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시노 아키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시노 아키라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선수 시절에는 히타치 제작소(현 가시와 레이솔)에서 활약했으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다. 지도자로서 가시와 레이솔, 감바 오사카, 비셀 고베, 나고야 그램퍼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등을 지휘했다. 특히 감바 오사카 감독 시절 J리그, AFC 챔피언스리그 등에서 우승했으며, 2018년 FIFA 월드컵에서는 일본 대표팀을 이끌고 16강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바 오사카의 축구 감독 - 지크프리트 헬트
지크프리트 헬트는 독일의 은퇴한 축구 선수 및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고 서독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결승전에 출전했으며, 감독으로서는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도했다. - 감바 오사카의 축구 감독 - 미야모토 쓰네야스
미야모토 쓰네야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중앙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감바 오사카, 레드불 잘츠부르크, 빗셀 고베에서 뛰었고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으로도 활동했으며, 현재는 일본 축구 협회 회장이다. - AFC 상 - 세르베르 제파로프
세르베르 제파로프는 우즈베키스탄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 감독으로, 우즈베키스탄 클럽에서 다수의 우승을 차지하고 2008년 아시아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해외 클럽과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후 U-14 국가대표팀 감독 및 수석코치를 역임했다. - AFC 상 - 모하나드 알리
모하나드 알리는 이라크의 축구 선수로, 이라크 프리미어리그 최연소 데뷔 기록을 세웠으며,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2019년 AFC 아시안컵 맹활약, 다수 국제 대회 득점왕, 서아시아 올해의 선수 선정 등의 업적을 남겼다.
니시노 아키라 | |
---|---|
기본 정보 | |
전체 이름 | 아키라 니시노 |
이름 | 니시노 아키라 |
일본어 이름 | 西野 朗 |
출생일 | 1955년 4월 7일 |
출생지 | 사이타마시, 사이타마현, 일본 |
키 | 1.82m |
포지션 | 미드필더 |
로마자 표기 | Nishino Akira |
선수 경력 | |
유스 클럽 | 1971–1973: 우라와니시 고등학교 1974–1977: 와세다 대학 |
클럽 | 1978–1990: 히타치 |
클럽 출장 | 143 |
클럽 득점 | 29 |
국가대표팀 | 1977–1978: 일본 |
국가대표팀 출장 | 12 |
국가대표팀 득점 | 1 |
감독 경력 | |
감독 클럽 | 1991–1992: 일본 U-20 1994–1996: 일본 U-23 1998–2001: 가시와 레이솔 2002–2011: 감바 오사카 2012: 비셀 고베 2014–2015: 나고야 그램퍼스 2018: 일본 2019–2021: 태국 U-23 2019–2021: 태국 |
수상 내역 | |
팀 | 히타치 |
준우승 | 일본 사커 리그 (1982) JSL컵 (1980) |
기타 | |
![]() |
2. 선수 시절
오오미야 축구장에 오는 일본 대표팀 선수들을 보며 축구 선수의 꿈을 키웠다.[21] 어린 시절 텔레비전 도쿄의 축구 프로그램(미쓰비시 다이아몬드 축구) 시청자 퀴즈에 응모하여 축구화를 경품으로 받은 경험이 있다.[22]
사이타마시립 하라야마 중학교 졸업 후, 1970년 사이타마현립 우라와니시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축구부에서 활동하며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 8강 진출을 경험했다. 1974년에는 와세다 대학 교육학부에 진학하여 아식 축구부에 소속되었다. 대학 재학 중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아 일본 대표팀에 선출되기도 했다.
1977년 여름, 당시 일본 대표팀과 교류가 있던 헤네스 바이스바일러 감독의 요청으로 오쿠데라 야스히코, 키나다 기토시와 함께 분데스리가의 1. FC 쾰른에서 테스트를 받았다.[23] 니시노를 포함한 세 선수는 이것이 프로 입단 테스트인지 모르고 평소 훈련처럼 임했다고 한다. 당시 일본 대표팀 감독을 맡았던 니노미야 히로시는 "선수로서 종합적인 능력은 니시노가 가장 뛰어났다"고 평가했으며, 체력적인 면에서도 오쿠데라보다 우수했다고 언급했다.[23]
1978년 히타치 제작소(현 가시와 레이솔)에 입사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입사 초기에는 인사부에서 여성 사원 채용 담당 업무를 맡기도 했는데, 대학 시절 축구 선수로서의 인기로 인해 여성 지원자들이 몰렸다는 일화가 있다.[21] 히타치 제작소 축구부에서는 입단 초기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이를 극복하고 팀의 주축 선수로 성장하여 1985년에는 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기도 했다. 현역 말년에는 센터백으로 포지션을 변경하여 활약하기도 했다.[21] 1990년 현역에서 은퇴했다.[21]
;와세다 대학
- 전일본대학축구선수권대회: 1회 (1974년)
- 관동대학축구리그전 1부: 2회 (1975년, 1976년)
2. 1. 클럽
