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영광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영광송은 2~3세기에 유행한 찬송가로, "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느님께 영광"으로 시작하는 가사를 특징으로 한다. 라틴어 번역은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에게 귀속되며, 한국 개신교, 정교회, 천주교에서 각기 다른 번역과 전례 방식으로 사용된다. 로마 전례에서는 미사 때 사용되며, 다양한 음악적 설정으로 편곡되어 널리 불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찬가 - 영광송
    영광송은 기독교에서 삼위일체를 기리는 찬양으로,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예배 의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글로리아 파트리와 개신교 찬송가, 성찬례나 주기도에 덧붙여지는 형태 등 교파별로 고유하게 사용된다.
  • 기독교의 찬가 - 어메이징 그레이스
    어메이징 그레이스는 존 뉴턴이 작사하고 작곡가는 불명인 찬송가로, 죄에서 구원받은 감격, 과거 회한, 신의 사랑에 대한 감사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설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무반주 일성부 성가로, 로마와 갈리아 성가의 통합을 거쳐 서방 기독교 세계의 표준 성가로 자리매김했으며, 교회 선법 체계화 및 네우마 기보법 발달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성모송
    성모송은 가브리엘 대천사와 엘리사벳의 인사말에 기반하여 하느님 찬양과 성모 마리아에게 애원과 찬미를 드리는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기도로, 묵주기도의 기본이 되며 다양한 언어 번역본과 음악 작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 루가의 복음서 - 엘리사벳
    사가리아의 아내이자 세례 요한의 어머니인 엘리사벳은 마리아의 친척으로, 오랫동안 불임이었으나 고령에 요한을 임신하여 마리아 방문 시 성령의 인도로 축복의 말을 전했으며, 이는 아베 마리아 기도의 일부가 되었다.
  • 루가의 복음서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영광송
개요
이름글로리아 인 엑스첼시스 데오
대영광송
언어라틴어
종류기독교 찬송가
기원초기 기독교
용도미사
성무일도
다른 이름큰 영광송
가사
시작 가사 (라틴어)Gloria in excelsis Deo
성경적 근거루가 복음서 2장 14절
음악

2. 역사

Gloria in excelsis Deo|italic=nola는 2~3세기에 유행했던 ''psalmi idiotici''("사적인 시편", 즉, 성경의 시편을 모방한 개인의 작품)의 예시이다. 이 서정시의 다른 현존하는 예로는 테 데움과 Phos Hilaron이 있다.[5] 4세기에는 아침 기도문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재도 비잔틴 전례오르토스 예식에서 암송되고 있다.[1]

라틴어 번역은 전통적으로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368년경)에게 귀속되는데, 그는 동방(359–360)에 있는 동안 이 찬가를 접했을 수 있다. 이로써, 이는 Vetus Latina로 알려진 초기 라틴어 성경 번역의 느슨한 전통의 일부가 되었다.[5] 불가타 라틴어 성경 번역은 382년에 의뢰되었다.[6]

라틴 찬송가는 에서 그리스어 단어 ὑψίστοις – ''hypsístois''(가장 높은)를 번역하기 위해 ''excelsis''를 사용했으며, 제롬이 그의 번역에 선호했던 단어 ''altissimis''는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단어는 마지막 부분에서 사용되었다: ''tu solus Altissimus, Iesu Christe''(당신만이 가장 높으신 분, 예수 그리스도).

3. 한국 개신교

한국 개신교에서는 대한성공회기독교한국루터회에서 대영광송을 사용한다.

3. 1. 대한성공회

대한성공회에서는 감사성찬례 입당 예식 때 드리는 기원송가 중 하나로 대영광송을 사용한다. 집전자는 감사성찬례에 대한 의향에 따라 기원송가(기리에, 거룩하신 하느님, 우리에게 오시어, 대영광송) 중 하나를 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대영광송은 주일 감사성찬례를 비롯한 성탄절과 부활절에 사용한다. 2004년 대한성공회 성공회 기도서에서는 대영광송을 영광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래는 대한성공회에서 쓰이는 대영광송이다.[35]

'''하늘 높은 곳에는 하느님께 영광.'''

