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수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수이역은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선의 역으로, 1901년 타이완 총독부 철도 단수이선 개통과 함께 단수이 정거장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고가 2층 구조로, 1층에 대합실과 역무 시설, 2층에 승강장이 있으며, 3개의 출구가 있다. 단수이구 중심부에 위치하여 관광 명소와 편의 시설이 인접해 있으며, 1일 평균 이용객은 2010년대 초 연간 1400만 명 이상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수이구 - 양밍산
양밍산은 중화민국 타이베이시와 신베이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왕양명을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화산 지형을 특징으로 하고, 샤오유컹 등 관광 명소가 있으며, 눈 내리는 풍경으로 유명하다. - 단수이구 - 훙마오성
훙마오성은 17세기 초 스페인이 건설한 산토 도밍고 성에서 시작되어 네덜란드, 정성공, 청나라, 영국을 거치며 다양한 국가의 영향을 받은 단수이의 역사적인 건축물로, 현재는 박물관으로 공개된 타이완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 타이베이 첩운 - 타이베이역
타이베이역은 대만 타이베이시 중정구에 위치한 대만 최대 규모의 철도역으로, 타이완 고속철도, 타이완 철로 관리국, 타이베이 첩운 노선이 지나가며, 지상 6층, 지하 4층 구조로 철도, 첩운, 상업 시설을 갖추고 대규모 환승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 타이베이 첩운 - 타이베이 첩운 샤오비탄 지선
타이베이 첩운 샤오비탄 지선은 2004년 9월에 개통된 타이베이 첩운의 지선 노선으로, 치장역과 신베이 시 신뎬 구의 샤오비탄역을 연결하며, 소음 문제로 방음벽이 설치되었고, C341형과 C371형 열차가 운행되며, 샤오비탄역에는 신뎬 차량기지와 공동 개발 계획이 있다.
단수이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신베이시 담수구 중정로 1호 |
좌표 | 25.1681, 121.4455 |
자전거 | 접근 불가 |
웹사이트 | 담수역 공식 웹사이트 |
노선 정보 | |
노선 | 단수이-신이선 (R28) 단하이 경전철 (V21) |
역 구조 | 고가역 |
개업일 | 1997년 3월 28일 (단수이-신이선) 2024년 (단하이 경전철) |
승객 수 | 연간 2791만 명 |
승객 수 변화율 | -3.06% |
승객 수 기준 년도 | 2017년 |
서비스 | |
단수이-신이선 | 왼쪽: 시앙산 오른쪽: 훙수린역 |
단하이 경전철 (미래) | 오른쪽: 마카이 거리 왼쪽: 훙수린역 |
한국어 정보 | |
한자 | 淡水 |
병음 | Dànshuǐ |
웨이드-자일스 | Tan⁴-shui³ |
보포모포 | ㄉㄢˋ ㄕㄨㄟˇ |
페-오-지 | Tām-chúi |
타이루어 | Tām-tsuí |
하카어 병음 | Thâm-súi |
일본어 정보 | |
일본어 (한자) | 淡水駅 |
일본어 (가나) | たんすいえき |
로마자 | Tansui Eki |
2. 역 구조
단수이역은 2층 규모의 고가역으로, 1층에는 대합실, 매표소 등 역무 시설이 있고, 2층에는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 있다. 승강장과 개찰구는 계단과 엘리베이터로 연결되어 있으며, 화장실은 개찰구 안에 있다.[11] 출구는 3개가 있으며, 1, 2번 출구는 동쪽에, 3번 출구는 서쪽에 있다.
- 1번 출구: 중정로
- 2번 출구: 학부로
- 3번 출구: 금색수안
2. 1. 승강장
단수이역은 2층 규모의 고가역으로, 1층에는 대합실과 매표기 등 각종 역무 시설이 있고, 2층에 승강장이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다.[3]1·2 |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샹산 방면) |
---|
1901년 8월 25일, 타이완 총독부 철도부 단수이선 개통과 함께 '''단수이 정거장'''으로 영업을 시작했다.[6] 1951년 역사를 개보수했다. 1988년 7월 15일 단수이선 운행이 종료되었고, 다음 날인 7월 16일 폐지되어 지하철 공사가 시작되었다. 1997년 3월 28일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선 개통과 함께 첩운역으로 개업했다.
