]
아브라함과 니므롯의 대결 이야기는 라디노어(유대-스페인어) 민요 "'Quando el Rey Nimrod'"(왕 니므롯)에도 영향을 주었다.[27][28]
미드라쉬 라바에 등장하는 아브라함과 니므롯의 대결은 다음과 같다.
| style="text-align: right; direction: rtl;" | |
미드라쉬에서는 니므롯이 더욱 부정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그의 이름은 곧 신에 대한 반역을 표명하는데, "니므롯"은 히브리어로 "우리는 반역한다"를 의미한다. 사냥꾼으로서의 그의 행위 또한 흉폭하고 잔혹하게 묘사된다.
3. 1. 유대교 및 기독교 전승
유대교와 기독교 전승에서 니므롯은 바벨탑 건설을 주도한 인물로 여겨지는데,[7] 이는 신에 대한 반역으로 해석된다. 요세푸스는 바벨탑 건설이 니므롯의 지시로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보았으며,[8] 탈무드 (''훌린'' 89a, ''페사힘'' 94b, ''에루빈'' 53a, ''아보다 자라'' 53b)와 ''미드라시'' (예: ''창세기 라바'')에서도 이러한 견해가 나타난다. 일부 초기 유대교 자료에서는 아므라벨이 니므롯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요세푸스는 니므롯이 백성들에게 하나님을 경멸하도록 부추기고, 자신의 힘을 과시하며 폭정을 펼쳤다고 기록했다.[9] 그는 백성들이 하나님께 복종하는 것을 비겁하게 여기고, 바벨탑을 높이 쌓아 신에게 복수하려 했다고 한다.

유대교와 이슬람 전통에는 니므롯과 아브라함의 대립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들은 선과 악, 일신교와 다신교의 대결로 묘사되기도 한다. 어떤 유대교 전통에서는 두 사람이 만나 대화를 나누었다고도 한다. K. 반 데르 토른과 P. W. 반 데르 호르스트에 따르면 이 전통은 가짜 필로의 저작에서 처음 나타났으며,[21] 탈무드와 중세 시대의 랍비 문헌에서도 발견된다.[22]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니므롯은 자신의 뜻을 하느님의 뜻에 반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다른 전승에서는 니므롯이 스스로를 신이라 선포하고 백성들의 숭배를 받았으며, 그의 배우자 세미라미스와 함께 신격화되기도 하였다.
니므롯은 별들의 징조를 통해 우상 숭배를 끝낼 아브라함의 탄생을 예고받고, 신생아들을 죽이라 명령한다. 그러나 아브라함의 어머니는 몰래 아브라함을 낳고, 아브라함은 어린 나이에 하느님을 깨닫고 숭배한다. 니므롯은 아브라함에게 우상 숭배를 멈추라고 하자 그를 화형에 처하려 하지만, 아브라함은 기적적으로 살아남는다.
어떤 전승에서는 니므롯이 아브라함에게 결투를 신청하고, 아브라함은 각다귀 군대를 소환하여 니므롯의 군대를 물리친다. 또 다른 전승에서는 각다귀나 모기가 니므롯의 뇌로 들어가 그를 미치게 한다.
니므롯은 회개하고 하느님을 받아들였다는 전승도 있고, 계속해서 반역을 이어갔다는 전승도 있다. 아브라함이 가나안으로 이주한 것은 니므롯의 복수를 피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또 다른 전승에서는 니므롯이 하늘을 공격하려 했다고도 한다.
이 이야기는 모세의 탄생 이야기와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 이야기의 요소를 차용하여, 니므롯에게 느부갓네살과 파라오의 속성을 부여한다. 일부 유대교 전통에서는 그를 키루스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코란에서도 이름이 언급되지 않은 왕과 이브라힘 (아브라함) 사이의 대결이 언급되며, 일부 무슬림 주석가들은 이 왕을 니므롯으로 본다.[23] 이브라힘은 왕에게 해를 서쪽에서 뜨게 해 보라고 요구하며 그를 당황하게 한다.[24]
니므롯은 유대교와 이슬람 전통에서 우상 숭배와 폭정을 상징하는 인물로 남아 있으며, 랍비 문헌에서는 "악한 니므롯"(נמרוד הרשע|네므로드 하라샤he)으로 불린다.
