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광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광웅은 대한민국의 행정학자이자 대학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하와이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국공공정책학회 회장,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을 지냈다. 관료제와 민주주의에 관한 연구를 주로 수행했으며, 중앙인사위원회 초대 위원장, 명지전문대학 총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 박봉식 (정치학자)
    박봉식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교육자로, 서울대학교 교수 및 총장, 부산외국어대학교와 금강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 활동, 총선 무소속 출마, 토지매입 알선 사기 사건 연루, 서울대학교 본부 점거 사태 관련 발언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 박승재
    박승재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양대학교 교수 및 한국정치학회 이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 - 정석모
    경찰 출신 행정가이자 정치인인 정석모는 치안국장, 도지사, 차관, 6선 국회의원, 내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충청권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고, 정계 은퇴 후에는 건양대학교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 - 임동원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임동원은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군과 정부의 요직을 거쳐 나이지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대사, 통일부 장관, 국가정보원장 등을 역임하며 김대중 정부 시절 햇볕정책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나, 제2연평해전 발언과 불법 감청 혐의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김광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광웅
출생일1940년 10월 4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기도 경성부
사망일2019년 12월 24일
직업교육인
정당무소속
기타

2. 학업 및 학문 활동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하와이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2년부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고, 행정대학원장을 역임했다. 한국행정학회, 한국정치학회 등 여러 학회에서 활동하며 학문 발전에 기여했으며, 주요 학회 회장을 맡기도 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대한민국의 관료제민주정치이며, 미래학리더십 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2. 1. 학력

wikitext

학력연도비고
배재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1962년법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1965년행정학 석사
하와이 대학교 대학원 졸업1971년정치학 박사


2. 2. 교수 경력

1972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2년부터 1994년까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을 지냈다. 중국 국가행정학원에서 겸임교수(2000년 ~ 2003년) 및 명예교수(2004년 ~ 2006년)로도 활동했다. 2007년 서울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한 후 명예교수로 있으며, 서울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학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71년부터 한국행정학회한국정치학회 회원으로, 1975년부터는 한국미래학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주요 학회 임원으로는 한국행정학회 회장(1991년 ~ 1992년), 한국공공정책학회 회장(1997년 ~ 1999년),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2004년 ~ 2006년)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대한민국의 관료제민주정치이며, 언론 기고 등을 통해 정부행정에 관한 평론을 다수 발표했다. 일찍부터 미래학리더십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최근에도 학문의 미래와 리더십 교육에 집중적인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2. 3. 학회 활동

1971년부터 한국행정학회한국정치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기 시작했고, 1975년부터는 한국미래학회 회원으로도 활동했다. 이후 여러 학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 1991년부터 1992년까지 한국행정학회 회장을 지냈고, 1997년부터 1999년까지는 한국공공정책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을 맡았다.

2. 4. 연구 분야

주로 대한민국의 관료제민주정치에 관해 연구하였고, 언론 기고 등을 통해 정부행정에 관한 평론을 다수 발표하였다. 일찍부터 미래학리더십에 깊은 관심을 가졌고, 최근에도 학문의 미래와 리더십 교육에 집중적인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3. 경력 및 사회 활동

대한민국 정부와 관련해서는 대통령자문 행정개혁위원회 위원(1985년 ~ 1989년), 행정쇄신위원회 위원(1993년 ~ 1995년), 정부조직개편심의위원회 위원 겸 실행위원장(1998년) 등 주로 행정개혁 분야에서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 1999년에는 대통령 직속 중앙인사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장관급)으로 임명되어 2002년까지 활동했다.

이 외에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이사장(1995년 ~ 1999년, 2006년 ~ 2008년), 간행물윤리위원회 좋은책선정위원회 위원장(2007년 ~ 2010년), 시사주간지 시사IN 대표이사 겸 발행인(2008년), 예술의 전당 이사(2007년 ~ ), 서울대학교 공공리더십센터 상임고문(2008년 ~ 2012년) 등 다양한 사회 활동에 참여했다.

