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시스 풀랑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시스 풀랑크는 1899년 파리에서 태어나 1963년 사망한 프랑스의 작곡가이다. 그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활동하며, 단순 명료함, 유머, 세련된 감성, 종교적 숭고함 등 다양한 특징을 지닌 음악을 선보였다. 특히 가곡과 종교 음악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20세기 프랑스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풀랑크는 오페라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 《인간의 목소리》 등을 작곡했으며, 피아노곡, 실내악, 가곡, 합창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성소수자 음악가 - 반다 란도프스카
반다 란도프스카는 폴란드의 쳄발로 연주자, 피아니스트, 작곡가, 교육자로서 20세기 초 쳄발로 부활을 이끌고 바로크 음악, 특히 바흐의 건반 음악 해석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파리 고음악 학교를 설립하고 현대 음악에 쳄발로를 재등장시키는 데 기여했다. - 성소수자 클래식 작곡가 - 표트르 차이콥스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러시아 낭만주의 작곡가로, 서정적인 선율과 풍부한 감정, 화려한 관현악법으로 사랑받는 〈비창〉, 발레 음악, 오페라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후원과 연금을 받으며 창작에 전념하고 유럽과 미국 순회공연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성소수자 클래식 작곡가 - 레너드 번스타인
레너드 번스타인은 20세기에 지휘, 작곡, 피아노 연주, 교육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클래식, 재즈, 뮤지컬을 융합한 독창적인 스타일을 구축하고 사회 활동에도 참여했던 인물이다. - 신고전주의 작곡가 - 모리스 라벨
모리스 라벨은 인상주의 음악가로서 드뷔시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하여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반영한 《볼레로》 등의 걸작을 남겼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한 프랑스 작곡가이다. - 신고전주의 작곡가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보후슬라프 마르티누는 400곡 이상의 작품을 남긴 체코의 다작 작곡가로, 다양한 스타일을 탐구하며 관현악곡, 협주곡, 실내악곡, 오페라, 발레 음악 등 다수의 작품을 작곡했고, 체코 민속 음악, 재즈, 신고전주의, 초현실주의 등 다양한 음악적 경향을 수용하여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으며, '줄리에타', '그리스의 수난'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
프랑시스 풀랑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프랑시스 풀랑크 |
본명 | 프랑시스 장 마르셀 풀랑크 |
로마자 표기 | Peurangsiseu Jang Maseul Pullangkeu |
출생일 | 1899년 1월 17일 |
출생지 | 프랑스 제3공화국 파리 8구 |
사망일 | 1963년 1월 30일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국적 | 프랑스 |
직업 | 작곡가, 피아니스트 |
장르 | 클래식 음악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사조 | 신고전주의 음악 |
![]() | |
활동 | |
활동 시기 | 알 수 없음 |
연관 활동 | |
관련 인물 | 원다 란도프스카 |
관련 단체 | 프랑스 6인조 |
주요 작품 | |
피아노 협주곡 | 피아노 협주곡 嬰ハ단조 |
기타 | |
참고 | "자유분방한 음악가" |
2. 생애
풀랑크는 1899년 1월 7일 파리 8구에서 제약 회사 '풀랑크 형제'(Poulenc Frères)의 공동 소유주인 아버지 에밀 풀랑크와 예술 애호가인 어머니 제니 루아예 사이에서 태어났다.[1][2][3] 그는 아버지로부터 독실한 가톨릭 신앙을, 어머니로부터 세속적이고 예술적인 면을 물려받았다.[2] 어릴 때부터 음악적인 가정환경 속에서 자란 그는 어머니에게 피아노를 배우며 음악적 재능을 키웠다. 클로드 드뷔시, 프란츠 슈베르트,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등의 음악은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4] 아버지의 뜻에 따라 파리 9구에 있는 리세 콩도르세에서 일반 교육을 받았다.[15]
1916년, 풀랑크는 아드리엔 모니에의 서점에서 기욤 아폴리네르, 막스 자코브 등 아방가르드 시인들을 만났고, 훗날 이들의 시에 곡을 붙이게 된다.[17] 같은 해, 피아니스트 리카르도 비녜스의 제자가 되어 본격적으로 음악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비녜스는 풀랑크에게 피아노 연주 기법뿐만 아니라 조르주 오리크, 에릭 사티 등 당대 최고의 음악가들과 교류할 기회를 제공하며 그의 음악적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2][21] 풀랑크는 16세 때 어머니를, 2년 후에는 아버지를 여의었지만, 비녜스는 단순한 스승을 넘어 정신적인 지주가 되어 주었다.[2]
1917년, 풀랑크는 5악장으로 구성된 실내악 《흑인 랩소디(Rapsodie nègre)》를 작곡하여 에릭 사티에게 헌정하고, 제인 바토리가 기획한 "신음악을 위한 콘서트"에서 초연을 가졌다.[409][410] 이 곡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와 모리스 라벨에게 호평을 받았다.[413][414]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군 복무 중에도 작곡을 계속하여, 피아노를 위한 《세 개의 무궁동(Trois mouvements perpétuels)》, 연가곡 《동물시집(Le bestiaire)》 등을 작곡했다. 《동물시집》은 프랑스에서 풀랑크의 이름을 알리는 데 기여했고, 《세 개의 무궁동》은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421]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풀랑크는 조르주 오리크, 루이 뒤레, 아르튀르 오네게르, 다리우스 미요, 제르맹 타유페르와 함께 '프랑스 6인조'로 불리며 활동했다.[424] 장 콕토는 6인조에게 아버지 같은 존재였으며,[426] 그의 간결하고 불손한 문체는 낭만주의에 반하는 것으로 풀랑크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428][429] 6인조는 1920년에 피아노 조곡 《6인의 앨범(L'Album des Six)》을 작곡했고,[430] 1921년에는 발레 《에펠탑 위의 결혼식(Les mariés de la tour Eiffel)》을 발표했다.[431] 풀랑크는 전문적인 음악 교육을 받지 못했다는 생각에 1921년부터 1925년까지 샤를 케클랭에게 간헐적으로 작곡을 배웠다.[434]
1920년대 초부터 풀랑크는 영국을 중심으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서 국제적인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435] 1924년에는 세르게이 댜길레프의 발레 뤼스를 위해 작곡한 《암사슴''Les biches''》이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437] 1926년부터 피에르 베르나크와 가깝게 지냈으며,[439] 하프시코드 연주자 완다 란도프스카의 요청에 따라 《전원 협주곡''Concert champêtre''》을 작곡해 1929년에 초연한다.[440]
1930년대 초, 풀랑크는 친구의 죽음으로 힘든 시기를 보냈지만, 곧 다시 작곡에 복귀하여 기욤 아폴리네르와 막스 자코브의 시에 곡을 붙였다.[62] 1936년에는 동료 작곡가의 죽음을 계기로 로카마두르 성지를 방문하면서 종교적 신앙심이 깊어져 종교 음악을 작곡하기 시작했다.[65] 같은 해, 바리톤 피에르 베르나크와 함께 연주회를 가지기 시작했다. 그들은 1959년 베르나크가 은퇴할 때까지 20년 이상 함께 공연했다.[69] 풀랑크는 베르나크를 위해 90개가 넘는 곡을 썼다.[69]
제2차 세계 대전 중 풀랑크는 1940년 6월 2일에 소집되어 보르도의 대공포 부대에서 복무했다.[77] 프랑스가 독일에 항복한 후, 1940년 7월 18일에 제대했다.[78] 전쟁 기간 동안 파리에 머물면서 피에르 베르낙과 함께 프랑스 가곡에 집중했다.[80] 나치 통치하에서 그는 음악을 통해 저항 정신을 표현했으며, 프랑스 레지스탕스 시인들의 시에 곡을 붙였다.[80] 1942년 오페라에서 초연된 《모범 동물들》에서 그는 반독일 노래 "Vous n'aurez pas l'Alsace et la Lorraine"의 선율을 여러 번 반복해서 포함시켰다.[81][82]
전후 풀랑크는 《티레시아스의 가슴》을 발표하여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93] 1950년대에는 조르주 베르나노스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오페라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를 작곡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499] 이 작품은 프랑스 혁명 중 단두대에서 처형된 콩피에뉴의 순교자들을 다룬 게르트루트 폰 르포르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491]
1958년, 풀랑크는 장 콕토와 함께 그의 모노드라마 《인간의 목소리》를 오페라로 만들었다.[502] 1960년부터 1961년 사이, 미국을 방문하여 《인간의 목소리》 미국 초연과 《글로리아》 세계 초연을 가졌다.[502][503]
풀랑크는 1963년 1월 30일 뤽상부르 공원 맞은편 아파트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하여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다.[452][499][505]
2. 1. 초기
풀랑크는 1899년 1월 7일 파리 8구에서 제약회사 '풀랑크 형제'(Poulenc Frères, 훗날 론풀랑크)의 공동 소유주인 아버지 에밀 풀랑크와 예술 애호가인 어머니 제니 루아예 사이에서 태어났다.[1][2][3] 그는 아버지로부터 독실한 가톨릭 신앙을, 어머니로부터 세속적이고 예술적인 면을 물려받았다.[2] 평론가 클로드 로스탕은 풀랑크를 "반은 수도승, 반은 개구쟁이"라고 묘사했다.[4]
