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벨 공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벨 공세는 1917년 4월 프랑스군 사령관 로베르 니벨이 주도한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의 공세이다. 1916년 베르됭 전투와 솜 전투 이후, 니벨은 대규모 포격으로 독일군을 48시간 안에 격파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러시아 혁명, 독일군의 힌덴부르크 선으로의 철수, 미국의 참전 가능성 등으로 인해 계획의 일부가 무효화되었다. 니벨 공세는 120만 명의 병력과 7,000문의 포병을 투입하는 대규모 작전이었지만, 독일군의 방어 준비와 정보 유출로 인해 실패했다. 공세는 48시간 안에 돌파에 성공하지 못하고 프랑스군 18만 7천 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으며, 이로 인해 니벨은 해임되고 필리프 페탱이 후임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니벨 공세의 실패는 프랑스군 내 사기를 저하시켰고, 대규모 항명 사건과 프랑스군 반란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7년 4월 - 비미 능선 전투
1917년 4월 프랑스 북부 비미 능선에서 벌어진 전투로, 캐나다 군단이 독일군 점령지를 공격하여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으나, 캐나다 국가적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쳐 캐나다 국립 비미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 1917년 4월 - 제1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17년 일본에서 실시된 제1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데라우치 내각 하에서 제한적인 투표권으로 진행되었으며, 입헌정우회가 제1당을 차지했다. - 1917년 5월 - 파티마의 성모
1917년 포르투갈 파티마에서 성모 마리아가 세 명의 어린 양치기에게 발현하여 '파티마의 비밀'을 털어놓고 죄인들의 회개를 위한 기도와 고행을 당부했으며, '태양의 기적'으로 알려진 현상 이후 파티마는 주요 순례지가 되어 가톨릭 교회 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 1917년 5월 - 아라스 전투 (1917년)
아라스 전투 (1917년)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군과 독일군 간의 전투로, 영국군은 힌덴부르크 선 돌파를 시도하여 초기 성과를 거두었으나 독일군의 저항으로 전략적 돌파에는 실패했으며, 15만 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다. - 1917년 프랑스 - 캉브레 전투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캉브레에서 영국군이 독일군의 힌덴부르크 방어선을 공격한 캉브레 전투는 전차를 대규모로 사용하여 초반에는 성공했으나 독일군의 반격으로 점령지를 포기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전술과 무기가 전쟁 양상을 바꿀 수 있음을 보여준 전투이다. - 1917년 프랑스 - 비미 능선 전투
1917년 4월 프랑스 북부 비미 능선에서 벌어진 전투로, 캐나다 군단이 독일군 점령지를 공격하여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으나, 캐나다 국가적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쳐 캐나다 국립 비미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니벨 공세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니벨 공세 |
다른 명칭 | 셰망 데 담 전투 (La bataille du Chemin des Dames) 제2차 에ーヌ 전투 (Seconde bataille de l'Aisne) 도펠슐라흐트 에ーヌ-샹파뉴 (Doppelschlacht Aisne-Champagne) 언덕 전투 또는 샹파뉴 고지의 언덕 전투 (Battle of the Hills 또는 Battle of the Hills of Champagne) |
위치 | 프랑스 북부 |
기간 | 1917년 4월 16일 – 5월 9일 |
결과 | 결정적이지 않음 |
교전 세력 | |
교전 1 | 프랑스 영국 러시아 러시아 원정군 |
교전 2 | 독일 |
지휘관 | |
교전 1 지휘관 | 로베르 니벨 (French Third Republic) 더글라스 헤이그 (UKGBI) |
교전 2 지휘관 | 에리히 루덴도르프 (German Empire) 빌헬름 폰 프로이센 (German Empire) |
병력 규모 | |
교전 1 병력 | 850,000명, 포 7,000문, 전차 128대 |
교전 2 병력 | 약 480,000명 |
사상자 및 피해 | |
교전 1 사상자 | 프랑스: 187,000명, 러시아: 5,183명, 전차 32대 |
교전 2 사상자 | 약 163,000명 (포로 15,000–20,780명) |
2. 배경
1916년, 프랑스는 전선이 교착 상태에 빠지고 징병 가능 인원이 고갈되면서 국내에 염전 분위기가 감돌았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프랑스는 조프르를 원수로 승진시켰지만, 실질적으로는 외지로 이동시킨 것이나 다름없었다. 새롭게 프랑스군 지휘관이 된 니벨은 1917년 춘계 대공세, 즉 "니벨 공세"를 계획하였다.
