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에틸렌 글라이콜(DEG)은 에틸렌 옥사이드의 가수분해로 생성되는 무색의 끈적한 액체로, 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가소제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DEG는 에틸렌 글라이콜 및 트리에틸렌 글라이콜과 관련되어 생성되며, 용매, 습윤제, 건조제 등으로도 활용된다. DEG는 독성이 있어 섭취 시 간, 중추 신경계, 신장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1937년 엘릭서 설파닐아미드 사건을 비롯하여 여러 중독 사고를 통해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현재는 식품 및 의약품 사용에 엄격한 규제가 적용되며, 중독 시 포메피졸 또는 에탄올 투여, 혈액 투석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 한국에서는 2008년 약사법 개정을 통해 치약에 DEG 배합이 금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라이콜 에터 - 페녹시에탄올
    페녹시에탄올은 살균 및 정균 특성을 가진 유기 화합물로, 향수 고정제, 방충제, 방부제, 용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화장품 및 의약품의 방부제, 수산 양식의 마취제로 널리 쓰이지만 알레르기 유발 및 신경 독성 우려로 사용량에 대한 규제가 있다.
  • 글라이콜 에터 - 히드록시진
    히드록시진은 항히스타민제, 항정신병제, 항불안제로 사용되며 가려움증, 불안, 멀미로 인한 구역질 치료에 사용되고 히스타민 H1 수용체에 대한 역작용을 통해 효과를 나타내며 졸음, 피로감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불순품 - 불순물
    불순물은 재료의 기능 저해 여부에 따라 원치 않거나 필요한 물질을 의미하며, 제거는 화학적, 물리적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때로는 재료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첨가되기도 한다.
  • 불순품 - 시카고 타이레놀 살인 사건
    시카고 타이레놀 살인 사건은 1982년 타이레놀 캡슐에 시안화물을 주입하여 7명이 사망한 사건으로, 기업 위기 관리와 포장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알코올 용매 - 메탄올
    메탄올은 가장 간단한 알코올로, 과거 목재 건류로 얻어 목정이라고도 불렸으나 현재는 합성 가스를 이용해 생산되며, 폼알데하이드 제조, 바이오디젤 생산, 용매, 부동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독성이 강해 섭취 시 실명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고,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그린 메탄올 생산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 알코올 용매 - 에탄올
    에탄올은 두 개의 탄소로 된 알코올로, 음료의 주성분, 살균제, 용매, 연료 등으로 쓰이며 에틸렌 수화 반응이나 당 발효를 거쳐 생산되고, 인화성이 높으며 섭취 시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IUPAC 이름2,2′-옥시디에탄올
기타 이름2,2′-옥시비스(에탄-1-올)
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탄-1-올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에틸렌 다이글라이콜
다이글라이콜
2,2′-옥시비스에탄올
2,2′-옥시디에탄올
3-옥사-1,5-펜탄다이올
다이하이드록시 다이에틸 에터
다이제노스
다이골
화학식C₄H₁₀O₃
분자량106.12 g/mol
외형무색 액체
밀도1.118 g/mL
녹는점-10.45 °C
끓는점244 ~ 245 °C
용해도임의의 비율로 혼합 가능
식별
CAS 등록번호111-46-6
PubChem8117
ChEBI46807
ChemSpider13835180
UNII61BR964293
KEGGC14689
SMILESOCCOCCO
InChI1/C4H10O3/c5-1-3-7-4-2-6/h5-6H,1-4H2
InChIKeyMTHSVFCYNBDYFN-UHFFFAOYAK
표준 InChI1S/C4H10O3/c5-1-3-7-4-2-6/h5-6H,1-4H2
표준 InChIKeyMTHSVFCYNBDYFN-UHFFFAOYSA-N
위험성
주요 위험가연성, 약한 독성
GHS 그림 문자

NFPA 704보건: 2
화재: 1
반응성: 0
인화점가연성
LD502 — 25 g/kg (경구, 쥐)
관련 화합물
관련 다이올에틸렌 글라이콜
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2. 제조