와세다 대학[1]을 졸업한 후, 1978년 히타치(현 가시와 레이솔)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53] 그는 1990년 은퇴할 때까지 12년간 오직 히타치 한 팀에서만 활동했다.[53] 입단 초기에는 플레이에 활력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이후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 잡았다.[21]히타치 소속으로 1980 JSL컵 준우승과 1982 일본축구리그 준우승에 기여했다.[1] 특히 1985–86 시즌에는 일본 사커 리그에서 8경기 연속 득점이라는 리그 타이 기록을 세우며 총 12골을 기록했고, 시즌 베스트 일레븐에도 선정되는 등 최고의 활약을 펼쳤다.[1][21] 현역 말년에는 센터백 포지션을 소화하기도 했다.[21] 팀이 1986–87 시즌 후 2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나, 1988–89 시즌 일본 사커 2부 리그 준우승을 이끌며 팀의 1부 리그 복귀에 기여했다. 1989–90 시즌을 끝으로 1990년 현역에서 은퇴했다.[1][21]
클럽 | 시즌 | 리그 | ||
---|---|---|---|---|
디비전 | 출전 | 득점 | ||
히타치 | 1978 | JSL 1부 리그 | 13 | 1 |
1979 | 12 | 0 | ||
1980 | 15 | 6 | ||
1981 | 8 | 1 | ||
1982 | 15 | 4 | ||
1983 | 18 | 2 | ||
1984 | 17 | 2 | ||
1985–86 | 22 | 12 | ||
1986–87 | 17 | 1 | ||
1987–88 | JSL 2부 리그 | ? | ? | |
1988–89 | ? | ? | ||
1989–90 | JSL 1부 리그 | 6 | 0 | |
통산 | 143 | 29 |
2. 2. 국가대표팀
와세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77년 3월 일본 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었다. 같은 해 3월 6일, 이스라엘과의 197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라운드 2조 첫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이듬해인 1978년 7월 21일, 말레이시아와의 1978년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 경기(1-4 패)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 1978년까지 A매치 통산 12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으며[2], 이후로는 대표팀에 발탁되지 못했다.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전 경기 수 | 득점 수 |
---|---|---|---|
일본[2] | 1977 | 4 | 0 |
1978 | 8 | 1 | |
합계 | 12 | 1 |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1977년 3월 6일 | 이스라엘 텔아비브 | 라마트 간 스타디움 | 이스라엘 | ●0-2 | 니노미야 히로시 | 1978 FIFA 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1차 예선 |
2. | 1977년 3월 10일 | ●0-2 | |||||
3. | 1977년 3월 26일 | 일본 도쿄 | 국립가스미가오카 육상경기장 | 대한민국 | △0-0 | ||
4. | 1977년 4월 3일 | 대한민국 서울 | 동대문운동장 | ●0-1 | |||
5. | 1978년 5월 23일 | 일본 아이치현 | 나고야 시 미즈호 공원 럭비장 | 태국 | ○3-1 | 재팬컵 | |
6. | 1978년 7월 13일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스타디움 머르데카 | 이라크 | △0-0 | 1978머르데카 대회 | |
7. | 1978년 7월 15일 | 인도네시아 | ●1-2 | ||||
8. | 1978년 7월 17일 | 시리아 | ○3-2 | ||||
9. | 1978년 7월 19일 | 대한민국 | ●0-4 | ||||
10. | 1978년 7월 21일 | 말레이시아 | ●1-4 | ||||
11. | 1978년 7월 23일 | 싱가포르 | ●1-2 | ||||
12. | 1978년 7월 26일 | 태국 | ○4-0 |
니시노 아키라는 일본의 여러 J리그 클럽과 일본 대표팀, 태국 대표팀 등에서 감독직을 역임하며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다.
3. 지도자 경력
가시와 레이솔 감독 시절(1998-2001)에는 1999년 J리그컵 우승을 이끌며 구단과 자신에게 첫 메이저 타이틀을 안겼고, 2000년에는 J리그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후 감바 오사카 감독(2002-2011)으로 부임하여 약 10년간 팀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2005년 J1리그 우승, 천황배 2연패(2008, 2009), 2007년 J리그컵 우승, 2008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등 수많은 트로피를 들어 올렸고, 2008년 FIFA 클럽 월드컵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이 기간 동안 J리그 최우수 감독상(2005), AFC 올해의 감독상(2008)을 수상했으며, J리그 감독 최장 재임 기록 경신, J1 통산 150승 및 200승 달성 등 개인적인 기록도 세웠다.
이후 비셀 고베(2012)와 나고야 그램퍼스(2014-2015) 감독을 맡았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2016년 일본 축구 협회 기술위원장으로 활동하다가, 2018년 FIFA 월드컵 개막을 불과 2개월 앞두고 일본 대표팀 감독으로 긴급 선임되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본선 조별리그에서 콜롬비아를 꺾고 16강 진출을 이끌었으나, 16강전에서 벨기에에 아쉽게 패배했다.
월드컵 이후에는 태국 A대표팀과 U-23 대표팀 감독(2019-2021)을 동시에 맡아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8강 진출 등의 성과를 냈지만,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탈락의 책임을 지고 경질되었다.
