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정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정부는 요나라, 금나라, 원나라, 명나라 시기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네이멍구 자치구 일대에 위치했다. 요나라 시기에는 중경 대정부, 금나라 시기에는 북경로, 원나라 시기에는 대녕로, 명나라 시기에는 대녕위로 불렸다. 특히, 요나라 시기에는 고려-거란 전쟁으로 포로가 된 고려인들이 삼한현에 강제 이주되어 정착하는 등 한국사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삼한현은 고려인들의 끈기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상징하는 곳으로, 외세 침략에 맞선 우리 민족의 저항 정신을 보여주는 사례로 기억된다.

2. 요나라 중경 대정부

요나라의 중경 대정부는 요나라의 행정 구역 중 하나였다. 특히 고려-거란 전쟁 시기 납치해 온 고려인들로 설치한 고주의 삼한현이 있었다.[1]

2. 1. 개관

현재 츠펑 시 닝청 현 칭이 진(靑義鎭)에 위치했다. 도성 가운데에는 요 경종과 승천황후의 묘가 있었다. 대동역(大同驛)에서 송나라의 사신을, 조천관(朝天館)에서 고려의 사신을, 래빈관(來賔館)에서 서하의 사신을 맞았다. 1013년(개태 2년) 인구를 분산시켜 여러 현을 설치했다. 10주 9현을 통치했다.

2. 2. 행정 구역

1013년(개태 2년) 인구를 분산시켜 여러 현과 주를 설치했으며, 대정부는 10주 9현을 통치했다.

대정부의 속현과 속주[1]
현명/주명한자군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대정현大定縣닝청 현 요 중경유지대정부의 치소가 있었다. 백습(白霫)의 땅이었다. 여러 나라에서 생포한 포로들을 이곳에 살게 하였다.
장흥현長興縣닝청 현 요 중경유지한나라 요서군 빈종현이었다. 여러 지역에서 생포한 사람들을 이곳에 살게 했다.
부서현富庻縣차오양 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공영자진한나라 요서군 신안평현이 있었다. 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권농현勸農縣닝청 현 대쌍묘진 동남한나라 빈종현이 있었다. 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문정현文定縣차오양 시 젠핑 현 사하진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승평현升平縣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귀화현歸化縣닝청 현 전자진 남한나라 유성현이 있었다.
신수현神水縣차오양 현 북사가자향한나라 도하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있다. 1013년 신설되었다.
금원현金源縣아오한 기 사가자향당나라 청산현(靑山縣)이 있었다. 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은주恩州회덕군懷德軍츠펑 시 하르친 기 서교향(西桥鄕) 동토성자(東土城子)하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한나라 신안평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오기로 보인다. 요 태종이 주를 설치했다. 개태연간에 발해 유민들을 이곳으로 옮겼다. 영흥궁(永興宮)에 소속되어있었다.
은화현恩化縣
혜주惠州혜화군惠和軍차오양 시 젠핑 현 젠핑 진(建平鎭) 혜주촌중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본래 당나라 귀의주(歸義州)가 있었는데, 요 태조가 중국인 수백호를 토록산(兔鹿山) 아래에 정착시켜 성을쌓도록 하고 그 성을 혜주로 승격시켰다.
혜화현惠和縣
고주高州츠펑 시 북동부관찰이 주의 민정을 맡았다. 당나라 신주(信州)가 있었다. 696년(만세통천 원년) 거란의 부족중 하나인 실활부(室活部)로 설치하였다. 개태연간에 고려-거란 전쟁이 발발하였기에 이름을 고주(高州)라 칭했다. 평정산(平頂山)과 난하(灤河)가 있다.
삼한현三韓縣


2. 2. 1. 속현

츠펑 시 닝청 현 칭이 진(靑義鎭)에 대정부가 존재했다. 도성 가운데에는 요 경종과 승천황후의 묘가 있다. 대동역(大同驛)에서 송나라의 사신을, 조천관(朝天館)에서 고려의 사신을, 래빈관(來賔館)에서 서하의 사신을 맞았다. 1013년(개태 2년) 인구를 분산시켜 여러 현을 만들었다. 대정부는 10주 9현을 통치했다.

