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는 1995년 창단된 남자 배구단으로, V-리그에서 8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대한민국 프로 배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2007년부터 2014년까지 7시즌 연속 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웠으며, KOVO컵에서도 2회 우승했다. 주요 선수로는 김세진, 신진식, 최태웅 등이 있으며, 홈 경기장은 충무체육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일기획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는 1977년에 창단되어 WKBL에 소속된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WKBL 챔피언 결정전 6회, 정규 리그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박정은과 이미선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고 하상윤 감독이 이끌며 홈 경기장은 용인실내체육관이다. - 제일기획 - 삼성 라이온즈
삼성 라이온즈는 1982년 창단되어 8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연속 통합 우승을 달성했고, 현재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대한민국의 배구단 -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는 1976년 금성통신 배구단으로 창단되어 구단명과 모기업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2005년 V리그에 참가하여 2021-2022 시즌 준우승과 2012년 KOVO컵 우승을 기록하고, 2017년 의정부시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 대한민국의 배구단 - 대한항공 점보스
대한항공 점보스는 1969년 창단되어 V-리그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배구단으로, 2017-18시즌 첫 우승 이후 V-리그 5회 우승, KOVO컵 5회 우승을 기록하였으며 현재는 토미 틸리카이넨 감독이 이끌고 인천 계양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대전광역시의 스포츠 - 한화 이글스
한화 이글스는 1986년 빙그레 이글스로 창단하여 1994년 팀명을 변경하고 1999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김경문 감독, 홍창화 응원단장 등으로 구성된 프로 야구팀이다. - 대전광역시의 스포츠 - 한밭종합운동장
한밭종합운동장은 1964년 대전광역시의 체육 발전과 시민 건강 증진을 위해 개장한 종합 운동 시설로, 과거 대전 시티즌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스포츠 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배구단 |
약칭 | (제공된 정보 없음) |
별칭 | (제공된 정보 없음) |
창단 | 1995년 |
해체 | (제공된 정보 없음) |
홈 경기장 | 충무체육관, 대전광역시 |
수용 인원 | 6,000명 |
구단주 | 제일기획 |
회장 | (제공된 정보 없음) |
감독 | 김상우 |
주장 | 고준용 |
리그 | V-리그 |
시즌 | 2023-24 시즌 |
시즌 순위 | 정규 시즌: 6위,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상의: 흰색, 하의: 흰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파란색, 하의: 파란색 |
서드 유니폼 | 상의: 하늘색, 하의: 하늘색 |
관련 정보 | |
모기업 | 삼성화재해상보험 |
영어 명칭 | |
한국어 명칭 | |
일본어 명칭 |
2. 연혁
1995년 11월 7일 삼성화재 배구단이 창단되었고, 초대 감독으로 신치용이 선임되었다.[1] 1996년 10월 96 한국배구 대제전 2차 대회에서 우승했다.[2] 1997년 97 한국배구 슈퍼리그와 제9회 아시아클럽 남자배구 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 1998년 98 한국배구 슈퍼리그에서 우승했다. 1999년 제1회 AVC컵 남자클럽배구대회 준우승, 99 한국배구대제전 겸 제54회 전국종별 남녀배구대회에서 우승했다.
2000년 2000 한국배구 슈퍼리그, 2000 한국실업배구대제전 겸 제55회 전국종별 남녀배구대회, 제2회 AVC컵 남자배구대회에서 모두 우승했다. 2001년 2001 삼성화재 슈퍼리그, 2001 V-코리아 세미프로리그, 제3회 AVC컵 남자클럽 배구대회, 한국실업배구 대제전에서 모두 우승했다. 2002년 2002 배구슈퍼 세미프로리그와 2002 한국실업배구 대제전에서 우승했다. 2003년 2003 한국배구 슈퍼리그에서 우승했다.
2004년 겨울리그 70연승 신기록과 최다 연승(77연승) 기록을 세웠고, 2004 V투어 정규리그 1위와 챔피언결정전에서 우승했다. 2005년 KT&G V-리그에서 정규리그 2위를 기록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LG화재를 2:0, 챔피언결정전에서 현대캐피탈을 3:1로 꺾고 우승했다. 2005-2006 KT&G V-리그에서는 정규리그 2위, 챔피언결정전 준우승, 2006 한일탑매치에서 우승했다. 2006년 KOVO컵 양산 프로배구에서는 준우승했다.
2006-2007 힐스테이트 V-리그에서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했지만, 챔피언결정전에서는 준우승했다. 2007-2008 NH농협 V-리그에서는 정규리그와 챔피언결정전에서 현대캐피탈을 3:1로 꺾고 통합 우승했다. 2008년 IBK기업은행배 양산 프로배구에서는 준우승했다. 2008-2009 NH농협 V-리그에서는 정규리그 2위를 기록했지만, 플레이오프 2:0 승리, 챔피언결정전에서 현대캐피탈을 3:1로 꺾고 우승했다.