에틸렌 옥사이드의 부분적인 가수분해로 생성된다. 조건에 따라 다양한 양의 DEG 및 관련 글리콜이 생성된다. 결과 생성물은 에테르 결합으로 연결된 두 개의 에틸렌 글라이콜 분자이다.[4]

에틸렌 글라이콜(MEG) 및 트리에틸렌 글라이콜과 함께 부산물로 얻어진다. 업계는 일반적으로 MEG 생산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운영된다. 에틸렌 글리콜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글리콜 제품 중 가장 큰 생산량을 차지한다. DEG의 가용성은 DEG 시장 요구 사항보다는 1차 제품인 에틸렌 글라이콜 유도체의 수요에 달려 있다.[5]

에틸렌 글라이콜의 반응 부생성물로 얻어진다.

2016년도 일본 국내 생산량 및 소비량은 다음과 같다.[84]

항목생산량 (톤)공업 소비량 (톤)
다이에틸렌 글라이콜(에틸렌 글리콜 에테르)66,30912,060


3. 구조

에틸렌 옥사이드의 부분적인 가수분해로 생성된다. 조건에 따라 다양한 양의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및 관련 글리콜이 생성된다. 결과 생성물은 에테르 결합으로 연결된 두 개의 에틸렌 글리콜 분자이다.[4]

다이에틸렌 글라이콜은 에틸렌 글라이콜(MEG) 및 트리에틸렌 글라이콜과 함께 부산물로 얻어진다. 에틸렌 글라이콜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글리콜 제품 중 가장 큰 생산량을 차지한다. 다이에틸렌 글라이콜의 가용성은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시장 요구 사항보다는 1차 제품인 에틸렌 글라이콜 유도체의 수요에 달려 있다.[5]

다이에틸렌 글라이콜은 에틸렌옥사이드에서 파생된 여러 글리콜 중 하나이며, HOCH2CH2(OCH2CH2)''n''OH의 화학식을 갖는다. 관련 글리콜은 다음과 같다.


  • ''n'' = 0 에틸렌 글라이콜 ("부동액"); 모노에틸렌 글라이콜 (MEG)
  • ''n'' = 1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DEG)
  • ''n'' = 2 트리에틸렌 글라이콜, TEG 또는 트라이글라이콜
  • ''n'' = 3 테트라에틸렌 글라이콜
  • ''n'' = 4 펜타에틸렌 글라이콜
  • ''n'' > 4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이 화합물들은 모두 친수성이며, 다이올보다 더 친수성이 높은데, 이는 에테르 기능 때문이다.

4. 물리화학적 성질

무색의 끈끈하고 단맛이 나는 액체이다. 분자량은 106.12 g/mol, 끓는점은 244 °C, 어는점은 -10.45 °C이다.

5. 용도

다이에틸렌 글라이콜(DEG)은 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가소제 제조에 사용된다. 모르폴린과 1,4-다이옥산의 전구체이며, 니트로셀룰로스, 수지, 염료, 오일 및 기타 유기 화합물용매로 쓰인다. 담배, 코르크, 인쇄용 잉크접착제의 습윤제로도 사용되며,[6] 브레이크액, 윤활유, 벽지 제거제, 인공 안개 및 연무 용액, 난방/취사용 연료의 구성 요소이기도 하다.[16] 과거 개인 위생용품(예: 피부 크림 및 로션, 데오드란트)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글리콜 에테르로 대체되었다. 에틸렌 글라이콜 부동액에는 에틸렌 글라이콜 생산의 부산물로 존재하는 소량의 다이에틸렌 글라이콜이 포함되어 있다.

DEG는 천연 가스에서 물을 흡수하여 메탄 하이드레이트 형성을 최소화해 파이프를 막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산업용 건조제이다.[7]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글리세린 (또는 글리세롤) 또는 프로필렌 글라이콜의 위조품으로 사용되어 여러 국가에서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키기도 했다. 중국에서 저렴한 치약의 성분으로 사용된 경우와 유럽의 와인 제조업자들이 "달콤한" 와인을 만들기 위해 혼합물로 사용한 경우가 대표적이다.[20][21]

에틸렌 글라이콜의 반응 부산물로 얻어진다.