'''지도자 경력'''[53]
2018년 4월 - 같은 해 7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감독 통산 성적'''
구단 | 년도 | 소속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순위 (팀 수) | J리그컵 | 천황배 | 기타 공식전 | |
---|---|---|---|---|---|---|---|---|---|---|---|---|---|---|
스테이지 | 연간 | |||||||||||||
가시와 레이솔 | 1998 | J1 1st | 17 | 22 | 9 | - | 8 | 32 | 35 | 10위 | 8위 (18) | 4강전 탈락 | 예선 탈락 | - |
J1 2nd | 17 | 25 | 9 | - | 8 | 24 | 26 | 8위 | ||||||
1999 | J1 1st | 15 | 29 | 10 | 0 | 5 | 26 | 18 | 4위 | 3위 (16) | 우승 | 준결승 | - | |
J1 2nd | 15 | 29 | 10 | 1 | 4 | 23 | 18 | 4위 | ||||||
2000 | J1 1st | 15 | 26 | 10 | 0 | 5 | 25 | 22 | 4위 | 3위 (16) | 4강전 탈락 | 2라운드 탈락 | - | |
J1 2nd | 15 | 32 | 11 | 1 | 3 | 23 | 10 | 2위 | ||||||
2001 | J1 1st | 15 | 22 | 8 | 0 | 7 | 29 | 23 | 6위 | 6위 (16) | 3라운드 탈락 | - | - | |
J1 2nd | - | - | - | - | - | - | - | - | ||||||
감바 오사카 | 2002 | J1 1st | 15 | 27 | 9 | 1 | 5 | 35 | 19 | 4위 | 3위 (16) | 준결승 | 4강전 탈락 | - |
J1 2nd | 15 | 27 | 10 | 0 | 5 | 24 | 13 | 2위 | ||||||
2003 | J1 1st | 15 | 16 | 4 | 4 | 7 | 26 | 29 | 12위 | 10위 (16) | 8강 | 4강전 탈락 | - | |
J1 2nd | 15 | 23 | 6 | 5 | 4 | 24 | 17 | 7위 | ||||||
2004 | J1 1st | 15 | 24 | 7 | 3 | 5 | 31 | 23 | 4위 | 3위 (16) | 8강 | 준결승 | - | |
J1 2nd | 15 | 27 | 8 | 3 | 4 | 38 | 25 | 3위 | ||||||
2005 | J1 | 34 | 60 | 18 | 6 | 10 | 82 | 58 | 우승 (18) | 준우승 | 8강 | - | ||
2006 | J1 | 34 | 66 | 22 | 6 | 8 | 80 | 48 | 3위 (18) | 8강 | 준우승 | 슈퍼컵 준우승 | ||
ACL 2006 예선 탈락 | ||||||||||||||
A3컵 2006 준우승 | ||||||||||||||
2007 | J1 | 34 | 67 | 19 | 10 | 5 | 71 | 37 | 3위 (18) | 우승 | 준결승 | 슈퍼컵 우승 | ||
2008 | J1 | 34 | 50 | 14 | 8 | 12 | 46 | 49 | 8위 (18) | 준결승 | 우승 | 판퍼시 2008 우승 | ||
술가컵 준우승 | ||||||||||||||
ACL 2008 우승 | ||||||||||||||
FIFA 클럽 월드컵 2008 3위 | ||||||||||||||
2009 | J1 | 34 | 60 | 18 | 6 | 10 | 62 | 44 | 3위 (18) | 8강 | 우승 | 슈퍼컵 준우승 | ||
ACL 2009 16강 | ||||||||||||||
2010 | J1 | 34 | 62 | 18 | 8 | 8 | 65 | 44 | 2위 (18) | 8강 | 준결승 | 슈퍼컵 준우승 | ||
ACL 2010 16강 | ||||||||||||||
2011 | J1 | 34 | 70 | 21 | 7 | 6 | 78 | 51 | 3위 (18) | 준결승 | 3라운드 탈락 | ACL 2011 16강 | ||
비셀 고베 | 2012 | J1 | 19 | 21 | 5 | 6 | 8 | 24 | 28 | -위 (18) | 조별리그 탈락 | 2라운드 탈락 | ||
나고야 그램퍼스 | 2014 | J1 | 34 | 48 | 13 | 9 | 12 | 47 | 48 | 9위 (18) | 조별리그 탈락 | 8강 | - | |
2015 | J1 1st | 17 | 22 | 6 | 4 | 7 | 18 | 18 | 9위 | 10위 (18) | 8강 | 2라운드 탈락 | - | |
J1 2nd | 17 | 24 | 7 | 3 | 7 | 26 | 30 | 10위 | ||||||
J1 통산 | 524 | - | 270 | 91 | 164 | colspan="7" | |
- 2001년은 J1 1st 종료 후 경질.
- 2012년은 제13절부터 제31절까지 지휘.
- J1 통산 270승은 J1 역대 최다승 기록이다.