3. 역사
1999년부터 2014년까지 신뎬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쑹산-신뎬선 공사로 인해 단수이역에서 종착했다.
3. 1. 타이완 철로 단수이역 (1901-1988)
1901년 8월 25일, 타이완 총독부 철도부 단수이선 개통과 함께 '''단수이 정거장'''으로 영업을 시작했다.[6] 1951년 역사를 개보수했다. 1988년 7월 15일 단수이선 운행이 종료되었고, 다음 날인 7월 16일 폐지되어 지하철 공사가 시작되었다.
3. 2.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역 (1997-현재)
4. 이용 현황
연도 | 타이베이 첩운 | 타이완 철로 | |||
---|---|---|---|---|---|
승차 (명) | 하차 (명) | 1일 평균 승하차 (명) | 승차 (명) | 하차 (명) | 1일 평균 승하차 (명) |
1901 | colspan=3| | 39,683 | 46,543 | 394 | |
1902 | colspan=3| | 65,524 | 67,100 | 363 | |
1903 | colspan=3| | 65,793 | 66,375 | 361 | |
1904 | colspan=3| | 68,546 | 69,995 | 380 | |
1905 | colspan=3| | 75,838 | 74,000 | 411 | |
1906 | colspan=3| | 78,247 | 76,942 | 425 | |
1907 | colspan=3| | 77,881 | 77,230 | 424 | |
1908 | colspan=3| | 85,692 | 83,154 | 463 | |
1909 | colspan=3| | 87,189 | 86,423 | 476 | |
1910 | colspan=3| | 80,169 | 82,341 | 445 | |
1911 | colspan=3| | 87,915 | 88,184 | 481 | |
1912 | colspan=3| | 91,227 | 95,125 | 511 | |
1913 | colspan=3| | 88,797 | 92,103 | 496 | |
1914 | colspan=3| | 101,768 | 99,627 | 552 | |
1915 | colspan=3| | 95,091 | 86,783 | 497 | |
1916 | colspan=3| | 95,455 | 90,987 | 511 | |
1917 | colspan=3| | 105,456 | 102,260 | 569 | |
1918 | colspan=3| | 132,653 | 125,403 | 707 | |
1919 | colspan=3| | 159,353 | 146,193 | 835 | |
1920 | colspan=3| | 168,525 | 160,492 | 901 | |
1921 | colspan=3| | 156,493 | 153,487 | 849 | |
1922 | colspan=3| | 149,531 | 148,420 | 816 | |
1923 | colspan=3| | 154,023 | 151,631 | 837 | |
1924 | colspan=3| | 174,534 | 172,222 | 950 | |
1925 | colspan=3| | 181,171 | 176,819 | 981 | |
1926 | colspan=3| | 179,422 | 179,802 | 984 | |
1927 | colspan=3| | 170,077 | 178,007 | 954 | |
1928 | colspan=3| | 183,367 | 185,837 | 1,012 | |
1929 | colspan=3| | 189,698 | 194,166 | 1,052 | |
1930 | colspan=3| | 170,651 | 176,727 | 952 | |
1931 | colspan=3| | 144,747 | 147,596 | 799 | |
1932 | colspan=3| | 130,725 | 134,590 | 727 | |
1933 | colspan=3| | 137,982 | 142,070 | 767 | |
1934 | colspan=3| | 164,856 | 166,287 | 907 | |
1935 | colspan=3| | 205,706 | 207,670 | 1,129 | |
1936 | colspan=3| | 219,198 | 220,513 | 1,205 | |
1937 | colspan=3| | 237,479 | 243,918 | 1,319 | |
1938 | colspan=3| | 256,632 | 262,803 | 1,423 | |
1946 | colspan=3| | 491,182 | 672,038 | 3,187 | |
1952 | colspan=3| | 684,992 | 721,442 | 3,853 | |
1953 | colspan=3| | 688,410 | 587,804 | 3,496 | |
1954 | colspan=3| | 718,001 | 716,607 | 3,930 | |
1955 | colspan=3| | 848,313 | 907,143 | 4,809 | |
1956 | colspan=3| | 1,001,128 | 1,058,787 | 5,628 | |
1957 | colspan=3| | 1,381,128 | 1,517,446 | 7,941 | |
1958 | colspan=3| | 1,525,196 | 1,453,933 | 8,162 | |
1959 | colspan=3| | 1,507,983 | 1,429,232 | 8,025 | |
1960 | colspan=3| | 1,671,943 | 1,621,860 | 8,999 | |
1961 | colspan=3| | 1,839,519 | 1,787,070 | 9,936 | |
1962 | colspan=3| | 1,714,074 | 1,711,288 | 9,385 | |
1963 | colspan=3| | 1,695,699 | 1,682,243 | 9,229 | |
1964 | colspan=3| | 1,776,089 | 1,748,567 | 9,630 | |