일본에서는 불포화 폴리에틸렌 수지의 원료로 사용되며, 2016년도 일본 국내 생산량은 66,309 t, 공업 소비량은 12,060 t이었다.[84] 부동액,[91] 브레이크액,[91] 윤활제, 잉크, 담배 첨가물(보습제), 섬유 유연제, 코르크 가소제, 접착제, 종이, 포장 재료, 페인트 등에 사용된다. 인화되지 않고, 유독한 증기를 발생시키거나 피부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반응에서 우수한 용매로 사용된다.

피부 흡수되지 않는다는 특성으로 인해 과거에는 화장품에도 많이 사용되었다. 음용/식용으로 섭취하지 않는 한, 독성은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약사법 "화장품 기준"에서 규제 대상이 아니었지만, 2008년 기준 개정을 통해 치약에는 배합 금지되었고, 글리세린은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0.1% 이하의 것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종전 규제인 약사법 "화장품 종류별 허가 기준"에서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에만 배합이 금지되었다.

6. 독성

에틸렌 글라이콜처럼 다이에틸렌 글라이콜(DEG)은 인체에 유독하다.[8] 1937년 설파닐아마이드 사태로 그 독성이 널리 알려졌다. DEG의 독성 용량은 체중 1kg당 0.14mg이며, 치사량은 1.0~1.63g/kg이다.[8] 중간 치사량(LD50)에 대해서는 자료에 따라 약 1mL/kg,[16] LD30[4] 등으로 다르게 보고된다. 이러한 유해성 때문에 DEG는 식품 및 의약품에 거의 사용이 허용되지 않는다.[9]

미국 연방 규정집에서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이 식품 첨가제로 사용될 때 DEG 함량을 0.2%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10] 호주에서는 치약에 포함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의 불순물로 DEG를 0.25% w/w 미만으로 허용한다.[11][12]

DEG는 동물 실험에서 "중간에서 낮은" 급성 독성을 보이며,[13] 작은 포유류의 LD50은 2~25g/kg이다. 이는 에틸렌 글라이콜보다는 덜 독성이지만, 여전히 인체에는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고농도에서만).[14] DEG는 실험 동물에서의 경구 독성 데이터보다 인체에 더 위험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15][16]

DEG는 물리적 특성 때문에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 글라이콜의 위조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중국에서는 저렴한 치약 성분으로 사용되었고, 유럽 와인 제조업자들은 "달콤한" 와인을 만들기 위한 혼합물로 사용하기도 했다.[20][21] 경구 섭취 시 간, 중추 신경계, 신장에 독성이 있으며, 사망 사례에서는 설사나 구토 후 신부전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DEG는 단맛을 가지고 있어 부동액 오음이나 와인 첨가물 등으로 인한 중독 사건을 일으키기도 한다.

6. 1. 독성 기전

다이에틸렌 글라이콜(DEG)은 섭취 후 위장관을 통해 흡수되어 혈류를 통해 신체 전체로 분포되며, 30~120분 이내에 혈중 최고 농도에 도달한다.[16][8] 간에서 DEG는 효소에 의해 대사된다.[16][8]

처음에는 DEG가 간에서 유독한 에틸렌 글리콜로 전환된다고 생각되었으나, 옥살산 칼슘 결정이 신장에 침착되지 않아 에틸렌 글리콜은 DEG 대사 경로에 있지 않음이 밝혀졌다.[16][8] 쥐 모델에 따르면 DEG는 간에서 NAD 의존성 알코올 탈수소 효소(ADH)에 의해 2-하이드록시에톡시아세트알데히드(C4H8O3)로 대사된다. 그 후, 2-하이드록시에톡시아세트알데히드는 알데히드 탈수소 효소(ALDH)에 의해 약산인 2-하이드록시에톡시아세트산(HEAA, C4H8O4)으로 대사된다. HEAA는 혈류를 통해 간을 떠나 부분적으로 신장에서 걸러져 배설된다.[16][8]