'''수상 내역'''
; 가시와 레이솔
- J리그컵: 1회 (1999년)
; 감바 오사카
- J1리그: 1회 (2005년)
- 천황배: 2회 (2008년, 2009년)
- J리그컵: 1회 (2007년)
- 슈퍼컵: 1회 (2007년)
- AFC 챔피언스리그: 1회 (2008년)
- 팬퍼시픽 챔피언십: 1회 (2008년)
3. 1. 초기 경력
선수 은퇴 후인 1990년, 친정팀인 히타치(후에 가시와 레이솔로 변경됨)의 코치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1991년부터 1996년까지 일본 U-20 대표팀과 일본 U-23 대표팀의 감독을 역임했다.U-23 대표팀 감독 시절, 1996년 하계 올림픽 예선을 통과하며 1968년 하계 올림픽 이후 28년 만에 일본의 올림픽 본선 진출을 이끌었다. 1996년 하계 올림픽 본선 D조 조별리그 1차전에서는 마이애미 오렌지 볼에서 강호 브라질을 1-0으로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 이 승리는 일본에서 "마이애미의 기적"(マイアミの奇跡)으로 알려져 있다.[3][1] 일본은 2승 1패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브라질과 나이지리아에 골득실차에서 밀려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3. 2. 가시와 레이솔
1997년, 니시노 아키라는 니카노르 데 카르발료( Nicanor de Carvalhopt) 감독 대행으로서 친정팀 가시와 레이솔에 코치로 복귀했다. 시즌 종료 후 니카노르 감독이 도쿄 베르디로 이적하자, 1998년 후임 감독으로 정식 취임했다.[4] 1998 시즌에는 벤치뉴가 복귀하고 불가리아의 축구 영웅 크리스토 스토이치코프까지 영입했으나, 기대와 달리 팀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그러나 1999년에는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리그에서는 퍼스트 스테이지와 세컨드 스테이지 모두 4위를 기록하며 연간 순위 3위를 달성했고, 천황배에서도 4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냈다. 특히 J리그컵(나비스코컵) 결승에서 가시마 앤틀러스를 꺾고 우승하며, 구단 역사상 첫 메이저 타이틀이자 니시노 감독 본인에게도 첫 우승컵을 안겼다.[4]
2000년 시즌에는 비록 우승 트로피는 없었지만, J1리그 세컨드 스테이지에서 가시마 앤틀러스와 마지막까지 우승 경쟁을 벌인 끝에 2위를 차지하며 구단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연간 순위는 1999년에 이어 3위를 기록했고 (연간 획득 승점은 리그 1위였다), 니시노 감독은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생애 첫 J리그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2001년에는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서 한국 국가대표 출신 미드필더 양상철을 영입하며 리그 우승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하지만 팀의 핵심 수비수였던 홍명보의 부상과 공격수 황선홍의 부진이 겹치면서 우승 경쟁에서 멀어졌고, 결국 퍼스트 스테이지를 6위로 마감했다. 이에 구단은 성적 부진을 이유로 2001년 7월, 니시노 감독을 경질했다.
3. 3. 감바 오사카
2002년 감바 오사카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2011년까지 9년간 팀을 이끌었다. 이 기간 동안 감바 오사카는 니시노 감독의 지휘 아래 구단 역사상 최고의 성과들을 거두었다.J리그 디비전 1에서는 2005년에 구단 역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니시노는 이 해 J리그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또한 2010년 준우승을 기록했고, 6차례(2002, 2004, 2006, 2007, 2009, 2011)에 걸쳐 리그 3위를 차지하며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했다.
컵 대회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J리그컵에서는 2007년 우승, 2005년 준우승, 2008년 4강 진출을 기록했다. 천황배에서는 2008년과 2009년 2연패를 달성했으며, 2006년 준우승 및 4차례(2004, 2005, 2007, 2010)의 4강 진출 성과를 냈다. 일본 슈퍼컵에서는 2007년 우승과 3차례(2006, 2009, 2010) 준우승을 기록했다.
국제 대회 및 기타 대회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2008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아시아 정상에 올랐고, 같은 해 FIFA 클럽 월드컵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5]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08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으로부터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 외에도 2008년 팬퍼시픽 챔피언십 우승, 2006년 A3 챔피언스컵 준우승, 2008년 수루가 뱅크 챔피언십 준우승 등의 성적을 남겼다.
니시노는 2011 시즌 종료 후 감바 오사카 감독직에서 사임했다.[5]
'''주요 우승 경력'''
- J1리그: 1회 (2005년)
- 천황배: 2회 (2008년, 2009년)
- J리그컵: 1회 (2007년)
- 제록스 슈퍼컵: 1회 (2007년)
- AFC 챔피언스리그: 1회 (2008년)
- 팬퍼시픽 챔피언십: 1회 (2008년)
3. 4. 비셀 고베
2012년 5월 비셀 고베의 감독으로 부임했으나,[53] 성적 부진으로 인해 같은 해 11월에 경질되었다.3. 5. 나고야 그램퍼스
2014년, 니시노 아키라는 나고야 그램퍼스와 계약을 맺고 2015년까지 감독직을 수행했다.[7]3. 6. 일본 국가대표팀
2016년 3월 일본 축구 협회(JFA) 기술위원장으로 복귀했다.[8][30] 2018년 FIFA 월드컵 개막을 약 2개월 앞둔 2018년 4월 7일, 당시 일본 대표팀 감독이었던 바히드 할릴호지치가 갑작스럽게 해임되었고,[9][33] 이틀 후인 4월 9일 니시노가 후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34] 임기는 월드컵 종료까지였으며,[35] 대표팀 감독 취임과 함께 JFA 이사, 기술위원장, J리그 이사직을 사임했다.[36] 이로써 오카다 타케시 이후 월드컵 본선에서 지휘봉을 잡은 두 번째 일본인 감독이 되었다.[35]짧은 준비 기간 동안 팀을 정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9] 5월 30일 가나와의 평가전에서는 3백 전술을 시험했으나 0-2로 패배했고,[37] 6월 8일 스위스와의 경기에서는 기존의 4-2-3-1 포메이션으로 돌아갔지만 역시 0-2로 패배했다.[40] 그러나 월드컵 직전 마지막 평가전인 6월 12일 파라과이와의 경기에서는 이전 경기 출전 기회가 적었던 선수들을 중심으로 기용하여 4-2 승리를 거두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다.[41]