2. 1. 전략적 상황
1916년 베르됭 전투와 솜 전투 이후, 로베르 니벨 장군은 조제프 조프르 원수를 대신하여 서부 전선 프랑스군 사령관이 되었다. 니벨은 독일군 진지에 대한 대규모 포격이 48시간 안에 프랑스에 승리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러시아 혁명, 독일군의 힌덴부르크 선으로의 철수, 미국의 참전 가능성은 이 계획의 일부 가정을 무효화시켰다. 4월 6일 회의에서, 다른 정치인, 군 집단 사령관, 영국 측의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프랑스 총리 알렉상드르 리보는 이 계획을 지지했다. 니벨은 사임을 제안했지만 거절당했고, 니벨의 권위는 약화되었다.니벨 공세 준비는 랭스와 로이 사이 전선에 병력과 포병을 투입하는 거대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이었다. 주요 공격 목표는 셰맹 데 다므 능선을 따라 독일군 진지에 대한 공격이었으며, 이는 제2차 앤 전투에서 이루어졌고 결국 영국군과의 연결을 시도했다. 이 계획은 1916년 12월부터 개발되었지만 준비 과정에서 지연과 정보 유출이 발생했다. 1917년 4월까지 이 계획은 독일군에게 널리 알려졌고, 독일군은 앤 전선에 방어 시설을 추가하고 알베리히 작전으로 힌덴부르크 선으로 후퇴하면서 해방된 사단들로 제7군(보병대장de 막스 폰 뵈흔)을 강화하는 등 광범위한 방어 준비를 했다.
1916년, 프랑스는 전선 교착과 징병 인원 고갈로 국내에 염전 분위기가 감돌았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조프르를 원수로 승진시켰지만, 외지로 이동시켰다. 새 지휘관 니벨은 1917년 춘계 대공세("니벨 공세")를 감행했다.
니벨은 "48시간 안에 프랑스에 승리를 가져다주겠다!!!"라고 호언장담하며 프랑스 국민을 열광시켰다. 영국 정치인들도 움직여 영국군 헤이그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영국군은 프랑스군 지휘 하에 들어갔다. 1917년 독일군은 지크프리트 선으로 후퇴했고, 프랑스-영국군은 의아해하면서도 신중하게 추격했다. 독일군은 나무를 뽑고 우물에 독을 투입하며 견고한 요새를 만들었다. 이 초토화 작전은 프랑스의 분노를 사 베르사유 조약에서 앙갚음하게 된다.
프랑스 수상의 지원으로 요새 전선 돌파 계획이 실행되었고, 예상 희생은 1만 명 정도로 추산되었다. 1917년 4월 16일 영국군 헤이그는 아라스에서 양동 작전을 펼쳐 16만 명 정도의 사상자를 냈다. 양동 작전은 성공한 것처럼 보였지만, 독일 측 루덴도르프는 스파이를 통해 공격 작전을 입수해 뻔히 드러나 있었다.
2. 2. 연합군의 준비
로베르 니벨 장군은 1916년 12월, 베르됭 전투와 솜 전투 이후 조제프 조프르 원수를 대신하여 서부 전선 프랑스군 사령관이 되었다. 니벨은 대규모 포격으로 48시간 안에 승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 독일군의 힌덴부르크 선 철수, 미국의 참전 가능성은 이 계획의 일부를 무효화했다. 1917년 4월 6일 회의에서, 알렉상드르 리보 총리는 다른 이들의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계획을 지지했다. 니벨은 사임을 제안했지만 거절당했고, 그의 권위는 약화되었다.니벨 공세 준비는 랭스와 로이 사이 전선에 병력과 포병이 투입된 대규모 작업이었다. 주요 공격 목표는 셰맹 데 다므 능선을 따라 독일군 진지에 대한 공격이었으며, 이는 제2차 앤 전투에서 이루어졌고 영국군과의 연결을 시도했다. 이 계획은 1916년 12월부터 개발되었지만 준비 과정에서 지연과 정보 유출이 발생했다. 1917년 4월, 독일군은 이 계획을 알고 앤 전선에 방어 시설을 추가하고 알베리히 작전으로 힌덴부르크 선으로 후퇴하면서 해방된 사단들로 제7군(보병대장de 막스 폰 뵈흔)을 강화했다.
니벨은 필리프 페탱을 중앙 야전군프랑스어(GAC) 사령관으로 두고, 5군(올리비에 마젤 장군), 6군(샤를 망갱 장군), 10군(드니 뒤셴 장군)을 투입하여 샹 드 다므(Chemin des Dames)를 따라 공격할 새로운 예비 야전군프랑스어(GAR, 조제프 알프레드 미셸레르)을 창설했다. 49개 보병 사단과 5개 기병 사단이 5,300문의 포와 함께 앤 강 전선에 집결했다. 브리몽(Brimont)의 지형은 서쪽으로 크론(Craonne) 방향으로 솟아올라 포 말메종(Fort Malmaison)까지 서쪽으로 이어지는 고원과 함께 180m 높이에 이르렀다. 프랑스는 앤 강 북쪽 샹 드 다므 남쪽, 베리 오 바크(Berry-au-Bac)에서 수아송으로 가는 길에 있는 포 콩데(Fort Condé)까지 20km 폭의 교두보를 확보했다.