1965 | colspan=3| | 1,833,301 | 1,792,685 | 9,934 | |
1966 | colspan=3| | 1,904,680 | 1,865,739 | 10,330 | |
1967 | colspan=3| | 2,046,929 | 2,069,715 | 11,248 | |
1968 | colspan=3| | 2,248,715 | 2,263,058 | 12,327 | |
1969 | colspan=3| | 2,086,920 | 2,119,491 | 11,524 | |
1970 | colspan=3| | 1,981,558 | 1,984,871 | 10,867 | |
1971 | colspan=3| | 1,467,810 | 1,446,742 | 7,963 | |
1972 | colspan=3| | 1,394,907 | 1,345,593 | 7,488 | |
1973 | colspan=3| | 1,886,412 | 1,822,948 | 10,163 | |
1974 | colspan=3| | 3,009,271 | 2,936,592 | 16,290 | |
1975 | colspan=3| | 3,124,329 | 3,080,845 | 17,000 | |
1976 | colspan=3| | 3,063,006 | 3,028,700 | 16,644 | |
1977 | colspan=3| | 2,987,096 | 2,965,301 | 16,308 | |
1978 | colspan=3| | 3,074,316 | 3,046,454 | 16,769 | |
1979 | colspan=3| | 2,639,637 | 2,582,047 | 14,306 | |
1980 | colspan=3| | 2,826,379 | 2,750,425 | 15,237 | |
1981 | colspan=3| | 2,448,312 | 2,413,932 | 13,321 | |
1982 | colspan=3| | 2,026,436 | 2,043,984 | 11,152 | |
1983 | colspan=3| | 1,719,110 | 1,746,803 | 9,496 | |
1984 | colspan=3| | 1,588,010 | 1,588,578 | 8,679 | |
1985 | colspan=3| | 1,629,644 | 1,630,243 | 8,931 | |
1986 | colspan=3| | 1,495,848 | 1,485,365 | 8,168 | |
1987 | colspan=3| | 1,322,575 | 1,301,483 | 7,189 | |
1988 | colspan=3| | 775,820 | 847,542 | 8,240 | |
1997 | 2,596,232 | 2,775,338 | 20,270 | colspan=3| | |
1998 | 4,928,025 | 5,105,391 | 27,489 | colspan=3| | |
1999 | 7,684,442 | 7,793,678 | 42,406 | colspan=3| | |
2000 | 9,389,269 | 9,592,337 | 51,862 | colspan=3| | |
2001 | 9,662,604 | 9,702,620 | 53,055 | colspan=3| | |
2002 | 10,084,136 | 9,969,341 | 54,941 | colspan=3| | |
2003 | 9,876,086 | 9,777,859 | 53,846 | colspan=3| | |
2004 | 10,623,340 | 10,529,133 | 57,794 | colspan=3| | |
2005 | 10,884,842 | 10,750,385 | 59,275 | colspan=3| | |
2006 | 11,458,624 | 11,298,540 | 62,348 | colspan=3| | |
2007 | 11,817,866 | 11,628,098 | 64,236 | colspan=3| | |
2008 | 12,507,900 | 12,257,624 | 67,665 | colspan=3| | |
2009 | 12,408,905 | 12,157,363 | 67,305 | colspan=3| | |
2010 | 12,634,296 | 12,335,597 | 68,411 | colspan=3| | |
2011 | 13,449,899 | 13,113,757 | 72,777 | colspan=3| | |
2012 | 14,118,922 | 13,765,136 | 76,186 | colspan=3| | |
2013 | 14,690,423 | 14,344,175 | 79,547 | colspan=3| | |
2014 | 14,762,892 | 14,420,300 | 79,954 | colspan=3| | |
2015 | 14,612,262 | 14,237,028 | 79,039 | colspan=3| | |
2016 | 14,582,090 | 14,212,091 | 78,673 | colspan=3| | |
2017 | 14,140,076 | 13,774,118 | 76,477 | colspan=3| | |
2018 | 14,375,721 | 13,925,436 | 77,537 | colspan=3| | |
2019 | 14,472,026 | 13,571,505 | 76,832 | colspan=3| | |
2020 | 11,728,224 | 10,821,725 | 61,612 | colspan=3| | |
2021 | 9,214,096 | 8,445,464 | 48,382 | colspan=3| |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개통 이후 단수이역의 이용객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대 초반에는 연간 1400만 명 이상이 이용하였다. 그러나 2020년 이후 COVID-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이용객 수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타이베이 첩운의 주요 역 중 하나이다. 2001년에는 태풍 나리의 영향으로 운행이 일시 중단되기도 하였다.[13]