본선 조별리그 1차전에서 콜롬비아를 2-1로 꺾으며 아시아 팀 최초로 월드컵 본선에서 남미 팀을 상대로 승리하는 역사를 만들었다.[9] 이는 4년 전 2014년 FIFA 월드컵에서의 패배를 설욕한 결과이기도 했다. 이어진 세네갈과의 2차전에서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9] 최종전에서 폴란드에 0-1로 패배했지만,[9] 같은 시간 세네갈이 콜롬비아에 패하면서 일본은 세네갈보다 경고를 적게 받은 덕분에 페어플레이 점수에서 앞서며 조 2위로 8년 만에 월드컵 16강에 진출했다.[9] 이는 2018년 월드컵 본선 진출 아시아 팀 중 유일한 16강 진출 기록이었다.[9]
다만 폴란드전 막판, 0-1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다른 경기 결과에 의존하며 시간을 끄는 소극적인 플레이로 16강 진출을 확정 지은 방식은 국내외 축구계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16강전에서는 벨기에를 상대로 후반 중반까지 2-0으로 앞서 나갔으나, 이후 3골을 연달아 실점하며 2-3으로 역전패하여 대회를 마감했다.[10][1]
월드컵 개막 직전 감독 교체라는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갑작스럽게 지휘봉을 잡아 팀을 8년 만의 월드컵 16강으로 이끈 점은 일본 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 니시노 감독은 월드컵 종료 후 계약 만료로 대표팀 감독직에서 물러났다.[11]
3. 7. 태국 국가대표팀
2018년 월드컵 이후 모리야스 하지메에게 일본 대표팀 감독직을 넘기고 물러났다. 이후 2019년 7월 1일, 태국 측에서 니시노 아키라의 태국 A대표팀 및 U-23 대표팀 감독 취임을 발표했으나,[49] 다음 날 니시노는 이를 부인했다.[50] 그러나 같은 해 7월 17일, 공식적으로 태국 A대표팀과 U-23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이는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역사상 최초의 일본인 감독이었다.[12][13][51] 2020년 1월 24일에는 계약을 2022년까지 연장했다.[14]U-23 대표팀 감독으로는 2019년 11월 201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 참가하여 3승 1무 1패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 밀려 B조 3위(전체 5위)로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이후 2020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한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에서는 호주, 이라크, 바레인과 한 조에 속해 1승 1무 1패,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2018년 월드컵에서 일본을 16강에 진출시킨 그의 지도력이 우연이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A대표팀 감독으로는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 참가했지만, 8경기에서 2승 3무 3패로 G조 4위에 그치며 2회 연속 최종 예선 진출에 실패했고, 2023년 AFC 아시안컵 3차 예선으로 밀려났다. 이러한 부진한 성적 때문에 계약 기간이 6개월 남은 2021년 7월 29일, 태국 축구 협회는 니시노 감독을 경질했다고 발표했다.[15][16][52] 그의 후임으로는 브라질 출신의 알렉산드레 푈킹 호찌민 시티 FC 감독이 선임되었다.
4. 수상 내역
- J리그 최우수감독상: 2회 (2000년, 2005년)
- AFC 최우수감독상: 1회 (2008년)
- 사이타마현 공로상: 1회 (2019년)
- 사이타마시 스포츠 특별 공로상: 1회 (2018년)
4. 1. 선수 (클럽)
; 히타치 제작소 축구부- 일본 사커 리그 준우승: 1988-89
- JSL컵 준우승: 1980
연도 | 클럽 | 등번호 | 소속 리그 | 리그전 | JSL컵 | 천황배 | 합계 | ||||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1978 | 히타치 | 16 | JSL 1부 | 13 | 1 | 13+ | 1+ | ||||
1979 | 12 | 0 | 2 | 0 | 4 | 0 | 18 | 0 | |||
1980 | 8 | 15 | 6 | 1 | 0 | 3 | 1 | 19 | 7 | ||
1981 | 8 | 1 | 0 | 0 | 2 | 0 | 10 | 1 | |||
1982 | 15 | 4 | 1 | 0 | 2 | 0 | 18 | 4 | |||
1983 | 18 | 2 | 1 | 0 | 1 | 0 | 20 | 2 | |||
1984 | 17 | 2 | 3 | 3 | 2 | 0 | 22 | 5 | |||
1985 | 22 | 12 | 1 | 0 | 1 | 0 | 24 | 12 | |||
1986-87 | 17 | 1 | 0 | 0 | 1 | 0 | 18 | 1 | |||
1987-88 | JSL 2부 | 21 | 1 | 1 | 0 | 2 | 0 | 24 | 1 | ||
1988-89 | 28 | 2 | 1 | 0 | - | 29 | 2 | ||||
1989-90 | 32 | JSL 1부 | 6 | 0 | 0 | 0 | 0 | 0 | 6 | 0 | |
통산 (JSL 1부) | 143 | 29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통산 (JSL 2부) | 49 | 3 | 2 | 0 | colspan="2" | | colspan="2" | | |||||
총 통산 (일본 리그) | 192 | 32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JSL 동서 대항전 (올스타전) 2회 출전 (1979년, 1986년)
- JSL 동서 대항전 1득점 (1979년)
4. 2. 지도자 (클럽)
가시와 레이솔에서 1997년 감독 대행을 거쳐 1998년부터 2001년 7월까지 정식 감독을 맡았다.[53] 이 기간 동안 J1리그에서 1999년과 2000년 연속으로 3위를 기록했으며, 1999년에는 J리그컵 우승과 천황배 4강 진출이라는 성과를 거두었다.2002년부터 2011년까지는 감바 오사카의 지휘봉을 잡았다.[53] 감바 오사카 재임 기간은 니시노 감독의 최전성기로 평가받는다. J1리그에서는 2005년 창단 첫 우승을 달성했고, 2010년 준우승, 그리고 6차례(2002, 2004, 2006, 2007, 2009, 2011) 3위를 기록하며 팀을 리그 강호로 만들었다. 컵대회에서도 J리그컵 2007년 우승 및 2005년 준우승, 천황배 2008년과 2009년 2연패 및 2006년 준우승을 차지했다. 국제 대회에서는 AFC 챔피언스리그 2008 우승을 통해 아시아 정상에 올랐고, 같은 해 FIFA 클럽 월드컵에서 3위에 오르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 외에도 A3 챔피언스컵 2006 준우승, 2007년 일본 슈퍼컵 우승, 2008년 팬퍼시픽 챔피언십 우승 등 여러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이후 비셀 고베(2012년 5월~11월)[53]와 나고야 그램퍼스(2014년~2015년) 감독을 역임했다. 비셀 고베에서는 시즌 도중 부임하여 팀의 강등을 막지 못했고, 나고야 그램퍼스에서는 중위권 성적을 기록했다.
