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항공 점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항공 점보스는 1969년 창단, 1972년 해체 후 1986년 재창단된 프로 배구단이다. 2005년 V-리그에 참가하여 2017-2018 시즌에 창단 첫 우승을 달성했으며, 2020-2021, 2021-2022, 2022-23, 2023-24 시즌 4연속 통합 우승을 차지했다. 인천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며, 홈 구장은 계양체육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 정지석
    정지석은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소속의 남자 배구 선수로, 팀 우승을 이끌며 MVP를 수상하기도 했으나 데이트 폭력 및 불법 촬영 혐의로 징계를 받았다.
  • 1969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밀워키 브루어스
    밀워키 브루어스는 1969년 창단하여 1970년 밀워키로 연고지를 이전한 메이저 리그 야구단으로, 1982년 아메리칸 리그 시절 월드 시리즈 준우승, 1998년 내셔널 리그 이적 후 NL 중부지구 우승을 3회 차지했으며, 명예의 전당 헌액 선수와 크리스티안 옐리치 같은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다.
  • 1969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캔자스시티 로열스
    캔자스시티 로열스는 미주리주 캔자스시티를 연고로 하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아메리칸 리그 중부 지구 소속 프로 야구 팀으로, 1969년 창단 이후 조지 브렛, 프랭크 화이트와 같은 선수들을 배출하며 1985년과 2015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고, 카우프만 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I-70 시리즈"로 불리는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대한항공 점보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로고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로고
풀네임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프로 배구단
별칭점보스
창단1969년
해체해당 없음
홈 경기장계양체육관
연고지인천광역시
수용 인원5,000명
구단주대한항공
회장이유성
감독토미 틸리카이넨
주장한선수
리그V-리그
시즌2023–24
성적정규 시즌: 1위, 포스트 시즌: 챔피언
웹사이트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공식 웹사이트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상의: 흰색 바탕에 얇은 파란색 옆선
하의: 흰색
원정 유니폼상의: 파란색 바탕에 얇은 빨간색 옆선
하의: 파란색
서드 유니폼상의: 빨간색 바탕에 얇은 흰색 옆선
하의: 빨간색

2. 역사

1969년에 창단되었다가 석유 파동의 여파로 1972년에 잠시 해체되었다. 그 이후 같은 그룹(한진) 학원인 인하대학교가 야구부를 창단하자 이들 대학 선수를 처음 배출하는 1981년 실업야구팀을 창단할 예정이었으나[4] 같은 해 말 프로야구 출범으로 무산됐다. 1986년에 재창단하였으며, 2005년 프로 팀으로 전환되어 지금의 팀명인 점보스를 쓰게 되었다.

연고지는 인천광역시이며 도원실내체육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였다가 인천 아시안 게임 개최를 위해 2013년 10월 7일 계양구 서운동에 새로 개관한 계양체육관으로 홈 코트를 이전했다. 실업 시절에는 한진그룹이 재단으로 운영하는 인하대학교 출신 선수들이 주력이었으나, 점차 여타 대학교 출신 선수들도 받아들이면서 전력이 강화되었다. 신영철 감독 부임 이후 2010-2011 V-리그 정규 시즌에서 팀 창단 사상 첫 1위를 차지하여 역대 정규 리그 최고 성적을 거두었으나, 7판 4선승제 챔피언결정전에서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에 4전 전패의 성적으로 준우승에 그쳤다. 2011-2012 V-리그에서도 2위로 3판 2선승제 플레이오프를 치러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와 접전 끝에 2:1로 승리하며 챔프전 진출에 성공했으나, 5판 3선승제 챔프전에서 삼성화재에 1:3으로 패하며 또 다시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후 챔프전에 2번 더 진출했으나 각각 삼성화재와 현대캐피탈에 연거푸 무릎을 꿇으며 우승의 한을 풀지 못했다. 그러다가 2017-2018 V-리그 플레이오프에서 삼성화재를 2:1로 제압하며 챔프전에 진출했고 챔프전에서 디펜딩 챔피언이자 전년도 챔프전에서 자신들에게 준우승의 아픔을 선사한 현대캐피탈을 챔프전 전적 3승 1패로 물리치고 전년도 챔프전에서의 패배를 설욕하며 프로배구 V-리그 출범 후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0-21 시즌과 2021-22 시즌에서는 2연속 통합 우승을 차지하면서 삼성화재 이후 통합 2연패를 달성한 2번째팀이 되었다.

