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캐나다 관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캐나다 관계는 19세기 캐나다 선교사들의 한반도 진출로 시작되었으며, 1947년 캐나다가 유엔한국감시단에 참가하면서 공식적인 관계를 맺었다. 한국 전쟁 당시 캐나다는 유엔군 일원으로 참전하여 2만 6천여 명을 파병하였고, 516명이 전사했다. 1963년 수교 이후 양국은 경제적 교류를 확대하여 2022년에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으며,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2022년 양국 간 교역액은 219억 캐나다 달러에 달하며, 한국의 대 캐나다 투자는 157억 달러, 캐나다의 대 한국 투자는 43억 달러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양국 관계 - 스페인-캐나다 관계
스페인-캐나다 관계는 스페인 내전 중 캐나다인들의 참전과 어업 분쟁인 '터보 전쟁'을 겪었지만, 현재는 외교 관계를 맺고 어업 협력을 모색하며 관계를 개선하고 있다. - 캐나다의 양국 관계 - 몽골-캐나다 관계
1973년 공식 수립된 몽골-캐나다 관계는 외교 관계를 통해 교류를 발전시켜 왔으며, 캐나다는 몽골의 경제 개혁을 지지하며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양국은 광업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여 캐나다가 몽골의 두 번째로 큰 투자국이 되었다. - 대한민국-캐나다 관계 - 주한 캐나다 대사관
주한 캐나다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캐나다의 외교 관계를 대표하며, 1974년 상주 대사관으로 설치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에서 협력을 증진하고, 캐나다 국민 보호 및 사증 발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캐나다 관계 - 주캐나다 대한민국 대사관
주캐나다 대한민국 대사관은 캐나다에 주재하는 대한민국 대사관으로, 1963년부터 23명의 대사가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양국 관계 - 대한민국-브루나이 관계
대한민국과 브루나이는 1984년 수교 이후 아시안 게임 보이콧으로 잠시 긴장 관계가 있었으나, 고위급 인사 교류, 한국 기업 투자, 농업 및 수산업 협력, 할랄 산업 협력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양국 관계 - 대한민국-몽골 관계
대한민국-몽골 관계는 고대부터 몽골 제국과의 관계를 거쳐 1990년 수교 이후 경제, 문화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며, 2011년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으나, 몽골 내 반한 감정과 역사 인식 차이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캐나다 관계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캐나다-대한민국 관계 |
국가 | 캐나다 대한민국 |
외교 관계 | |
수교 | 1963년 |
캐나다 대사관 | 주한 캐나다 대사관 |
캐나다 대사 | 타마라 모휘니 |
대한민국 대사관 | 주캐나다 대한민국 대사관 |
대한민국 대사 | 임웅순 |
2. 역사
캐나다와 대한민국의 관계는 19세기에 캐나다인 선교사들이 한반도에 오면서 시작되었다. 1947년 캐나다가 UN한국감시단에 참가하면서 공식적인 관계가 시작되었고, 1949년 대한민국을 승인했다.[23][24]
한국 전쟁 당시 캐나다는 UN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정전 협정 체결 이후에도 평화 유지 활동을 지속했다.
2018년, 캐나다 국적의 마이클 코브리그와 마이클 스파보가 중국 정부에 의해 억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4] 2021년 2월 12일,[5] 캐나다를 포함한 57개국은 정치적 목적의 구금을 규탄하는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지만, 대한민국은 지지국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7]
2. 1. 초기 교류 (19세기)
캐나다와 대한민국의 초기 교류는 19세기 캐나다인들이 한반도에 온 첫 서양인들 중 일부였을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들 중 대부분은 기독교 선교사였고, 후에 비종교 활동도 했다.[21]제임스 S. 게일 (1863년 ~ 1937년) 목사는 한영사전을 펴냈는데, 이는 동양에서 한국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위한 최초이자 가장 효과적인 도구가 되었다.[22] 그는 개인적으로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올리버 R. 에비슨은 고종의 개인 의사였고, 한국에서 근대의학을 세웠다고 여겨진다. 프랭크 쇼필드 박사는 영국에서 태어나 캐나다 온타리오주 구엘프 출신으로, 일본의 지배에서 한국을 해방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쇼필드는 한국 국립묘지의 애국지사 묘역에 묻힌 유일한 서구인이다.[1]
2. 2. 한국 전쟁과 양국 관계 (1950년대)