'''땅에서는 그가 사랑하시는 사람들에게 평화.'''

'''주 하느님, 하늘의 임금이여, 전능하신 하느님 성부여,'''

'''주를 경배하오며 주께 감사하오며 주의 영광을 찬미하나이다.'''

'''주 예수 그리스도, 성부의 외아들이여.'''

'''주 하느님, 하느님의 어린양이여,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성부 오른편에 앉아 계시는 주여,'''

'''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하느님 성부의 영광 안에 성령과 함께,'''

'''예수 그리스도 홀로 거룩하시고,'''

'''홀로 주님이시고,'''

'''홀로 높으시도다! 아멘.'''

3. 2. 기독교한국루터회



Glory to God in the highest|글로리 투 갓 인 더 하이스트영어

하늘 높은 곳에는 하나님께 영광.

땅 위에는 그의 백성에게 평화.

주 하나님, 왕의 왕, 전능하신 아버지,

우리의 찬송과 감사 예배를 드리나이다.

주의 영광 높이 받들어 찬양을 드리나이다.

하나님의 외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하나님 우편에 앉으신 주님, 우리의 기도를 들으소서.

주님 홀로 거룩하시고 주님 홀로 우리의 구주이시며,

성부성령과 함께

주님 홀로 높으신 영광을 받으소서.

아멘.

4. 한국 정교회

Δόξα ἐν ὑψίστοις Θεῷ καὶ ἐπὶ γῆς εἰρήνη ἐν ἀνθρώποις εὐδοκίαel[7] Glory to God in the highest, and on earth peace, good will toward men영어[10]

1. 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느님께 영광, 땅에서는 평화, 사람들에게는 사랑.

2. 우리는 주의 위대한 영화에 대하여 찬양하고 경배하며 영광과 감사를 드리나이다.

3. 주여, 임금이시여, 하느님이시여, 전능하신 아버지여, 주여 외아들이시여, 예수 그리스도여, 성령이시여.

4. 주 하느님이시여, 주의 어린양이시여, 아버지의 아들이시여,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여, 죄지은 우리 모두를 불쌍히 여기소서.

5. 아버지 오른편에 앉아 계시는 주여, 우리 기도를 들어 주시고 불쌍히 여기소서.

6. 하느님 아버지 영광 안에 예수 그리스도, 홀로 거룩하시고 홀로 주님이시도다, 아멘.

7. 날마다 주님을 찬송하고, 주님의 이름을 항상 대대로 영원히 찬양하나이다.

8. 주여, 오늘 우리가 죄를 짓지 않게 보호해 주소서.

9. 영화로우신 주여, 우리 조상들의 하느님, 주님의 이름에는 영원히 찬양과 영화가 있나이다.

10. 우리가 주님께 바라는 대로 자비를 베풀어 주소서.

11. 영화로우신 주여, 내게 올바른 길을 가르쳐 주소서.

12. 주여, 주님은 대대로 우리의 피난처가 되었나이다. 나는 말씀드렸나이다. 주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13. 주여, 주께로 피하나이다. 주는 나의 하느님이니 주의 뜻대로 행하도록 나를 가르쳐 주소서.

14. 주님은 생명의 근원이고, 주의 빛 속에서 우리가 빛을 보게 되겠나이다.

15. 주의 자비를 우리에게 더 오래 베풀어 주소서. 거룩한 하느님이시여, 거룩하고 전능하신 이여, 거룩하고 영원하신 이여, 불쌍히 여기소서.

16.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이제와 항상 또 영원히 있나이다, 아멘. 거룩하고 영원하신 이여, 불쌍히 여기소서. 거룩한 하느님이시여, 거룩하고 전능하신 이여, 거룩하고 영원하신 이여, 불쌍히 여기소서.

5. 한국 천주교회

한국 천주교회에서는 1978년에 채택된 현대 한국어 번역을 사용한다.[34]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하늘 높은 데서는 하느님께 영광

: 땅에서는 주님께서 사랑하시는 사람들에게 평화.