바하이 경전에서도 니므롯은 "꿈을 꿨고" 그의 점술가들이 그것을 새로운 별의 탄생으로 해석했다는 내용으로 언급된다.[25] 바브 (바하이 신앙의 전령)는 니므롯을 하느님의 힘에 대항한 인물로 언급한다.[26]
아브라함과 니므롯의 대결 이야기는 라디노어 민요 "'Quando el Rey Nimrod'"에도 영향을 주었다.[27][28] 이 노래는 니므롯의 박해와 아브라함의 기적적인 탄생과 행적을 묘사한다.
미드라쉬에서는 니므롯의 이름이 "우리는 반역한다"는 의미를 가지며, 그의 사냥 행위와 바벨탑 건설은 신에 대한 반역으로 묘사된다.
유대인 사회에서는 니므롯이라는 이름이 비교적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 2. 이슬람교 전승
꾸란에는 니므롯의 이름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지만, "하나님이 그에게 왕국을 주셨으므로 주에 관하여 아브라함(이브라힘)과 논쟁한 자를 보지 못하였느뇨?"라는 구절이 나온다.[29] 이 구절에서 아브라함은 "내 주님은 생명을 주시고 죽음을 가져가시는 분입니다."라고 말하고, 왕은 "내가 생명을 주고 죽음을 가져간다"고 대답한다.[29] 일부 주석가들은 이 왕이 니므롯이며, 그가 사형 선고를 받은 두 사람을 데려와 한 명은 처형하고 다른 한 명은 풀어주었다는 이야기를 덧붙이기도 한다.[30] 아브라함은 다시 "하나님은 해를 동쪽에서 뜨게 하시니, 당신은 서쪽에서 뜨게 하시오."라고 말했고, 이로 인해 왕은 아브라함을 레반트로 추방했다고 한다.[29][31]이슬람 학자들은 꾸란에 언급된 "왕"이 니므롯이라고 주장하며, 니므롯은 이슬람 문화에서 폭군으로 여겨진다.[32][33][34] 무자히드 이븐 자브르는 "동서 양쪽의 땅을 두 명의 신자와 두 명의 불신자, 총 4명이 지배했다. 두 명의 신자는 솔로몬(술라이만)과 줄카르나인이었고, 두 명의 불신자는 느부갓네살 2세와 니므롯이었다. 그들 외에는 아무도 그 땅을 지배하지 못했다."라고 언급했다.[35]
3. 3. 기타 전승
아르메니아 전설에 따르면, 아르메니아 민족의 조상인 하이크가 니므롯(벨)을 물리쳤다고 전해진다.[15] 헝가리 전설에서는 니므롯이 헝가리인의 조상으로 등장한다.[16] 몰몬경에서는 뛰어난 사냥꾼의 이름을 따서 계곡의 이름이 니므롯으로 불렸다고 언급된다.[17]3. 4. 동일시 가설
메소포타미아 왕 목록에는 니므롯이라는 왕은 없다. 역사학자, 동양 학자, 아시리아 학자, 신학자들은 오랫동안 니므롯과 역사적으로 증명된 메소포타미아의 실제 인물 사이의 연관성을 찾으려고 노력해 왔지만, 그러한 왕은 발견되지 않았다.[66]니므롯과 동일시되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엔메르카르: 우루크의 건설자로, 수메르 왕 목록에 등장한다. 4세기 초 가이사랴의 에우세비우스 주교는 기원전 3세기의 바빌로니아 역사가 베로소스가 홍수 이후 첫 번째 왕을 칼데아의 '에우에코이오스'라고 언급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그를 니므롯과 동일시했다. 게오르기우스 싱켈루스 역시 베로소스의 기록을 접했는데, 그는 역사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에우에코이오스'를 성경의 니므롯과 동일시했다.[68] 데이비드 롤은 수메르의 우루크 창시자인 엔메르카르가 니므롯의 원래 영감이었는데, 그 이유는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군주''[48] 이야기가 니므롯과 바벨탑의 전설과 몇 가지 유사점을 보이며, 엔메르카르의 -KAR가 "사냥꾼"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 닌우르타: 메소포타미아 신으로, 로널드 헨델에 따르면, 니므롯이라는 이름은 메소포타미아 종교에서 중요한 신이었고 칼후와 같은 여러 아시리아 도시와 바빌론에 숭배 중심지를 가지고 있었으며, 여러 아시리아 왕들의 수호신이었던 셈족 아시리아 신 닌우르타를 훨씬 후대에 논쟁적으로 왜곡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72]

4. 니므롯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관점
니므롯은 성경, 유대교, 이슬람교, 바하이교 등 다양한 종교와 역사 기록에 언급되며, 그에 대한 해석은 매우 다양하다.