한국 전쟁 당시 캐나다는 유엔군 일원으로 26,791명의 병력, 구축함 8척, 해군 3,621명, 미국 공군 제5군 소속 전투기 조종사 22명 및 기술진을 파병했다.[2][23][24] 캐나다는 정전 협정 이후 현재까지 평화유지활동을 계속하며, 유엔군사령부 회원국 중 하나이다. 한국 전쟁에서 캐나다인 516명이 전사했으며, 378명은 부산 UN기념공원에 안장되었다.[27][28][29]한국 전쟁은 '잊혀진 전쟁'으로 불렸으나, 1997년 온타리오주 브램턴에 국가 기념물인 '기억의 벽'이 건립되면서 대중의 인식이 재고되었다.[25][26]
2. 3. 공식 수교 및 관계 발전 (1963년 ~ 현재)
1963년 양국은 공식 수교를 맺었다.[30] 캐나다는 1947년 대한민국의 선거를 감시하는 UN 위원회에 참여했고, 1949년 대한민국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캐나다는 UN군의 일원으로 26,971명의 군 병력을 한반도에 파견했는데, 이는 미국과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였다. 또한, 캐나다 해군은 8척의 구축함, 3,621명의 해군 장교 및 사병을, 공군은 22명의 전투기 조종사와 여러 기술 장교를 파견하여 미 제5공군에 배속시켰다. 캐나다는 정전 협정 체결 후에도 한국에서 평화 유지 활동을 계속했다.[2] 한국 전쟁에서 516명의 캐나다인이 사망했으며, 378명의 캐나다인이 부산광역시 유엔 기념 공원에 안장되었다.[3]2022년 양국 관계는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다.[30]
2018년, 캐나다 국적의 마이클 코브리그와 마이클 스파보가 중국 정부로부터 간첩 혐의 및 국가 안보 위협 혐의로 기소되어 중국에 억류되었다.[4] 2021년 2월 12일,[5] 캐나다, 미국, 영국, 호주, 독일, 스웨덴을 포함한 57개국은 정치적 목적으로 사람들을 임의로 구금하는 행위를 규탄하는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이에 중국은 캐나다의 행동을 "비열하고 위선적인 행위"라고 비난했다.[6] 그러나 이 선언은 57개국의 지지를 받았지만, 역사적으로 민주적인 국가 중 하나인 대한민국은 중국과의 관계 강화를 모색하며 지지국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7]
3. 경제 관계
2018년 대한민국은 캐나다의 7번째 수출 대상국이자 아시아에서 3번째로 큰 수출 대상국이었다. 2019년 캐나다 총리 스티븐 하퍼가 아시아 순방 중 서울을 방문하여 양국은 개방적이고 확대된 무역 관계를 논의했다. 기술 및 자원 분야의 무역 진척이 시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은 캐나다산 우육에 대한 금수 조치를 해제하지 않았다. 2011년 10월 캐나다 농산부 장관 게리 리츠는 대한민국이 연말까지 캐나다 우육에 대해 대한민국 시장을 개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금수 조치는 2003년부터 시행되어 왔다.[31]
2012년 양국 무역액은 101억캐나다 달러에 달했다. 캐나다의 대한민국에 대한 수출액은 37억캐나다 달러, 대한민국의 캐나다에 대한 수출액은 63억캐나다 달러였다. 2012년 캐나다산 우육에 대한 금수 조치가 해제되었다. 캐나다는 FTA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계속 크게 진척시켰다.
2014년 3월 11일, 스티븐 하퍼 총리와 박근혜 대통령은 새로운 FTA 협상을 결정했다. 2015년 1월 1일, 한-캐나다 자유 무역 협정이 발효되었다.[32]
3. 1. 무역
2014년 대한민국은 캐나다의 7번째 수출 대상국이었으며, 아시아에서는 3번째로 큰 대상국이었다.[31] 2022년 양국 교역액은 219억캐나다 달러에 달했다. 같은 해 캐나다의 대 대한민국 수출은 87억캐나다 달러, 대한민국의 대 캐나다 수출은 132억캐나다 달러였다.구분 | 캐나다의 대 대한민국 주요 수출 품목 | 대한민국의 대 캐나다 주요 수출 품목 |
---|---|---|
2022년 | 광물성 연료 및 오일(원유), 곡물, 목재 펄프, 광물 광석, 육류 | 차량, 전기 장비, 기계, 오일(원유 제외), 철/강철 |
3. 2. 투자
2022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대 캐나다 누적 투자는 157억달러에 달했으며, 캐나다의 대 대한민국 누적 투자는 43억달러였다.[16]4. 외교 현안
2018년 10월 22일, 대한민국 정부는 캐나다의 기호용 마리화나 합법화를 일축하고, 캐나다에 있는 대한민국 국민에게 대한민국 법을 준수해야 하며, 캐나다에서 기호용 마리화나를 사용하거나 소지할 경우 체포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7][18]
4. 1. 중국 관련 문제
2018년, 캐나다 국적의 마이클 코브리그와 마이클 스파보가 중국 정부로부터 간첩 혐의 및 국가 안보 위협 혐의로 기소되어 중국에 억류되었다.[4] 2021년 2월 12일,[5] 캐나다,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스웨덴을 포함한 57개국은 정치적 목적으로 사람들을 임의로 구금하는 행위를 규탄하는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이에 중국은 캐나다의 행동을 "비열하고 위선적인 행위"라고 비난했다.[6] 대한민국은 중국과의 관계 강화를 모색해 왔기 때문에 이 선언을 지지한 57개국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7] 2021년 3월 22일, 마이클 코브리그의 재판이 베이징에서 비공개로 시작되었다.[8]5. 문화 및 인적 교류
대한민국 정부는 토론토에서 캐나다한국교육원(캐나다한국교육원|한국어)을 운영하고 있다.[19] 김씨네 편의점은 한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인정받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eoul Times
http://theseoultimes[...]