: 주 하느님, 하늘의 임금님

: 전능하신 아버지 하느님,

: 주님을 기리나이다, 찬미하나이다.

: 주님을 흠숭하나이다. 찬양하나이다.

: 주님 영광 크시오니 감사하나이다.

: 외아들 예수 그리스도님

: 주 하느님, 성부의 아드님

: 하느님의 어린양,

: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님,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님, 저희의 기도를 들어주소서.

: 성부 오른편에 앉아계신 주님,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 홀로 거룩하시고, 홀로 주님이시며, 홀로 높으신 예수 그리스도님,

: 성령과 함께 아버지 하느님의 영광 안에 계시나이다. 아멘.[34]

6. 원어 및 번역

Gloria in excelsis Deo|italic=nola는 2~3세기에 유행했던 ''psalmi idiotici''("사적인 시편", 즉, 성경의 시편을 모방한 개인의 작품)의 예시이다. 이 서정시의 다른 현존하는 예로는 테 데움과 Phos Hilaron이 있다.[5] 4세기에는 아침 기도문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재도 비잔틴 전례오르토스 예식에서 암송되고 있다.[1]

라틴어 번역은 전통적으로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300–368)에게 귀속되는데, 그는 동방(359–360)에 있는 동안 이 찬가를 접했을 수 있다. 이로써, 이는 Vetus Latina로 알려진 초기 라틴어 성경 번역의 느슨한 전통의 일부가 되었다.[5] 불가타 라틴어 성경 번역은 382년에 의뢰되었다.[6]

라틴 찬송가는 누가복음 2장 14절()에서 그리스어 단어 ὑψίστοις – ''hypsístois''(가장 높은)를 번역하기 위해 단어 ''excelsis''를 사용했으며, 제롬이 그의 번역에 선호했던 단어 ''altissimis''는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단어는 마지막 부분에서 사용되었다: ''tu solus Altissimus, Iesu Christe''(당신만이 가장 높으신 분, 예수 그리스도).

대영광송은 여러 교파에 따라 번역에 차이가 있다.

6. 1. 라틴어 원문

Gloria in excelsis Deo, et in terra pax hominibus bonae voluntatis. Laudamus te, Benedicimus te, Adoramus te, Glorificamus te, Gratias agimus tibi propter magnam gloriam tuam, Domine Deus, Rex caelestis, Deus Pater omnipotens. Domine fili unigenite, Jesu Christe, Domine Deus, Agnus Dei, Filius patris, Qui tollis peccata mundi, miserere nobis. Qui tollis peccata mundi, suscipe deprecationem nostram. Qui sedes ad dexteram Patris, miserere nobis. Quoniam tu solus sanctus, Tu solus Dominus, Tu solus Altissimus, Jesu Christe, Cum Sancto Spiritu in gloria Dei Patris. Amen.la

Gloria in excelsis Deo|italic=nola는 2~3세기에 유행했던 ''psalmi idiotici''(''사적인 시편'', 즉, 성경의 시편을 모방한 개인의 작품)의 예시이다.[5] 이 서정시의 다른 현존하는 예로는 테 데움과 Phos Hilaron이 있다.[5]

6. 2. 영어



'''1662년 '''공동 기도서'''[24]

'''ICET 에큐메니컬 버전''' (1975)[25][26]

'''콘스탄티노폴리스 새 로마 세계 총대주교청, 티아티라와 대영 제국 대교구'''[27]

6. 3. 한국어 번역

대영광송의 한국어 번역은 여러 교파에 따라 차이가 있다.

교파번역
대한성공회
천주교
개신교 루터교
동방 정교회 (한국 정교회)


7. 전례 사용

Gloria in excelsis Deo|italic=nola는 2~3세기에 유행했던 '사적인 시편'(psalmi idiotici, 성경시편을 모방한 개인의 작품)의 예시이다. 이 서정시의 다른 현존하는 예로는 테 데움과 Phos Hilaron이 있다.[5] 4세기에는 아침 기도문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재도 비잔틴 전례오르토스 예식에서 암송되고 있다.[1]

라틴어 번역은 전통적으로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368)에게 귀속되는데, 그는 동방(359–360)에 있는 동안 이 찬가를 접했을 수 있다.[5]

달지엘 형제의 "Gloria in Excelsis Deo et in terra pax"라는 글귀가 적힌 천사


대영광송은 여러 기독교 교파의 전례에서 사용되고 있다.