2. 1. 프로출범 이전

1969년 대한항공 배구단이 창단되었다.[2] 1972년 해체되었다가 1986년 재창단되었다. 1995년 제50회 전국남여종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였고, 1995년 10월 95한국실업배구 대제전 3위, 1996년 10월 아식스스포츠컵 96실업배구대제전 준우승, 1997년 4월 한덕생명컵 97실업배구대제전 3위, 1997년 10월 제78회 전국체육대회 준우승, 1999년 2월 99한국배구슈퍼리그대회 준우승, 1999년 10월 제80회 전국체육대회 3위, 2000년 10월 금호생명컵 실업배구대제전 3위, 2001년 6월 V리그 세미프로리그대회 3위, 2003년 2월 2003 한국배구슈퍼리그대회 3위, 2003년 10월 제83회 전국체육대회 준우승, 2003년 11월 실업배구대제전 3위, 2004년 2월 2004 V-TOUR 배구대회 3위 등 실업 리그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 2. 프로출범 이후

2005년 V-리그 출범 이후 초반에는 4위에 머무르는 등 하위권에 머물렀으나, 점차 전력을 강화하여 상위권으로 도약하였다.[2] 2006-2007 시즌 3위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고, 2007 KOVO컵에서 우승하며 프로화 이후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2] 2007-2008 시즌에는 정규리그 2위를 차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2]

2010-2011 시즌 정규 리그 첫 우승을 차지하며 돌풍을 일으켰으나,[2] 챔피언결정전에서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2] 이후 여러 차례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했으나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에게 번번히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2]

2017-2018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를 꺾고 챔피언결정전에 진출,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를 3승 1패로 꺾고 창단 첫 통합 우승을 달성하였다.[2] 2020-2021 시즌과 2021-2022 시즌에는 2연속 통합 우승을 달성하며 V-리그 신흥 강호로 자리매김하였다. 2021년에는 울프독스 나고야에서 감독을 역임한 토미 틸리카이넨을 감독으로 영입했다.[3] 2022-2023 시즌과 2023-24 시즌에 연속으로 통합 우승을 차지하면서, V리그 최초로 4연속 통합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3. 역대 전적

; V-리그 (대한민국)


  • 우승: 4회 (2017-2018, 2020-2021, 2021-2022, 2023-24)
  • 준우승: 5회 (2010-2011, 2011-2012, 2012-2013, 2016-2017, 2018-2019)


; KOVO컵

  • 우승: 5회 (2007년, 2011년, 2014년, 2019년, 2022년)
  • 준우승: 3회 (2010년, 2020년, 2024년)

3. 1. 프로출범 이전

대한항공 배구단은 1969년에 창단되었지만, 1972년에 해체되었다가 1986년에 재창단되었다. 프로 출범 이전, 대한항공 점보스는 여러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95년 제50회 전국남여종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였고, 1996년 아식스스포츠컵 96실업배구대제전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7년 한덕생명컵 97실업배구대제전 3위, 1997년 제78회 전국체육대회 준우승, 1999년 99한국배구슈퍼리그대회 준우승, 1999년 제80회 전국체육대회 3위, 2000년 금호생명컵 실업배구대제전 3위, 2001년 V리그 세미프로리그대회 3위, 2003년 2003 한국배구슈퍼리그대회 3위, 2003년 제83회 전국체육대회 준우승, 2003년 실업배구대제전 3위, 2004년 2004 V-TOUR 배구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다.

3. 2. 프로출범 이후 (V-리그)

대한항공 점보스는 2005년 V-리그 출범 이후 여러 차례 정규리그 우승과 챔피언 결정전 진출을 기록했다. 2005 시즌과 2005-06 시즌에는 각각 4위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2006-07 시즌 정규시즌 3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2007-08 시즌에는 정규시즌 2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08-09 시즌과 2009-10 시즌에도 정규시즌 3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10-11 시즌에는 정규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나, 챔피언 결정전에서 삼성화재 블루팡스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1-12 시즌과 2012-13 시즌에도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했지만, 각각 삼성화재 블루팡스와 삼성화재 블루팡스에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2013-14 시즌에는 정규리그 3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2014-15 시즌과 2015-16 시즌에는 각각 4위를 기록하며 포스트시즌 진출과 준플레이오프 진출에 머물렀다.

2016-17 시즌에는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했지만, 챔피언 결정전에서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에 패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7-18 시즌에는 정규리그 3위를 기록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삼성화재 블루팡스를 꺾고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하여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를 상대로 승리하며 창단 첫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2018-19 시즌에는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했지만, 챔피언 결정전에서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9-20 시즌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조기 종료되었으며, 당시 대한항공 점보스는 정규리그 2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2020-21 시즌, 2021-22 시즌, 2022-23 시즌, 그리고 2023-24 시즌에는 정규리그 우승과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모두 차지하며 V-리그 최초로 4시즌 연속 통합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V-리그
시즌순위포스트시즌
20054위진출 실패
2005-064위진출 실패
2006-073위플레이오프
2007-082위플레이오프
2008-093위플레이오프
2009-103위플레이오프
2010-111위준우승
2011-122위준우승
2012-133위준우승
2013-143위플레이오프
2014-154위진출 실패
2015-164위준플레이오프
2016-171위준우승
2017-183위우승
2018-191위준우승
2019-202위시즌 미진행
2020-211위우승
2021-221위우승
2022-231위우승
2023-241위우승


3. 3. KOVO컵

대한항공 점보스KOVO컵에서 2007년, 2011년, 2014년, 2019년, 2022년에 우승하여 총 5번 우승하였다. 2010년, 2020년, 2024년에는 준우승하였다.