풀랑크는 음악적인 가정에서 자랐다. 그의 어머니는 피아노를 능숙하게 연주했으며, 모차르트부터 안톤 루빈스타인까지 다양한 레퍼토리를 연주했다. 풀랑크는 이러한 환경이 '사랑스러운 나쁜 음악'에 대한 취향을 갖게 했다고 회고한다.[12] 그는 5세부터 피아노 레슨을 받았고, 8세에 클로드 드뷔시의 음악을 처음 듣고 그 독창적인 음색에 매료되었다. 프란츠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 또한 그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14] 아버지의 뜻에 따라 풀랑크는 파리 9구에 있는 리세 콩도르세에서 일반 교육을 받았다.[15]
1916년, 친구 레몽 리노시에의 소개로 아드리엔 모니에의 서점 "책 친구들의 집"을 방문하게 된다.[16] 그곳에서 기욤 아폴리네르, 막스 자코브, 폴 엘뤼아르, 루이 아라공 등 아방가르드 시인들을 만났고, 훗날 이들의 시에 곡을 붙이게 된다.[17] 같은 해, 피아니스트 리카르도 비녜스의 제자가 되었다. 풀랑크는 비녜스를 "정신적 멘토"로 여겼으며,[2] 그를 통해 조르주 오리크, 에릭 사티와 친분을 쌓았다.[21] 풀랑크는 비녜스에게 피아노 연주 기법과 작곡에 대한 모든 것을 빚졌다고 회고했다.[19]
풀랑크가 16세 때 어머니가, 2년 후에는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 비녜스는 단순한 스승을 넘어 정신적인 지주가 되어 주었다.[2] 비녜스는 풀랑크의 초기 피아노 작품 세 곡을 초연하기도 했다.[20]
오리크는 풀랑크와 동갑이었지만, 음악적으로는 더 성숙했다. 두 사람은 음악적 관점과 열정을 공유했고, 오리크는 풀랑크의 평생 친구이자 길잡이가 되었다.[24] 풀랑크는 오리크를 "영혼의 진정한 형제"라고 불렀다.[20]
에릭 사티는 오리크, 루이 뒤레, 아르튀르 오네게르 등 젊은 작곡가들의 멘토였다. 처음에는 풀랑크를 부르주아 아마추어 정도로 여겼지만, 나중에는 자신의 그룹인 "새로운 젊은이"로 받아들였다.[22] 풀랑크는 사티에게서 정신적, 음악적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회고했다.[23]
2. 2. 첫 번째 작곡과 프랑스 6인조
1917년, 풀랑크는 5악장으로 구성된 실내악 《흑인 랩소디(Rapsodie nègre)》를 작곡하여 에릭 사티에게 헌정하고, 제인 바토리가 기획한 "신음악을 위한 콘서트"에서 초연을 가졌다.[409][410] 이 곡의 두 악장에는 라이베리아 시가가 인용되었는데, 이는 당시 파리에서 유행하던 아프리카 예술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411]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이 곡에 감명받아 풀랑크가 출판업자와 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었고, 풀랑크는 이 은혜를 평생 잊지 못했다.[413] 모리스 라벨 역시 이 곡을 흥미롭게 여겼으며, 풀랑크가 새로운 민속을 개발했다고 평가했다.[414]제1차 세계 대전 말인 1918년 1월부터 1921년 1월까지 풀랑크는 프랑스 육군에 징집되어 참전했다.[421] 징집 기간 동안 그는 피아노를 위한 《세 개의 무궁동(Trois mouvements perpétuels)》, 연가곡 《동물시집(Le bestiaire)》 등을 작곡했다. 《동물시집》은 프랑스에서 풀랑크의 이름을 알리는 데 기여했고, 《세 개의 무궁동》은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421]
종전 후, 풀랑크는 조르주 오리크, 루이 뒤레, 아르튀르 오네게르, 다리우스 미요, 제르맹 타유페르와 함께 '프랑스 6인조'로 불리며 활동했다.[424] 장 콕토는 6인조에게 아버지 같은 존재였으며,[426] 그의 간결하고 불손한 문체는 낭만주의에 반하는 것으로 풀랑크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428][429] 6인조는 1920년에 피아노 조곡 《6인의 앨범(L'Album des Six)》을 작곡했고,[430] 1921년에는 발레 《에펠탑 위의 결혼식(Les mariés de la tour Eiffel)》을 발표했다.[431]
풀랑크는 전문적인 음악 교육을 받지 못했다는 생각에 1921년부터 1925년까지 샤를 케클랭에게 간헐적으로 작곡을 배웠다.[434]
2. 3. 1920년대, 인기를 얻어가다
풀랑크는 1920년대 초부터 영국을 중심으로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서 국제적인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435] 1921년 《맨체스터 가디언》의 한 기사는 "이제 막 20대에 접어든 젊은 사내인 프랑시스 풀랑크를 주시하고 있다. 그는 소극 장르를 우선적으로 파보는 것이 좋겠다"고 평했다. 특히 해당 기사를 쓴 어니스트 뉴먼은 코넷, 트롬본, 바이올린, 타악기의 특이한 구성을 가진 풀랑크의 가곡 《코카르데''Cocardes''》처럼 달콤하게 우스꽝스러운 음악은 거의 들어본 적 없다고도 덧붙였다.[435] 1922년 풀랑크와 미요는 알반 베르크, 안톤 베베른, 아르놀트 쇤베르크를 만나기 위해 빈으로 갔다. 그러나 이는 오스트리아의 혁명적인 12음주의에 감화되어서가 아니라, 새로운 사조의 제안자들에게 동경의 마음을 품고 있었기 때문이다.[436]이듬해 풀랑크는 세르게이 댜길레프로부터 발레 한편의 악보를 온전히 받는다. 풀랑크는 18세기 프랑스의 페트 갈랑트를 모던풍으로 재현하여 이 발레의 주제곡으로 삼기로 결정한다. 이렇게 탄생한 《암사슴''Les biches''》은 1924년 1월 몬테 카를로에서 초연을 가지는데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5월에는 앙드레 메사제의 감독 하에 파리에서 공연을 가진다. 이 곡은 지금까지도 풀랑크의 가장 잘 알려진 곡들 중 하나다.[437] 유명인이 된 풀랑크는 사티가 적개심을 가지고 있던 음악학자 루이 라루아와 교류를 가지게 되는데, 이를 계기로 사티와 풀랑크의 사이가 멀어지게 된다.[438] 오리크 역시 댜길레프의 발레 《귀찮은 것들''Les Fâcheux''》로 유명세를 얻었는데, 마찬가지로 라루아의 친구가 되었다는 이유로 사티와 절연하게 된다.[438]

풀랑크는 10년 동안 또다른 발레곡 《오바드》를 비롯해 가곡과 실내악에 이르기까지 여러 곡을 작곡했다. 1926년에 열린 케클랭과 오리크의 음악회에서 베르나크가 풀랑크의 가곡을 부르는데, 그는 "곧 풀랑크의 이름과 분리될 수 없는" 사람이 된다.[439] 풀랑크가 가깝게 지낸 또 다른 사람으로는 하프시코드 연주자 완다 란도프스카가 있다. 란도프스카는 하프시코드가 사용된 가장 이른 시기의 현대음악인 마누엘 데 파야의 《페드로의 인형극''El retablo de maese Pedro'' (1923)》의 독주자였는데, 풀랑크는 그 음색에 사로잡힌다. 그녀의 요청에 따라 풀랑크는 《전원 협주곡''Concert champêtre''》을 작곡해 1929년 피에르 몽퇴 지휘의 파리 교향악단(Orchestre Symphonique de Paris프랑스어)과 함께 초연한다.[440]
1920년대 후반의 풀랑크는 누구나 부러워 할 만한 사람이 되어있었다. 직업적으로 성공했고, 아버지의 막대한 부를 물려받아 독립해 유복한 삶을 살고 있었다.[441] 파리에서 남서쪽으로 230km에 떨어져있는 앵드르에루아르주의 시골인 누아제의 그랑콕토(Le Grand Cocteau)라는 저택을 구입해서 편안한 환경에서 곡을 쓰고 싶을 때면 가서 쉬었다.[441] 그런데 이런 부유하고 편안한 삶 속에서도 그를 고통스럽게 한 것은 동성애 성향이었다. 그는 화가 리샤르 샹레르를 만나며 이 문제에 대해 처음으로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하는데, 그에게 보낸 《전원 협주곡》의 악보에 써 넣은 "당신은 나의 삶을 바꾸었습니다. 당신은 내 30년 인생의 태양이며, 내가 살아가며 일하는 이유"라는 구절에서 잘 볼 수 있다.[442] 그러나 이러한 감정에도 불구하고 풀랑크는 친구인 레몽 리노시에에게 청혼한다. 하지만 리노시에는 풀랑크가 동성애자인 것을 몰랐음에도 이 청혼을 거절하였고, 결국 둘의 사이는 어색해지게 된다.[443][444] 풀랑크는 이에 우울해지는데, 1930년 1월 리노시에가 32세의 나이로 급사하면서 엄청난 비탄에 빠진다. 풀랑크는 그녀의 죽음에 대해 "내 삶의 모든 부분이 그녀의 것이었으니, 내 젊음은 그녀와 함께 떠났다. ... 난 지금 이십년을 늙었다"[443]라는 글을 남긴다. 반면 샹레르에 대한 감정은 점점 희미해져 1931년에는 거의 사라진다. 그럼에도 그 둘은 평생동안 좋은 친구로 지낸다.[445]
2. 4. 1930년대, 진지해지다
1930년대 초, 프랑수아 풀랑크는 2년간의 휴지기를 거쳐 다시 가곡 작곡을 시작했다. 프랑수아 드 말레르브(François de Malherbe)의 시에 곡을 붙인 "비문(Epitaphe)"은 리노시에(Linossier)를 기리는 곡으로, 피아니스트 그레이엄 존슨(Graham Johnson)은 이를 "모든 의미에서 심오한 노래"라고 묘사했다.[60] 이듬해 풀랑크는 기욤 아폴리네르(Apollinaire)와 막스 자코브(Max Jacob)의 시에 곡을 붙인 세 곡의 노래 세트를 작곡했는데, 그중 일부는 진지한 어조였고 다른 일부는 1930년대 초 그의 이전 경쾌한 스타일을 연상시켰다.[62]1936년, 동료 작곡가 피에르 옥타브 페루(Pierre-Octave Ferroud)가 자동차 사고로 사망하고, 풀랑크는 로카마두르 성지를 방문하면서 종교적 신앙심이 깊어졌다.[65] 그는 "로카마두르를 방문한 그날 저녁, 여성 성가대와 오르간을 위한 《검은 성모의 연도》(Litanies à la Vierge noire)를 시작했다"고 회고했다.[65] 이후 《G장조 미사(Mass in G major)》(1937) 등 종교 음악을 작곡하기 시작했다.[66]
1936년, 풀랑크는 바리톤 피에르 베르나크와 함께 연주회를 가지기 시작했다. 파리의 에콜 노르말(École Normale)에서 그들은 풀랑크의 "폴 엘뤼아르(Paul Éluard)의 다섯 편의 시(Cinq poèmes de Paul Éluard)" 초연을 선보였다. 그들은 1959년 베르나크가 은퇴할 때까지 20년 이상 함께 공연했다.[69] 풀랑크는 베르나크를 위해 90개가 넘는 곡을 썼다.[69]
2. 5. 1940년대, 전쟁을 겪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풀랑크는 1940년 6월 2일에 소집되어 보르도의 대공포 부대에서 복무했다.[77] 프랑스가 독일에 항복한 후, 1940년 7월 18일에 제대했다.[78] 그는 그 해 여름을 프랑스 중남부의 브리브-라가야르드에서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보냈다.[78] 이 시기, 풀랑크는 피아노와 내레이터를 위한 《꼬마 코끼리 바바르의 이야기》, 첼로 소나타, 발레곡 《모범 동물들》, 가곡집 《바날리테》를 작곡했다.