1916년, 프랑스는 전선 교착과 인력 고갈로 인해 국내에 염전 분위기가 감돌았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조프르를 원수로 승진시켰지만 외지로 이동시켰고, 니벨이 새 지휘관이 되었다. 니벨은 48시간 안에 승리하겠다는 대담한 발언으로 프랑스 국민을 열광시켰고, 영국군 헤이그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영국군은 프랑스군 지휘 하에 들어갔다.
1917년, 독일군은 지크프리트 선으로 후퇴하면서 초토화 작전을 펼쳤고, 이는 프랑스의 분노를 사 베르사유 조약에서 앙갚음하게 된다. 프랑스 수상의 지원으로 계획은 실행되었고, 1917년 4월 16일 영국군은 아라스에서 양동 작전을 펼쳤지만, 독일 측 루덴도르프는 스파이를 통해 공격 작전을 입수하여 양동 작전은 드러나 있었다.
2. 3. 독일군의 방어
1916년 12월, 로베르 니벨이 조제프 조프르를 대신하여 서부 전선 프랑스군 사령관이 된 후, 프랑스군은 랭스와 로이 사이 전선에 포병을 동원한 대규모 공세를 준비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독일군에게 널리 알려졌고, 독일군은 이에 대한 방어 준비를 했다.독일군은 알베리히 작전으로 힌덴부르크 선으로 후퇴하면서 확보된 병력으로 제7군(보병대장de 막스 폰 뵈흔)을 강화했다.
독일 공군은 정찰을 통해 연합군의 공격 준비 상황을 파악했다. 특히, 영국군 맞은편에서는 숙소, 병력, 수송대 열, 협궤 철도, 포병 등이 전선 가까이로 이동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영국군의 공중 활동도 크게 증가하여, 4월 6일 루덴도르프는 공격이 임박했음을 확신했다.
아인 전선에서는 독일 정보부가 4월 15일 프랑스 공군(Aéronautique Militaire프랑스어)의 공격 계획을 경고했다. 이에 독일 공군(Luftstreitkräftede)은 공격에 대비했지만, 공격은 취소되었다. 독일 포병 관측기 조종사들은 공격 시작 전 지형, 지역, 목표물에 대한 포격을 실시하여 프랑스 포병의 위치와 전진 배치된 포대 등을 파악하고 반격의 정확도를 높였다. 또한, 가파른 경사면과 깊은 계곡을 따라 전화선을 설치하고 무선 통제소를 설치하여 항공기와 포병 간의 통신을 강화했다.
3. 전투 경과
프랑스군의 새 지휘관 니벨은 "48시간 안에 프랑스에 승리를 가져다주겠다"고 호언장담하며 프랑스 국민들을 열광시켰다. 이에 영국 정치인들도 움직였고, 영국군 헤이그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영국군은 프랑스군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1917년 독일군은 지크프리트 선으로 후퇴했다. 프랑스-영국군은 의아해하면서도 추격했고, 가는 곳마다 나무가 뽑히고 우물에는 독이 투입되었으며, 그 앞에는 견고한 요새가 있었다. 이러한 초토화 작전은 프랑스의 분노를 사 베르사유 조약에서 앙갚음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요새 전선을 돌파하기 위해 예상되는 희생은 1만 명 정도로 추산되었다. 프랑스 수상의 지원으로 계획은 실행되었고, 1917년 4월 16일 영국군 헤이그는 아라스에서 양동 작전을 펼쳤으나, 독일 측의 루덴도르프는 스파이를 통해 이를 간파하고 있었다.
니벨은 "포격 뒤에서 보병이 포복 전진을 하고, 포격 거리를 늘려가며 보병도 함께 전진하여 적 진지까지 아군의 포격 탄막으로 보병을 보호하며 강습한다"는 "승리의 비밀"을 밝혔다.
그러나 이는 탁상공론이었다. 당시 기술로는 정밀 포격이 불가능했고, 아군 머리 위로 포탄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했다. 또한, 포격으로 분화구 투성이가 된 지면은 진군을 방해했고, 궂은 날씨로 인해 포복과 달리기 모두 어려웠다.
공세 첫날 38만 명의 보병이 돌격했으나 약 5만 명의 손실을 입었고, 장소를 바꿔 공격했으나 결과는 실패였다.
3. 1. 아라스 전투 (영국군 지원 공격)
아라스 전투와 비미 능선 전투는 이 공세의 주요 내용 중 일부였다. 1917년 4월 9일, 영국 제3군은 아라스 동쪽에서 공격을 개시했다. 공격 범위는 크루아지유에서 에퀴리에 이르기까지였으며, 아라스-캉브레 도로 북쪽의 관측 능선과 페쉬, 그리고 독일군의 제2, 제3 방어선을 향했다. 도로 남쪽의 초기 목표는 데빌 우드에서 틸루아레모플레인과 보 드 부프였으며, 최종 목표는 앙쿠르와 페쉬 사이의 Monchyriegelde(몽시 스위치 라인)이었다.스카르페 강 양쪽의 독일군 방어선에 대한 제3군의 공격은 약 5486.40m를 돌파했는데, 이는 참호전이 시작된 이래 가장 멀리 진격한 것이었다. 뇌빌-비타스 주변의 앙쿠르와 페쉬 사이의 노선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목표는 4월 10일 저녁까지 달성되었다. 마을은 그날 함락되었지만, Monchyriegelde 일부 지역의 독일 수비대는 며칠 더 버텼다. 제3군은 전선을 정리하고 몽시르프뢰로 진격했다.