아래는 니시노 아키라 감독의 J리그 클럽 감독 시절 상세 성적이다.
구단 | 년도 | 소속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순위 (팀 수) | J리그컵 | 천황배 | 기타 공식전 | |
---|---|---|---|---|---|---|---|---|---|---|---|---|---|---|
스테이지 | 연간 | |||||||||||||
가시와 레이솔 | 1998 | J1 1st | 17 | 22 | 9 | - | 8 | 32 | 35 | 10위 | 8위 (18) | 4강전 탈락 | 예선 탈락 | - |
J1 2nd | 17 | 25 | 9 | - | 8 | 24 | 26 | 8위 | ||||||
1999 | J1 1st | 15 | 29 | 10 | 0 | 5 | 26 | 18 | 4위 | 3위 (16) | 우승 | 준결승 | - | |
J1 2nd | 15 | 29 | 10 | 1 | 4 | 23 | 18 | 4위 | ||||||
2000 | J1 1st | 15 | 26 | 10 | 0 | 5 | 25 | 22 | 4위 | 3위 (16) | 4강전 탈락 | 2라운드 탈락 | - | |
J1 2nd | 15 | 32 | 11 | 1 | 3 | 23 | 10 | 2위 | ||||||
2001 | J1 1st | 15 | 22 | 8 | 0 | 7 | 29 | 23 | 6위 | 6위 (16) | 3라운드 탈락 | - | - | |
J1 2nd | - | - | - | - | - | - | - | - | ||||||
감바 오사카 | 2002 | J1 1st | 15 | 27 | 9 | 1 | 5 | 35 | 19 | 4위 | 3위 (16) | 준결승 | 4강전 탈락 | - |
J1 2nd | 15 | 27 | 10 | 0 | 5 | 24 | 13 | 2위 | ||||||
2003 | J1 1st | 15 | 16 | 4 | 4 | 7 | 26 | 29 | 12위 | 10위 (16) | 8강 | 4강전 탈락 | - | |
J1 2nd | 15 | 23 | 6 | 5 | 4 | 24 | 17 | 7위 | ||||||
2004 | J1 1st | 15 | 24 | 7 | 3 | 5 | 31 | 23 | 4위 | 3위 (16) | 8강 | 준결승 | - | |
J1 2nd | 15 | 27 | 8 | 3 | 4 | 38 | 25 | 3위 | ||||||
2005 | J1 | 34 | 60 | 18 | 6 | 10 | 82 | 58 | 우승 (18) | 준우승 | 8강 | - | ||
2006 | J1 | 34 | 66 | 22 | 6 | 8 | 80 | 48 | 3위 (18) | 8강 | 준우승 | 슈퍼컵 준우승 | ||
ACL 2006 예선 탈락 | ||||||||||||||
A3컵 2006 준우승 | ||||||||||||||
2007 | J1 | 34 | 67 | 19 | 10 | 5 | 71 | 37 | 3위 (18) | 우승 | 준결승 | 슈퍼컵 우승 | ||
2008 | J1 | 34 | 50 | 14 | 8 | 12 | 46 | 49 | 8위 (18) | 준결승 | 우승 | 판퍼시픽 2008 우승 | ||
수루가 뱅크 챔피언십 준우승 | ||||||||||||||
ACL 2008 우승 | ||||||||||||||
FIFA 클럽 월드컵 2008 3위 | ||||||||||||||
2009 | J1 | 34 | 60 | 18 | 6 | 10 | 62 | 44 | 3위 (18) | 8강 | 우승 | 슈퍼컵 준우승 | ||
ACL 2009 16강 | ||||||||||||||
2010 | J1 | 34 | 62 | 18 | 8 | 8 | 65 | 44 | 2위 (18) | 8강 | 준결승 | 슈퍼컵 준우승 | ||
ACL 2010 16강 | ||||||||||||||
2011 | J1 | 34 | 70 | 21 | 7 | 6 | 78 | 51 | 3위 (18) | 준결승 | 3라운드 탈락 | ACL 2011 16강 | ||
비셀 고베 | 2012 | J1 | 19 | 21 | 5 | 6 | 8 | 24 | 28 | - (18) | 조별리그 탈락 | 2라운드 탈락 | - | |
나고야 그램퍼스 | 2014 | J1 | 34 | 48 | 13 | 9 | 12 | 47 | 48 | 9위 (18) | 조별리그 탈락 | 8강 | - | |
2015 | J1 1st | 17 | 22 | 6 | 4 | 7 | 18 | 18 | 9위 | 10위 (18) | 8강 | 2라운드 탈락 | - | |
J1 2nd | 17 | 24 | 7 | 3 | 7 | 26 | 30 | 10위 | ||||||
J1 통산 | 524 | - | 270 | 91 | 164 | 1088 | 843 | colspan="7" | |
- 2001년은 J1 1st 스테이지 종료 후 경질되었다.