성경의 창세기 10장 9절에서는 니므롯을 "주 앞에서 힘 있는 사냥꾼"으로 묘사하며, "주 앞에서 힘 있는 사냥꾼 니므롯처럼"이라는 속담까지 생겨났다고 기록한다.[1] 그의 왕국은 시날 땅의 바벨, 우루크, 아카드와 같은 고대 도시들과 아시리아 지방의 니네베, 칼라 등을 포함했다.[1] 미가서에서는 아시리아를 "니므롯의 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1]
역사학계에서는 니므롯과 실제 메소포타미아 역사 속 인물과의 연관성을 찾으려 노력했지만, 아직 명확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36] 수메르, 아카드 제국, 아시리아, 바빌론의 왕 목록이나 다른 기록에서 니므롯이라는 이름을 가진 왕은 나타나지 않는다.[36]
종교적 관점에서 니므롯은 종종 부정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유대교와 이슬람교 전통에서는 그를 신에게 반역한 폭군이자 우상 숭배자로 간주한다.[21][22]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니므롯을 하느님의 뜻에 반하는 인물로 묘사했고, 다른 전승에서는 그가 스스로를 신으로 선포하고 백성들에게 숭배를 강요했다고 전해진다.
일부 전승에서는 니므롯이 별들의 징조를 통해 아브라함의 탄생을 예견하고 신생아 학살을 명령했다고 한다. 아브라함은 기적적으로 살아남아 니므롯에게 맞서 우상 숭배를 멈추라고 요구했고, 그 결과 화형에 처해졌지만 상처 없이 걸어 나왔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아브라함이 각다귀 군대를 소환하여 니므롯의 군대를 물리쳤고, 각다귀나 모기가 니므롯의 뇌로 들어가 그를 미치게 했다고 전해진다.
코란에서도 이름 없는 왕과 이브라힘(아브라함)의 대결이 언급되는데, 일부 무슬림 주석가들은 이 왕을 니므롯으로 해석한다. 이브라힘은 하느님이 생명과 죽음을 주관한다고 주장했지만, 왕은 자신이 생명과 죽음을 가져간다고 반박했다.[23]
이처럼 니므롯은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는 복합적인 인물이다. 그는 강력한 왕이자 뛰어난 사냥꾼이었지만, 동시에 신에게 반역한 폭군이자 우상 숭배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4. 1. 부정적 관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니므롯은 신에 대한 반역자, 폭군, 우상 숭배자로 여겨진다.[21][22]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니므롯은 자신의 뜻을 하느님의 뜻에 반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다른 전승에서는 스스로를 신이라 선포하고 백성들에게 숭배받았으며, 그의 배우자 세미라미스도 여신으로 숭배받았다고 한다.별들의 징조는 니므롯과 그의 점성가들에게 우상 숭배를 끝낼 아브라함의 탄생을 알렸다. 니므롯은 신생아 학살을 명했지만, 아브라함의 어머니는 들판으로 도망쳐 아브라함을 낳았다. 어린 아브라함은 하느님을 깨닫고 숭배했으며, 니므롯에게 우상 숭배를 멈추라고 하자 화형에 처해졌다. 어떤 전승에서는 4년 동안 나무를 모아 거대한 모닥불을 지폈지만, 아브라함은 상처 없이 걸어 나왔다고 한다.
니므롯이 아브라함에게 결투를 신청하자, 아브라함은 각다귀 군대를 소환하여 니므롯의 군대를 격파했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각다귀나 모기가 니므롯의 뇌로 들어가 그를 미치게 했다고 한다. 이는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한 로마 황제 티투스에게도 내려진 신의 징벌과 유사하다.
일부 전승에서 니므롯은 회개하고 하느님을 받아들여 많은 희생을 바쳤지만 거부당했다( 가인의 경우처럼). 다른 전승에서는 화해의 선물로 거인 노예 엘리에셀을 아브라함에게 주었는데, 엘리에셀을 니므롯의 아들로 묘사하기도 한다. 하지만 성경에는 엘리에셀이 아브라함의 집사로만 언급될 뿐, 니므롯과의 연관성은 없다. (창세기 15:2).