북쪽에서는 제1군이 스카르페 북쪽 에퀴리에서 비미 능선까지 공격했다. 능선의 정상은 당일 약 약 3657.60m를 돌파하는 진격으로 약 오후 1시에 점령되었다. 독일 예비군은 전선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저녁이 되어서야 전장에 도착하기 시작했고, 임시 진지에 있는 전선 방어 부대의 생존자들을 강화하는 데에만 기여할 수 있었다.
영국군은 여러 차례의 전반적인 공격과 제한적인 공격을 통해 더 많은 지역을 점령했지만, 4월 9일의 패배에서 회복하여 지형의 역경사면에 방어선을 구축한 독일군 방어에 맞서 점점 더 많은 피해를 입었다. 5월 16일까지 영국군은 상당한 진전을 이루어 254문의 독일 포를 점령했지만 돌파구를 마련하는 데는 실패했다. 새로운 전술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첫 번째 단계에서 정교하게 요새화된 진지에 대한 정면 공격이 성공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영국군 헤이그는 양동 작전을 위해 아라스에서 공세를 펼쳤고, 영국군은 16만 명 정도의 사상자를 냈다. 양동 작전은 성공한 것처럼 보였지만, 독일 측의 루덴도르프는 스파이를 통해 공격 작전을 입수하여, 이 양동 작전은 뻔히 드러나 있었다.
3. 2. 셰맹 데 담 전투 (프랑스군 주 공격)
제5군은 1917년 4월 16일 오전 6시에 공격을 시작했는데, 안개가 자욱하고 흐린 날씨였다. 초반부터 독일 기관총 사수들은 프랑스 보병을 공격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독일 포병의 화력은 훨씬 덜 파괴적이었다. 우익의 쿠르시는 점령되었지만, 진격은 엔 강-마른 운하에서 멈췄다. 운하는 북쪽으로 건너갔고, 베르메리쿠르는 완강한 독일군의 방어에도 불구하고 점령되었다. 베르메리쿠르에서 엔 강까지 프랑스군의 공격은 격퇴되었고, 강 남쪽에서는 프랑스 보병이 출발선으로 후퇴했다. 엔 강 북쪽에서는 프랑스군의 공격이 더 성공적이었고, 제42사단과 제69사단은 엔 강과 미에트 사이의 독일군 제2방어선에 도달했으며, 베리 북쪽의 진격은 약 4.02km를 돌파했다. 러시아군도 공격에 참여하여 제1러시아 여단이 쿠르시 마을을 점령했다. 러시아 사령관은 부상을 입었고, 여단은 병력의 절반 이상을 잃었지만, 635명의 포로를 잡고 마을을 지켰다.
제6군의 우익에 대한 공격은 울체스와 미시 사이의 북쪽을 향했고, 제5군보다 성공적이지 못했다. 제2 식민군단은 처음 30분 동안 약 0.80km 전진했지만 그 후 멈췄다. 방드레스에서 우아즈-엔 강 운하로의 제20군단 공격은 더 성공적이었고, 우익의 제153사단은 두 번째 공격 후 쿠르테콘 남쪽의 샹 드 마른에 도달하여 약 2.01km를 전진했다. 제6군단은 우아즈-엔 강 운하 서쪽의 우익으로 전진했지만, 좌익은 저지되었다. 라포 근처의 동쪽을 향한 북쪽 측면에서, 제1 식민군단은 Condé-Riegelde(콩데 스위치 선) 방어선으로 몇 백 야드 밖에 침투하지 못했다. 제6군의 북쪽 끝인 보크시용 동쪽에서, 몽 데 싱스는 영국 중(重)포병의 도움을 받아 점령되었지만, 이후 독일군의 반격으로 잃었다. 제6군 작전은 약 3,500명의 포로를 잡았지만 돌파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독일군 제2방어선에 도달한 곳은 단 한 곳뿐이었다.

니벨은 2일째에 제5군에게 북동쪽으로 공격하여 성공을 강화하도록 명령했는데, 독일군이 제6군 앞에서 지점을 고수하려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제5군은 4월 17일에 실질적으로 전진할 수 없었지만, 하룻밤 공격을 계속한 제6군은 브라예-콩데-라포 지역에서 Siegfriedstellungde(지크프리트 진지)로 독일군을 철수시켰다. 지크프리트 진지는 라포 제분소에서 샹 드 마른까지 이어져 쿠르테콘의 원래 방어선에 합류했다. 독일군의 철수는 긴급하게 수행되었고, 많은 대포가 "방대한" 탄약 재고와 함께 버려졌다. 프랑스 보병은 약 6.44km 전진하여 새로운 독일군 진지에 도달했다.