대정부의 속현
현명/주명한자군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대정현大定縣닝청 현 요 중경유지대정부의 치소가 있었다. 백습(白霫)의 땅이었다. 여러 나라에서 생포한 포로들을 이곳에 살게 하였다.
장흥현長興縣닝청 현 요 중경유지한나라 요서군 빈종현이었다. 여러 지역에서 생포한 사람들을 이곳에 살게 했다.
부서현富庻縣차오양 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공영자진한나라 요서군 신안평현이 있었다. 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권농현勸農縣닝청 현 대쌍묘진 동남한나라 빈종현이 있었다. 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문정현文定縣차오양 시 젠핑 현 사하진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승평현升平縣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귀화현歸化縣닝청 현 전자진 남한나라 유성현이 있었다.
신수현神水縣차오양 현 북사가자향한나라 도하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있다. 1013년 신설되었다.
금원현金源縣아오한 기 사가자향당나라 청산현(靑山縣)이 있었다. 1013년 중경의 주민들을 쪼개어 설치했다.
은주恩州회덕군懷德軍츠펑 시 하르친 기 서교향(西桥鄕) 동토성자(東土城子)하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한나라 신안평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오기로 보인다. 요 태종이 주를 설치했다. 개태연간에 발해 유민들을 이곳으로 옮겼다. 영흥궁(永興宮)에 소속되어있었다.
은화현恩化縣
혜주惠州혜화군惠和軍차오양 시 젠핑 현 젠핑 진(建平鎭) 혜주촌중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본래 당나라 귀의주(歸義州)가 있었는데, 요 태조가 중국인 수백호를 토록산(兔鹿山) 아래에 정착시켜 성을쌓도록 하고 그 성을 혜주로 승격시켰다.
혜화현惠和縣상경의 주민들을 본현에 옮겨 설치했다.
고주高州츠펑 시 북동부관찰이 주의 민정을 맡았다. 당나라 신주(信州)가 있었다. 696년(만세통천 원년) 거란의 부족중 하나인 실활부(室活部)로 설치하였다. 개태연간에 고려-거란 전쟁이 발발하였기에 이름을 고주(高州)라 칭했다. 평정산(平頂山)과 난하(灤河)가 있다.
삼한현三韓縣고려-거란전쟁 시기 납치해온 고려인들로 설치했다.


2. 2. 2. 속주

요나라는 중경 대정부의 통치를 위해 여러 속주를 설치했다. 은주, 혜주, 고주 등이 대표적인 속주였다.

은주는 회덕군이라고도 불렸으며, 하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요 태종이 주를 설치했고, 개태 연간에 발해 유민들을 이곳으로 옮겼다. 영흥궁에 소속되어 있었다.[1]

혜주는 혜화군이라고도 불렸으며, 중급주로 자사가 주의 민정을 맡았다. 본래 당나라 귀의주가 있었는데, 요 태조가 중국인 수백 호를 토록산 아래에 정착시켜 성을 쌓게 하고 혜주로 승격시켰다.[1]

고주는 관찰이 주의 민정을 맡았다. 당나라 신주가 있었던 곳으로, 696년 거란의 부족 중 하나인 실활부로 설치되었다. 개태 연간에 고려-거란 전쟁이 발발하여 고주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평정산과 난하가 이곳에 있다.[1] 특히 고주에는 고려-거란 전쟁 시기에 납치해 온 고려인들로 설치한 삼한현이 있었다.[1]

대정부 속주[1]
주명군명위치비고
은주회덕군은화현츠펑 시 하르친 기 서교향 동토성자하급주, 자사, 발해 유민, 영흥궁 소속
혜주혜화군혜화현차오양 시 젠핑 현 젠핑 진 혜주촌중급주, 자사, 요 태조 설치
고주-삼한현츠펑 시 북동부관찰, 고려-거란 전쟁 관련, 평정산, 난하