또 다른 전승에서 니므롯은 하느님에 대한 반역을 계속하거나 재개한다. 아브라함이 메소포타미아를 떠나 가나안에 정착한 것은 니므롯의 복수로부터 도피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니므롯이 바벨탑 실패 후에도 새가 끄는 전차를 타고 하늘을 공격하려 했다고 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아브라함에게 모세 (사악한 왕이 아기를 죽이려 함)와 불에서 살아남은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의 이야기에서 요소를 가져왔다. 니므롯은 느부갓네살과 파라오의 잔혹하고 박해하는 왕의 속성을 부여받았다. 일부 유대교 전통에서는 키루스와 동일시하기도 하는데,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그의 탄생도 징조를 동반하여 할아버지가 그를 죽이려 했다.
코란에서도 이름이 언급되지 않은 왕과 이브라힘(아브라함) 사이의 대결이 언급된다. 일부 무슬림 주석가들은 이 왕을 니므롯으로 지목한다. 이브라힘은 하느님이 생명과 죽음을 주관한다고 주장했지만, 왕은 자신이 생명과 죽음을 가져간다고 답했다.[23] 이브라힘은 하느님이 해를 동쪽에서 뜨게 하시니, 왕에게 서쪽에서 뜨게 해 보라고 요구하여 그를 당황하게 했다. 이븐 카시르는 니므롯이 죄수를 죽이고 석방함으로써 생명과 죽음에 대한 지배력을 보여주었다고 덧붙였다.[24]
회개 여부와 관계없이, 니므롯은 유대교와 이슬람 전통에서 상징적인 악인, 우상 숭배자이자 폭군 왕의 전형으로 남아있다. 랍비 문헌에서는 "악한 니므롯"(נמרוד הרשעhe)으로 불린다.
바하이 경전에서도 니므롯은 언급된다. 키타브-이-이칸에서는 니므롯이 꿈을 꾸었고, 점술가들이 이를 새로운 별의 탄생으로 해석했다고 한다. "아브라함의 출현"을 알리는 사자가 나타났다고 한다.[25] 바브는 니므롯을 하느님의 힘을 보여주는 예시로 언급하며, "무력해 보이는 아브라함이 니므롯의 세력에 승리하게 하시지 않으셨는가?"라고 묻는다.[26]
아브라함과 니므롯의 대결은 라디노어 민요 "Quando el Rey Nimrod" ("왕 니므롯이")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 노래는 니므롯의 박해와 아브라함의 기적적인 탄생과 행적을 묘사한다.[27][28]
미드라쉬 라바에 등장하는 아브라함과 니므롯의 대결은 다음과 같다.
| style="text-align: right; direction: rtl;" | |
미드라쉬에서는 니므롯의 이름이 "우리는 반역한다"는 뜻이며, 그의 사냥 행위는 흉폭하고 잔혹하게 묘사된다. 그는 바벨탑 건설의 기획 발안자로, 우상 숭배를 시작하게 한 인물로 그려진다.
유대인 사회에서는 니므롯이 비교적 대중적인 이름으로 통용되고 있다.
4. 2. 긍정적 관점
니므롯은 성경에 강력한 왕이자 뛰어난 사냥꾼으로 묘사된다.[1] "주 앞에서 힘 있는 사냥꾼 니므롯처럼"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1]니므롯의 왕권은 시날 땅의 바벨, 우루크, 아카드 등의 고대 도시와 아시리아 지방의 니네베, 칼라 등까지 뻗어 있었다.[1] 미가서에서는 아시리아를 "니므롯의 땅"이라고 언급하기도 한다.[1]
4. 3. 중립적 관점
역사학자, 오리엔탈리스트, 아시리아학자, 신화학자들은 오랫동안 성경에 나오는 니므롯과 메소포타미아에서 실제로 역사적으로 증명된 인물 사이의 연관성을 찾으려고 노력해 왔다. 그러나 니므롯이라는 이름을 가진 왕이나 비슷한 이름을 가진 왕은 수메르, 아카드 제국, 아시리아, 바빌론의 왕 명단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으며,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또는 기독교 이전 고전 시대 동안 메소포타미아나 이웃 지역의 다른 기록에서도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36]아카드가 기원전 2200~2154년(장기 연대기) 제국의 멸망과 함께 파괴되고 잊혀졌기 때문에, 훨씬 후대의 니므롯을 언급하는 성경 이야기는 후기 초기 청동기 시대를 연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에렉(수메르-아카드 우루크)과의 연관성 또한 니므롯에 관한 이야기의 초기 출처를 증명하는데, 이 도시는 기원전 2000년경 이신, 우르, 라르사, 엘람 사이의 투쟁의 결과로 주요 중요성을 잃었다.[36]
그를 역사적 인물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여러 번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4세기 초 가이사랴의 에우세비우스 주교는 기원전 3세기의 바빌로니아 역사가 베로소스가 언급한 첫 번째 왕을 니므롯과 동일시했다. 게오르기우스 싱켈루스 (c. 800) 역시 베로소스의 기록을 통해 역사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인물을 성경의 니므롯과 동일시했다.