- 2012년은 제13라운드부터 제31라운드까지 지휘하였다.
4. 3. 개인
'''선수'''-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11: 1985-86
'''감독'''
- J리그 올해의 감독상: 2000, 2005
- AFC 올해의 감독상: 2008
'''기타'''
'''선수 시절 기록'''
클럽 | 리그 | JSL컵 | 천황배 | 합계 | ||||||||
---|---|---|---|---|---|---|---|---|---|---|---|---|
시즌 | 클럽 | 디비전 | 리그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1978 | 히타치 제작소 | JSL 1부 | 16 | 13 | 1 | |||||||
1979 | 16 | 12 | 0 | 2 | 0 | 4 | 0 | 18 | 0 | |||
1980 | 8 | 15 | 6 | 1 | 0 | 3 | 1 | 19 | 7 | |||
1981 | 8 | 8 | 1 | 0 | 0 | 2 | 0 | 10 | 1 | |||
1982 | 8 | 15 | 4 | 1 | 0 | 2 | 0 | 18 | 4 | |||
1983 | 8 | 18 | 2 | 1 | 0 | 1 | 0 | 20 | 2 | |||
1984 | 8 | 17 | 2 | 3 | 3 | 2 | 0 | 22 | 5 | |||
1985 | 8 | 22 | 12 | 1 | 0 | 1 | 0 | 24 | 12 | |||
1986-87 | 8 | 17 | 1 | 0 | 0 | 1 | 0 | 18 | 1 | |||
1987-88 | JSL 2부 | 8 | 21 | 1 | 1 | 0 | 2 | 0 | 24 | 1 | ||
1988-89 | 8 | 28 | 2 | 1 | 0 | - | 29 | 2 | ||||
1989-90 | JSL 1부 | 32 | 6 | 0 | 0 | 0 | 0 | 0 | 6 | 0 | ||
통산 (JSL 1부) | 143 | 29 | ||||||||||
통산 (JSL 2부) | 49 | 3 | 2 | 0 | ||||||||
총 통산 | 192 | 32 |
- JSL 동서 대항전 (올스타전): 2회 출전 (1979년, 1986년)
- JSL 동서 대항전: 1득점 (1979년)
'''국가대표팀 기록'''[53]
참조
[1]
웹사이트
Waseda's significant role in history of Japanese football
https://www.waseda.j[...]
Waseda University
2018-07-27
[2]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3]
웹사이트
Can Akira Nishino get Japan on course in time to make World Cup impact?
https://www.espn.com[...]
ESPN
2018-04-10
[4]
웹사이트
Meet the Club World Cup Teams: Kashiwa Reysol
https://www.goal.com[...]
Goal
2019-07-04
[5]
웹사이트
GAMBA OSAKA
https://www.jleague.[...]
J.league
2019-07-04
[6]
웹사이트
VISSEL KOBE club information: History: 2012
https://www.vissel-k[...]
Vissel Kobe
2019-07-18
[7]
웹사이트
Grampus manager Nishino to step down
https://www.jleague.[...]
J.league
2015-10-06
[8]
웹사이트
Coaches - Akira Nishino
https://www.fifa.com[...]
FIFA
2019-07-18
[9]
웹사이트
Japan fire Vahid Halilhodzic, hire Akira Nishino before World Cup
https://www.espn.co.[...]
ESPN
2018-04-09
[10]
웹사이트
World Cup 2018: Akira Nishino will not continue as Japan coach, despite an excellent World Cup
https://www.foxsport[...]
2018-07-05
[11]
웹사이트
Nishino to Step Down as Coach of Japan National Soccer Team
https://jen.jiji.com[...]
JIJI PRESS
2018-07-11
[12]
웹사이트
สมาคมฯ ประกาศแต่งตั้ง อากิระ นิชิโนะ คุมช้างศึกชุดใหญ่และ U23
http://fathailand.or[...]
Football Association of Thailand
2019-07-17
[13]
웹사이트
Football: Akira Nishino officially named Thailand head coach
https://english.kyod[...]
Kyodo News
2019-07-18
[14]
웹사이트
เป็นทางการ "ส.บอลไทย" แถลงต่อสัญญา "นิชิโนะ" เพิ่มอีก 2 ปี
https://www.thairath[...]
Thairath
2020-01-24
[15]
웹사이트
Thailand sack Nishino following WCQ failure
https://www.espn.com[...]
2021-07-29
[16]
웹사이트
เปิดสถิติ "นิชิโนะ" คุมทีมชาติไทยในเกมทางการก่อนถูก "ส.ฟุตบอล" ยุติสัญญา
https://www.thairath[...]
Thairath
2021-07-29
[17]
웹사이트
J.League Data Site
https://data.j-leagu[...]
[18]
웹사이트
Football: Akira Nishino
https://www.football[...]