3. 금나라 북경로

北京路중국어금나라의 행정 구역으로, 거란이 중경(中京)이라 칭하던 것을 1153년(금 해릉양왕 정원 원년)에 북경으로 고치고, 북경유수사, 도전운사, 경순원을 두었다. 특산물로는 굉서, 소라 껍데기로 만든 술잔, 수유소, 대모 등딱지로 만든 안장, 수유병, 오미자 등이 있었다. 64,047호와 11현 2진을 거느렸다.[2]

3. 1. 개관

대에 북경로에 속했다. 중급부로 북경유수사를 두었다. 거란 대에 중경이라 칭하였다가 1153년(금 해릉양왕 정원 원년) 북경으로 칭하게 되었고 유수사, 도전운사(都轉運司), 경순원(警巡院)을 두었다. 굉서(紘鼠), 소라 껍데기로 만든 술잔, 수유소(茱萸梳), 대모의 등딱지로 만든 안장(玳瑁鞍), 수유병(酥乳餅), 오미자가 났다. 64,047호 11현 2진을 거느렸다.[2]

대정부 소속 현/진 일람
현명/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대정기大定倚츠펑 시 닝청 현 요중경성유지토하(土河), 칠금산(七金山), 음량하(陰凉河)가 있다.
은화진恩化鎭츠펑 시 카라친 기 서교향(西桥鄕) 동토성자(東土城子)대정기의 속진이다.
장흥현長興縣츠펑 시 닝청 현 요중경성유지도하(塗河)가 있다.
부서현富庶縣차오양 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공영자진심하(心河)가 있다.
문안진文安鎭부서현의 속진이다.
송산현松山縣츠펑 시 쑹산 구 성자향(城子乡) 하북촌1123년(천보 7년) 관찰사를 두었고 1143년(황통 3년) 주에서 현으로 격하했다. 1198년(승안 3년), 고주에 소속시켰다가 1204년(태화 4년) 본부로 이관시켰다. 음량하와 낙마하(落馬河)가 있다.
신산현神山縣청더 시 핑취안 현 서남1197년(승안 2년), 시험으로 혜주(惠州)를 설치했고 해아관(孩兒館)을 난양현(灤陽縣)을 신설하여 주의 속현으로 두었다. 1204년 혜주와 난양현을 폐했다.
혜화현惠和縣차오양 시 젠핑 현 건평진(建平镇) 혜주촌(惠州村)1143년 요의 혜주를 폐지하고 신설했다.
금원현金源縣츠펑 시 아오한 기 사가자향금전(金甸)이라는 땅과 낙타산(駱駝山)이 있다.
화중현和眾縣차오양 시 링위안 시 서1143년 요의 혜주를 폐지하고 신설했다.
무평현武平縣츠펑 시 아오한 기1143년 무안주를 폐지하고 그 치현을 본부의 속현으로 두었다가 1167년(대정 7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1198년(승안 3년) 고주에 소속시켰다가 1204년 본부로 내속시켰다.
정봉현靜封縣1197년 설치하여 전주(全州)에 소속시켰다가 1년 후 고주로 소속을 옮겼다. 1204년 본부로 내속되었다.
삼한현三韓縣츠펑 시 북동부1123년 요나라 고주에 절도사를 두었고 1143년 주를 폐하고 현만 두었다. 1198년 고주로 복구되어 자사를 두고 전주(全州)의 지군(支郡)이 되었다. 이후 무평현, 송산현, 정봉현 3개 현 사이에서 현을 신설했다. 1204년 폐지되었다. 낙마하, 도하가 있다.


3. 2. 행정 구역

북경로금나라거란의 중경(中京)을 1153년(금 해릉양왕 정원 원년)에 개칭한 것이다. 북경유수사, 도전운사, 경순원을 두었고, 굉서(紘鼠), 소라껍데기로 만든 술잔, 수유소(茱萸梳), 대모 등딱지로 만든 안장(玳瑁鞍), 수유병(酥乳餅), 오미자 등이 생산되었다. 64,047호와 11현 2진을 거느렸다.[2]