니벨은 4월 21일에 제10군에게 제5군과 제6군 사이에 진격하도록 명령했고, 제4군과 제5군 전선에서 국지적인 작전이 계속되었지만 성공은 미미했다. 5월 4일부터 5일까지 브리몽을 점령할 예정이었는데, 이는 프랑스에게 큰 전술적 가치가 있었을 것이다. 공격은 프랑스 정부의 명령으로 연기되었고, 이후 취소되었다. 제10군은 샹 드 마른의 캘리포니아 고원을 점령했고, 제6군은 샹 드 마른을 따라 Siegfriedstellungde을 약 4.02km 점령했으며, 라포 맞은편의 돌출부를 진격했다. 5월 5일 말까지 제6군은 알르망 외곽에 도달했고 약 4,000명의 포로를 잡았으며, 5월 10일까지 프랑스군은 28,500명의 포로와 187문의 대포를 잡았다.
3. 3. 샹파뉴 전투 (프랑스군 부차 공격)
4월 17일, 중앙 군집단(GAC) 좌익의 제4군은 랭스 동쪽 오베리브에서 샹파뉴에서 부차적인 공격을 시작했다. 이 공격은 몽 전투로 알려졌으며, 제8, 17, 12군단이 11km 전선에 투입되었다. 추운 비와 눈발이 번갈아 내리는 가운데 오전 4시 45분에 공격이 시작되었다. 스이페스 동쪽의 우익 방어선은 제24사단과 오베리브가 강 동쪽에 구축했으며, 제34사단은 몽 코르니예와 몽 블롱을 점령했다. 몽은 19일 독일군의 반격에 맞서 제5 및 제6 (Eingreif|아인그라이프프랑스어 사단)과 제23사단, 그리고 노로이와 모롱빌리에 사이에 배치된 한 연대에 의해 방어되었다. 서쪽 강둑에서 모로코 사단은 우익에서 격퇴되었고 좌익에서 몽 상 놈을 점령했다. 언덕 북동쪽에서 진격은 약 2.41km 깊이에 도달했고, 다음 날 진격은 몽 오를 넘어 계속되었으며, 5월 5일에는 몽 코르네가 점령되었다. 제4군 공격으로 3,550명의 포로와 27문의 대포를 확보했다. 5월 27일 독일군의 공격은 프랑스군의 반격으로 몽 오 주변 지역을 되찾기 전 일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병력 부족으로 독일군은 전 전선에서 동시 공격 대신 단편적인 공격을 할 수밖에 없었다.4. 결과
로베르 니벨은 공세 시작 후 48시간 안에 돌파구를 마련하겠다고 공언했지만, 프랑스군은 거의 진격하지 못했다. 1917년 5월 9일 공세가 종료되자 니벨은 아프리카로 좌천되었고, "베르됭의 영웅" 필리프 페탱이 후임 프랑스 육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었다.
프랑스군은 18만 7천 명 이상의 막대한 사상자를 기록했다. 니벨이 약속했던 승리가 거짓으로 드러나자 프랑스군의 사기는 극도로 저하되었고, 이는 대규모 항명과 프랑스군 반란으로 이어졌다.
4. 1. 막대한 사상자
2015년 앤드류 유핀델은 사건에 대한 소급 명명 및 날짜 지정이 과거를 이해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썼다. 4월 16일에 2차 엔 강 전투가 시작되었지만, 전투의 기간과 범위는 다르게 해석되었다. 전투의 종료는 보통 5월 중순으로 알려져 있지만, 유핀델은 10월에 벌어진 라 말메종 전투를 제외하여 니벨을 재앙의 책임자로 몰아가기 쉽게 만든 것이 정치적으로 편리한 것이라고 말했다. 유핀델은 4월에서 5월 사이에 점령한 땅에서 공격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라 말메종을 제외한 것은 인위적이라고 썼다.프랑셰 데스페레이 장군은 라 말메종을 "4월 16일에 시작하여 11월 2일에 끝난... 전투의 결정적인 국면"이라고 불렀다.
공세는 제6군 전선에서 전선을 6km에서 7km 전진시켰고, 제6군은 5,300명의 포로와 다량의 장비를 노획했다. 이 작전은 독일군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가하기 위해 계획되었지만, 4월 20일까지 공세의 전략적 의도가 달성되지 않았음이 분명해졌고, 4월 25일까지 대부분의 전투가 종료되었다. 프랑스의 공격 전술 brutal et continu프랑스어는 독일의 방어 배치에 적합했는데, 이는 새로운 구조물의 대부분이 역경사면에 배치되었기 때문이다. 프랑스 목표의 공격 속도와 깊이는 프랑스 보병이 능선에 도달한 알레트 계곡을 내려다보는 포병 관측소를 설치할 시간이 없다는 것을 의미했다. 능선 아래의 터널과 동굴은 프랑스 포병의 파괴력을 무효화했으며, 시야 불량과 독일 공군의 우세로 인해 프랑스 포병 관측 항공기는 더욱 무력해졌다. 능선에 인접한 독일 전투 지역의 후방 가장자리는 기관총 진지로 강화되었다. 독일 사단 지휘관들은 최전선에서 싸우기로 결정했고, 며칠 동안 Eingreifde 사단은 거의 필요하지 않았다.