현재 문헌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대사되지 않은 DEG와 HEAA가 사구체 여과를 통해 부분적으로 재흡수된다고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HEAA와 그 대사 산물은 신장 지연을 일으켜 대사성 산증을 유발하고, 간과 신장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16][8]

6. 2. 중독 증상

다이에틸렌 글라이콜(DEG) 중독 증상은 일반적으로 세 단계로 나타난다.[16]

  • '''1단계:'''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 등 위장 증상이 나타난다. 일부 환자는 정신 상태 변화, 중추 신경계 억제, 혼수와 같은 초기 신경학적 증상과 경미한 저혈압을 보일 수 있다.
  • '''2단계:''' 섭취 후 1~3일 이내에 (섭취량에 따라) 환자는 대사성 산증을 겪으며, 이는 급성 신부전, 핍뇨,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 증가, 그리고 이후 무뇨증을 유발한다. 산증 및/또는 신장 부전으로 인한 다른 증상으로는 고혈압, 빈맥 및 기타 심장 부정맥, 췌장염, 고칼륨혈증 또는 경미한 저나트륨혈증이 보고되었다.
  • '''3단계:''' 섭취 후 최소 5~10일이 지나면 대부분의 증상은 진행성 기면, 안면 마비, 발성 장애, 동공 확장 및 무반응, 사지 마비, 그리고 사망으로 이어지는 혼수와 같은 신경학적 합병증과 관련이 있다.

6. 3. 중독 치료

포메피졸 또는 에탄올을 신속하게 투여하여 다이에틸렌 글라이콜이 신장 손상을 유발하는 화합물로 대사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16]

  • '''포메피졸''': 알코올 탈수소 효소(ADH) 억제제로, 에탄올보다 8000배 더 높은 친화력을 가진다. 이 치료법은 부작용이 거의 없다.[4] 그러나 치료 비용이 매우 비싸다(치료당 3000USD).[19]
  • '''에탄올''': 경쟁적인 ADH 기질이다. 효소를 적절하게 포화시키기 위해 1~1.5 g/L(호흡 중 0.5~0.75 mg/L에 해당)의 일정한 혈중 농도를 유지해야 한다. 체중 킬로그램당 0.6~0.7 g의 에탄올을 초기 용량으로 투여해야 한다(약 0.8 mL/kg 또는 0.013 fl.oz/lb). 이는 에탄올 중독을 유발한다.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잦은 혈청 모니터링과 용량 조절이 이루어져야 한다.[16]


DEG가 이미 대사되어 에탄올이나 포메피졸이 효과가 없는 늦은 진단의 경우, 혈액 투석이 유일한 치료법이 된다.[4] 혈액 투석은 에탄올 또는 포메피졸과 단독 또는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예후는 DEG 중독으로 인한 높은 사망률 때문에 신속한 진단과 치료에 달려 있다. 생존했지만 신부전이 발생한 환자는 투석 의존 상태로 남게 된다. 모든 환자는 심각한 이환율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4]

