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중앙인사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중앙인사위원회는 국가공무원법에 따라 설치된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으로, 인사 행정의 기본 정책 수립, 고위 공무원 인사 심사, 공무원 교육 훈련, 시험 관리, 소청 심사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1999년 5월 24일 신설되었으며, 2004년 중앙 인사 기능을 일원화했으나, 2008년 2월 28일 폐지되고 관련 업무는 행정안전부로 이관되었다. 위원회는 위원장 1인, 상임위원 1인, 비상임위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대변인, 사무처, 소청심사위원회, 중앙공무원교육원 등을 소속 기관으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인사혁신처 - 대한민국의 인사혁신처장
대한민국의 인사혁신처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공무원 인사, 윤리, 복무, 연금 등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는 인사혁신처의 수장으로서, 공무원 시스템 전반의 효율성과 공정성 확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대한민국 인사혁신처 -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직자윤리법에 근거하여 설립되어 중앙 정부 기관, 지방자치단체, 시도 교육청 등에서 공직자의 윤리 확립을 목표로 재산등록사항 심사, 법 위반자 징계 의결 요구, 퇴직공직자 취업승인 심사 등의 기능과 권한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 2008년 폐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2008년 폐지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대한민국 중앙인사위원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중앙인사위원회 |
영어 표기 | Civil Service Commission |
한글 표기 | 중앙인사위원회 |
한자 표기 | 中央人事委員會 |
가타카나 표기 | チュウアンインサウィウォンフェ |
설립일 | 1999년 5월 24일 |
해산일 | 2008년 2월 28일 |
전신 | 행정자치부 |
후신 | 행정안전부 |
기관장 성명 | (정보 없음) |
상급 기관 | (정보 없음) |
소재지 | (정보 없음) |
직원 | (정보 없음) |
예산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산하 기관 | (정보 없음)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중앙인사위원회는 다음의 법률 및 대통령령에 근거하여 설치되었다.[1][2]
- 국가공무원법 제7조
- 중앙인사위원회직제 제2조
중앙인사위원회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인사 행정에 관한 기본 정책 수립 및 인사 개혁 총괄
- 고위 공무원 인사 심사 및 채용
- 정부 직무 분석 및 성과주의 인사 제도 구축
- 공무원 교육 훈련 실시 및 제도 운영
- 공무원 시험 계획 수립 및 시험 출제·관리
- 국가 인적 자원 정보 관리 및 정부 전자 인사 관리 시스템 운영
- 공무원 징계 처분 등에 대한 소청 심사 및 결정
- 공무원 처우 개선 및 후생 복지
3. 연혁
1999년 창설 당시 중앙 인사 기능은 중앙인사위원회와 행정자치부 본부의 인사국, 행정자치부 산하 중앙공무원교육원에 분산되었으나, 2004년 6월 12일 중앙인사위원회로 일원화됨. 다만, 복무·연금 등 일부 기능과 지방 공무원에 관한 사항은 행정자치부 소관이었음.
4. 조직
대한민국 중앙인사위원회는 위원장 1인(장관급, 임기 3년), 상임위원 1인(사무처장 겸임), 5인 이내의 비상임위원으로 구성되었다. 위원장 아래에는 위원회 업무의 대외 공표 사항을 보좌하는 대변인을 두었으며, 정책홍보관리실장이 이를 겸임했다.[1]
- 대변인 (2007.08 ~ 2008.02)
- 소청심사위원회 (2004.06 ~ 2008.02)
- 중앙공무원교육원 (2004.06 ~ 2008.02)
4. 1. 사무처 (1999.05 ~ 2008.02)
1999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중앙인사위원회의 사무처에 대한 내용이다. 2007년 3월 개편 이후의 직제를 기준으로 한다.
4. 2. 소속 기관
소청심사위원회[1]는 행정기관 소속 공무원의 징계 처분, 그 외에 본인의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처분이나 부작위에 대한 소청을 심사·결정하는 기관이다. 위원장은 차관급 정무직이며, 2008년 2월 29일부터는 행정안전부의 소속 기관이 되었다.중앙공무원교육원[2]은 공무원의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원장은 차관급 정무직이며, 2008년 2월 29일부터는 행정안전부의 소속 기관이 되었다.
5. 역대 위원장
대수 | 이름 | 임기 |
---|---|---|
초대 | 김광웅 | 1999년 5월 24일 ~ 2002년 5월 23일 |
2대·3대 | 조창현 | 2002년 5월 24일 ~ 2006년 8월 8일 |
4대 | 권오룡 | 2006년 8월 9일 ~ 2008년 2월 2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