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우 이론은 찰스 다우가 제시한 주가 분석 이론으로, 시장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이 이론은 시장 가격이 모든 정보를 반영하며, 주요 트렌드는 3단계로 진행된다는 등의 6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한다. 시장에는 장기, 중기, 단기 세 가지 추세가 존재하며, 거래량과 평균 지표의 상호 확인을 통해 추세를 파악한다. 다우 이론은 비판과 재평가를 거쳐 현대 기술적 분석에도 활용되며, 이동평균선, 추세선 등 다양한 기술 지표의 기반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다우 이론 | |
---|---|
개요 | |
종류 | 주식 시장 이론 |
개발자 | 찰스 다우 |
최초 발표 | 19세기 후반 |
주요 개념 | 시장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시장에는 세 가지 추세가 있다 주요 추세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지수는 서로 확인되어야 한다 거래량은 추세를 확인한다 추세는 반전의 명확한 신호가 있을 때까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
역사적 배경 | |
창시자 | 찰스 다우 |
개발 시기 | 19세기 후반 |
기원 | 월스트리트 저널 편집 기사 |
다우 이론의 기본 원리 | |
시장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 시장 가격은 모든 이용 가능한 정보를 반영한다 |
시장에는 세 가지 추세가 있다 | 주요 추세 (1년 이상 지속) 중간 추세 (3주에서 3개월 지속) 사소한 추세 (3주 미만 지속) |
주요 추세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 축적 단계 참여 단계 분배 단계 |
지수는 서로 확인되어야 한다 | 서로 다른 시장 지표는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함께 움직여야 한다 |
거래량은 추세를 확인한다 | 거래량은 가격 움직임을 확인해야 한다 |
추세는 반전의 명확한 신호가 있을 때까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 추세는 반전될 때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해야 한다 |
추세 식별 | |
상승 추세 | 연속적인 고점과 저점이 높아지는 것 |
하락 추세 | 연속적인 고점과 저점이 낮아지는 것 |
횡보 추세 | 가격이 특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것 |
비판 | |
지연성 | 추세 반전을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
주관성 | 추세를 해석하는 데 주관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
단순성 | 복잡한 시장 행동을 단순화한다 |
관련 개념 | |
기술적 분석 | 과거 가격 및 거래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미래 가격 움직임을 예측하는 방법 |
펀더멘털 분석 | 회사의 재무제표 및 경제적 요인을 사용하여 주식의 내재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
2. 다우 이론의 기본 원칙
다우 이론은 다음과 같은 6가지 기본 법칙으로 구성되어 있다.
; 평균은 모든 사건을 반영한다
: 정부가 발표하는 경제 통계나 기업의 실적, 나아가 자연재해와 같은 예측 불가능한 사건에 이르기까지 수요와 공급에 관한 모든 사건은 시장 가격에 모두 반영된다. 시장 가격은 모든 펀더멘털(재료)을 반영한다는 생각이며, 그 의미에서 효율적 시장 가설의 주장에 기반한 생각이라고 할 수 있다. 주가는 새로운 정보가 입수되는 즉시 이를 빠르게 통합하며, 일단 뉴스가 발표되면 주가는 이 새로운 정보를 반영하도록 변경된다.
; 트렌드에는 3가지 종류가 있다
: 다우 이론에서는 가격 변동 분석에 있어서 시장 동향(트렌드)을 중시한다. 그 트렌드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분류한다.
:# 주요 트렌드: 1년~수 년의 사이클.
:# 이차 트렌드: 3주~3개월의 사이클.
:# 소 트렌드: 3주 미만의 사이클.
: 이러한 트렌드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이차 트렌드는 주요 트렌드의 조정 국면이며, 소 트렌드는 이차 트렌드의 조정 국면으로 파악된다.
; 주요 트렌드는 3단계로 이루어진다
: 또한 주요 트렌드는 매수세의 동향에 따라 3단계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 선행기: 시장 가격이 하락하여 모든 악재가 이미 반영되었다고 판단한 소수의 투자자가, 이른바 "바닥 매수"를 하는 시기. 가격은 하락하거나 바닥권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 추종기: 시장 가격의 상승을 보고 추종자들이 매수를 하는 시기. 가격은 상승 국면에 있다.
:# 이익 실현기: 가격이 충분히 상승한 것을 보고, 선행기에 매수를 한 투자자가 매도하여 이익을 확정하는 시기. 가격은 이미 그 전부터 상승 국면에 있지만, 그 상승하는 폭은 작아지고 있다.
; 평균은 상호 확인되어야 한다
: 복수의 평균적 지표가 존재하는 경우, 그 양쪽에서 동일한 신호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명백하게 트렌드로 파악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물론 신호가 동시기에 나타날 필요는 없지만, 최근에 신호가 발생했다면 트렌드로 파악해야 하며, 가능한 한 동시기에 가까울수록 확정적이라고 한다.