전쟁 대부분 기간 동안 풀랑크는 파리에 머물면서 피에르 베르낙과 함께 독주회를 열고 프랑스 가곡에 집중했다.[80] 나치 통치하에서 그는 공공연한 동성애자였기 때문에 취약한 입장에 있었다.[80] 하지만 그는 음악을 통해 독일인들에게 많은 반항적인 제스처를 보였다.[80] 그는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저명한 시인들의 시에 곡을 붙였다. 1942년 오페라에서 초연된 《모범 동물들》에서 그는 반독일 노래 "Vous n'aurez pas l'Alsace et la Lorraine"의 선율을 여러 번 반복해서 포함시켰다.[81][82] 그는 나치 당국이 금지된 음악가들과의 연관성 때문에 의심스럽게 여겼던 국민전선(pour musique)의 창립 멤버였다.[83] 1943년 그는 칸타타인 《인간의 모습》을 작곡하여 엘뤼아르의 시 여덟 편을 설정했다.[84] "자유(Liberté)"로 끝나는 이 작품은 1945년 3월 런던의 BBC 스튜디오에서 처음 방송되었고,[85] 1947년까지 파리에서는 공연되지 않았다.[86]
1945년 1월, 풀랑크와 베르낙은 런던에서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작곡가를 기념하여 환영회를 열었다.[88] 그는 벤자민 브리튼과 함께 2대의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을 로열 앨버트 홀에서 연주했다.[89] 베르낙과 함께 위그모어 홀과 내셔널 갤러리에서 프랑스 《멜로디》와 피아노 작품을 연주했고, BBC에서 녹음했다.[90]
파리에서 풀랑크는 《꼬마 코끼리 바바르의 이야기》와 그의 첫 번째 오페라인 《티레시아스의 가슴》의 악보를 완성했다.[93] 이 작품은 1947년 6월 오페라 코미크에서 초연되었고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지만 대중에게 인기가 없었다.[93] 주요 여성 역할은 드니즈 뒤발이 맡았다.[95]
전쟁 직후 풀랑크는 프레데리크 레베데프라는 여성과 짧은 관계를 가졌고, 1946년에 딸 마리앙쥬를 낳았다.
2. 6. 1950–63,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와 말년
1950년대 초, 풀랑크는 외판원 뤼시앵 루베르와 은밀한 관계를 맺었다.[489] 1953년 라 스칼라 극장과 카사 리코르디 출판사로부터 발레 작곡을 의뢰받았으나, 종교적인 주제의 오페라를 쓰고 싶어했다. 조르주 베르나노스의 각본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를 제안받고 1953년 8월 작곡을 시작했다.[492] 이 작품은 프랑스 혁명 중 단두대에서 처형된 콩피에뉴의 순교자들을 다룬 게르트루트 폰 르포르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491]오페라 작곡 중, 풀랑크는 베르나노스와 에밋 래버리 사이의 저작권 분쟁,[493] 그리고 루베르의 중병(늑막염프랑스어 또는 폐암으로 보고됨)[488][494]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954년 11월, 풀랑크는 신경 쇠약으로 라이레로즈에서 요양해야 했다.[495] 그러나 곧 회복하여 영국에서 연주 여행을 하며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 작곡을 재개했다.[496]
1955년 10월, 풀랑크가 오페라의 마지막 장을 완성하던 때 루베르가 사망했다.[454]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는 1957년 1월 라 스칼라 극장에서 이탈리아어로 초연되었고,[481] 같은 해 6월 21일 파리 오페라 극장에서 프랑스어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499] 이 사이 풀랑크는 플루트 소나타를 작곡하여 장 피에르 람팔과 함께 스트라스부르 음악제에서 초연했다.[498]
1958년, 풀랑크는 장 콕토와 함께 그의 모노드라마 《인간의 목소리》를 오페라로 만들었다.[502] 1960년부터 1961년 사이, 미국을 방문하여 《인간의 목소리》 미국 초연과 《글로리아》 세계 초연을 가졌다.[502][503] 1961년, 에마뉘엘 샤브리에에 대한 연구서를 출판했다.[504]
1963년 1월 30일, 풀랑크는 뤽상부르 공원 맞은편 아파트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452]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다.[499][505]
3. 음악
풀랑크의 음악은 기본적으로 온음계를 사용하며, 타고난 선율 창작 재능이 뛰어났다.[506] 음악학자 로저 니컬스(Roger Nichols)는 풀랑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선율이며, 그는 아직 탐구되지 않은 선율 영역에서 막대한 보물창고를 발견했다고 평가했다.[387] 조지 켁(George Keck)은 풀랑크의 선율이 단순하고, 편안하며, 쉽게 기억되고, 감정 표현이 풍부하다고 말했다.[507]
풀랑크는 자신의 화성이 독창적이지 않다고 말했지만, 전통적인 화성을 독특하게 사용하여 신선하고 개성적인 음악을 만들어냈다.[561] 켁은 풀랑크의 화성 언어가 선율만큼 아름답고 인상적이며, 명확하게 정의된 조성 속에서 반음계를 넘나드는 깔끔하고 단순한 화성 진행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507] 풀랑크는 음악 이론을 공부할 시간이 없었으며,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론과 원칙, 법칙에 따른 작곡에 대한 휴전"을 주장하기도 했다.[508]
풀랑크는 12음주의를 추종하던 르네 레보위츠(René Leibowitz)를 무시했으며,[509] 올리비에 메시앙이 이론적인 작곡 방식을 채택한 것에 대해 서운해했다.[510] 풀랑크의 음악은 사람 목소리의 선율적 관계에서 영향을 받았으며,[512] 굉장한 노력파였음에도 불구하고 음악을 쉽게 쓴다는 오해를 받기도 했다. 이에 대해 풀랑크는 "나는 최대한 내 노력을 숨겨왔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513]
1999년 피아니스트 파스칼 로제는 풀랑크의 음악적 양면성이 동등하게 중요하며, 진중함이나 가벼움 중 하나를 무시하면 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514] 풀랑크는 이러한 견해를 인지하고 있었으나, 작품을 통해 스트라빈스키의 음악이 슬라브적인 것처럼, 건강하고 명료하며 억센 프랑스적 음악을 보여주기를 바랐다고 한다.[515]
소누마 준이치에 따르면 풀랑크의 작품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고 한다.[321]
- 짧은 멜로디: 2마디가 자주 사용되는 멜로디 단위, 일반적인 길이보다 한 박자나 두 박자 정도 멜로디 선을 짧게 자름.
- 불협화음: 7이나 9의 화음에 대한 편애, 2도나 7도를 그대로 사용하여 불협화음을 두드러지게 함.
- 급격한 기분 변화: 정신분열증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급격한 기분의 변화.
- 카타르시스 회피: 클라이맥스 그대로 엔딩에 이르지 않음.
- 코다의 특징: 안정되어 있는데, 때때로 공중에 매달린 긴장이 만들어짐.
- 작품의 간결함.
3. 1. 관현악과 협주곡
풀랑크의 대표적인 대편성 관현악곡으로는 두 편의 발레와 《신포니에타》, 그리고 건반을 위한 협주곡 네 편이 있다. 1924년에 초연된 발레 《암사슴》은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로, '명료하고 선율적인 악보에는 깊이도, 얕음도 없으며, "바그너풍의 금관, 감정적인 단9도를 통해 강조되는" 상징이나 사실도 없다'는 평가를 받았다.[387]처음 두 협주곡은 풀랑크의 가벼운 작풍을 보여준다. 1927년에서 1928년 사이에 작곡된 《전원 협주곡》은 파리 교외 뱅센의 병영 나팔소리를 묘사한 마지막 악장의 팡파르처럼 지방의 풍경을 떠올리게 한다.[387]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1932)》은 발리의 가믈란과 유사하게 끝나는 1악장, 모차르트 형식으로 시작하는 2악장 등 다양한 음악적 형식을 들을 수 있는, 가벼운 분위기의 곡이다.[517]
《오르간 협주곡 (1938)》은 더 진지한 분위기로, 바흐의 전통적인 교회 음악과 쾌활한 대중음악 스타일이 혼재되어 있다.[518] 풀랑크는 이 곡에 대해 그가 쓴 종교 음악들 중 가장 바깥쪽에 있다고 고백한다.