5. 역 주변
단수이역은 단수이구 중심부에 있어 여러 관광 명소와 편의 시설이 주변에 많이 있다. 단수이 라오제, 단수이강, 단수이 석양 경관 지구, 하빈 공원, 단수이 강변 자전거길 등이 역에서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있다.[3] 역 주변에는 단장대학, 잉좐루 야시장, 단수이구청, 신베이시 정부 경찰국 등이 있다. 역 앞에는 버스 정류장이 있어 단하이, 어인부두, 북해안, 팔리 등으로 갈 수 있다. 또한, YouBike (신베이시 공공 자전거) 대여소가 있어 자전거를 이용하기에도 편리하다.[4]
6. 버스 노선
역 앞 동쪽 및 북쪽에 "첩운 단수이(淡水)역" 버스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으며, 단하이(淡海), 어인마터우(漁人碼頭, 위런마터우), 북해안, 팔리(八里) 등으로 가는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노선 | 운행 사업자 | 구간 | 각주 |
---|---|---|---|
308 | 指南客運중국어 | 단장대학 - 첩운 젠탄역 | |
631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베이터우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756 | 즈난(指南)여객 | 단장대학 - 베이먼(北門) | |
757 | 즈난(指南)여객 | 단하이 신시진 - 타이베이 | 3단계 요금 징수. |
821 | 中興巴士중국어 | 싼즈 - 천원과학관 | 4단계 요금 징수.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36 | 즈난(指南)여객 | 첩운 단수이역 - 위런마터우 | 단수이 고적 지구 유원 버스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37 | 淡水客運중국어 | 단하이 - 푸더리(福德里) | 휴일에는 위런마터우까지 운행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57 | 三重客運중국어 | 단하이 - 반차오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60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타이2선 - 싼즈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61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싼즈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62 | 淡水客運중국어, 基隆客運중국어 | 첩운 단수이역 - 龜吼漁港중국어 | 台灣好行중국어 황관 북해안선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63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진산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64 | 淡水客運중국어 | 싼즈 - 첩운 젠탄역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65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마오린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66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네이헝산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67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젠산후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68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小坪頂 (新北市)중국어-단수이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69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가오얼푸산좡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70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충산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71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淡水屯山古聖廟行忠堂중국어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72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중타이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73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중허리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74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大湖 (新北市)중국어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75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베이신좡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76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싼즈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77 | 淡水客運중국어 | 단수이 - 스먼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78 | 淡水客運중국어 | 팔리 - 첩운 단수이역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80 | 즈난(指南)여객 | 단하이 - 수린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81 | 즈난(指南)여객 | 첩운 단수이역 - 단하이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82 | 淡水客運중국어 | 첩운 훙수린역 - 싼즈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83 | 즈난(指南)여객 | 단하이 - 수린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92 | 즈난(指南)여객 | 스먼 - 타이베이 | 6단계 요금 징수.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93 | 즈난(指南)여객 | 단수이 - 베이신좡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947 | 즈난(指南)여객, 淡水客運중국어 | 단하이 - 반차오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983 | 淡水客運중국어 | 단하이 신시진 - 첩운 관두역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1505 | 즈난(指南)여객 | 단하이 - 중허 | 4단계 요금 징수. |
훙26 | 즈난(指南)여객 | 위런마터우 - 첩운 단수이역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훙27 | 즈난(指南)여객 | 첩운 단수이역 - 단장대학 (측문 밖)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훙28 | 淡水客運중국어 | 첩운 단수이역 - 단장대학 (정문 안)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훙28직 | 淡水客運중국어 | 첩운 단수이역 - 단장대학 | 덩궁루로 직행.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훙36 | 淡水客運중국어 | 신춘지에 - 첩운 단수이역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훙37 | 淡水客運중국어 | 단하이 신시진 - 첩운 단수이역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훙38 | 淡水客運중국어 | 단하이 신시진 - 첩운 단수이역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894 | 淡水客運중국어 | 단하이 신시진 - 첩운 단수이역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훙39 | 淡水客運중국어 | 신춘지에 - 첩운 단수이역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훙51 | 淡水客運중국어 | 단하이 신시진 - 첩운 단수이역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F101 | 즈난(指南)여객 | 핑딩 - 수싱 | 신베이시 구내 무료 버스 소속. |
F102 | 즈난(指南)여객 | 충랴오 - 수싱 | 신베이시 구내 무료 버스 소속. |
F103 | 즈난(指南)여객 | 충랴오 - 충산 | 신베이시 구내 무료 버스 소속. |
F105 | 즈난(指南)여객 | 싱런 - 충산 | 신베이시 구내 무료 버스 소속. |
F106 | 즈난(指南)여객 | 싱런 - 툰산(해안선) | 신베이시 구내 무료 버스 소속. |
F107 | 즈난(指南)여객 | 주웨이 - 간전 | 신베이시 구내 무료 버스 소속. |
F108 | 즈난(指南)여객 | 주웨이 - 간전 | 신베이시 구내 무료 버스 소속. |
F109 | 즈난(指南)여객 | 베이터우 - 피다오 | 신베이시 구내 무료 버스 소속. |
F110 | 즈난(指南)여객 | 단거리 구간차 | 신베이시 구내 무료 버스 소속. |
F111 | 즈난(指南)여객 | 崁頂 (臺北市)중국어 - 신싱 | 신베이시 구내 무료 버스 소속. |
F112 | 즈난(指南)여객 | 사룬 - 유처 | 신베이시 구내 무료 버스 소속. |
단수이-난강 점프 버스 | 淡水客運중국어 | 단하이 - 반차오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단수이-네이후-난강 점프 버스 | 淡水客運중국어 | 단하이 - 반차오 | 신베이시 시내버스 소속. |
참조
[1]
웹사이트
Chronicles
https://english.metr[...]
2018-10-10
[2]
웹사이트
臺北市交通統計查詢系統
http://dotstat.taipe[...]
2018-09-15
[3]
웹사이트
Route Map: Danshui
http://web.trtc.com.[...]
Taipei Rapid Transit Corporation
2010-06-20
[4]
웹사이트
What is the policy and fare for taking bicycles on Taipei metro?
https://english.metr[...]
2018-12-27
[5]
웹사이트
Taipei Rapid Transit Corporation - Metro Service First & Last Trains
https://english.metr[...]
2019-07-29
[6]
서적
官報. 1901年08月31日
https://dl.ndl.go.jp[...]