4. 선수단

4. 1. 코칭 스태프 (2023-24 시즌)

2023-24 시즌 대한항공 점보스의 코칭 스태프는 다음과 같다.[1] 감독은 토미 틸리카이넨/Tomi Tiilikainenfi이며, 수석코치는 최부식, 코치는 문성준, 장광균, 블레어 밴/Blair Bann영어이 담당하고 있다.

4. 2. 지원 스태프 (2023-24 시즌)

트레이너는 정종일, 매니저는 김현, 심홍석, 전력분석은 김동혁, 통역은 김현, 정재균이 담당한다.

4. 3. 선수 명단 (2023-24 시즌)

2023-24 시즌 대한항공 점보스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1]

번호포지션이름데뷔 연도이적 연도
1센터김규민2013(러시앤캐시)2018(삼성화재)
2세터한선수2007
3세터정진혁2021
5세터유광우2007(삼성화재)2019(우리카드)
6센터이수황2012(LIG손해보험)2020(우리카드)
7레프트이준2021
8센터진지위2019
9레프트곽승석2011
10레프트정지석2013
12센터조재영2013
13리베로박지훈2020(삼성화재)2021(삼성화재)
14리베로오은렬2019
15레프트임재영2020
16레프트정한용2021
17라이트임동혁2017
18라이트링컨 윌리엄스2021
20리베로정성민2010(LIG손해보험)2017(현대캐피탈)
22센터천종범2015(OK저축은행)2017(OK저축은행)
23센터김민재2021



세터는 한선수, 유광우, 정진혁이 담당하고, 레프트는 곽승석, 정지석, 이준, 임재영, 정한용이다. 라이트는 임동혁과 링컨 윌리엄스가 맡고 있으며, 센터는 김규민, 조재영, 진지위, 이수황, 천종범, 김민재로 구성되어 있다. 리베로는 정성민, 오은렬, 박지훈이 담당한다.

4. 4. 군 복무 선수

손현종은 2013년 LIG손해보험에서 데뷔하여 2019년 KB손해보험을 거쳐 2021년 현역으로 입대하였다. 이지율은 2020년 데뷔하여 2021년 상무에 입대하였다. 진성태는 2014년 현대캐피탈에서 데뷔하여 2016년 현대캐피탈을 거쳐 2022년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하였다. 김형진은 2017년 삼성화재에서 데뷔하여 2022년 현대캐피탈을 거쳐 같은 해 상무에 입대하였다.

5. 역대 감독

대한항공 점보스의 역대 감독은 다음과 같다.


  • 1대: 유석철 (1986년 ~ 1996년)
  • 2대: 한장석 (1996년 ~ 2001년)
  • 감독 대행: 최천식 (2001년 ~ 2002년)
  • 3대: 차주현 (2002년 ~ 2005년)
  • 4대: 문용관 (2005년 ~ 2008년)
  • 5대: 진준택 (2008년 ~ 2009년)
  • 6대: 신영철 (2009년 ~ 2013년)
  • 7대: 김종민 (2013년 ~ 2016년)
  • 감독 대행: 장광균 (2016년)
  • 8대: 박기원 (2016년 ~ 2020년)
  • 9대: 로베르토 산틸리/Roberto Santilliit (2020년 ~ 2021년)
  • 10대: 토미 틸리카이넨/Tommi Tiilikainenfi (2021년 ~ 현재)

6. 응원단

대한항공 점보스의 아나운서는 유창근이다. 응원단장은 김주일이다. 치어리더는 권안나, 박아람, 김혜수, 이엄지, 김소윤, 정지호, 신수인, 신유리, 이시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선수 https://www.kal-jumb[...] 2023-02-09
[2] 웹사이트 역사관 https://www.kal-jumb[...] 仁川大韓航空ジャンボス 2022-09-17
[3] 뉴스 한선수보다 어린 감독. 대한항공 핀란드 출신 틸리카이넨 감독 선임 https://www.chosun.c[...] 2021-05-04
[4] 뉴스인용 大韓航空(대한항공) 프로야구팀 창단 現代(현대)대신 仁川(인천)을 본거지로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81-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