  • '''비잔틴 전례''': 동방 정교회와 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 사용하는 비잔틴 전례에서 대영광송은 대영광송과 소영광송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대영광송은 주님 봉헌과 축일에 오르토스(아침기도)에서 사용된다.
  • '''알렉산드리아 전례''': 알렉산드리아 전례 (콥트 정교회와 일부 다른 오리엔트 정교회에서 사용)에서 대영광송은 흔한 회중 기도문이며, 때로는 "천사의 찬미"라고 불리기도 한다.
  • '''로마 전례''': 로마 전례에서는 대영광송이 미사 때 자비송 후에, 사순 시기와 대림 시기를 제외한 주일, 부활 팔부 축제와 성탄 팔부 축제 동안, 그리고 대축일과 축일에 불리거나 낭독된다. 교황 연대표에 기록된 전승에 따르면, 교황 텔레스포루스 (128–139?)는 성탄 대축일 미사에서 이 찬가를 사용했고, 교황 심마쿠스 (498–514)는 주일과 순교자 축일에 사용했다.
  • '''루터교 전례''': 이 찬송가는 루터교회의 미사 (성찬예배)에 사용된다.
  • '''성공회 전례''': 성공회 일반 기도서에서는 로마 전례와 같이 대영광송이 사용되었지만, 1552년판 기도서와 1662년판 기도서에서는 예식 마지막 부분, 즉 폐회 축복 직전에 위치하게 되었다.

7. 1. 비잔틴 전례

동방 정교회와 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 사용하는 비잔틴 전례에서 대영광송은 대영광송과 소영광송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5] 대영광송은 항상 노래로 불리고, 소영광송은 낭독된다.[5] 두 형태는 내용과 순서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대영광송은 주님 봉헌과 축일에 오르토스(아침기도)에서 사용된다.[5] 반면 소영광송은 평일의 조과와 아포데입논(저녁기도)에서 사용되며, 성찬 예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5]

4세기에는 대영광송이 아침 기도문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재도 비잔틴 전례오르토스 예식에서 암송되고 있다.[1]

7. 2. 알렉산드리아 전례

알렉산드리아 전례 (콥트 정교회와 일부 다른 오리엔트 정교회에서 사용)에서 대영광송은 흔한 회중 기도문이며, 때로는 "천사의 찬미"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기도는 아침 분향 시 회중이 함께 낭송하며, 아그페야 (알렉산드리아 정경 시간의 책)의 새벽 기도에서도 낭송된다.[13][14] 찬송가의 첫 구절은 또한 "마무리 정경"을 부르기 전에 신성한 전례의 파송 시에도 낭송된다.[13]

7. 3. 로마 전례

로마 전례에서는 대영광송이 시간 전례에 포함되지 않고, 미사 때 자비송 후에, 사순 시기와 대림 시기를 제외한 주일, 부활 팔부 축제와 성탄 팔부 축제 동안, 그리고 대축일과 축일에 불리거나 낭독된다.[1]

1962년 로마 미사 경본에 따라 거행되는 미사(특별 양식으로 승인됨)에서는 대영광송이 훨씬 더 자주 불린다. 1960년 전례 규정은 그날의 해당 전례에서 테 데움이 성무일도에서 불릴 때 미사에서 대영광송을 부르도록 요구한다. 따라서 이 기도는 I급 및 II급 축일(바티칸 공의회 이후 미사의 대축일 및 축일에 해당)뿐만 아니라 III급 축일(후기 양식의 기념일에 해당)에도 사용된다. 1962년 양식에서는 팔부 축제 밖에서도 성탄 시기와 부활 시기의 평일에도 낭독되지만, 바티칸 공의회 이후 전례에는 존재하지 않는 사순절 전 주간 기간에는 생략된다. 또한, 대영광송은 세족 목요일 저녁의 주님 만찬 미사와 부활 성야 미사에서 바티칸 공의회 이전과 이후의 로마 전례 모두에서 불린다.[15]