7. 중독 사건

다이에틸렌 글라이콜(DEG)은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 글라이콜의 위조품으로 사용되어 여러 국가에서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주요 중독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국가사건 내용사망자 수
1937년미국설파닐아미드 엘릭서 사건: S. E. 매생길 사가 제조한 설파닐아미드 엘릭서에 DEG가 사용됨. 이 사건은 1938년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 제정의 계기가 됨.[22][23][24][25]105명
1969년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일반 의약품 진정제에 DEG가 사용됨.7명
1985년오스트리아1985년 디에틸렌 글라이콜 와인 스캔들: 오스트리아 와인에서 최대 1,000ppm의 DEG가 검출됨. 여러 국가에서 수입 금지 및 와인 검사 실시.[29][30][31]-
1986년인도 봄베이글리세린에 DEG가 오염됨.21명
1990년나이지리아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 시럽에 DEG가 사용됨.47명
1990년~1992년방글라데시파라세타몰 시럽에 DEG가 오염됨.339명
1995년아르헨티나프로폴리스 시럽에 DEG가 함유됨.29명
1995년~1996년아이티아세트아미노펜 액체 제품(Afebril 및 Valodon)에 DEG가 오염됨.88명
2006년중국아밀라리신 A 등 여러 의약품에 DEG가 함유된 가짜 시럽 사용.-
2006년파나마사회보장연구소에서 제조한 기침 시럽 등에 DEG가 오염됨.219명 (2011년 6월 기준)
2007년파나마, 미국, 중국DEG가 함유된 중국산 치약 유통 사건. 30개국 이상에서 30개 이상의 브랜드가 연루됨.-
2008년나이지리아이가 나는 혼합제인 마이 피킨 베이비(My Pikin Baby)에 DEG가 오염됨.최소 84명
2019년~2020년브라질Backer 양조장의 맥주에 DEG가 오염됨.10명
2020년인도 잠무 카슈미르 연합 구역콜드베스트 PC 기침 시럽에 DEG가 오염됨.17명
2022년~2023년감비아,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오염된 기침 시럽으로 인해 5세 미만 어린이를 중심으로 발생.300명 이상



이 외에도 1985년에는 오스트리아에서 와인의 단맛을 높이기 위해 와인에 DEG를 혼합하여 출하한 사건이 있었다.