5월 3일, 프랑스 제2사단은 공격 명령을 따르기를 거부했고, 이 반란은 곧 육군 전체로 확산되었다. 공세가 끝나갈 무렵 제2사단은 술에 취해 무기도 없이 전장에 도착했다. 5월 16일부터 17일까지 제127사단 샤쇠르 대대와 제18사단 연대에서 소란이 있었다. 이틀 후 제166사단 대대가 시위를 벌였고, 5월 20일에는 제3사단 제128연대와 제18사단 제66연대가 명령을 거부했다. 제17사단에서는 개별적인 불복종 사건이 발생했다. 다음 이틀 동안 제69사단 2개 연대에서 공세 중단을 청원하기 위해 대변인이 선출되었다. 5월 28일까지 제9사단, 제158사단, 제5사단, 제1기병사단에서 반란이 발생했다. 5월 말까지 제5, 제6, 제13, 제35, 제43, 제62, 제77, 제170사단의 더 많은 부대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5월에 21개 사단에서 반란이 발생했다.
공세는 5월 9일에 중단되었다. 육군, 정치인, 대중은 일련의 사건에 충격을 받았고, 5월 16일 니벨은 해임되어 북아프리카로 이동했다. 그는 훨씬 더 신중한 필리프 페탱으로 교체되었고, 포슈가 참모 총장이 되었다. 새로운 지휘관들은 높은 사상자를 피하고 사기를 회복하기 위해 결정적인 전투 전략을 회복과 방어 전략으로 포기했다. 1917년에 27,000명의 프랑스 군인이 탈영했다. 페탱은 40~62명의 반란군을 본보기로 처형하고 프랑스 군인의 복지를 개선하기 위한 개혁을 도입했는데, 이는 사기 회복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대본영프랑스어(GQG) 프랑스 육군 본부는 공세가 시작될 때 사상자 수를 약 10,000명으로 예측했지만 프랑스 의료 서비스는 과부하 상태였다.
프랑스군의 새로운 슈나이더 전차 대부분이 포격에 의해 파괴되었다. 4월 16일부터 5월 10일까지 제4, 제5, 제6, 제10군은 28,500명의 포로와 187문의 대포를 포획했다. 제6군의 진격은 참호전이 시작된 이후 프랑스군이 이룬 가장 큰 진격 중 하나였다.
니벨이 약속한 승리의 말이 거짓으로 드러나면서, 이후 프랑스군 내의 사기는 극도로 저하되었고, 대규모 항명 사건 및 프랑스군 반란이 잇따랐다.
4. 2. 프랑스군 반란
1917년 프랑스군 반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라.
베르됭 전투는 프랑스군에게 거의 40만 명의 사상자를 안겨주었고, 이는 사기를 저하시켜 여러 건의 군기 문란 사건으로 이어졌다. 병사들은 자신들의 희생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다고 믿었다. 1917년 초, 전투 기록이 좋은 사단들에서도 사기는 의문스러운 수준이었다.
5월 3일, 프랑스 제2사단은 공격 명령을 따르기를 거부했고, 이 반란은 곧 육군 전체로 확산되었다. 공세가 끝나갈 무렵 제2사단은 술에 취해 무기도 없이 전장에 도착했다. 5월 16일부터 17일까지 제127사단 샤쇠르 대대와 제18사단 연대에서 소란이 있었다. 이틀 후 제166사단 대대가 시위를 벌였고, 5월 20일에는 제3사단 제128연대와 제18사단 제66연대가 명령을 거부했다. 제17사단에서는 개별적인 불복종 사건이 발생했다. 다음 이틀 동안 제69사단 2개 연대에서 공세 중단을 청원하기 위해 대변인이 선출되었다. 5월 28일까지 제9사단, 제158사단, 제5사단, 제1기병사단에서 반란이 발생했다. 5월 말까지 제5, 제6, 제13, 제35, 제43, 제62, 제77, 제170사단의 더 많은 부대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5월에 21개 사단에서 반란이 발생했다.