교황 연대표에 기록된 전승에 따르면, 교황 텔레스포루스 (128–139?)는 성탄 대축일 미사에서 이 찬가를 사용했고, 교황 심마쿠스 (498–514)는 주일과 순교자 축일에 사용했는데, 이는 주교만 해당했다. 이 기도를 사용할 권한은 나중에 사제에게 확대되었으며, 처음에는 부활과 서품일에만 사용되었지만, 11세기 말까지 사제와 주교 모두 사순 시기와 사순절 전 주간을 제외한 주일과 축일의 미사에서 이 기도를 사용했다. 12세기 이후 대림 시기는 사순 시기를 모방한 참회 기간으로 간주되어, Gloria in excelsis Deola가 제외되었다.[5]

7. 4. 루터교 전례

이 찬송가는 루터교회의 미사 (성찬예배)에 사용된다.

7. 5. 성공회 전례

성공회 일반 기도서에서는 로마 전례와 같이 대영광송이 사용되었지만, 1552년판 기도서와 1662년판 기도서에서는 예식 마지막 부분, 즉 폐회 축복 직전에 위치하게 되었다.[1] 이러한 배치는 성공회 공동체에서 20세기까지 유지되었다. ''공동 예배''는 두 가지 순서를 제공하는데, 그 중 하나는 찬송가를 이전 위치에 둔다.

1789년 미국 성공회 기도서는 영광송을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에서 글로리아 파트리(Gloria Patri)를 대신하여 시편 끝에 배치했으며, 성찬례 마지막 부분에도 배치했다(1662년 기도서와 유사). 1928년판에서는 아침 기도에서 영광송을 삭제했지만, 저녁 기도에서는 유지했다. 이 1928년판은 분리된 성공회 교회에서 여전히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1979년판 기도서는 전례1(Rite One)에서 ''자비송''(Kyrie) 이후 또는 그 대신에 처음 부분으로 옮겼다. 전례2(현대 언어) 성찬례 예식에서 영광송 또는 다른 찬송가는 대림절이나 사순절을 제외한 모든 주일에 불리거나 낭독된다. 사순절과 대림절을 제외하고는 원할 때 다른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8. 의례 관련

로마 전례의 트리덴틴 미사에서 사제는 "Gloria in excelsis Deo"(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느님께 영광)를 읊을 때 양손을 어깨 높이까지 뻗어 올리고, "Deo"(하느님)라는 단어에서 손을 모으고 머리를 숙인다. 그 후 양손을 모으고 서서 특정 구절에서 머리를 숙이고, 마지막 구절에서 자신에게 큰 십자 성호를 긋는다.[17] 1970년에 개정된 로마 미사 경본에서는 이러한 동작이 단순화되었고, 특별한 의례적 몸짓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19]

동방 정교회비잔틴 전례를 따르는 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 대영광송은 축제일 아침기도의 절정 중 하나이다. 사제는 펠로니온을 착용하고, 대영광송을 부를 때가 되면 부제성문을 열고 사제는 손을 들어 오란스 자세를 취하며 "빛을 우리에게 보여주신 주님, 영광을 받으소서!"라고 외친다. 그러면 합창단이 영광송을 부르기 시작하며, 성당의 모든 등불과 촛불이 켜진다.

8. 1. 로마 전례

트리덴틴 미사에서 사제는 첫 구절 "Gloria in excelsis Deo"(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느님께 영광)를 읊을 때 양손을 어깨 높이까지 뻗어 올리고, "Deo"(하느님)라는 단어에서 손을 모으고 머리를 숙인다. 그 후 그는 양손을 모으고 서서 "Adoramus te"(주님을 흠숭하나이다), "Gratias agimus tibi"(주님께 감사하나이다), "Iesu Christe"(예수 그리스도, 두 번 반복), "Suscipe deprecationem nostram"(저희의 기도를 받아주소서)에서 머리를 숙이고, 마지막 구절(니케아 신경과 거룩하시다의 마지막 구절에서도 마찬가지)에서 자신에게 큰 십자 성호를 긋는다.[17] 장엄 미사에서는 사제가 첫 구절을 선창하고, 부제와 차부제가 그의 뒤에 선다. 그런 다음 그들은 제대에서 그와 합류하여 찬송가의 나머지 부분을 함께 조용히 암송한다.[18] 그 후 그들은 앉아서 합창단이 같은 내용을 다 부르기를 기다린다.