두 번째 발레인 《전형적 동물들 (1941)》은 《암사슴》만큼 유명하지는 않지만, 오리크와 오네게르로부터 화성이 풍부하고 관현악법이 매우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518] 특히 오네게르는 "샤브리에, 사티, 스트라빈스키의 영향이 완전히 소화되었다. 그 음악을 들으면서 생각할 것이다. 아, 이게 풀랑크구나"라고 적는다.[519]
《신포니에타 (1947)》에서는 전쟁 이전의 음악에서 나타났던 가벼움이 완전히 뒤집힌다. 풀랑크는 "내 나이보다 너무 어린 옷을 입었었다 ... 암사슴의 새로운 버전이긴 하지만, 마흔여덟 살 먹은 젊은 소녀(암사슴을 의미한다)가 나온다고 생각해보라. 끔찍하지 않은가!"라는 글을 남긴다.[454]
《피아노 협주곡 (1949)》은 처음에는 그의 전쟁 이전 음악보다 발전한 점이 없다며 많은 사람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며, 풀랑크 본인도 이를 인정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재평가를 받기 시작하여 풀랑크의 콘체르탄테 중 으뜸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520]
3. 2. 피아노곡
풀랑크는 피아니스트로도 명성이 높았던 만큼 피아노곡도 많이 작곡했다. 풀랑크의 피아노곡은 타악기적 특성을 가진 곡과, 좀 더 부드러운 하프시코드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곡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풀랑크 본인은 가곡의 반주로 피아노가 사용될 때 가장 뛰어난 음악적 완성도를 보여준다고 말했다.[387][521] 풀랑크의 피아노곡 대부분은 "'미니어처'라고 불릴 만하다"는 평가도 있으며,[522] 풀랑크 본인은 1950년대에 과거의 피아노 작품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했다.세 개의 무궁동, 예전에 쓴 다장조 모음곡, 그리고 세 작품들은 견딜만 하다. 즉흥곡 두 묶음과 내림가단조 간주곡(인테르메초), 그리고 녹턴(야상곡) 몇 곡은 아주 좋다. 그러나 나폴리와 나젤의 밤은 기꺼이 비난하겠다[523]
위에서 풀랑크가 아주 좋다고 명시한 곡들 중 15개의 즉흥곡은 1932년에서 1959년 사이에 쓰여졌다. 모두 짧으며 가장 긴 것도 3분을 넘지 않는다. 조급한 발레풍의 곡에서 부드럽고 서정적인 곡까지, 오래된 행진곡풍과 페르페투움 모빌레, 왈츠에서 에디트 피아프의 마음 아픈 음악적 자화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식을 가진다.[525] 즉흥곡 다음에 언급된 내림가단조 인테르메초는 세 개의 인테르메초 중 마지막 곡을 말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곡은 1934년 8월에 쓰여졌고, 마지막 내림가단조 인테르메초는 1943년 3월에 쓰여졌다. 이 작품은 "'매력적'이라는 단어를 구현했다. 쉽게 악보가 넘어가고 각 음은 순수하고 자연스럽게 다른 음을 이어가는데 의심할 여지 없는 프랑스의 색채와 웅변력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526] 여덟 편의 녹턴은 거의 10년 동안 작곡되었다. 풀랑크가 여덟 번째 곡에 "사이클의 종결부"라는 제목을 붙이긴 했으나 이 곡들을 하나의 모음집으로 생각했는지 그 여부는 알 수 없다. 풀랑크의 녹턴은 밤의 정경과 음악적 심상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 존 필드, 쇼팽, 포레의 녹턴이나 낭만파의 음악시들보다 뛰어나다는 시각이 있다.[526]
풀랑크가 견딜 만하다고 언급한 작품인 《세 개의 무궁동 (1919)》, 《다장조 모음곡 (1920)》, 《세 작품들 (1928)》은 모두 초기의 작품들이다. 모두 짧은 소곡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길이가 긴 곡인 《세 작품들》의 두 번째 곡 "찬송가"도 4분을 넘지 않는다.[525]
기꺼이 비난한 곡들인 《나폴리 (1925)》에서는 이탈리아를 세 악장을 통해 묘사하고, 《나젤의 밤 (1936)》에서는 그의 친구들의 작품을 자그맣게 그려넣었다. 특히 나젤의 밤은 후세에 "엘가의 수수께끼 변주곡과 동등"하며 재치있고 독창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527]
여기서 언급된 곡들 외에 잘 알려진 피아노 작품들로는 노벨레테 두 집(1927-28)과 아이들을 위한 여섯 개의 소품인 《빌라쥐와즈 (1933)》, 일곱 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관현악곡인 《프랑스 모음곡 (1935)》의 피아노 편곡,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시테르를 향한 승선 (1953)》이 있다.[528]
3. 3. 실내악
풀랑크의 실내악은 크게 세 시기로 나뉜다. 초기(22세 이전)에는 클라리넷 소나타 두 곡 (1918),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1918), 클라리넷과 바순을 위한 소나타 (1922), 호른, 트럼펫, 트롬본을 위한 소나타(1922) 총 네 개의 소나타를 작곡했다.[529] 이 곡들은 재즈 화성과 로코코 시대 디베르티스망(divertissements) 양식의 영향을 받았으며, 모두 연주 시간이 10분을 넘지 않는다. 이 시기에 작곡된 다른 곡으로는 《흑인 랩소디(Rapsodie nègre)》와 오보에, 바순, 피아노를 위한 삼중주(1926)가 있다.[387]1930년대와 1940년대에 작곡된 곡들은 중기 실내악 작품으로 분류한다. 이 시기에 작곡된 피아노와 목관을 위한 육중주(1932)는 디베르티멘토 형식의 2악장을 활발한 1악장과 3악장이 둘러싼 구조를 가진 가벼운 곡으로 평가받는다. 풀랑크는 이 작품이 마음에 들지 않아 초연 후 1939년과 1940년에 상당 부분 수정했다.[530] 바이올린 소나타(1942-43)와 첼로 소나타(1948) 역시 이 시기에 작곡되었다.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에게 헌정된 바이올린 소나타를 포함하여 이 두 소나타는 모두 추모의 의미를 담고 있다.[387] 그러나 풀랑크는 이 소나타들을 쓰기 전에 두 편의 작품에서 실패를 겪었고, 1947년에 쓴 현악 사중주 습작을 폐기하는 등 현악 작품 작곡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풀랑크 자신도 인정했듯이 첼로 소나타는 목관 소나타만큼의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533] 무용 협주곡이라고도 불리는 피아노와 18개 악기를 위한 《오바드 (1930)》에서는 적은 수의 연주자로 교향곡과 같은 풍성한 소리를 구현했다. 다른 중기 실내악 곡으로는 기존 작품을 실내악으로 편곡한 《프랑스 모음곡 (1935)》과 《세 개의 무궁동 (1946)》이 있다.[535]
풀랑크는 마지막으로 플루트 소나타 (1956-57), 클라리넷 소나타 (1962), 오보에 소나타 (1962) 세 편의 목관 소나타를 남겼다. 이 곡들은 아름답고 기술적으로 완숙하여 현대 콘서트 프로그램에 자주 등장한다. 데니스 브레인을 추모하기 위해 작곡된[387] 호른과 피아노를 위한 《엘레지》 (1957)에는 12음주의를 잠시 시도한 흔적이 남아있다.[536]
3. 4. 가곡
풀랑크는 기욤 아폴리네르, 폴 엘뤼아르, 장 콕토, 막스 자코브, 루이즈 드 빌모랭 등 다양한 시인들의 시에 곡을 붙여 많은 가곡을 작곡했다.[346]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쓴 곡들이 가장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는다.[345]아폴리네르의 시를 선호하던 풀랑크는 1930년대 중반 이후로는 엘뤼아르의 시를 가장 많이 사용했다.[346] 엘뤼아르의 시에 붙인 곡들은 "초기 관현악 작품들의 부서지기 쉬운 표면에서 멀리 떨어진 세계"라는 평가를 받는다.[347] 엘뤼아르의 시에 기반한 가곡집 《그런 날, 그런 밤''Tel Jour, Telle Nuit'' (1937)》은 "포레의 《아름다운 노래''La bonne chanson''》에 비길만한 걸작"이라는 평가를 받는다.[2]
《루이 아라곤의 두 개의 시''Deux poèmes de Louis Aragon'' (1943)》 중 첫 번째 곡인 "C"는 "지금까지 작곡된 모든 곡들 중 가장 비범하고, 아마 가장 감동적일 것이며, 전쟁 이후의 황폐화를 잘 표현한 작품이다. 전세계적인 명곡이다"는 평가를 받았다.[355]
장 아누이의 시에 기반한 《사랑의 길''Les Chemins de l'amour'' (1940)》는 파리의 왈츠를 묘사한 곡으로 가장 유명하다.[353] 반면, 모놀로그 《몬테카를로의 여인''La Dame de Monte Carlo'' (1961)》에서는 노름에 중독된 여인을 통해 고통과 우울의 공포를 묘사한다.[354]
3. 5. 합창곡
초기작 《축배의 노래''Chanson à boire'' (1922)》를 제외하고, 풀랑크가 본격적으로 합창곡을 쓰기 시작한 것은 1936년이다. 엘뤼아르 등의 시에 기반한 《일곱 샹송''Sept chansons''》, 어린이 합창단을 위한 《작은 목소리''Petites voix''》, 여자와 어린아이로 구성된 합창단과 오르간을 위한 종교음악 《검은 성모의 연도(連禱)''Litanies à la Vierge noire''》가 이 해에 작곡되었다.[545] 목소리만을 위해 작곡된 G장조 미사(1937)는 바로크 양식이라는 평가를 받는다.[542] 이후 풀랑크는 《네 개의 고해 모테트''Quatre motets pour un temps de pénitence'' (1938-39)》 등 종교음악 작곡을 계속한다. 그러나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합창곡은 종교합창곡이 아니라 세속합창곡인 《인간의 얼굴''Figure humaine'' (1943)》이다. 이 곡은 세속합창곡치고는 특이하게도 미사곡처럼 악기가 편성되지 않았다.[387] 이외에는 리듬과 억양의 난이도로 유명한 아카펠라 《크리스마스를 위한 4개의 모테트''Quatre motets pour le temps de Noël'' (1952)》가 있다.[546]반주가 있는 합창곡으로는 《스타바트 마테르》와 《글로리아''Gloria'' (1959-60)》, 《테네브레의 7개 응창 (1961-62)》이 유명하다. 이 곡들은 모두 그레고리오 성가의 가사로 사용된 예배문을 기초로 작곡되었다.[452] 《글로리아》는 종교적 고요함이 넘치는 음정과 신비로운 감정, 고요한 마무리를 통해 풀랑크의 신앙을 열정적이고 즐겁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52] 1962년 풀랑크는 베르나크에게 다음과 같이 편지한다.