3. 2. 1. 속현

대정부 속현
현명/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대정기大定倚츠펑 시 닝청 현 요중경성유지토하(土河), 칠금산(七金山), 음량하(陰凉河)가 있다.
은화진恩化鎭츠펑 시 카라친 기 서교향(西桥鄕) 동토성자(東土城子)대정기의 속진이다.
장흥현長興縣츠펑 시 닝청 현 요중경성유지도하(塗河)가 있다.
부서현富庶縣차오양 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공영자진심하(心河)가 있다.
문안진文安鎭부서현의 속진이다.
송산현松山縣츠펑 시 쑹산 구 성자향(城子乡) 하북촌1123년(천보 7년) 관찰사를 두었고 1143년(황통 3년) 주에서 현으로 격하했다. 1198년(승안 3년) 고주에 소속시켰다가 1204년(태화 4년) 본부로 이관시켰다. 음량하와 낙마하(落馬河)가 있다.
신산현神山縣청더 시 핑취안 현 서남1197년(승안 2년) 혜주(惠州)를 설치했고 해아관(孩兒館)을 난양현(灤陽縣)으로 신설하여 주의 속현으로 두었다. 1204년 혜주와 난양현을 폐지했다.
혜화현惠和縣차오양 시 젠핑 현 건평진(建平镇) 혜주촌(惠州村)1143년 요의 혜주를 폐지하고 신설했다.
금원현金源縣츠펑 시 아오한 기 사가자향금전(金甸)이라는 땅과 낙타산(駱駝山)이 있다.
화중현和眾縣차오양 시 링위안 시 서1143년 요의 혜주를 폐지하고 신설했다.
무평현武平縣츠펑 시 아오한 기1143년 무안주를 폐지하고 그 치현을 본부의 속현으로 두었다가 1167년(대정 7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1198년(승안 3년) 고주에 소속시켰다가 1204년 본부로 내속시켰다.
정봉현靜封縣1197년 설치하여 전주(全州)에 소속시켰다가 1년 후 고주로 소속을 옮겼고, 1204년 본부로 내속되었다.
삼한현三韓縣츠펑 시 북동부1123년 요나라 고주에 절도사를 두었고 1143년 주를 폐하고 현만 두었다. 1198년 고주로 복구되어 자사를 두고 전주(全州)의 지군(支郡)이 되었다. 이후 무평현, 송산현, 정봉현 3개 현 사이에서 현을 신설했다. 1204년 폐지되었다. 낙마하, 도하가 있다. 고려-거란 전쟁 시기 고려인 포로들이 이주되어 설치되었던 곳이다.[2]


3. 2. 2. 속진

북경로에 속했던 은화진(恩化鎭)은 츠펑 시 카라친 기 서교향(西桥鄕) 동토성자(東土城子)에 있었으며, 대정기(大定倚)의 속진이었다.[2] 문안진(文安鎭)은 부서현(富庶縣)의 속진이었다.[2]

4. 원나라 대녕로

요양등처행중서성의 일부였던 대녕로는 원나라 초 북경로총관부(北京路總官府)가 파견되어 흥중부, 서주, 흥주, 고주, 금주, 이주, 혜주, 천주, 건주, 화주의 10개 주를 관할했던 곳으로, 중심지 역할을 했다.[3]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변화를 거쳤다.

4. 1. 개관

요양등처행중서성의 일부였던 대녕로(大寧路)는 원나라 초 북경로총관부(北京路總官府)가 파견된 곳으로, 흥중부, 서주, 흥주, 고주, 금주, 이주, 혜주, 천주, 건주, 화주의 10개 주를 관할했다.[3]

1262년(쿠빌라이 칸 중통 3년) 흥주의 송산현이 상도로로 이관되었고, 1268년(쿠빌라이 칸 지원 5년) 화주가 이주의 영화향(永和鄕)으로 격하되어 편입되었다. 1270년(쿠빌라이 칸 지원 7년) 흥중부가 주로 강등되어 북경에 속했고, 북경로가 대녕로로 이름이 바뀌었다. 1288년(쿠빌라이 칸 지원 25년) 무평로(武平路)로 바뀌었다가 다시 대녕로로 돌아왔다. 대녕로는 46,006호 448,193명을 관할했으며, 1사 7현 9속주를 다스렸다.[3]