: 다우가 활약하던 시대의 미국에서는, 공업 생산이 활발해짐과 함께 제품을 수송하기 위한 철도가 정비된 시기였다. 공업 생산의 호조, 불황은 즉각 철도업의 경영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다우가 창간한 『월스트리트 저널』에서는 다우 존스 산업 평균 주가와 운수주 평균을 차트 형식으로 게재하고 있다.
; 트렌드는 거래량으로도 확인되어야 한다
: 시장의 종가 변동을 다우는 중시하지만, 마찬가지로 트렌드 발생의 확인 수단으로서 거래량의 추이도 중시한다.
: 예를 들어 상승 국면에서는 가격 상승 시에 거래량이 증가하고 가격 하락 시에는 거래량이 감소하며, 하락 국면에서는 반대가 된다. 주요 트렌드에 따라 거래하는 투자자가 다수이며, 이차 트렌드나 소 트렌드에서 이익을 얻으려는 투자자는 소수라고 생각하며, 그것이 거래량의 다소에 반영된다고 한다.
; 트렌드는 명확한 전환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지속된다
: 현재 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트렌드는, 명확하게 트렌드의 전환 신호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된다고 한다. 트렌드에 따른 매매를 통해 많은 투자자는 이익을 얻으며, 트렌드에 역행하는 매매로 이익을 얻는 것은 어렵다.
2. 1. 시장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주가는 기업 실적, 경제 지표, 자연재해 등 모든 정보를 반영한다. 이는 효율적 시장 가설과 유사한 관점이다. 정부가 발표하는 경제 통계나 기업의 실적, 나아가 자연재해와 같은 예측 불가능한 사건에 이르기까지 수요와 공급에 관한 모든 사건은 시장 가격에 모두 반영된다. 시장 가격은 모든 펀더멘털(재료)을 반영한다는 생각이며, 그 의미에서 효율적 시장 가설의 주장에 기반한 생각이라고 할 수 있다. 주가는 새로운 정보가 입수되는 즉시 이를 빠르게 통합하며, 일단 뉴스가 발표되면 주가는 이 새로운 정보를 반영하도록 변경된다.2. 2. 시장에는 세 가지 추세가 존재한다
다우 이론에 따르면, 시장에는 장기, 중기, 단기의 세 가지 추세가 동시에 존재한다. 이러한 추세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이차 추세는 주요 추세의 조정 국면이고, 소 추세는 이차 추세의 조정 국면으로 파악된다.- 주요 추세: 1년에서 수 년 동안 지속되는 장기적인 추세이다. 강세 또는 약세일 수 있다.
- 이차 추세: 3주에서 3개월 동안 지속되는 중기적인 추세이다. 주요 추세의 조정 국면으로, 일반적으로 이전 중간 스윙 또는 주요 움직임 시작 이후의 주요 가격 변화의 33%에서 66%를 되돌린다.
- 소 추세: 3주 미만의 단기적인 추세이다. 이차 추세의 조정 국면이다.
예를 들어, 강세 주요 추세(장기 상승) 내에서도 약세 보조 반등(중기 하락)과 같은 일시적인 단기 하락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
2. 3. 주요 추세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다우 이론에 따르면 주요 추세는 매수 주체와 시장 상황에 따라 세 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 (축적 단계): "정보를 아는" 투자자들이 시장의 일반적인 의견에 반하여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시기이다. 이 단계에서는 주식 가격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
- 2단계 (대중 참여 단계): 시장이 예리한 투자자들을 따라잡고 급격한 가격 변화가 발생하는 시기이다. 추세 추종자 및 기술 중심 투자자들이 참여한다. 이 단계는 투기가 만연할 때까지 계속된다.
- 3단계 (분배 단계): 예리한 투자자들이 시장에 보유 자산을 분배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러한 세 단계는 주요 트렌드의 각 국면을 나타낸다.
- 선행기:* 시장 가격이 하락하여 모든 악재가 반영되었다고 판단한 소수의 투자자가 매수하는 시기이다. 가격은 하락하거나 바닥권에서 횡보한다.
- 추종기:* 시장 가격 상승을 보고 추종자들이 매수하는 시기이다. 가격은 상승 국면에 진입한다.
- 이익 실현기:* 가격이 충분히 상승하여 선행기에 매수한 투자자가 매도하여 이익을 확정하는 시기이다. 가격 상승폭은 둔화된다.
2. 4. 평균은 상호 확인되어야 한다
다우 존스 산업 평균 주가와 운수주 평균과 같이, 복수의 평균적 지표가 존재하는 경우, 양쪽 모두에서 동일한 신호가 나타날 때 추세로 판단할 수 있다. 신호는 동시에 나타날 필요는 없지만, 최근에 발생했다면 추세로 간주하며, 동시에 가까울수록 더 확실하다고 본다.다우가 활동하던 시기의 미국은 공업 생산이 활발해지고 제품 수송을 위한 철도가 정비되던 시기였다. 공업 생산의 호조와 불황은 철도업 경영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다우가 창간한 『월스트리트 저널』에서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와 운수주 평균을 차트 형식으로 게재했다.