大蔵省印刷局
1901-08-19
[7]
뉴스
台北捷運車站英譯 年底全面改為漢語拼音式
http://www.epochtime[...]
大紀元
2003-11-23
[8]
뉴스
淡水、鹿港不愛漢語拼音 2古城爭回傳統譯名
https://news.ltn.com[...]
自由時報
2011-06-28
[9]
간행물
6 經營成果
https://www-ws.gov.t[...]
台北市政府
2018-11-01
[10]
뉴스
捷運淡水站新出口3號 走到老街更方便
https://news.housefu[...]
好房網News
2019-12-28
[11]
문서
http://web.metro.tai[...]
[12]
보고서
臺北市統計要覽
https://twinfo.ncl.e[...]
國家圖書館 政府統計資訊網
1998-06
[13]
웹사이트
臺北捷運各站進出人次
https://dotstat.gov.[...]
臺北市政府交通局
2022-02-15
[14]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15]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16]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17]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18]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19]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1]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2]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3]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4]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5]
서적
台湾総督府統計書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6]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15(大正2年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7]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16(大正3年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8]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17(大正4年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9]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18(大正5年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30]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19(大正6年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31]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20(大正7年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32]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21(大正8年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33]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22(大正9年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34]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23(大正10年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35]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24(大正11年度)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36]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25(大正12年度)
https://dl.ndl.go.jp[...]
[37]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26(大正13年度)
https://dl.ndl.go.jp[...]
[38]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27(大正14年度)
https://dl.ndl.go.jp[...]
[39]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28(昭和元年度)
https://dl.ndl.go.jp[...]
[40]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29(昭和2年度)
https://dl.ndl.go.jp[...]
[41]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30(昭和3年度)
https://dl.ndl.go.jp[...]
[42]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31(昭和4年度)
https://dl.ndl.go.jp[...]
[43]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32(昭和5年度)
https://dl.ndl.go.jp[...]
[44]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33(昭和6年度)
https://dl.ndl.go.jp[...]
[45]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34(昭和7年度)
https://dl.ndl.go.jp[...]
[46]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35(昭和8年度)
https://dl.ndl.go.jp[...]
[47]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36(昭和9年度)
https://dl.ndl.go.jp[...]
[48]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37(昭和10年度)
https://dl.ndl.go.jp[...]
[49]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38(昭和11年度)
https://dl.ndl.go.jp[...]
[50]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39(昭和12年度)
https://dl.ndl.go.jp[...]
[51]
서적
台湾総督府交通局鉄道年報. 第40(昭和13年度)
https://dl.ndl.go.jp[...]
[52]
서적
臺灣鐵路業務統計要覽 民國35年度
https://tm.ncl.edu.t[...]
臺灣省行政長官公署交通處鐵路管理委員會
1947-05
[53]
웹사이트
淡水鎮志 下冊
https://tm.ncl.edu.t[...]
淡水鎮公所
2019-06-01
[54]
간행물
中華民國73年 臺灣鐵路統計年報 各站客貨運狀況 Volume of Passenger & Freight Traffic
https://twinfo.ncl.e[...]
國家圖書館 政府統計資訊網
1985-06
[55]
간행물
中華民國74年 臺灣鐵路統計年報 各站客貨運狀況 Volume of Passenger & Freight Traffic
https://twinfo.ncl.e[...]
國家圖書館 政府統計資訊網
1986-06
[56]
간행물
中華民國75年 臺灣鐵路統計年報 各站客貨運狀況 Volume of Passenger & Freight Traffic
https://twinfo.ncl.e[...]
國家圖書館 政府統計資訊網
1987-06
[57]
간행물
中華民國76年 臺灣鐵路統計年報 各站客貨運狀況 Volume of Passenger & Freight Traffic
https://twinfo.ncl.e[...]
國家圖書館 政府統計資訊網
1988-06
[58]
간행물
中華民國77年 臺灣鐵路統計年報 各站客貨運狀況 Volume of Passenger & Freight Traffic
https://twinfo.ncl.e[...]
國家圖書館 政府統計資訊網
198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