공세는 5월 9일에 중단되었다. 육군, 정치인, 대중은 일련의 사건에 충격을 받았고, 5월 16일 니벨은 해임되어 북아프리카로 이동했다. 그는 페탱으로 교체되었고, 포슈가 참모 총장이 되었다. 새로운 지휘관들은 높은 사상자를 피하고 사기를 회복하기 위해 결정적인 전투 전략을 회복과 방어 전략으로 포기했다. 1917년에 27,000명의 프랑스 군인이 탈영했다. 페탱은 40~62명의 반란군을 본보기로 처형하고 프랑스 군인의 복지를 개선하기 위한 개혁을 도입했는데, 이는 사기 회복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니벨 공세에서 프랑스군은 48시간 안에 돌파에 성공하기는커녕 거의 진격하지 못했다. 공세가 종료된 1917년 5월 9일, 니벨은 아프리카로 좌천되었다. 후임 프랑스 육군 총사령관에는 제2군 사령관이자 "베르됭의 영웅" 필리프 페탱이 임명되었다. 프랑스군만 18만 7천 명 이상의 손실을 입었고, 니벨이 약속한 승리의 말이 거짓으로 드러나면서, 이후 프랑스군 내의 사기는 극도로 저하되었고, 대규모 항명 사건 및 프랑스군 반란이 잇따랐다.
4. 3. 니벨 해임과 페탱 임명
베르됭 전투로 프랑스군은 거의 40만 명의 사상자를 냈고, 이는 사기 저하와 여러 군기 문란 사건으로 이어졌다. 병사들은 자신들의 희생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다고 느꼈다. 페탱은 노리아 시스템을 통해 부대 교체를 자주 실시하여, 부대들이 전투력이 크게 떨어지기 전에 철수할 수 있게 했지만, 많은 프랑스군이 전투의 영향을 받았다. 1917년 초에는 전투 기록이 좋은 사단에서도 사기가 의심스러울 정도였다.1917년 프랑스 육군 반란
5월 3일, 프랑스 제2사단은 공격 명령을 거부했고, 이 반란은 곧 육군 전체로 확산되었다. 공세가 끝나갈 무렵 제2사단은 술에 취해 무기도 없이 전장에 도착했다. 5월 16일부터 17일까지 제127사단 샤쇠르 대대와 제18사단 연대에서 소란이 있었다. 이틀 후 제166사단 대대가 시위를 벌였고, 5월 20일에는 제3사단 제128연대와 제18사단 제66연대가 명령을 거부했다. 제17사단에서는 개별적인 불복종 사건이 발생했다. 다음 이틀 동안 제69사단 2개 연대에서 공세 중단을 청원하기 위해 대변인이 선출되었다. 5월 28일까지 제9사단, 제158사단, 제5사단, 제1기병사단에서 반란이 발생했다. 5월 말까지 제5, 제6, 제13, 제35, 제43, 제62, 제77, 제170사단의 더 많은 부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공세는 5월 9일에 중단되었다. 육군, 정치인, 대중은 충격을 받았고, 5월 16일 니벨은 해임되어 북아프리카로 이동했다. 그는 더 신중한 페탱으로 교체되었고, 포슈가 참모 총장이 되었다. 새로운 지휘관들은 높은 사상자를 피하고 사기를 회복하기 위해 결정적인 전투 대신 회복과 방어 전략을 채택했다. 페탱은 반란군을 본보기로 처형하고 프랑스 군인의 복지를 개선하는 개혁을 도입했는데, 이는 사기 회복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니벨 공세에서 프랑스군은 거의 진격하지 못했다. 1917년 5월 9일 공세가 종료되자, 니벨은 아프리카로 좌천되었다. 후임 프랑스 육군 총사령관에는 제2군 사령관이자 "베르됭의 영웅" 필리프 페탱이 임명되었다.
프랑스군은 18만 7천 명 이상의 손실을 보았고, 니벨이 약속한 승리가 거짓으로 드러나면서, 프랑스군 내 사기는 극도로 저하되었고, 대규모 항명 사건 및 프랑스군 반란이 잇따랐다.
5. 평가 및 영향
니벨 공세는 여러 가지 면에서 실패로 평가된다.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했고, 전략적 목표 달성에도 실패했다. 프랑스군은 4월 16일부터 25일까지 134,000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그중 96,000명이 5일 이내에 발생했다. 특히, 세네갈과 같은 식민지 출신 부대의 피해가 컸다. 이러한 막대한 인명 피해와 지휘관의 무능함은 프랑스군 내에서 광범위한 항명 사태를 야기했다.
니벨 공세의 실패로 로베르 니벨 총사령관이 해임되고 필리프 페탱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또한, 프랑스군은 1917년 말까지 대규모 공세를 자제하게 되었고, 이는 제3차 이프르 전투에서 영국군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독일군은 니벨 공세 기간 동안 163,000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이 중 상당수는 포로로 잡혔다. 독일군은 프랑스군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방어했지만, 그 과정에서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 특히, 포로로 잡힌 병사들의 증언을 통해 프랑스군의 공격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비할 수 있었던 점은 독일군에게 큰 이점으로 작용했다.