> 나는 테네브레를 완성했다네. 참으로 아름다운것 같아. 글로리아, 스타바트 마테르와 함께 좋은 종교작품을 세 곡 가지고 있는 것 같네. 내가 간신히 지옥행을 모면한다면, 이 곡들이 내 연옥에서의 삶을 며칠이라도 단축해주기를[452]
대편성 관현악단을 요구하는 《테네브레의 7개 응창》은 새로운 사상적 측면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풀랑크가 이 곡이 연주되는 것을 보지 못하고 죽었기 때문에[387] 작곡가 본인의 레퀴엠으로 간주하는 시각도 존재한다.[452]
3. 6. 오페라
풀랑크는 40대가 되어서야 오페라 작곡을 시작했다. 1958년 인터뷰에서 그는 "24살 때 《암사슴》을 작곡할 수 있었지만, 30살 이전에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 같은 작품을 쓰기란 모차르트의 천재성이나 슈베르트의 조숙함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다. 이건 심원함의 문제"라고[287] 말했다. 그의 세 오페라는 모두 1920년대의 가벼움과는 거리가 멀고, 인간세계의 심원한 부분을 조명한다. 《티레시아스의 유방 (1947)》의 줄거리는 소란스러운 반면 음악은 향수와 상실감으로 가득 차 있다. 나머지 두 오페라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 (1957)》와 《인간의 목소리 (1959)》는 인간의 고뇌를 표현하는데, 이는 풀랑크의 개인 경험과도 연결된다.[175]《티레시아스의 유방》은 "서정적인 독창곡, 빠른 속도의 이중창, 합창곡, 테너와 베이스 아기들을 위한 팔세토 선율 등 ... 익살스러움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잡아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75] 풀랑크는 세 개의 오페라에서 이전 작곡가들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 영향은 의심할 여지 없이 그의 독자적인 음악에 융합되어 있다.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의 출판 악보에서 그는 모데스트 무소륵스키,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클로드 드뷔시, 주세페 베르디에게 감사의 글을 바친다.[363]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쓰인 오페라 중에 진귀하게 아름다운 곡으로 벤저민 브리튼의 《피터 그라임스》와 함께 선정되었다.[362]
풀랑크는 대편성 관현악단을 위한 오페라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분량을 할애해 오페라에 목관, 금관, 현악기 등을 위한 독주 선율을 포함시켰다. 피에르 베르나크의 조언에 따라 각 배역의 음역대가 아주 잘 고려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363] 풀랑크가 "관능으로 하는 목욕"처럼 연주되어야 한다고 요청한 마지막 오페라 《인간의 목소리》에 이르러서는 관현악이 연주되는 중임에도 불구하고 소프라노가 관현악의 반주가 없이 연주하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도록 한다는 평가를 받는다.[364]
4. 평가
풀랑크는 온음계를 사용하는 작곡가로, 타고난 선율 창작 재능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는다.[506] 음악학자 로저 니컬스는 풀랑크가 선율에 있어 "아직 탐구되지 않은 가락의 영역에서 막대한 보물창고로 가는 길을 찾아냈다"고 평가했다.[387] 조지 켁은 풀랑크의 선율이 "단순하고 편안하며, 쉽게 기억되는데, 무엇보다도 감정표현이 풍부하다"고 말했다.[507]
풀랑크는 화성에 있어 독창적이지 않다고 스스로 말했지만, 그의 음악은 독특한 화성 사용으로 신선하면서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561] 켁은 풀랑크의 화성 언어가 "그 선율만큼이나 아름답고 인상적이고 특징적이다 ... 분명히 정의된 조성 속에서 반음계를 넘나들며 깔끔하고 단순한 화성 진행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507]
풀랑크는 음악 이론을 공부할 시간이 없었으며, 12음주의를 추종하던 르네 레보위츠를 무시했다.[508][509] 올리비에 메시앙이 이론적인 작곡 방식을 채택한 것에 대해 서운해했다.[510] 풀랑크의 음악은 "사람 목소리의 선율적 관계에서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전적으로 영향을 받았다".[512] 그는 노력파였음에도 불구하고 음악을 쉽게 쓴다는 오해를 받았는데, 이에 대해 "나는 최대한 내 노력을 숨겨왔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513]
풀랑크의 음악은 양면성을 지니는데, 피아니스트 파스칼 로제는 "그를 하나로 받아들여야 한다. 진중함이나 가벼움 중 하나를 무시한다면 그를 파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514] 풀랑크는 스트라빈스키의 음악이 슬라브적인 것처럼, 건강하고 명료하며 억센 프랑스적 음악을 보여주고자 했다.[515]
풀랑크의 음악은 독실한 신앙심과 관능적인 면모가 공존하여[560] 그의 진지함이 과소평가되기도 하고, 멜로디를 고수하여 시대착오적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피에르 불레즈의 《주인 없는 망치》를 연주할 정도로 다른 작곡가에게도 높은 흥미를 가졌다.[561] 불레즈는 풀랑크가 진보적이지 못하다고 평가했지만,[562] 스트라빈스키는 풀랑크의 음악에서 그의 훌륭함을 찾을 수 있다고 편지했다.[563]
풀랑크는 말년에 자신의 작품 중 《스타바트 마테르》가 후세에 기억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타임스지는 1999년 100주년 헌사에서 그의 깊은 신앙심과 개구쟁이 같은 측면이 모두 널리 인정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풀랑크는 갈리아인 특유의 에너지로 순식간에 웃음과 눈물을 선사한다는 평가를 받았다.[564]
풀랑크는 장음계적 음악을 작곡했으며, 그의 음악 예술의 주요 특징은 선율적 재능이라는 평가를 받는다.[116] 로저 니콜스는 풀랑크가 선율에 있어 중요한 요소를 발견했다고 말한다.[2] 조지 케크는 그의 선율이 감정적으로 표현력이 뛰어나다고 평가했다.[117]
풀랑크는 자신의 화성 언어가 독창적이지 않다고 말했지만, 레녹스 버클리는 그의 음악이 개성적이라고 평가했다.[168] 케크는 풀랑크의 화성 언어가 색채화성을 사용하면서도 명료하고 단순하다고 평가했다.[117] 풀랑크는 십이음기법에 대해 무관심했고,[119] 올리비에 메시앙의 음악에 이론적 접근 방식이 영향을 미친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했다.[120] 풀랑크의 음악은 인간 목소리에서 영감을 받았다.[122]
파스칼 로제는 풀랑크 음악의 양면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124] 풀랑크는 스트라빈스키의 음악처럼 프랑스적인 음악을 원했다.[125]
풀랑크는 샤브리에, 사티, 라벨, 스트라빈스키에게 영향을 받았으며,[304] 모차르트, 슈베르트, 쇼팽, 드뷔시, 스트라빈스키를 좋아했다.[304] 포레, 루셀은 생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304]
풀랑크는 "음악에서 모차르트를 능가하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305] 스트라빈스키의 작품 중 "유럽적인" 작품들에 영향을 받았다.[306]
풀랑크는 피아노곡을 많이 작곡했으며, 슈베르트의 가곡에 심취하여 많은 가곡을 작곡했다.[307] 관현악곡과 실내악에서는 관악기를 중요하게 사용했다.[309]
풀랑크는 파리 출신의 도시인이었으며, 그의 음악은 경쾌하고 기품 있으며 유머와 아이러니, 지성이 넘친다는 평가를 받는다.[307][309]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부모의 영향을 받아 종교 음악과 합창곡도 작곡했다.[310]
풀랑크는 무조 음악이 주류가 된 전후에도 조성 음악을 작곡했으며, 현대음악에도 이해를 보였다. 프로코피예프와 친분을 쌓았다.[311]
풀랑크는 축음기가 음악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인식했다.[175] 그의 작품은 1928년 처음 녹음되었으며,[366] 이후 EMI를 중심으로 많은 녹음을 남겼다.[367] 피에르 베르낙, 드니즈 뒤발 등과 자신의 작품 외에도 에마뉘엘 샤브리에, 드뷔시, 샤를 구노, 모리스 라벨의 가곡을 녹음했다.[367]
1984년 집계된 풀랑크 작품 녹음 목록에는 레너드 번스타인, 샤를 뒤투아, 다리우스 미요, 샤를 뮌슈, 유진 오먼디 등 1300명 이상의 지휘자, 공연자, 앙상블이 이름을 올렸다.[370]
풀랑크의 피아노 작품 전곡 녹음은 가브리엘 타키노를 비롯한 여러 연주자들이 녹음했다.[371][372] 실내악 작품 전집 녹음도 여러 앙상블에 의해 이루어졌다.[322][373]
《카르멜회 수녀들의 대화》는 세계 초연이 녹음되어 CD로 발매되었으며, 이후 여러 종류의 녹음이 발매되었다.[374]
풀랑크의 가곡은 마리아 프로인트, 잔느 바토리, 클레르 크로와자, 드니즈 뒤발, 피에르 베르낙, 도다 콘라드등 여러 가수들이 녹음했으며, 펠리시티 로트의 공헌이 크다.[375] 무라타 켄지도 풀랑크 가곡 녹음에 활약하고 있다.[376]
풀랑크는 단순함과 명료함을 중시한 에릭 사티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 전통에 기반한 음악을 창조했다.[377] 그의 음악은 세련된 감성과 경쾌한 유머, 신선한 시적 정서가 넘치며, 종교적 감정과 숭고함이 더해져 독자적인 경지를 보여준다.[377]
풀랑크 음악의 양면성은 오해를 낳기도 했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그의 음악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322] 프랑스 종교 음악 분야에서는 올리비에 메시앙과 최고 자리를 다투며, 프랑스 가곡에서는 가브리엘 포레 사후 가장 뛰어난 인물로 평가받는다.[379]
로저 니콜스는 풀랑크를 슈베르트의 20세기 후계자로 평가했다.[335] 풀랑크 자신은 묘비명에 아폴리네르와 에뤼아르의 시에 음악을 붙였다고 새겨지기를 바랐다.[380]
풀랑크는 젊은 세대 작곡가들의 작품에 관심을 가졌으며, 피에르 불레즈의 작품에도 친숙했다.[381] 불레즈는 풀랑크를 비판했지만,[382]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풀랑크의 음악을 높이 평가했다.[383]
풀랑크는 20세기 전반기 가장 위대한 프랑스 작곡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312]
참조
[1]
서적
Schmidt (2001)
[2]
웹사이트
Poulenc, Francis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8-24
[3]
서적
Cayez
[4]
서적
Roy
[5]
서적
Poulenc (2014)
[6]
서적
Burton
[7]
서적
Buckland and Chimènes
[8]
서적
Ivry
[9]
서적
Schmidt (2001)
[10]
뉴스
The alchemical brother
http://docs.newsbank[...]