2009년 부산 IBK기업은행 국제 배구 대회에서 우승했다. 2009-2010 NH농협 V-리그에서는 정규리그와 챔피언결정전에서 현대캐피탈을 4:3으로 꺾고 통합 우승, 2010 한일 탑매치에서 우승했다. 2010-2011 NH농협 V-리그에서는 정규리그 3위를 기록했지만, 준플레이오프에서 LIG손해보험을 2:1, 플레이오프에서 현대캐피탈을 3:0, 챔피언결정전에서 대한항공을 4:0으로 꺾고 우승했다.
2011-2012 NH농협 V-리그에서는 정규리그와 챔피언결정전에서 대한항공을 3:1로 꺾고 통합 우승했다. 2012-2013 NH농협 V-리그에서는 정규리그와 챔피언결정전에서 대한항공을 3:0으로 꺾고 통합 우승, 2013 한일탑매치에서 사카이 블레이저스에 2:3으로 패하며 준우승했다. 2013-2014 NH농협 V-리그에서는 정규리그와 챔피언결정전에서 현대캐피탈을 3:1로 꺾고 통합 우승했다. 2014-2015 NH농협 V-리그에서는 정규리그 우승, 챔피언결정전에서 OK저축은행에 0:3으로 패하며 준우승했다.
2015년 6월 1일 모기업이 삼성화재해상보험에서 제일기획으로 변경되면서 팀명이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에서 대전 삼성 블루팡스로 변경되었고, 2대 감독으로 임도헌이 선임되었다. 2015-2016 NH농협 V-리그에서는 정규리그 3위, 준플레이오프에서 대한항공을 이겼지만, 플레이오프에서 OK저축은행에 0:2로 패하며 3위를 기록, 구단 역사상 최초로 챔피언결정전 진출에 실패했다.
2017년 3월 24일 임도헌 감독이 사임했고, 2017년 4월 3일 3대 감독으로 신진식 감독이 선임되었다. 2020년 4월 20일 신진식 감독이 사임하고, 4대 감독으로 고희진 감독이 선임되었다. 2022년 4월 4일 고희진 감독이 사임했고, 2022년 4월 11일 5대 감독으로 김상우 감독이 선임되었다.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 ||||||
---|---|---|---|---|---|---|
시즌 | 포스트시즌 | 정규 시즌 | ||||
순위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
2005 | 우승 | 2 | 20 | 18 | 2 | — |
2005-06 | 준우승 | 2 | 35 | 30 | 5 | — |
2006-07 | 준우승 | 1 | 30 | 25 | 5 | — |
2007-08 | 우승 | 1 | 35 | 29 | 6 | — |
2008-09 | 우승 | 2 | 35 | 26 | 9 | — |
2009-10 | 우승 | 1 | 36 | 30 | 6 | — |
2010-11 | 우승 | 3 | 30 | 16 | 14 | — |
2011-12 | 우승 | 1 | 36 | 29 | 7 | 84 |
2012-13 | 우승 | 1 | 30 | 24 | 6 | 70 |
2013-14 | 우승 | 1 | 30 | 23 | 7 | 66 |
2014-15 | 준우승 | 1 | 36 | 29 | 7 | 84 |
2015-16 | 플레이오프 | 3 | 36 | 23 | 13 | 66 |
2016-17 | 진출 실패 | 4 | 36 | 18 | 18 | 58 |
2017-18 | 플레이오프 | 2 | 36 | 22 | 14 | 61 |
2018-19 | 진출 실패 | 4 | 36 | 19 | 17 | 55 |
2019-20 | 취소 | 5 | 32 | 13 | 19 | 41 |
2020-21 | 진출 실패 | 7 | 36 | 6 | 30 | 26 |
2021-22 | 진출 실패 | 6 | 36 | 14 | 22 | 44 |
2022-23 | 진출 실패 | 7 | 36 | 11 | 25 | 36 |
2023-24 | 진출 실패 | 6 | 36 | 19 | 17 | 50 |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는 V-리그 출범 이후 2021-22 시즌까지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3. 주요 성적
시즌 정규 순위 포스트 시즌 경기수 승 패 승점 2005 2 우승 20 18 2 38 2005–06 2 준우승 35 30 5 30 2006–07 1 준우승 30 25 5 30 2007–08 1 우승 35 29 6 29 2008–09 2 우승 35 26 9 26 2009–10 1 우승 36 30 6 - 2010–11 3 우승 30 16 14 - 2011–12 1 우승 36 29 7 84 2012–13 1 우승 30 24 6 70 2013–14 1 우승 30 23 7 66 2014–15 1 준우승 36 29 7 84 2015–16 3 플레이오프 36 23 13 66 2016–17 4 진출 실패 36 18 18 58 2017–18 2 플레이오프 36 22 14 61 2018–19 4 진출 실패 36 19 17 55 2019–20 5 진출 실패 32 13 19 41 2020–21 7 진출 실패 36 6 30 26 2021–22 6 진출 실패 36 14 22 44