2012년 3월 명지전문대학 제10대 총장으로 취임했으나, 2014년 업무상 횡령 및 사립학교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는 등 논란 끝에 2015년 2월 임기 만료로 퇴임했다.

3. 1. 정부 관련 활동

대한민국 정부와 관련해서는 주로 행정개혁 분야에서 자문 활동을 수행했다. 대통령자문 행정개혁위원회 위원(1985년 ~ 1989년), 행정쇄신위원회 위원(1993년 ~ 1995년), 정부조직개편심의위원회 위원 겸 실행위원장(1998년) 등을 역임했다.

1999년 발족한 대통령 직속 중앙인사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장관급)으로 임명되어 1999년부터 2002년까지 활동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관에서 활동했다. 국회 출연금으로 설립된 재단법인인 한국의회발전연구회 이사장을 1995년부터 1999년,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두 차례 역임하며 의회 정치 발전에 기여하고자 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간행물윤리위원회 산하 좋은책선정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2008년에는 시사주간지 시사IN의 대표이사 겸 발행인을 맡기도 했다.

2007년부터는 예술의 전당 이사와 ‘미래대학 콜로키움'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서울대학교 공공리더십센터 상임고문을 지냈다.

2012년 3월 1일에는 명지전문대학 제10대 총장으로 취임하여 4년 임기를 시작했다. 그러나 2014년 업무상 횡령과 사립학교법 위반 혐의로 서울서부지검에 고발되었고, 검찰의 기소로 재판이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법인으로부터 총장직 파면과 복직을 거듭했으며, 2015년 2월 임기 만료로 총장직에서 물러났다.

3. 2. 중앙인사위원회 위원장 재임 기간 중 업적

중앙인사위원회라는 독립된 중앙인사관장기관의 설립은 그 자체만으로도 인사행정의 오랜 숙원이었다. 김광웅 위원장 재임기간(1999년 ~ 2002년) 중 중앙인사위원회는 인사행정 분야에서 많은 개혁적인 제도와 정책을 도입하였는데,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이에 관한 내용은 2002년 중앙인사위원회가 발간한 《공무원인사개혁백서》에 자세히 정리되어 있다.)

  • 고위직 공무원(1~3급)에 대한 실질적인 인사심사를 실시하여 정부인사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정실인사 시비를 크게 불식시켰다.
  • 각 부처 주요 직위에 민간부문의 전문가들이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방형직위로 지정하여 운영하였고, 정부 내에서도 직위공모를 통해 적격자를 선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공무원이 민간부문에서 현장 경험을 통해 최신기법을 습득하고 정책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민간근무휴직제도를 도입하였다.
  • 행정고등고시 및 외무고등고시 제1차 시험으로 암기력이 아닌 종합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공직적격성평가(PSAT, 2004년 최초 실시)를 도입하고 영어시험을 민간 어학능력검 검정시험으로 대체하는 등 고시제도를 크게 개편하였다.
  • 직무와 성과 중심의 인사행정 구현을 위해 과학적 직무분석을 실시하였고, 성과연봉제도성과상여금제도 등 성과급 보수제도를 도입하였다.
  • 공직내 소수집단이라 할 수 있는 여성공무원, 장애인공무원, 과학기술공무원 등이 차별없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인사행정의 균형성과 형평성을 높이기 위하여 여성관리자임용목표제, 장애인 고용의무 적용대상 확대, 기술직공무원 보직관리 개선 등을 추진하였다.
  • 공무원 보수현실화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였고, 공무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처우 개선, 문화복지 및 자기개발 지원, 근무여건 개선 등을 추진하였다.
  • 인사행정 업무를 전자적으로 처리하고 인사정책 개발 등에 활용하기 위한 인사정책지원시스템(PPSS, 현재 e-사람)을 개발하여 각 부처에 확산하기 시작하였고, 각 직위에 적합한 능력과 자격을 갖춘 인재를 널리 발굴하기 위하여 국가인재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운용하는 등 인사행정의 정보화 수준을 크게 높였다.