배런스''(Barron's Magazine)와 ''월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은 여전히 다우존스 운송 평균 지수(Dow Jones Transportation Average)의 일일 성과를 차트 형태로 발행한다. 이 지수에는 미국의 주요 철도, 해운 회사 및 항공 화물 운송업체가 포함되어 있다.
2. 5. 거래량은 추세를 확인한다
다우는 거래량이 가격 추세를 확인한다고 믿었다. 가격이 낮은 거래량으로 움직일 때는 여러 가지 설명이 있을 수 있지만, 가격 변동이 높은 거래량을 동반할 때는 "진정한" 시장 관점을 나타낸다고 보았다.상승 국면에서는 가격 상승 시에 거래량이 증가하고 가격 하락 시에는 거래량이 감소하며, 하락 국면에서는 반대가 된다. 주요 트렌드에 따라 거래하는 투자자가 다수이며, 이차 트렌드나 소 트렌드에서 이익을 얻으려는 투자자는 소수라고 생각하며, 그것이 거래량에 반영된다. 즉, 많은 참여자가 특정 증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가격이 한 방향으로 크게 움직이면, 이는 시장이 지속적인 움직임을 예상하는 방향이라는 신호로 해석된다.
2. 6. 추세는 명확한 전환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지속된다
다우 이론에 따르면, 현재의 추세는 명확한 전환 신호가 나타날 때까지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투자자는 추세에 순응하는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시장은 "시장 잡음"에도 불구하고 추세가 존재하며, 일시적으로 추세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곧 이전 움직임을 재개한다. 이러한 반전 동안에는 현재 추세에 유리하게 해석해야 한다. 반전이 새로운 추세의 시작인지, 아니면 현재 추세의 일시적인 움직임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기술적 분석 도구를 통해 분석할 수 있지만, 다른 투자자들에 의해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3. 다우 이론에 대한 비판과 재평가
알프레드 카울즈는 1934년 ''Econometrica''에 실린 연구에서 다우 이론에 따른 투자 수익률이 시장 평균 수익률보다 낮다고 비판했다. 카울즈는 1902년부터 1929년까지 바이앤홀드 전략이 연평균 15.5%의 수익률을, 다우 이론 전략이 연평균 12%의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카울즈의 연구가 불완전하며, 다우 이론이 위험 조정 수익률 측면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였다는 반론이 제기되었다.[1][2][3] W.P. 해밀턴이 1902년부터 1929년까지 다우 이론을 적용한 결과 초과 위험 조정 수익률을 기록했다는 것이다.[3] William Goetzmann, Stephen Brown, Alok Kumar는 바이앤홀드 전략의 수익률이 다우 이론 포트폴리오보다 2% 더 높았지만, 다우 이론 포트폴리오의 위험성과 변동성이 더 낮아, 결과적으로 다우 이론 포트폴리오가 더 높은 위험 조정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주장한다.[3]
4. 다우 이론의 현대적 적용
다우 이론은 현대 기술적 분석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이론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동평균선, 추세선, 지지/저항선, 그리고 다양한 기술적 지표들이 다우 이론에 기반을 두고 발전해왔다.
다우 이론의 주요 개념 중 하나는 "평균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는 정부의 경제 통계, 기업 실적, 자연재해 등 모든 사건이 시장 가격에 반영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효율적 시장 가설과도 일맥상통한다.
또한, 다우 이론은 시장에 세 가지 추세(단기, 중기, 장기)가 동시에 존재한다고 본다. 이러한 추세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주 추세는 1년에서 수 년, 2차 추세는 3주에서 3개월, 소 추세는 3주 미만의 사이클을 가진다.
가격 추세에는 3가지 국면(강세, 약세, 보합)이 있으며, 평균들은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서로를 확인해야 한다. 찰스 다우가 활동하던 시기에는 공업 생산과 철도 운송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와 운수주 평균을 함께 고려했다.
거래량은 시장 가격 추세 변동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추세는 명확한 전환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한국 투자자들은 다우 이론의 이러한 개념들을 활용하여 시장 추세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참고한다.
5. 다우 이론 관련 서적
찰스 다우가 집필한 서적은 아니지만, 그의 이론은 후대 사람들에 의해 연구되고 발전되었다. 다우 이론에 대한 주요 서적은 다음과 같다:
- 21세기 다우 이론(Dow Theory for the 21st Century): 잭 섀냅(Jack Schannep) 저.
- 오늘날의 다우 이론(Dow Theory Today): 리처드 러셀(Richard Russell) 저.
- 다우 이론(The Dow Theory): 로버트 레아(Robert Rhea) 저.
이 책들은 다우 이론의 기본 원칙과 현대 시장에서의 적용 방법을 설명한다. 다우 이론은 시장 가격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의 한 형태이며, 시장 추세, 거래량, 상호 확인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ore Proof For the Dow Theory", The New York Times, 9/6/98
https://web.archive.[...]
2006-07-16
[2]
뉴스
VIEWPOINT; More Proof for the Dow Theory
https://www.nytimes.[...]
1998-09-06
[3]
웹사이트
The Dow Theory: William Peter Hamilton's Record Reconsidered
https://web.archive.[...]
2007-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