The Independent
1999-01-27
[11]
뉴스
Part monk, part rascal
http://docs.newsbank[...]
The Daily Telegraph
2013-03-23
[12]
서적
Hell
[13]
서적
Schmidt (2001)
[14]
서적
Hell
[15]
서적
Schmidt (2001)
[16]
서적
Poulenc (1978)
[17]
서적
Schmidt (2001)
[18]
서적
Poulenc (1978)
[19]
서적
Schmidt (2001)
[20]
서적
Schmidt (2001)
[21]
서적
Hell
[22]
서적
Schmidt (2001)
[23]
서적
Romain
[24]
서적
Hell
[25]
서적
Schmidt (1995)
[26]
서적
Schmidt (1995)
[27]
서적
Harding
[28]
웹사이트
leg-pull
http://www.oed.com/v[...]
2014-09-20
[29]
서적
Machart
[30]
서적
Poulenc (1978)
[31]
서적
Nichols
[32]
서적
Poulenc (1978)
[33]
서적
Poulenc (1963)
[34]
서적
Nichols
[35]
서적
Hell
[36]
뉴스
Francis Poulenc
The Guardian
1963-01-31
[37]
웹사이트
Poulenc, Francis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8-24
[38]
서적
Hell
[39]
서적
Hell
[40]
웹사이트
'Les Six' and Jean Cocteau
https://www.jstor.or[...]
1957-04
[41]
서적
Orledge
[42]
서적
Hell
[43]
서적
Hell
[44]
서적
Hinson
[45]
서적
Desgraupes and Hell
[46]
서적
Hell
[47]
서적
Nectoux
[48]
서적
Schmidt (2001)
[49]
뉴스
The week in music
The Manchester Guardian
1921-04-28
[50]
서적
Hell
[51]
서적
Hell
[52]
서적
Schmidt (2001)
[53]
서적
Hell
[54]
서적
Canarina
[55]
서적
Burton
[56]
서적
Ivry
[57]
서적
Schmidt (2001)
[58]
서적
Ivry
[59]
서적
Ivry and Schmidt (2001)
[60]
서적
Johnson
[61]
서적
Schmidt (2001)
[62]
서적
Hell
[63]
웹사이트
A Television Transmission by the Baird Process will take place during this programme
http://genome.ch.bbc[...]
BBC
2014-10-17
[64]
서적
Schmidt
[65]
서적
Poulenc (2014)
[66]
웹사이트
The Sacred Music of Francis Poulenc: A Centennial Tribute
https://search.proqu[...]
1999-06
[67]
서적
Hell
[68]
웹사이트
Constructing the Monk: Francis Poulenc and the Post-War Context
https://search.proqu[...]
2012
[69]
웹사이트
Bernac, Pierre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05
[70]
서적
Ivry
[71]
서적
Johnson
[72]
서적
[73]
서적
Doctor
[74]
서적
[75]
뉴스
N.Y. Musical Tributes to Francis Poulenc
The Times
1963-04-17
[76]
서적
Hell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Ivry
[80]
웹사이트
Les Six
http://holocaustmusi[...]
2014-10-06
[81]
서적
[82]
논문
Making Music in Occupied Paris
https://www.jstor.or[...]
2006
[83]
서적
Schmidt
[84]
논문
1943. "Figure humaine" : renaître de l'Occupation
https://emf.oicrm.or[...]
2021-08-31
[85]
뉴스
Broadcasting Review
The Manchester Guardian
1945-03-24
[86]
서적
Hell
[87]
뉴스
Poulenc's Choral Masterpiece
The Times
1963-03-08
[88]
뉴스
Court Circular
The Times
1945-01-05
[89]
뉴스
Albert Hall
The Times
1945-01-08
[90]
뉴스
National Gallery Concert
The Times
1945-01-10
[91]
서적
[92]
뉴스
The Paris Boat-Train
The Manchester Guardian
1945-01-16
[93]
서적
Sams
[94]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http://www.operabase[...]
2014-10-06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Hell
[99]
서적
Ivry
[100]
서적
Hell
[101]
뉴스
Les Dialogues de Poulenc: The Composer on his Opera
The Times
1958-02-26
[102]
서적
Hell
[103]
논문
The Literary Destiny of the Sixteen Carmelite Martyrs of Compiègne and the Role of Emmet Lavery
1995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Burton
[107]
서적
Hell
[108]
음반
Notes to Hyperion CD CDH55386
2001
[109]
서적
Ivry and Schmidt
2001
[110]
논문
Constructing the Monk: Francis Poulenc and the Post-War Context
2012
[111]
서적
Sams
[112]
웹사이트
Biography
http://www.poulenc.f[...]
2014-10-22
[113]
서적
Schmidt
2001
[114]
논문
Views of Chabrier
https://www.jstor.or[...]
1983-07
[115]
서적
Schmidt
2001
[116]
서적
Hell
[117]
서적
Keck
[118]
서적
Schmidt
[119]
서적
Poulenc
2014
[120]
논문
More Fauré than Ferneyhough
https://www.jstor.or[...]
1992-11
[121]
서적
Chimènes
[122]
서적
Hell
[123]
서적
Buckland and Chimènes
[124]
뉴스
Maître with the light touch
The Times
1999-01-06
[125]
서적
Landormy, Paul
[126]
서적
Delamarche
[127]
서적
Hell
[128]
서적
Schmidt
2001
[129]
서적
Delamarche
[130]
서적
Hell
[131]
서적
Daniel
[132]
서적
Schmidt
2001
[133]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1899–1963) Piano Music, Volume 3
http://marylebone.na[...]
2014-10-22
[134]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1899–1963) Piano Music, Volume 1
http://marylebone.na[...]
2014-10-22
[135]
서적
Bush
[136]
서적
Hell
[137]
서적
Keck
[138]
서적
Hell
[139]
서적
Schmidt
1995
[140]
서적
Hell
[141]
서적
null
2001
[142]
서적
null
null
[143]
서적
null
2001
[144]
서적
null
2001
[145]
서적
null
null
[146]
서적
null
null
[147]
서적
null
null
[148]
뉴스
Poulenc: The Complete Songs – review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10-17
[149]
서적
null
null
[150]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http://www.poulenc.f[...]
2014-10-27
[151]
서적
null
null
[152]
서적
null
null
[153]
서적
null
null
[154]
웹사이트
Resonant, Resplendent Poulenc Motets, Mass, Chansons
http://www.classicst[...]
2016-07-18
[155]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http://www.poulenc.f[...]
2014-10-27
[156]
웹사이트
Dialogues des Carmélites
http://www.oxfordmus[...]
2014-10-22
[157]
웹사이트
Voix humaine, La
http://www.oxfordmus[...]
2014-10-22
[158]
서적
null
null
[159]
웹사이트
A recital by Pierre Bernac and Francis Poulenc; Francis Poulenc et Denise Duval interprètent
http://www.worldcat.[...]
2014-10-22
[160]
서적
null
null
[161]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 Friends
http://www.worldcat.[...]
2014-11-21
[162]
서적
null
null
[163]
웹사이트
Poulenc Piano Music
http://www.worldcat.[...]
2014-10-22
[164]
웹사이트
Tacchino, Gabriel
http://www.oxfordmus[...]