8. 한국의 규제

2007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치약의 다이에틸렌 글라이콜(DEG) 오염 사건[55] 이후, 대한민국은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선제적인 조치를 취했다. 2008년, 대한민국 약사법 "화장품 기준" 개정을 통해 치약에 DEG 배합을 금지하고, 글리세린은 DEG 함량 0.1% 이하인 것만 사용하도록 규제했다. 이전에는 대한민국 약사법 "화장품 종류별 허가 기준"에서 아이라이너 화장품에만 DEG 배합을 금지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iethylene glycol (CHEBI:46807) https://www.ebi.ac.u[...]
[2] 문서 DEG: LD50 for rats
[3] 간행물 Ethylene Glycol Wiley-VCH, Weinheim 2002
[4] 논문 Dietylene Glycol: Widely Used Solvent Presents Serious Poisoning Potential
[5] 웹사이트 Diethylene Glycol (DEG) http://www.chemicall[...]
[6] 서적 The Merck Index Merck & Co 2006
[7]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2003
[8] 논문 Toxic alcohol ingestions: clinical features, diagnosis, and management
[9] 문서 DEG: application restrictions
[10] 문서 ADDITIVES PERMITTED FOR DIRECT ADDITION TO FOOD FOR HUMAN: Polyethylene glycol http://frwebgate5.ac[...]
[11] 문서 Existing Chemical Hazard Assessment Report http://www.nicnas.go[...] 2009-06
[12] 웹사이트 Toothpaste containing more than 0.25 per cent by weight of diethylene glycol (DEG) http://www.accc.gov.[...] Australian Competition & Consumer Commission 2009-12-01
[13] 문서 Diethylene glycol toxicity
[14] 문서 Diethylene glycol: Human toxicity data
[15] 문서 DEG: why it more hazardous to humans, than animals?
[16] 논문 Diethylene glycol poisoning
[17] 논문 Current Management of Ethylene Glycol Poisoning
[18] 논문 On the Metabolic Acidosis of Ethylene Glycol Intoxication
[19] 문서 Internal Medicine Residency Program of the College of Medicine of Wake Forest University, North Caroline, U.S.A. http://intmedweb.wfu[...] 2009-12-08
[20] 논문 Medical sequelae of the contamination of wine with diethylene glycol
[21] 뉴스 Authorities warn against using some toothpastes http://archive.gulfn[...] GulfNews 2007-06-04
[22] 문서 Taste of Raspberries, Taste of Death – The 1937 Elixir Sulfanilamide Incident https://www.fda.gov/[...] FDA Consumer Magazine 1981-06
[23] 뉴스 Medicine: Post-Mortem http://www.time.com/[...] 1937-12-20
[24] 뉴스 Wallace Reveals How Federal Agents Traced Elixir to Halt Fatalities https://www.nytimes.[...] 1937-11-26
[25] 논문 Elixirs, diluents, and the passage of the 1938 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
[26] 문서 The History of FDA https://www.fda.gov/[...] FDA.gov
[27] 논문 Medication-associated diethylene glycol mass poisoning: A review and discussion on the origin of contamination https://zenodo.org/r[...]
[28] 논문 Acute intoxication due to topical application of diethylene glycol 1987-03
[29] 뉴스 Popular Wines found to hold toxic chemical.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5-11-01
[30] 뉴스 Scandal over poisoned wine embitters village in Austri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5-08-02
[31] 문서 Bureau of Alcohol, Tobacco, and Firearms. Industry Circular No. 86-13. http://www.ttb.gov/i[...] 1986-10-06
[32] 뉴스 Tainted wine clear roads. https://news.google.[...] Wilmington Morning Star 1986-12-22
[33] 뉴스 Austrian power plant to burn 'bad' wine. https://archive.toda[...] 1987-02-27
[34] 논문 Letter from Bombay. An unmitigated tragedy
[35] 논문 Diethylene glycol poisoning in Nigerian children
[36] 논문 Fatal renal failure caused by diethylene glycol in paracetamol elixir: the Bangladesh epidemic
[37] 논문 Clinical parameters, postmortem analysis and estimation of lethal dose in victims of a massive intoxication with diethylene glycol
[38] 논문 Comments on diethylene glycol concentrations
[39] 뉴스 Toll reaches 20 in tonic poisoning. http://nl.newsbank.c[...] Akron Beacon Journal (OH) 1992-08-22
[40] 서적 Inside the Outbreaks: The Elite Medical Detectives of the Epidemic Intelligence Service Mariner Books/Houghton Mifflin Harcourt 2010
[41] 논문 Fatalities associated with ingestion of diethylene glycol-contaminated glycerin used to manufacture acetaminophen syrup--Haiti, November 1995-June 1996. 1996-08-02
[42] 논문 Epidemic of pediatric deaths from acute renal failure caused by diethylene glycol poisoning. Acute Renal Failure Investigation Team. https://jamanetwork.[...] 1998-04-15
[43] 논문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Diethylene Glycol in Pharmaceuticals Implicated in Poisoning Epidemics: An Historical Laboratory Perspective https://academic.oup[...] 2007-07
[44] 뉴스 F.D.A. Tracked Poisoned Drugs, but Trail Went Cold in China https://www.nytimes.[...] 2007-06-17