대녕로의 행정 구역 변천
사/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녹사사錄事司1265년(쿠빌라이 칸 지원 2년) 경순원(警巡院)에서 녹사사로 개명
대정현大定縣츠펑 시 닝청 현 요중경성유지1261년 장흥현을 통폐합
용산현龍山縣대정부에 속했으나 1267년 이주로 이속되었다가 후에 본부로 복귀
부서현富庶縣차오양 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공영자진1266년 폐지되어 흥중주에 들어갔다가 후에 복구
화중현和眾縣차오양 시 링위안 시 서
금원현金源縣츠펑 시 아오한 기사가자향
혜화현惠和縣차오양 시 젠핑 현 건평진(建平镇) 혜주촌(惠州村)
무평현武平縣츠펑 시 아오한 기


4. 2. 행정 구역

요양등처행중서성의 일부였던 대녕로(大寧路)의 속현 정보[3]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녹사사錄事司1265년(쿠빌라이 칸 지원 2년) 경순원에서 녹사사로 개명했다.
대정현大定縣츠펑 시 닝청 현 요중경성유지1261년 장흥현을 통폐합했다.
용산현龍山縣대정부에 속했으나 1267년 이주로 이속되었다가 후에 본부로 복귀했다.
부서현富庶縣차오양 시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공영자진1266년 폐지되어 흥중주에 들어갔다가 후에 복구되었다.
화중현和眾縣차오양 시 링위안 시 서
금원현金源縣츠펑 시 아오한 기사가자향
혜화현惠和縣차오양 시 젠핑 현 건평진(建平镇) 혜주촌(惠州村)
무평현武平縣츠펑 시 아오한 기


5. 명나라 대녕위

1380년(명 태조 홍무 13년) 대녕부로 개명되어 북평포정사에 속했다가 얼마 못가 폐지되었고, 1387년(명 태조 홍무 20년) 8월 대녕위로 재건되었다.[4] 1395년(명 태조 홍무 28년) 대녕좌위, 대녕우위, 대녕중위는 각각 영주(營州)좌호위, 영주우호위, 영주중호위로 개명되었다.[4] 1403년(명 성조 영락 원년) 2월 폐지되면서 이후 고고학자들에 의해 재발굴될 때까지 버려지게 되었다.[4]

5. 1. 개관

1380년(명 태조 홍무 13년) 대녕부로 개명되어 북평포정사에 속했다가 얼마 못가 폐지되었고, 1387년(명 태조 홍무 20년) 8월 대녕위로 재건되었다.[4] 같은 해 9월 대녕좌위, 대녕우위, 대녕중위로 분리되었다가 얼마 못가 대녕전위와 대녕후위가 추가 설치되었다.[4] 1395년(명 태조 홍무 28년) 대녕좌위, 대녕우위, 대녕중위는 각각 영주(營州)좌호위, 영주우호위, 영주중호위로 개명되었다.[4] 1403년(명 성조 영락 원년) 2월 폐지되면서 이후 고고학자들에 의해 재발굴될 때까지 버려지게 되었다.[4]

6. 한국사와의 연관성

고려-거란 전쟁 시기 고려인 포로들이 이주되어 요나라가 삼한현을 설치했던 곳이 바로 대정부 지역이다.[2] 삼한현은 츠펑 시 북동부에 설치되었으며, 1123년 요나라 고주 (요)에 절도사가 설치되었고 1143년 주를 폐지하고 현만 두었다가 1198년 고주로 복구되어 자사를 두었다.[2] 1204년에는 삼한현이 폐지되었다.[2]

고려사 지리지에는 고구려의 옛 땅으로 발해의 대씨(大氏)가 점거하여 남경 남해부(南京南海府)로 칭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지역이 고구려, 발해의 영역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제기되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참조

[1] 역사서 《요사》 권39 지리지 3 중경도 대정부 https://zh.wikisourc[...]
[2] 역사서 《금사》 권24 지리지 1 북경로 https://zh.wikisourc[...]
[3] 역사서 《원사》 권59 지리지 2 요양등처행중서성 대녕로 대정부 https://zh.wikisourc[...]
[4] 역사서 《명사》 권40 지리지 1 북직례 북평행도사 대녕위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