2014-10-10
[165]
웹사이트
Poulenc Chamber Music
http://www.worldcat.[...]
2014-10-22
[166]
웹사이트
Poulenc Carmelites
http://www.worldcat.[...]
2014-10-27
[167]
웹사이트
Poulenc: A Memoir
https://www.jstor.or[...]
1963
[168]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https://www.jstor.or[...]
1963
[169]
간행물
The Gramophone Interview – Pierre Boulez
Gramophone
2010-10
[170]
서적
null
1991
[171]
뉴스
Plucky chicken: Sensual, witty and unfairly dismissed as lightweight
http://docs.newsbank[...]
The Guardian
1999-01-01
[172]
서적
null
2013
[173]
서적
null
2001
[174]
서적
null
null
[175]
웹사이트
Poulenc, Francis
http://www.oxfordmus[...]
2014-08-24
[176]
서적
Roy
[177]
서적
[178]
서적
Burton
[179]
서적
[180]
서적
Ivry
[181]
서적
[182]
뉴스
The alchemical brother
http://docs.newsbank[...]
The Independent
1999-01-27
[183]
뉴스
Part monk, part rascal
http://docs.newsbank[...]
The Daily Telegraph
2013-03-23
[184]
서적
プチ・ロワイヤル仏和辞典第3版
旺文社
[185]
서적
Hell
[186]
서적
Quoted
[187]
서적
Hell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Quoted
[196]
서적
[197]
서적
Hell
[198]
서적
[199]
서적
Romain
[200]
서적
Hell
[201]
서적
[202]
서적
[203]
서적
[204]
서적
Harding
[205]
웹사이트
leg-pull
http://www.oed.com/v[...]
2014-09-20
[206]
서적
Machart
[207]
서적
[208]
서적
[209]
간행물
Jacques-Émile Blanche et le Groupe des Six
https://amis-musees-[...]
La Gazette des Amis des Musées de Rouen et du Havre
2012-12
[210]
서적
Nichols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214]
서적
[215]
서적
[216]
뉴스
Francis Poulenc
The Guardian
1963-01-31
[217]
웹사이트
Poulenc, Francis
http://www.oxfordmus[...]
2014-08-24
[218]
서적
[219]
서적
[220]
웹사이트
'Les Six' and Jean Cocteau
https://www.jstor.or[...]
Music & Letters
1957-04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서적
[225]
서적
[226]
서적
[227]
서적
[228]
서적
[229]
뉴스
The week in music
The Manchester Guardian
1921-04-28
[230]
서적
[231]
서적
[232]
서적
[233]
서적
[234]
서적
[235]
서적
[236]
서적
[237]
서적
[238]
서적
[239]
서적
[240]
서적
[241]
서적
[242]
서적
[243]
서적
[244]
서적
[245]
웹사이트
A Television Transmission by the Baird Process will take place during this programme
http://genome.ch.bbc[...]
2014-10-17
[246]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13
[24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48]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14
[249]
서적
ラルース世界音楽事典
[250]
간행물
The Sacred Music of Francis Poulenc: A Centennial Tribute
https://search.proqu[...]
1999
[251]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52]
간행물
Constructing the Monk: Francis Poulenc and the Post-War Context
https://search.proqu[...]
2012
[253]
웹사이트
Bernac, Pierre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05
[254]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55]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56]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991
[25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58]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14
[259]
뉴스
N.Y. Musical Tributes to Francis Poulenc
The Times
1963-04-17
[260]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61]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62]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63]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64]
웹사이트
Les Six
http://holocaustmusi[...]
2014-10-06
[265]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14
[266]
간행물
Making Music in Occupied Paris
https://www.jstor.or[...]
2006
[26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68]
뉴스
Broadcasting Review
The Manchester Guardian
1945-03-24
[269]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70]
뉴스
Poulenc's Choral Masterpiece
The Times
1963-03-08
[271]
뉴스
Court Circular
The Times
1945-01-05
[272]
뉴스
Albert Hall
The Times
1945-01-08
[273]
뉴스
National Gallery Concert
The Times
1945-01-10
[273]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74]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75]
뉴스
The Paris Boat-Train
The Manchester Guardian
1945-01-16
[276]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77]
서적
ラルース世界音楽事典
[278]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http://www.operabase[...]
2014-10-06
[279]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01
[280]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991
[281]
서적
Poulenc
[282]
서적
Hell
[283]
서적
ニューグローヴ世界音楽大事典
[284]
서적
Ivry
[285]
서적
久野
2013
[286]
서적
Hell
[287]
뉴스
Les Dialogues de Poulenc: The Composer on his Opera
The Times
1958-02-26
[288]
서적
Hell
[289]
간행물
The Literary Destiny of the Sixteen Carmelite Martyrs of Compiègne and the Role of Emmet Lavery
Renascence
1995-09
[290]
서적
Schmidt
2001
[291]
서적
Schmidt
2001
[292]
서적
Burton
[293]
서적
Hell
[294]
음반
Notes to Hyperion CD CDH55386
2001
[295]
서적
久野
2013
[296]
서적
Ivry & Schmidt
[297]
간행물
Constructing the Monk: Francis Poulenc and the Post-War Context
Intersections
2012
[298]
서적
Sams
[299]
서적
ジョン・ウォラック
[300]
웹사이트
Biography
http://www.poulenc.f[...]
2014-10-22
[301]
서적
Schmidt
2001
[302]
간행물
Views of Chabrier
https://www.jstor.or[...]
The Musical Times
1983-07
[303]
서적
Schmidt
2001
[304]
서적
プーランク
1994
[305]
서적
プーランクは語る――音楽家と詩人たち
筑摩書房
1994
[306]
서적
プーランク
1994
[307]
서적
標準音楽辞典
音楽之友社
1966
[308]
서적
高橋英郎
[309]
음반
プーランク:室内楽作品集
ドイツ・グラモフォン
[310]
서적
プーランク
1994
[311]
서적
久野
2013
[312]
서적
ラルース世界音楽事典
[313]
서적
Hell
[314]
서적
Keck
[315]
서적
Schmidt
[316]
서적
Poulenc
[317]
웹사이트
More Fauré than Ferneyhough
https://www.jstor.or[...]
1992-11
[318]
서적
Chimènes
[319]
서적
Hell
[320]
서적
Buckland and Chimènes
[321]
서적
뉴 그로브 세계 음악 대사전
[322]
뉴스
Maître with the light touch
The Times
1999-01-06
[323]
서적
Landormy, Paul
[324]
서적
Delamarche
[325]
서적
Hell
[326]
서적
Schmidt
2001
[327]
서적
Delamarche
[328]
서적
Hell
[329]
서적
Daniel
[330]
서적
Schmidt
2001
[331]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1899–1963) Piano Music, Volume 3
http://marylebone.na[...]
2014-10-22
[332]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1899–1963) Piano Music, Volume 1
http://marylebone.na[...]
2014-10-22
[333]
서적
Bush
[334]
서적
Hell
[335]
서적
뉴 그로브 세계 음악 대사전
[336]
서적
Keck
[337]
서적
Hell
[338]
서적
Schmidt
1995
[339]
서적
Hell
[340]
서적
Daniel, Hell, Schmidt
2001
[341]
서적
Hell
[342]
서적
Schmidt
2001
[343]
서적
Schmidt
2001
[344]
서적
Johnson
[345]
서적
Johnson
[346]
서적
Hell
[347]
웹사이트
Poulenc: The Complete Songs – review
https://www.theguard[...]
2013-10-17
[348]
서적
歌曲の歴史
[349]
서적
[350]
서적
[351]
서적
末吉保雄
[352]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http://www.poulenc.f[...]
2014-10-27
[353]
서적
[354]
서적
[355]
서적
[356]
서적
末吉保雄
[357]
서적
[358]
웹사이트
Resonant, Resplendent Poulenc Motets, Mass, Chansons
http://www.classicst[...]
2016-07-18
[359]
서적
アンリ・エル
[360]
서적
ジョン・ウォラック
[361]
서적
ドナルド・ジェイ・グラウト
[362]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http://www.poulenc.f[...]
2014-10-27
[363]
웹사이트
Dialogues des Carmélites
http://www.oxfordmus[...]
2014-10-22
[364]
웹사이트
Voix humaine, La
http://www.oxfordmus[...]
2014-10-22
[365]
서적
小沼純一
[366]
서적
[367]
웹사이트
A recital by Pierre Bernac and Francis Poulenc; and Francis Poulenc et Denise Duval interprètent
http://www.worldcat.[...]
2014-10-22
[368]
서적
[369]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 Friends
http://www.worldcat.[...]
2014-11-21
[370]
서적
[371]
웹사이트
Poulenc Piano Music
http://www.worldcat.[...]
2014-10-22
[372]
웹사이트
Tacchino, Gabriel
http://www.oxfordmus[...]
2014-10-10
[373]
웹사이트
Poulenc Chamber Music
http://www.worldcat.[...]
2014-10-22
[374]
웹사이트
Poulenc Carmelites
http://www.worldcat.[...]
2014-10-27
[375]
서적
小沼純一
[376]
웹사이트
アトリエ・デュ・シャンのホームページ
http://www.atelier-d[...]
2021-11-06
[377]
서적
音楽大事典
[378]
웹사이트
Poulenc: A Memoir
https://www.jstor.or[...]
1963
[379]
서적
ニューグローヴ世界音楽大事典
[380]
서적
小沼純一
[381]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https://www.jstor.or[...]
1963
[382]
잡지
The Gramophone Interview – Pierre Boulez
2010
[383]
서적
Poulenc
1991
[384]
뉴스
Plucky chicken: Sensual, witty and unfairly dismissed as lightweight
http://docs.newsbank[...]