2019-09-10
[19]
웹사이트
NISHINO Akira
https://www.jfa.jp/e[...]
2024-02-22
[20]
웹사이트
Jリーグで勝利数の多い日本人監督の共通項。戦術優先ではなかった
https://sportiva.shu[...]
2021-02-15
[21]
웹사이트
【乾坤一筆】今だから語れる西野氏の魅力
https://www.sanspo.c[...]
産経デジタル
2018-07-06
[22]
웹사이트
フットボールの真実 W杯日本初中継は「三菱ダイヤモンド・サッカー」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8-05-11
[23]
Youtube
【日本サッカーの歴史ドキュメント】「奥寺康彦・日本人プロ第1号誕生の裏話、実は西野朗も候補の1人だった」スカパー!YouTube公式チャンネル
[24]
문서
당시는 아마추어 선수만 참가했고, 연령 제한도 없었다.
[25]
문서
연도별, 여자 대회 제외
[26]
뉴스
サッカーJ1神戸、西野監督解任
http://www.daily.co.[...]
DAILYSPORT
[27]
웹사이트
名古屋グランパス新監督に西野朗氏就任内定のお知らせ
https://www.jleague.[...]
2018-07-24
[28]
웹사이트
停滞 西野体制2年間の裏で(上)苦しい編成 最低限の結果
http://www.chunichi.[...]
中日スポーツ
2015-11-27
[29]
웹사이트
西野 朗監督、契約満了のお知らせ
http://nagoya-grampu[...]
2018-07-24
[30]
웹사이트
JFAが新体制を発表…副会長に岡田武史氏、技術委員長に西野朗氏の就任が内定
https://www.soccer-k[...]
2018-06-21
[31]
웹사이트
日本はウクライナに敗れる…ベルギー遠征は1分1敗
https://web.gekisaka[...]
2018-06-21
[32]
뉴스
西野朗技術委員長「現状はもうこの体制で、と思っている」
https://hochi.news/a[...]
スポーツ報知
2018-03-28
[33]
웹사이트
SAMURAI BLUE(日本代表) ヴァイッド・ハリルホジッチ監督との契約を解除
https://www.jfa.jp/n[...]
2018-04-09
[34]
뉴스
後任は西野氏 ハリル監督解任の日本サッカー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4-09
[35]
웹사이트
目指すは「ロシアの奇跡」=2人目の大役、西野監督-サッカーW杯
https://www.jiji.com[...]
2018-06-21
[36]
웹사이트
ハリル電撃解任、田嶋会長会見要旨
https://web.archive.[...]
2018-04-09
[37]
웹사이트
SAMURAI BLUE(日本代表) ガーナに0-2で敗れる~キリンチャレンジカップ2018~
https://www.jfa.jp/s[...]
2018-06-21
[38]
웹사이트
SAMURAI BLUE西野監督、「日本らしいサッカーをしたい」~2018 FIFAワールドカップへ23選手決定~
https://www.jfa.jp/n[...]
2018-06-21
[39]
웹사이트
2018FIFAワールドカップロシア SAMURAI BLUE(日本代表)メンバー・スケジュール
https://www.jfa.jp/n[...]
2018-06-21
[40]
웹사이트
SAMURAI BLUE、スイスに0-2黒星で西野体制で連敗に
https://www.jfa.jp/s[...]
2018-06-21
[41]
웹사이트
SAMURAI BLUE、パラグアイに4-2勝利で西野体制初白星 ~乾選手が2得点~
https://www.jfa.jp/n[...]
2018-06-21
[42]
웹사이트
SAMURAI BLUE、香川選手と大迫選手の得点でコロンビアに勝利~2018FIFAワールドカップロシア~
https://www.jfa.jp/n[...]
2018-06-21
[43]
뉴스
日本、アジア勢史上初の南米から白星!初対戦から52年目
http://www.hochi.co.[...]
スポーツ報知
2018-06-21
[44]
웹사이트
SAMURAI BLUE、セネガルと引き分けて16強進出へ前進~2018FIFAワールドカップロシア~
https://www.jfa.jp/n[...]
2018-07-05
[45]
웹사이트
先発6人変更、パス回し…世紀の大博打に出た西野監督「本意ではないけど」
https://web.gekisaka[...]
2018-07-05
[46]
웹사이트
SAMURAI BLUE、ポーランドに黒星も2位で16強に進出~2018FIFAワールドカップロシア~
https://www.jfa.jp/s[...]
2018-07-05
[47]
웹사이트
田嶋会長、西野監督の退任を明言「また違った形でサポートしていただければ」
https://www.soccer-k[...]
フロムワン
2018-07-11
[48]
웹사이트
第16回日本サッカー殿堂 掲額者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jfa.jp/f[...]
[49]
웹사이트
西野朗氏がタイ代表監督に就任、U23代表も兼任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07-02
[50]
웹사이트
西野朗氏がタイ代表監督就任を否定「現段階でない」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9-07-03
[51]
웹사이트
元日本代表監督西野朗氏、タイ代表の監督に正式就任。U-23監督も兼任
https://www.football[...]
2019-07-17
[52]
웹사이트
タイ代表が西野朗監督を解任!アジア2次予選敗退が引き金に
https://web.ultra-so[...]
2021-07-30
[53]
보도자료
監督交代のお知らせ
http://www.vissel-ko[...]
ヴィッセル神戸
2012-11-08
[54]
뉴스인용
니시노 감독, 취임 173일 만에 경질 쓴잔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2-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