최근 수메르학자들은 우루크의 창시자인 엔메르카르와 니므롯을 연결하기도 한다.[38] 1920년 J. D. 프린스는 마라드의 주(Ni)와 니므롯 사이의 가능한 연관성을 제안했다. 그는 크라엘링 박사가 니므롯을 역사적으로 루갈-반다와 연결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했는데, 루갈-반다는 1914년 푀벨의 ''역사 텍스트''에 언급된 신화 속 수메르 왕으로, 그의 거점은 마라드였다.[39]
로널드 헨델에 따르면, 니므롯이라는 이름은 닌우르타를 훨씬 후대에 논쟁적으로 왜곡한 것일 가능성이 높으며, '구스'는 메소포타미아 도시인 키쉬를 잘못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40] 창세기에 묘사된 니므롯의 제국적 모험은 아시리아 왕 투쿨티-닌우르타 1세의 정복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41] 줄리안 제인스 역시 투쿨티-닌우르타 1세를 니므롯의 영감으로 지목한다.[42]
알렉산더 히슬롭은 니므롯을 니누스와 동일시했는데,[43] 지중해 세계 전역의 수많은 신들과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와도 동일시했다. 히슬롭은 세미라미스와 니므롯이 다신교와 그에 따른 여신 숭배를 발명했으며, 그들의 근친상간적 남성 제물이 탐무즈였다고 주장했다.[45] 그는 또한 가톨릭 교회가 고대 바빌론의 이교 종교를 전파하기 위해 세미라미스와 니므롯에 의해 설립되었다고 주장했다.[46]
데이비드 롤은 수메르의 우루크 창시자인 엔메르카르가 니므롯의 원래 영감이었는데, 그 이유는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군주''[48] 이야기가 니므롯과 바벨탑의 전설과 몇 가지 유사점을 보이며, 엔메르카르의 -KAR가 "사냥꾼"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엔메르카르는 우루크와 에리두에 모두 지구라트를 세웠다고 하는데, 롤은 이곳이 원래 바벨의 장소였다고 추정한다.
조지 롤린슨은 니므롯이 벨루스라고 믿었는데, 바빌론과 아시리아의 비문에 "벨-"이라는 이름이 적혀 있다는 사실에 근거했다.[49] 니브루는 수메르어로 니푸르의 원래 이름이었다.
조셉 포플리차는 1929년에 우루크의 첫 번째 왕조에서 니므롯의 동일성에 대해 썼다.[51]
이갈 레빈 (2002)은 허구의 니므롯이 사르곤과 그의 손자 나람신에 대한 회상이며, "니므롯"이라는 이름은 후자에서 파생되었다고 제안한다.
5. 대중문화 속 니므롯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서 니므롯은 거인으로 묘사된다.[59] 그는 지옥의 배반의 원 바깥쪽에 사슬에 묶여 있으며, "Raphèl mai amècche zabì almi"라는 이해할 수 없는 말을 하는데, 이는 바벨탑 이후 언어 혼란에 대한 그의 죄를 강조한다.[59]
라디노어 민요 『니므롯 왕의 시대』 및 『조부 아브라함』에서는 니므롯과 아브라함의 투쟁을 다룬다. 아브라함의 탄생을 예고하는 별을 본 니므롯은 남자아이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령하지만, 아브라함은 어머니와 함께 황야로 도망쳐 살아남는다. 성장한 아브라함은 일신교 신앙을 선언하고 니므롯에게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 한다. 니므롯은 아브라함을 불 속에 던지지만, 아브라함은 상처 하나 없이 불 속에서 걸어 나온다.