3. 1. 국내 대회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는 국내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97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 배구 슈퍼리그에서 8회 연속 우승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고, V-리그에서는 8회 우승과 3회 준우승, KOVO컵에서는 2회 우승과 4회 준우승을 기록했다.[1][2]
3. 1. 1. 한국 배구 슈퍼리그
삼성화재는 1997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 배구 슈퍼리그에서 8회 우승하였다.3. 1. 2. V-리그
V-리그에서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는 8번의 우승(2005,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과 3번의 준우승(2005-06, 2006-07, 2014-15)을 기록했다.[2]시즌 | 정규 순위 | 포스트 시즌 | 경기수 | 승 | 패 | 승점 |
---|---|---|---|---|---|---|
2005 | 2 | 우승 | 20 | 18 | 2 | 38 |
2005–06 | 2 | 준우승 | 35 | 30 | 5 | 30 |
2006–07 | 1 | 준우승 | 30 | 25 | 5 | 30 |
2007–08 | 1 | 우승 | 35 | 29 | 6 | 29 |
2008–09 | 2 | 우승 | 35 | 26 | 9 | 26 |
2009–10 | 1 | 우승 | 36 | 30 | 6 | |
2010–11 | 3 | 우승 | 30 | 16 | 14 | |
2011–12 | 1 | 우승 | 36 | 29 | 7 | 84 |
2012–13 | 1 | 우승 | 30 | 24 | 6 | 70 |
2013–14 | 1 | 우승 | 30 | 23 | 7 | 66 |
2014–15 | 1 | 준우승 | 36 | 29 | 7 | 84 |
2015–16 | 3 | 플레이오프 | 36 | 23 | 13 | 66 |
2016–17 | 4 | 진출 실패 | 36 | 18 | 18 | 58 |
2017–18 | 2 | 플레이오프 | 36 | 22 | 14 | 61 |
2018–19 | 4 | 진출 실패 | 36 | 19 | 17 | 55 |
2019–20 | 5 | 진출 실패 | 32 | 13 | 19 | 41 |
2020–21 | 7 | 진출 실패 | 36 | 6 | 30 | 26 |
2021–22 | 6 | 진출 실패 | 36 | 14 | 22 | 44 |
3. 1. 3. KOVO컵
KOVO영어컵에서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는 2번 우승(2009년, 2018년)과 4번 준우승(2006년, 2008년, 2012년, 2023년)을 기록했다.[1]3. 2. 국제 대회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는 2000년, 2001년 대회에서 우승하였고, 1999년 대회에서 준우승하였다. 또한, 한일 V-리그 톱 매치에서 2회(2006, 2010) 우승하였다.3. 2. 1. AVC 클럽 선수권 대회
2000년, 2001년 대회에서 우승하였고, 1999년 대회에서 준우승하였다.3. 2. 2. 한일 V-리그 톱 매치
- 우승: 2회 (2006, 2010)
4. 역대 선수단
'''코치진'''
직책 | 이름 |
---|---|
수석 코치 | 지태환 |
코치 | 고준용, 강다연 |
'''선수'''
번호 | 포지션 | 이름 | 데뷔 연도 | 이적 연도 | |
---|---|---|---|---|---|
1 | 레프트 | 신장호 | 2019 | ||
2 | 세터 | 이호건 | 2017(한국전력) | 2020(우리카드) | |
3 | 세터 | 노재욱 | 2014(LIG손해보험) | 2020(우리카드) | |
4 | 센터 | 손태훈 | 2015 | ||
6 | 리베로 | 백광현 | 2015(대한항공) | 2021(대한항공) | |
9 | 리베로 | 이상욱 | 2017(우리카드) | 2022(우리카드) | |
11 | 레프트 | 김인균 | 2021(한국전력) | 2022(한국전력) | |
12 | 레프트 | 황경민 | 2018(우리카드) | 2020(우리카드) | |
13 | 센터 | 구도현 | 2014(우리카드) | 2022(KB손해보험) | |
14 | 아웃사이드 히터 | Yosvany Hernandez|요스바니 에르난데스es | |||
15 | 세터 | 홍기선 | 2020(우리카드) | 2022(우리카드) | |
17 | 리베로 | 신동광 | 2010(현대캐피탈) | 2022(우리카드) | |
18 | 센터 | 홍민기 | 2017(현대캐피탈) | 2021(현대캐피탈) | |
44 | 미들 블로커 겸 아웃사이드 히터 | Эрдэнэбаярын Жаргал|에디 자르가차mn |
4. 1. 감독
김상우 감독이 2022년부터 현재까지 팀을 이끌고 있다.[1] 수석 코치는 지태환, 코치는 고준용, 강다연이다.[1]초대 감독은 신치용 (1995-2015)이다. 2대 감독은 임도헌 (2015-2017), 3대 감독은 신진식 (2017-2020), 4대 감독은 고희진 (2020-2022)이었다.