[45] 뉴스 From China to Panama, a trail of Poisoned Medicine. https://www.nytimes.[...] 2007-06
[46] 뉴스 Aumentan Envenenados con Dietilene Glycol http://mensual.prens[...] 2009-12-11
[47] 논문 Outbreak of acute renal failure in Panama in 2006: a case-control study http://www.scielosp.[...]
[48] 뉴스 Video: China's Unwatched Drug Makers https://www.nytimes.[...] 2022-06-30
[49] 뉴스 Caso dietilene glycol puede viciarse: Troitiño http://mensual.prens[...] 2009-12-11
[50] 뉴스 24 Niños afectados por utilización de tóxico http://mensual.prens[...] 2009-12-11
[51] 뉴스 Rasfer Internacional se declara en bancarrota. http://mensual.prens[...] 2008-07
[52] 뉴스 Panamá bloquea el proceso español por el caso del jarabe asesino http://www.elpais.co[...] 2009-07
[53] 웹사이트 Testing of Glycerin for Diethylene Glycol https://www.fda.gov/[...] 2020-05-05
[54] 웹사이트 Son 219 muertos por jarabe http://mensual.prens[...] 2011-06-28
[55] 문서 Poisoned Toothpaste in Panama Is Believed to Be From China The New York Times 2007-05-19
[56] 웹사이트 China investigating toothpaste containing potentially deadly chemical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05-22
[57] 뉴스 U.S. checking all toothpaste imports from China http://www.cnn.com/2[...] CNN 2007-05-23
[58] 웹사이트 Gov't probes 'tainted toothpaste' case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09-12-10
[59] 문서 Toxic Toothpaste Made in China Is Found in U.S. The New York Times 2007-06-02
[60] 문서 FDA Advises Consumers to Avoid Toothpaste From China Containing Harmful Chemical. FDA Detains One Contaminated Shipment, Issues Import Alert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ress Release 2007-06-01
[61] 간행물 Counterfeit Colgate Toothpaste Found https://web.archive.[...] Colgate Palmolive Company Press Release 2007-06-14
[62] 간행물 Counterfeit Colgate Toothpaste Found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ress Release 2007-06-14
[63] 웹사이트 7online.com: Toothpaste recall expands 6/18/07 http://abclocal.go.c[...] 2007-06-21
[64] 문서 Wider Sale Is Seen for Toothpaste Tainted in China The New York Times 2007-06-28
[65] 뉴스 Toxin found in fake UK toothpaste http://news.bbc.co.u[...] 2010-05-01
[66] 뉴스 Tainted toothpaste across the worl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09-30
[67] 문서 The Everyman Who Exposed Tainted Toothpast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7-10-01
[68] 웹사이트 Nigeria child deaths from tainted teething mixture rise to 84 https://www.reuters.[...] 2009-02-06
[69] 뉴스 84 Children Are Killed by Medicine in Nigeria https://www.nytimes.[...] 2009-02-07
[70] 뉴스 Nigeria: 12 Held Over Tainted Syrup https://www.nytimes.[...] 2010-05-01
[71] 뉴스 84 Children Are Killed by Medicine in Nigeria https://www.nytimes.[...] 2010-05-01
[72] 웹사이트 NAFDAC Negotiates State of the art Anti Counterfeiting Equipment http://www.nafdac.go[...] 2009-12-11
[73] 뉴스 Laudo da Polícia Civil aponta que cerveja adulterada causou doença misteriosa em BH https://www.em.com.b[...] 2020-07-20
[74] 뉴스 Polícia confirma 3ª morte por síndrome nefroneural https://noticias.uol[...] 2020-07-20
[75] 뉴스 Ministério da Agricultura identifica contaminação em oito rótulos de cervejas da Backer https://g1.globo.com[...] G1 2020-07-20
[76] 뉴스 Morre 10ª vítima por intoxicação de cerveja da Backer https://www.terra.co[...] 2020-07-20
[77] 뉴스 Behind killer cough syrup Coldbest: Glaring gaps in regulation and its manufacture https://indianexpres[...] Indian Express 2020-03-12
[78] 뉴스 J&K children deaths: Kids consumed cough syrup with poisonous chemical, probe reveals https://www.moneycon[...] Moneycontrol 2020-03-12
[79] 뉴스 Contaminated Indian medicines linked to deaths of 66 children in Gambia: WHO https://www.tribunei[...] Tribune India 2022-10-05
[80] 뉴스 Gambia says child deaths linked to cough syrup have risen to 70 https://www.reuters.[...] 2022-10-15
[81] 뉴스 Indonesia bans all syrup medicines after death of 99 children https://www.bbc.com/[...] 2022-10-21
[82] 서적 Merck Index 14th ed.
[83] 웹사이트 法規情報 http://www.tcichemic[...] 東京化成工業株式会社
[84] 웹사이트 経済産業省生産動態統計年報 化学工業統計編 https://www.meti.go.[...]
[85] 웹사이트 ジエチレングリコール 275 https://web.archive.[...]
[86] 웹사이트 1,2−エタンジオール 264 https://web.archive.[...]
[87] 뉴스 2007年7月6日毎日新聞 2007-07-06
[88] 뉴스 2007年6月1日朝日新聞 2007-06-01
[89] 간행물 FDA文章 http://www.fda.gov/b[...]
[90] 웹사이트 WHO、汚染薬巡り行動要請 咳止め薬による子ども死亡受け https://jp.reuters.c[...] 2023-01-24
[91] 문서 自動車用ではエチレングリコールやプロピレングリコールも使用されている(基本的には指定されているものを入れるべきで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