1970년에 개정된 로마 미사 경본은 이를 단순화하여 다음과 같이 말한다. "영광송은 사제가 선창하거나, 적절한 경우, 선창자 또는 합창단이 선창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함께 부르거나, 신자들이 합창단과 교대로 부르거나, 합창단만 부른다. 노래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두 함께 암송하거나, 신자들의 두 그룹이 서로 응답하며 암송한다."[19] 특별한 의례적 몸짓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

8. 2. 비잔틴 전례

동방 정교회비잔틴 전례를 따르는 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 대영광송은 축제일 아침기도의 절정 중 하나이다. 사제는 펠로니온을 착용한다. 대영광송을 부를 때가 되면 부제성문을 열고 사제는 손을 들어 오란스 자세를 취하며 "빛을 우리에게 보여주신 주님, 영광을 받으소서!"라고 외치고, 합창단은 영광송을 부르기 시작하며, 성당의 모든 등불과 촛불이 켜진다. 대영광송은 트리사기온을 부르며 끝나고, 이어서 오늘의 트로파리온을 부른다. 주교가 참석한 경우, 대영광송을 위해 완전한 주교 예복을 입고, 부사제들은 불이 켜진 디키리온과 트리키리온을 들고 성상(제대) 뒤에 섭니다.

소영광송을 부를 때는 독서자가 단순히 말하고, 사제는 펠로니온을 입지 않으며, 성문은 닫힌 채로 있고 등불이나 촛불은 켜지지 않는다. 소영광송은 트리사기온으로 끝나지 않으며, 간구가 이어진다.

9. 음악적 설정

대영광송은 매우 다양한 선율로 불려왔으며, 현재도 불리고 있다. 현대 학자들은 중세 교회에서 사용된 200개가 넘는 선율을 목록화했다.[20] 로마 미사 경본에는 여러 가지 다른 단성 성가 선율이 나와 있다. 또한, 중세 시대에는 여러 "파르스" 대영광송이 작곡되었으며, 교황 비오 5세의 명령에 따라 로마 미사 경본이 1570년에 개정되었을 때에도 여전히 일부 지역에서 불렸다. 예를 들어,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언급에 그분과 어머니 사이의 관계에 대한 언급을 추가하는 식으로 기본적인 대영광송을 확장했다. 복되신 동정 마리아를 기리기 위해 이러한 추가 구절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일반적이어서, 1921년 개정판 이전의 로마 미사 경본 판에서는 대영광송 텍스트 다음에 다음과 같은 지침이 있었다: "Sic dicitur Gloria in excelsis Deola, etiam in Missis beatæ Mariæ, quando dicenda est"(Gloria in excelsis Deola를 암송해야 할 때, 복되신 마리아의 미사에서도 이 방식으로 암송한다).[21]

미사의 거의 모든 다성 음악 설정에는 대영광송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이 대영광송만 따로 설정한 곡들도 있다.



독일어로 된 텍스트의 의역인 초창기 루터교 찬송가 Allein Gott in der Höh sei Ehrde 역시 코랄 전주곡 형식이나 더 큰 작품의 일부로 음악으로 흔히 설정되었다. 자유로운 의역 "Ich lobe meinen Gott, der aus der Tiefe mich holt"는 1979년에 Neues Geistliches Lied 장르의 찬송가가 되었으며, 마찬가지로 "Ich lobe meinen Gott von ganzem Herzen"도 같은 해에 찬송가가 되었다.