미국 영어 속어에서는 어리석은 사람을 가리킬 때 "님로드"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루니 툰의 벅스 버니가 사냥꾼 엘머 퍼드를 "님로드"[54][55]라고 부르며 조롱한 것에서 유래되었는데,[56] 성경에 나오는 니므롯이 뛰어난 사냥꾼이었다는 점을 빗댄 것이다.
6. 음모론과 니므롯
일부 음모론에서는 니므롯과 관련된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 니므롯의 생일은 12월 25일로, 이는 바빌로니아의 대안식일이기도 하다. 따라서 크리스마스는 예수가 아니라 니므롯의 탄생을 축하하는 날로 여겨진다. "Merry Xmas"의 'X'라는 십자가와 비슷한 문자는 니므롯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merry Xmas는 'Magical or Merriment Communion with Nimrod'로 여겨진다.[62]
- 가톨릭교회나, 이 교파에서 행해지는 마리아 숭배의 기원을 니므롯과 세미라미스에게서 찾는 많은 논쟁이 존재한다.[63] 니므롯이 세운 나라인 바벨(바빌론, 바빌로니아)의 종교가 후에 가톨릭교회가 되었고, 세미라미스를 신으로 숭배하는 여신 숭배가 마리아 숭배가 되었다고 한다.
- 일본에서도 다카기 게이타와 아시다 타쿠야가 저서에서, 여대 제사장인 니므롯의 아내가 탐무즈라는 아들을 기적적으로 임신했다고 주장하며, 사람들에게 그를 구세주라고 설파했고, 이것이 아들을 안고 있는 천국의 여왕 숭배의 원형이 되었으며, "천국의 여왕"을 세계 각지의 여신 신앙과 연결시키고, 더 나아가 후대의 마리아 숭배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64]
음모론을 연구하는 정치학자 마이클 바쿤(Michael Barkun)에 따르면, 이러한 설의 기원은 스코틀랜드의 신학자이자 프리메이슨으로 여겨지는 알렉산더 히슬롭(Alexander Hislop)의 반 가톨릭 소책자 『두 바빌론, 교황 숭배는 니므롯 부부 숭배이다』(The Two Babylons)에서 찾을 수 있다.
참조
[1]
OED
Nimrod
[2]
웹사이트
BibleGateway
https://www.biblegat[...]
[3]
논문
Nimrod the Mighty, King of Kish, King of Sumer and Akkad
https://brill.com/vi[...]
[4]
논문
The Literary-Historical Memory of Sargon of Akkad in Assyria as the Background for Nimrod in Genesis 10:8–12
https://doi.org/10.1[...]
[5]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Palo Alto: Mayfield
[6]
서적
History of the World, Vol. II
https://archive.org/[...]
A. Constable
[7]
간행물
Nimrod and the Wolf in the Old English 'Solomon and Saturn'
[8]
문서
[9]
웹사이트
Antiquities of the Jews — Book I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2024-07-07
[10]
서적
Traditions of the Bible
[11]
웹사이트
Tractate Gittin 56b
https://www.sefaria.[...]
[12]
서적
Medicine in the Bible and Talmud
https://books.google[...]
KTAV Publishing House
[13]
Wikisource
Page:Legends of Old Testament Characters.djvu/178
[14]
웹사이트
the Kitab al-Magall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2-04-05
[15]
문서
[16]
문서
[17]
웹사이트
Attila, King of the Huns
https://books.google[...]
2019-09-12
[18]
문서
[19]
서적
Corpus Inscriptionum Arabicarum Palaestinae: B v. 1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0]
웹사이트
Ether 2
https://www.churchof[...]
[21]
문서
[22]
Daat
נמרוד
[23]
웹사이트
The Quranic Arabic Corpus - Translation
https://corpus.quran[...]
[24]
웹사이트
QuranX.com The most complete Quran / Hadith / Tafsir collection available!
https://quranx.com/t[...]
[25]
웹사이트
The Kitáb-i-Íqán
http://reference.bah[...]
[26]
웹사이트
The Dawn-Breakers
http://bahai-library[...]