5. 1. 이후의 전투
5월 4일과 5일, 두 연대가 공격하여 크론을 점령하고 캘리포니아프랑스어 고원의 가장자리를 차지했지만 알레트 강을 건너지는 못했다. 제10군은 보클레어를 점령했고 제1 식민군단은 라포 밀의 폐허를 점령한 후 5월 8일에 작전이 다시 중단되었다. 독일군은 샹 드 데의 서쪽 끝에 있는 보크사이용에서 시작하여 위르트비즈와 크론 사이의 캘리포니아 고원, 샹 드 데의 동쪽 끝 너머, 랭스 동쪽의 모롱빌리에 고지를 상대로 6월 한 달 동안 반격을 시작했다. 5월 30일부터 31일까지의 독일군 공격으로 인해 6월 18일에 프랑스의 반격이 시작되었고, 6월 21일에 또 다른 독일군 공격이 시작되었다. 독일군은 6월 3일부터 6일까지 캘리포니아 고지를 상대로 5차례의 공격을 가하는 등 중앙에서 주력 공격을 감행했으며, 6월 17일에 또 다른 독일군 공격이 이어졌다.6월 25일, 화염 방사기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군은 위르트비즈에 있는 약 21.34m 깊이의 드래곤 동굴 대피소와 인접한 지역을 점령했으며, 그곳에서 6월 말 독일군의 반격을 격퇴했다. 드래곤 동굴 점령은 샹 드 데의 고지를 차지하기 위해 양측이 싸운 여름 내내 지속된 본 옵저버토리 전투의 시작을 알렸다. 샹 드 데의 서쪽 끝에 있는 보크사이용에서는 6월 20일, 22일, 23일에 독일군의 공격이 있었고 6월 21일과 24일에 프랑스의 반격이 있었다. 7월 4일, 독일군은 크론과 세르니 사이의 17km 전선에서 공격을 시작했으며, 7월 7일과 9일에 프랑스의 반격이 이어졌다. 5월 5일부터 독일군은 80일 동안 70번의 공격을 감행했다.
1916년 6월 29일과 30일에 독일군의 공격은 모르트 옴과 코트 304를 상대로 이루어졌으며, 7월과 8월까지 계속된 공격과 반격의 기간이 시작되었다. 8월 20일부터 26일까지 프랑스는 베르됭 전투 제2차 공세를 수행했다. 프랑스는 아보쿠르 숲, 모르트 옴, 코르보 숲, 그리고 독일 전선과 모르트 옴, 코트 304 후방을 연결하는 비스마르크, 크론프린츠, 갈비츠 터널을 점령했다. 동쪽 강변에서는 탈루 숲, 샹프노빌, 코트 344, 포스 숲의 일부, 쇼므 숲 및 모르몽 농장이 점령되었다. 다음 날, 코트 304, 사모뉴 및 레니비유가 함락되었고, 8월 26일 프랑스군은 보몽 남쪽 외곽에 도달했다. 8월 26일까지 프랑스군은 포로 9,500명, 야포 30문, 참호 박격포 100문, 기관총 242정을 점령했다. 9월 9일까지 프랑스군은 10,000명 이상의 포로를 잡았고, 8월 21, 22, 27, 28일, 9월 24일, 그리고 10월 1일에 독일군의 반격으로 전투가 계속되었다. 루덴도르프는 프랑스군이 "우울함을 빨리 극복했다"고 적었다.

라 말메종 전투(1917년 10월 23일~27일)는 프랑스가 라 말메종 마을과 요새를 점령하고 슈망 데 다므 능선을 장악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뵈른은 전방 진지를 전진 지역으로 취급하여 Canal de l'Oise à l'Aisne프랑스어 북쪽에서 주 방어를 수행하는 대신, 전방 진지를 방어하기로 결정했다. 운하 근처 저지대에서 가스 폭격이 매우 느리게 확산되어 탄약과 보급품을 전선으로 운송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Eingreifde 사단은 대대 단위로 전선에 분산되었고, 프랑스 공중 정찰에 의해 식별되어 체계적으로 파괴된 보병 벙커에서 프랑스군의 폭격에 갇혔다.
작전 개시 시각은 오전 5시 45분으로 정해졌지만 프랑스군은 독일군의 전선 주둔군에 오전 5시 30분에 준비하라는 명령을 가로채 작전 개시 시각을 오전 5시 15분으로 변경했다. 오전 6시에 비가 내리기 시작했고, 63대의 슈나이더 CA1과 생 샤몽 전차가 진흙에 빠졌다. 프랑스 보병과 21대의 전차는 계획대로 독일군 제2 진지에 도달했다. 제38사단은 Fort de Malmaison프랑스어을 점령했고, 제21군단은 알르망과 보드송을 점령했다. 10월 25일에는 피뇽 마을과 숲이 점령되었고, Canal de l'Oise à l'Aisne프랑스어 선에 도달했다. 프랑스는 4일 만에 약 9.66km를 진격했고, 11월 1일/2일 밤까지 독일군을 슈망 데 다므에서 몰아내 Ailette 계곡 북쪽 강둑으로 후퇴시켰다. 프랑스는 10월 23일부터 26일까지 11,157명의 포로, 200문의 포, 220문의 중박격포를 획득했으며, 약 10,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