The Guardian
1999-01-01
[385]
백과사전
풀랑크
[386]
서적
(출처 미상)
2001
[387]
웹사이트
Poulenc, Francis
http://www.oxfordmus[...]
2014-08-24
[388]
서적
(출처 미상)
[389]
서적
(출처 미상)
2014
[390]
서적
(출처 미상)
[391]
서적
(출처 미상)
[392]
서적
(출처 미상)
[393]
서적
(출처 미상)
2001
[394]
뉴스
The alchemical brother
http://docs.newsbank[...]
The Independent
1999-01-27
[395]
뉴스
Part monk, part rascal
http://docs.newsbank[...]
The Daily Telegraph
2013-03-23
[396]
서적
(출처 미상)
[397]
서적
(출처 미상)
2001
[398]
서적
(출처 미상)
[399]
서적
(출처 미상)
2001
[400]
서적
(출처 미상)
1978
[401]
서적
(출처 미상)
2001
[402]
서적
(출처 미상)
1978
[403]
서적
(출처 미상)
2001
[404]
서적
(출처 미상)
2001
[405]
서적
(출처 미상)
[406]
서적
(출처 미상)
[407]
서적
(출처 미상)
2001
[408]
서적
(출처 미상)
[409]
서적
(출처 미상)
1995
[410]
서적
(출처 미상)
1995
[411]
서적
(출처 미상)
[412]
웹사이트
leg-pull
http://www.oed.com/v[...]
2014-09-20
[413]
서적
(출처 미상)
1978
[414]
서적
(출처 미상)
[415]
서적
(출처 미상)
[416]
서적
(출처 미상)
[417]
서적
(출처 미상)
1978
[418]
서적
(출처 미상)
1963
[419]
서적
(출처 미상)
[420]
뉴스
Les Dialogues de Poulenc: The Composer on his Opera
The Times
1958-02-26
[421]
서적
Hell
[422]
뉴스
Francis Poulenc
The Guardian
1963-01-31
[423]
웹사이트
Poulenc, Francis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8-24
[424]
서적
Hell
[425]
서적
Hell
[426]
간행물
'Les Six' and Jean Cocteau
https://www.jstor.or[...]
Music & Letters
1957-04
[427]
서적
Orledge
[428]
서적
Hell
[429]
서적
Hell; Schmidt (2001)
[430]
서적
Hinson
[431]
서적
Desgraupes; Hell
[432]
서적
Hell
[433]
서적
Nectoux
[434]
서적
Schmidt (2001)
[435]
뉴스
The week in music
The Manchester Guardian
1921-04-28
[436]
서적
Hell
[437]
서적
Hell
[438]
서적
Schmidt (2001)
[439]
서적
Hell
[440]
서적
Canarina
[441]
서적
Burton
[442]
서적
Ivry
[443]
서적
Ivry
[444]
서적
Schmidt (2001)
[445]
서적
Ivry; Schmidt (2001)
[446]
서적
Johnson
[447]
서적
Schmidt (2001)
[448]
서적
Hell
[449]
웹사이트
A Television Transmission by the Baird Process will take place during this programme
http://genome.ch.bbc[...]
BBC
2014-10-17
[450]
서적
Schmidt
[451]
서적
Poulenc (2014)
[452]
간행물
The Sacred Music of Francis Poulenc: A Centennial Tribute
https://search.proqu[...]
Sacred Music
1999
[453]
서적
Hell
[454]
간행물
Constructing the Monk: Francis Poulenc and the Post-War Context
https://search.proqu[...]
Intersections
2012
[455]
웹사이트
Bernac, Pierre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05
[456]
서적
Ivry
[457]
웹사이트
Bernac, Pierre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05
[458]
서적
Johnson
[459]
서적
Poulenc
1991
[460]
서적
Doctor
[461]
서적
Poulenc
2014
[462]
뉴스
N.Y. Musical Tributes to Francis Poulenc
The Times
1963-04-17
[463]
서적
Hell
[464]
서적
Schmidt
2001
[465]
서적
Schmidt
2001
[466]
웹사이트
Les Six
http://holocaustmusi[...]
2014-10-06
[467]
서적
Ivry
[468]
웹사이트
Les Six
http://holocaustmusi[...]
2014-10-06
[469]
서적
Poulenc
2014
[470]
웹사이트
Making Music in Occupied Paris
https://www.jstor.or[...]
2006
[471]
웹사이트
Making Music in Occupied Paris
https://www.jstor.or[...]
2006
[472]
서적
Schmidt
[473]
뉴스
Broadcasting Review
The Manchester Guardian
1945-03-24
[474]
서적
Hell
[475]
뉴스
Poulenc's Choral Masterpiece
The Times
1963-03-08
[476]
뉴스
Court Circular
The Times
1945-01-05
[477]
뉴스
Albert Hall
The Times
1945-01-08
[478]
뉴스
National Gallery Concert
The Times
1945-01-10
[479]
서적
Schmidt
2001
[480]
뉴스
The Paris Boat-Train
The Manchester Guardian
1945-01-16
[481]
서적
Sams
[482]
서적
Sams
[483]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http://www.operabase[...]
2014-10-06
[484]
서적
Schmidt
2001
[485]
서적
Poulenc
1991
[486]
서적
Poulenc
1994
[487]
서적
Hell
[488]
웹사이트
Constructing the Monk: Francis Poulenc and the Post-War Context
https://search.proqu[...]
2012
[489]
서적
Ivry
[490]
서적
Hell
[491]
뉴스
Les Dialogues de Poulenc: The Composer on his Opera
The Times
1958-02-26
[492]
서적
Hell
[493]
간행물
The Literary Destiny of the Sixteen Carmelite Martyrs of Compiègne and the Role of Emmet Lavery
Renascence
1995-09-00
[494]
서적
Schmidt
2001
[495]
서적
Schmidt
2001
[496]
서적
Burton
[497]
서적
Hell
[498]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1899–1963) Flute Sonata (1957)
http://www.sco.org.u[...]
2014-10-22
[499]
웹사이트
Biography
http://www.poulenc.f[...]
2014-10-22
[500]
서적
Ivry and Schmidt
2001
[501]
간행물
Constructing the Monk: Francis Poulenc and the Post-War Context
Intersections
2012
[502]
서적
Sams
[503]
서적
Schmidt
2001
[504]
뉴스
Views of Chabrier
https://www.jstor.or[...]
The Musical Times
1983-07-00
[505]
서적
Schmidt
2001
[506]
서적
Hell
[507]
서적
Keck
[508]
서적
Schmidt
[509]
서적
Poulenc
2014
[510]
뉴스
More Fauré than Ferneyhough
https://www.jstor.or[...]
The Musical Times
1992-11-00
[511]
서적
Chimènes
[512]
서적
Hell
[513]
서적
Buckland and Chimènes
[514]
뉴스
Maître with the light touch
The Times
1999-01-06
[515]
서적
Landormy
[516]
서적
Landormy
[517]
서적
Delamarche
[518]
서적
Hell
[519]
서적
Schmidt
2001
[520]
서적
Delamarche
[521]
서적
Hell
[522]
서적
Daniel
[523]
서적
Schmidt
2001
[524]
웹사이트
Poulenc, Francis
http://www.oxfordmus[...]
2014-08-24
[525]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1899–1963) Piano Music, Volume 3
http://marylebone.na[...]
2014-10-22
[526]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1899–1963) Piano Music, Volume 1
http://marylebone.na[...]
2014-10-22
[527]
서적
undefined
[528]
서적
undefined
[529]
서적
undefined
[530]
서적
undefined
[531]
서적
undefined
1995
[532]
서적
undefined
[533]
서적
undefined
2001
[534]
서적
undefined
[535]
서적
undefined
2001
[536]
서적
undefined
2001
[537]
서적
undefined
[538]
서적
undefined
[539]
서적
undefined
[540]
뉴스
Poulenc: The Complete Songs – review
https://www.theguard[...]
2013-10-17
[541]
서적
undefined
[542]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http://www.poulenc.f[...]
2014-10-27
[543]
서적
undefined
[544]
서적
undefined
[545]
서적
undefined
[546]
웹사이트
Resonant, Resplendent Poulenc Motets, Mass, Chansons
http://www.classicst[...]
2016-07-18
[547]
웹사이트
Dialogues des Carmélites
http://www.oxfordmus[...]
2014-10-22
[548]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http://www.poulenc.f[...]
2014-10-27
[549]
웹사이트
Voix humaine, La
http://www.oxfordmus[...]
2014-10-22
[550]
서적
undefined
[551]
웹사이트
A recital by Pierre Bernac and Francis Poulenc; Francis Poulenc et Denise Duval interprètent
http://www.worldcat.[...]
2014-10-22
[552]
서적
undefined
[553]
웹사이트
Francis Poulenc & Friends
http://www.worldcat.[...]
2014-11-21
[554]
서적
undefined
[555]
웹사이트
Poulenc Piano Music
http://www.worldcat.[...]
2014-10-22
[556]
웹사이트
Tacchino, Gabriel
http://www.oxfordmus[...]
2014-10-10
[557]
뉴스
Maître with the light touch
The Times
1999-01-06
[558]
웹사이트
Poulenc Chamber Music
http://www.worldcat.[...]
2014-10-22
[559]
웹사이트
Poulenc Carmelites
http://www.worldcat.[...]
2014-10-27
[560]
간행물
Poulenc: A Memoir
https://www.jstor.or[...]
1963
[561]
간행물
Francis Poulenc
https://www.jstor.or[...]
1963-03-01
[562]
간행물
The Gramophone Interview – Pierre Boulez
2010-10-01
[563]
서적
Poulenc
1991
[564]
뉴스
Plucky chicken: Sensual, witty and unfairly dismissed as lightweight
http://docs.newsbank[...]
The Guardian
199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