Baháʼí Publishing Trust
2016-02-23
[27]
웹사이트
CUANDO ELREY NIMROD
http://www.hebrewson[...]
[28]
웹사이트
Cuando El Rey Nimrod
http://zemerl.com/cg[...]
[29]
웹사이트
Surat Al-Baqarah [2:258] - The Noble Qur'an - القرآن الكريم
http://legacy.quran.[...]
2015-11-16
[30]
웹사이트
Mosque: Prophet Ibrahim
http://www.islamicit[...]
2015-11-16
[31]
웹사이트
Ibn Kathir: Story of Prophet Ibrahim/Abraham (pbuh)
http://www.islamawar[...]
2015-11-16
[32]
웹사이트
Stories of the Prophets | Alim.org
https://www.alim.org[...]
[33]
웹사이트
Ibrahim and Namrud
https://islamicstori[...]
[34]
웹사이트
Prophet Ibrahim and the Idol Worship
https://www.al-islam[...]
2013-01-22
[35]
서적
Qasas Ul Ambiya (Stories of the Prophets)
https://archive.org/[...]
Muassisa Al-nur Lil nashr wal I'laan
[36]
간행물
Van der Toorn Van der Horst
1990
[37]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38]
서적
Altertum und Mittelmeerraum: die antike Welt diesseits und jenseits der Levante
[39]
간행물
A Possible Sumerian Original of the Name Nimrod
[40]
서적
Oxford Guide to the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41]
문서
Dalley et al.
1998
[42]
서적
The Origin of Consciousness in the Breakdown of the Bicameral Mind
https://books.google[...]
Mariner Books
2013-06-16
[43]
웹사이트
Sammu-Ramat and Semiramis: The Inspiration and the Myth
https://www.worldhis[...]
2016-04-13
[44]
웹사이트
Homily IX
http://ccel.org/fath[...]
Ccel.org
2005-06-01
[45]
웹사이트
The Two Babylons
http://philologos.or[...]
Philologos.org
2013-01-04
[46]
서적
Can a 'History of Israel' Be Written?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997
[47]
서적
This Is the Sun?: Zeitgeist and Religion (Volume I: Comparative Religion)
https://books.google[...]
Lulu.com
2011
[48]
웹사이트
Enmerkar and the lord of Aratta: translation
http://etcsl.orinst.[...]
Etcsl.orinst.ox.ac.uk
2009-11-12
[49]
서적
The Seven Great Monarchies of the Ancient Eastern World
[50]
문서
Mos. Choren. 1. 6; 9; Book of the Bee
[51]
논문
The Biblical Nimrod and the Kingdom of Eanna
[52]
간행물
Nimrod the Mighty, King of Kish, King of Sumer and Akkad
[53]
서적
The Marble Man: Robert E. Lee and His Image in American Society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77
[54]
서적
Dictionary of Jewish Usage: A Guide to the Use of Jewish Term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2-04-11
[55]
서적
Garner's Modern American Us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4-11
[56]
서적
The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From the Earliest Accounts to the Fall of Rome
https://books.google[...]
Norton
2012-04-11
[57]
AV media
What Makes Daffy Duck
1948-02-14
[58]
AV media
Rabbit Every Monday
1951-02-10
[59]
문서
Dante, Inferno
[60]
성경
創世記
[61]
웹사이트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Book I
https://penelope.uch[...]
2020-07-17
[62]
웹사이트
Witchcraft and the Illuminati
http://www.docstoc.c[...]
[63]
서적
現代アメリカの陰謀論 黙示録・秘密結社・ユダヤ人・異星人
三交社
[64]
서적
これからの世界情勢と聖書の預言 改訂新版
いのちのことば社
[65]
웹인용
BibleGateway
https://www.biblegat[...]
[66]
논문
Nimrod Before and After the Bible
https://www.google.c[...]
1990-01
[67]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1985
[68]
문서
[69]
문서
The Birth of Gilgamesh
[70]
문서
[71]
논문
A Possible Sumerian Original of the Name Nimrod
1920
[72]
서적
Oxford Guide to the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73]
서적
The Legacy of Mesopotamia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74]
서적
The Origin of Consciousness in the Breakdown of the Bicameral Mind
Mariner Books
2013-06-16
[75]
논문
Nimrod the Mighty, King of Kish, King of Sumer and Akkad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