[2]
웹사이트
The Korea Veterans Association of Canada
https://web.archive.[...]
2016-08-27
[3]
웹사이트
Welcome to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https://archive.toda[...]
2011-03-05
[4]
웹사이트
"'Be relentless': What it will take to free two Canadians detained in China"
https://www.cnn.com/[...]
2021-05-24
[5]
웹사이트
Declaration Against Arbitrary Detention in State-to-State Relations
https://www.internat[...]
2021-05-24
[6]
웹사이트
China lashes out at Canada for signing declaration against arbitrary detention
http://www.theguardi[...]
2021-05-24
[7]
웹사이트
The Politics of South Korea's 'China Threat'
https://thediplomat.[...]
2021-05-24
[8]
웹사이트
One Of The Canadians Detained In China For 2 Years On Spying Charges Goes On Trial
https://www.npr.org/[...]
2021-05-24
[9]
뉴스
Canada sees South Korea lifting beef ban by year-end
https://web.archive.[...]
2011-10-24
[10]
웹사이트
Harper Government Takes Steps to End WTO Challenge on South Korea's Ban on Canadian Beef Imports
http://www.internati[...]
2016-08-27
[11]
웹사이트
Archived - Prime Minister Harper speaks with President-elect of Korea, Park Geun-hye - Canada News Centre
https://web.archive.[...]
2016-08-27
[12]
웹사이트
Canada-Korea Free Trade Agreement (CKFTA)
http://international[...]
2014-06-17
[13]
뉴스
Canada and South Korea announce they have concluded a free-trade deal
http://www.ctvnews.c[...]
2014-03-11
[14]
웹사이트
Canada-the Republic of Korea relations
https://www.internat[...]
[15]
웹사이트
Canada - Korea Relations
http://www.canadaint[...]
2016-08-27
[16]
웹사이트
Korea-Canada Bilateral Relations
https://overseas.mof[...]
[17]
웹사이트
Bong arm of the law: South Korea says it will arrest citizens who smoke weed in Canada
https://www.theguard[...]
2018-10-23
[18]
웹사이트
South Korea Warns Citizens Not to Smoke Weed in Canada
https://www.vice.com[...]
[19]
웹사이트
About
https://www.cakec.co[...]
Korean Education Centre
2020-05-17
[20]
웹인용
"[캐나다는 지금] 한국과 캐나다 수교 60년"
https://www.rfa.org/[...]
2023-10-07
[21]
웹인용
Canada-Korea connections: enter the missionaries
https://www.koreatim[...]
2023-10-07
[22]
웹인용
한국캐나다학회 KACS
http://www.kacs.kr/i[...]
2023-10-07
[23]
웹인용
캐나다 政府(정부) 韓國(한국) 承認(승인)
https://www.busan.co[...]
2023-10-07
[24]
웹인용
세계한민족문화대전
http://www.okpedia.k[...]
2023-10-07
[25]
웹인용
캐나다 전역의 7월 27일 한국전 참전 용사의 날 기념식 #KoreanWarForgottenNoMore {{!}} Hanca.com
https://hanca.com/%e[...]
2023-10-07
[26]
웹인용
추모의 날과 캐나다의 한국전 참전
https://www.rfa.org/[...]
2023-10-07
[27]
웹인용
e영상역사관 » 사진보기
https://www.ehistory[...]
2023-10-07
[28]
웹인용
"[경기도] 김동연 지사‧트뤼도 캐나다 총리, 6.25전쟁 참전 캐나다군 추모...'가평전투 참전' 가평전투지숲길 조성"
http://www.localnews[...]
2023-10-07
[29]
웹인용
주묘역 < 시설물 안내 < 유엔기념공원 < UNMCK 재한유엔기념공원
http://www.unmck.or.[...]
2023-10-07
[30]
웹인용
"[그래픽] 한국-캐나다 '포괄적 전략 동반자관계'로 격상"
https://www.yna.co.k[...]
2023-10-07
[31]
저널
Korea-Canada FTA Rules of Origin and Customs Procedures
https://www.kci.go.k[...]
2015
[32]
웹인용
FTA 강국, KOREA
https://www.fta.go.k[...]
2023-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