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구포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구포대는 중국 톈진에 위치했던 요새로, 명나라 가정제 시기인 1522년부터 1527년 사이에 처음 구축되었다. 아편 전쟁과 제2차 아편 전쟁 당시 방어 시설이 강화되었으며, 1859년 다구 전투에서 영국-프랑스 연합군을 격퇴하기도 했다. 그러나 1860년 영국-프랑스 연합군에 의해 점령당했고, 1900년 의화단 운동 중에는 열강의 공격을 받아 철거되었다. 현재 두 곳의 포대 터가 남아 있으며, 그중 한 곳은 복원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톈진시의 건축물 - 허베이 공업대학
허베이 공업대학은 1903년 설립되어 톈진에 위치한 중국 공립 대학으로, 211공정 중점 대학으로서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다양한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핀란드에 해외 캠퍼스를 두고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한다. - 톈진시의 건축물 - 톈진 대학
톈진 대학은 중국 최초의 4년제 학위 과정을 제공한 베이양 서학당에서 시작된 국립 대학으로, 공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 대학으로 성장하여 세계적인 대학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 의화단 운동 - 북경의 55일
1963년 제작된 미국의 서사 영화 북경의 55일은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베이징 외국 공사관들이 포위되었던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찰턴 헤스턴, 에바 가드너, 데이비드 니븐 등이 출연했고 니콜라스 레이와 앤드류 마턴이 감독을 맡았으며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카데미상 2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 의화단 운동 - 신축조약
신축조약은 1901년 의화단 운동 이후 청나라가 11개국과 체결한 불평등 조약으로, 막대한 배상금 지불, 외국 군대 주둔, 치외법권 설정 등 중국의 주권을 침해하며 반식민지 상태로 전락시키고 열강의 지배를 강화시켜 중국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다구포대 | |
---|---|
지도 정보 | |
요약 정보 | |
다른 이름 | 바이허 요새 (白河 뎨아오바오) |
역사적 정보 | |
사건 | 제2차 아편 전쟁 의화단 운동 |
건설 | 15세기 명나라 시대 |
해체 | 1901년 |
상태 | 유적 |
위치 정보 | |
위치 | 톈진시 빈하이구 다구 하구 |
좌표 | 38°58′35″N 117°44′34″E |
디자인 정보 | |
유형 | 해안 요새 |
2. 역사
1522년부터 1527년까지 명나라 가정제 시대에 왜구의 공격을 막기 위해 최초로 포대가 구축되었다.[1] 1840년 청나라 때 아편 전쟁으로 외국 공격 가능성이 높아지자 다구포대는 5개의 대형 포대와 20개의 작은 포대로 강화되었다. 1841년에는 5개의 대형 요새, 13개의 토루 포대, 13개의 토공사로 방어 체계가 더욱 강화되었고, 1851년에는 흠차대신 승격린친에 의해 6개의 대형 요새로 재정비되었다.
제2차 아편 전쟁 중 1858년 6월 톈진 조약 체결로 청나라 내 외세 반감이 커지면서, 보르지기트 셍게린첸에게 포대 증강 명령이 내려졌다. 셍게린첸은 1859년 6월 다구 전투에서 영국, 프랑스 연합군을 격퇴했으나, 1860년 8월 21일 다구포대는 결국 점령되었고, 10월 13일에는 베이징도 함락되었다.[2]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청나라는 열강의 다구포대 인도 요구를 거부하여 전투가 벌어졌고, 청나라가 패배하면서 베이징 의정서에 따라 다구포대는 철거되었다.[3]
현재 2개의 포대 터가 남아 있으며, 그 중 하나는 1988년 보수되어 1997년 6월부터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4] 복구된 포대는 간척 사업으로 인해 해안선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과거 모습을 완전히 재현하지는 못했지만 재건된 포좌에 대포가 배치되어 있다.[4]
2. 1. 명나라 시대
최초로 포대가 구축된 것은 명나라 가정제 시대인 1522년부터 1527년까지이다.[1] 이 포대는 왜구의 공격으로부터 톈진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되었다.2. 2. 청나라 시대
1840년 아편 전쟁 당시 외국 공격 가능성이 높아지자, 다구포대는 5개의 대형 포대와 20개의 작은 포대로 강화되었다. 1858년 6월 톈진 조약 체결 이후, 청나라 내 외세 반감이 커지면서 보르지기트 셍게린첸에게 포대 증강 명령이 내려졌다. 셍게린첸은 1859년 6월 다구 전투에서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을 격퇴했으나, 1860년 8월 21일 다구포대가 점령되고 10월 13일에는 베이징마저 함락되었다.2. 2. 1. 아편 전쟁
1522년부터 1527년까지 명나라 가정제 시대에 최초로 포대가 구축되었다. 1840년 청나라 때 아편 전쟁으로 외국 공격의 가능성이 높아지자 다구포대는 더 강화되어 5가지 대형 포대와 20개의 작은 포대가 설치되었다. 1841년, 아편 전쟁에 대응하여 다구포의 방어 체계는 5개의 대형 요새, 13개의 토루 포대, 13개의 토공사로 강화되었다. 1851년, 흠차대신 승격린친은 요새를 종합적으로 개조하여 6개의 대형 요새를 건설했다.
제2차 아편 전쟁으로 1858년 6월에 톈진 조약을 맺자 청나라에서는 외세에 대한 반감이 커졌고, 보르지기트 셍게린첸에게 다구포대 증강 명령을 내렸다. 셍게린첸은 1859년 6월 다구 전투에서 영국 프랑스 연합군을 격퇴했지만, 1860년 8월 21일에 다구포대는 점령되었고, 10월 13일에는 베이징도 점령당했다.[2]
2. 2. 2. 의화단 운동
1900년 청나라는 의화단 운동 중에 외국 열강으로부터 다구포대를 인도하라는 요구를 받았으나, 이를 거부했다. 그러자 열강은 다구포대를 공격하고 점령했고, 청나라는 열강에 선전 포고했다.[3] 그러나 청나라는 열강 8개국 연합군에 패배했고, 평화 협정인 베이징 의정서에서 다구포대를 철거하는 것이 명기되었다.[3]
다구 포대 전투 이후, 의화단 운동 (1899–1901) 동안 8개국 연합군이 중국을 침략하면서 대부분의 포대는 해체되었다.[4]
3. 현대
1900년 청나라는 의화단 운동 중에 외국 열강으로부터 다구포대를 인도하라는 요구를 받았으나, 이를 거부했다. 그러자 열강은 다구포대를 공격하고 점령했고, 청나라는 열강에 선전 포고했다. 그러나 청나라는 열강 8개국 연합군에 패배했고, 평화 협정인 베이징 의정서에서 다구포대를 철거하는 것이 명기되었다.[1]
현재 포대 터 2개가 현존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1988년에 보수되어 1997년 6월부터 공개되고 있다.[1]
4. 갤러리
참조
[1]
서적
The Literary Digest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The Victoria Cross
http://archive.iwm.o[...]
2013-04-05
[3]
간행물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一九八八年一月十三日公布,天津市人民政府立
[4]
간행물
一九六二年河北省天津市人民委員會公布,一九八二年七月九日天津市人民政府重新公布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