인기 있는 크리스마스 캐럴 "천사들이 찬송하네"는 대영광송의 시작 부분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를 후렴으로 사용한다. 이 곡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대영광송은 Delerium의 트랜스 곡 "침묵"과 ''스카페이스'' 사운드트랙의 지나와 엘비라 테마에도 두드러지게 등장한다.[23]

첫 구절은 또한 블레이디와 에코2K의 합작 앨범 ''크레스트''에 수록된 '5 Star Crest (4 Vattenrum)' 트랙에도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2-03-11
[3] 웹사이트 "Hymn of the Angels", North American Diocese of the Malankara Orthodox Syrian Church http://www.neamerica[...]
[4] 간행물 English translation of an article that originally appeared in ''Abraham Unser Vater: Juden und Christen im Gespräch über die Bibel: Festschrift für Otto Michel zum 60. Geburststag'' https://wholestones.[...] Brill 1963
[5] 백과사전 Gloria in Excelsis Deo
[6]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article ''Vulgate''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2-03-11
[7] 웹사이트 Luke 2:14 Text Analysis https://biblehub.com[...] 2021-12-04
[8] 웹사이트 ΟΡΘΡΟΣ http://analogion.gr/[...] Analogion.gr 2007-11-14
[9] 웹사이트 Ορθροσ Εν Ταισ Κυριακαισ http://analogion.gr/[...] Analogion.gr
[10] 웹사이트 The Service of the Sunday Orthros http://www.goarch.or[...] Goarch.org 2012-03-11
[11] 웹사이트 The Praise of the Angels https://tasbeha.org/[...] 2023-01-19
[12] 웹사이트 Texts for Order of Mass Settings | USCCB https://www.usccb.or[...]
[13] 서적 The Divine Liturgies of Saints Basil, Gregory, and Cyril https://tile.loc.gov[...] St. Mary & St. George Coptic Orthodox Church
[14] 서적 AGPIA https://ukmidcopts.o[...] Coptic Orthodox Publication and Translation
[15] 서적 The New Rubrics of the Roman Breviary and Missal Catholic Press Newspaper Co. 1960
[16] 웹사이트 The Gloria in Excelsis https://lutheranrefo[...] 2016-12-24
[17] 문서 Ritus servandus in celebratione Missae
[18] 문서 Ritus servandus in celebratione Missae
[19] 웹사이트 General Instruction of the Roman Missal, 53 http://www.acbc.cath[...] Acbc.catholic.org.au 2012-03-11
[20] 웹사이트 Definitions for Medieval Christian Liturgy http://www.yale.edu/[...] Yale.edu 2012-03-11
[21] 문서 1862 printing by Pustet https://archive.org/[...]
[22] 웹사이트 The Newly Discovered Musical Composition by Handel http://gfhandel.org/[...] Gfhandel.org 2012-03-11
[23] 웹사이트 Delerium – Silence 2004 http://dancemusic.ab[...] about.com 2008-11-10
[24] 웹사이트 The Book of Common Prayer http://www.cofe.angl[...] Cofe.anglican.org 2012-03-11
[25] 웹사이트 Roman Catholic Order of Mass in English (1975–2011) http://catholic-reso[...] Catholic-resources.org 2012-03-11
[26] 웹사이트 Hymnal 1982: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piscopal Church http://www.hymnary.o[...] Hymnary.org 2012-03-11
[27] 웹사이트 Matins for Sundays and Feasts http://www.anastasis[...] Anastasis.org.uk 2008-11-03
[28] 웹사이트 ΟΡΘΡΟΣ http://analogion.gr/[...] Analogion.gr 2007-11-14
[29] 웹사이트 Ορθροσ Εν Ταισ Κυριακαισ http://analogion.gr/[...] Analogion.gr null
[30] 웹사이트 The Service of the Sunday Orthros http://www.goarch.or[...] Goarch.org null
[31] 문서 Missale Romanum http://www.scribd.co[...] 2002
[32] 서적 ミサ典礼書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1978
[33] 서적 日本聖公会祈祷書 日本聖公会 1991
[34] 서적 가톨릭 기도서 한국천주교주교회의
[35] 서적 성공회 기도서 대한성공회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