4. 2. 선수
2022-23 시즌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2]번호 | 포지션 | 이름 | 데뷔 연도 | 이적 연도 |
---|---|---|---|---|
1 | 레프트 | 신장호 | 2019 | |
2 | 세터 | 이호건 | 2017 (한국전력) | 2020 (우리카드) |
3 | 세터 | 노재욱 | 2014 (LIG손해보험) | 2020 (우리카드) |
4 | 센터 | 손태훈 | 2015 | |
6 | 리베로 | 백광현 | 2015 (대한항공) | 2021 (대한항공) |
9 | 리베로 | 이상욱 | 2017 (우리카드) | 2022 (우리카드) |
11 | 레프트 | 김인균 | 2021 (한국전력) | 2022 (한국전력) |
12 | 레프트 | 황경민 | 2018 (우리카드) | 2020 (우리카드) |
13 | 센터 | 구도현 | 2014 (우리카드) | 2022 (KB손해보험) |
14 | 아웃사이드 히터 | Yosvany Hernandez|요스바니 에르난데스es | ||
15 | 세터 | 홍기선 | 2020 (우리카드) | 2022 (우리카드) |
17 | 리베로 | 신동광 | 2010 (현대캐피탈) | 2022 (우리카드) |
18 | 센터 | 홍민기 | 2017 (현대캐피탈) | 2021 (현대캐피탈) |
44 | 미들 블로커 겸 아웃사이드 히터 | Эрдэнэбаярын Жаргал|에디 자르가차mn |
역대 주요 선수는 다음과 같다.
- Gavin Schmitt|개빈 슈미트영어
- 강민웅
- 고준용
- 고희진
- 권광민
- 김강녕
- 김구철
- 김규선
- 김기중
- 김상우
- 김세진
- 김태종
- 김정훈
- 김홍정
- 레안드로 아라우주 다 실바
- Leonardo Leyva Martinez|레오나르도 레이바 마르티네스es
- 명중재
- 목진영
- 박수민
- 박재한
- 박진영
- 박철우
- 박홍범
- 석진욱
- 손재홍
- 신선호
- 신영철
- 신요한
- 신으뜸
- 신진식
- Anđelko Ćuk|안젤코 추크bs
- 여오현
- 오세종
- 우승진
- 유광우
- 윤종권
- 이병용
- 이용택
- 이용희
- 이재목
- 이형두
- 장병철
- 전창희
- 전진용
- 조성훈
- 조승목
- 지태환
- 최태웅
- 타이스 덜 호스트
- 윌리엄 리드 프리디
- 홍정표
4. 3. 군 입대 선수
포지션 | 이름 | 데뷔 연도 | 이적 연도 | 군 입대 연도 |
---|---|---|---|---|
센터 | 김정윤 | 2018년 | 2022년 (현역 상무) | |
리베로 | 구자혁 | 2019년 (현대캐피탈) | 2020년 (현대캐피탈) | 2022년 (현역 상무) |
레프트 | 김우진 | 2020년 | 2022년 (현역 상무) | |
라이트 | 이하늘 | 2020년 | 2022년 (현역 상무) | |
세터 | 정승현 | 2020년 (한국전력) | 2020년 (한국전력) | 2022년 (현역 상무) |
센터 | 이수민 | 2021년 | 2022년 (현역 사회복무요원) |
2022년에 김정윤, 구자혁, 김우진, 이하늘, 정승현이 현역 상무로, 이수민이 현역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하였다.
5. 시설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는 충무체육관을 경기장으로, 삼성 트레이닝 센터를 훈련장으로 사용한다.
6. 응원단
- 응원단장: 김상헌
- 아나운서: 유재환
- 치어리더: 박기량, 박예진, 이단비, 이윤정, 조윤경, 최정희, 허수미, 이정윤, 김나연, 박선주
참조
[1]
웹사이트
Samsung Fire Insurance Bluefangs, by doopedia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삼성블루팡스 – 선수
https://www.bluefang[...]
2023-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