3. 3. 기타 경력

대한민국 정부와 관련해서는 주로 행정개혁 분야에서 자문 활동을 수행했다. 대통령자문 행정개혁위원회 위원(1985년 ~ 1989년), 행정쇄신위원회 위원(1993년 ~ 1995년), 정부조직개편심의위원회 위원 겸 실행위원장(1998년) 등을 역임했다.

1999년 출범한 대통령 직속 중앙인사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장관급)으로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재직했다.

또한, 의회 정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국회 출연금으로 설립된 재단법인 한국의회발전연구회의 이사장을 두 차례(1995년 ~ 1999년, 2006년 ~ 2008년) 역임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간행물윤리위원회의 좋은책선정위원회 위원장을 맡았으며, 2008년에는 시사주간지 시사IN의 대표이사 겸 발행인을 지냈다.

2007년부터는 예술의 전당 이사와 ‘미래대학 콜로키움'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서울대학교 공공리더십센터 상임고문을 맡았다.

2012년 3월 1일에는 명지전문대학 제10대 총장으로 취임하여 4년 임기를 시작했다. 그러나 2014년 업무상 횡령과 사립학교법 위반 혐의로 서울서부지검에 고발되었고, 검찰의 기소로 재판 절차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법인으로부터 총장직 파면과 복직을 거듭했으며, 2015년 2월 임기 만료로 학교를 떠났다.

기간직책/활동기관/단체비고
1985년 ~ 1989년위원대통령자문 행정개혁위원회
1993년 ~ 1995년위원행정쇄신위원회
1995년 ~ 1999년이사장한국의회발전연구회1차 역임
1998년위원 겸 실행위원장정부조직개편심의위원회
1999년 ~ 2002년초대 위원장 (장관급)중앙인사위원회
2006년 ~ 2008년이사장한국의회발전연구회2차 역임
2007년 ~ 2010년좋은책선정위원회 위원장간행물윤리위원회
2007년 ~이사, 운영위원예술의 전당, '미래대학 콜로키움'
2008년대표이사 겸 발행인시사IN
2008년 ~ 2012년상임고문서울대학교 공공리더십센터
2012년 ~ 2015년제10대 총장명지전문대학2014년 업무상 횡령 및 사립학교법 위반 혐의 기소


3. 4. 명지전문대학 총장 재직 시 논란

2012년 3월 1일부터 4년 임기로 명지전문대학 제10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2014년 업무상 횡령과 사립학교법 위반 혐의로 서울서부지검에 고발되었고, 검찰의 기소로 재판 절차가 진행되었다. 재직 중 학교 법인으로부터 총장직 파면을 당했다가 복직하는 과정을 겪기도 했으며, 2015년 2월 임기 만료로 총장직에서 물러났다.

4. 주요 저서, 편서, 역서


  • 《서울대 리더십 강의》, 2011년
  • 《창조 리더십》, 2009년
  • 《통의동 일기》, 2008년
  • 《신고전 50선》, 2008년
  • 《국가의 미래》, 2008년
  • 《장관 리더십》, 2008년
  • 《비교행정론》, 2004년 (공저: 강성남)
  • 《바람직한 정부》, 2003년
  • 《파킨슨의 법칙》, 2003년 (역서, 원저자: 노스코트 파킨슨)
  • 《대한민국에서 태어나면 불행해질 자격이 없다》, 2002년 (공저: 강영훈 외 99인)
  • 《전문가 10인의 한국경제를 보는 눈》, 2002년 (공저: 남덕우 외 9인)
  • 《정보사회와 행정》, 2001년 (공저: 강성남)
  • 《열린정부 국정 새틀짜기》, 2000년
  • 《방법론 강의》, 1996년
  • 《행정과 나라만들기》, 1996년
  • 《참여론 바로보기》, 1996년 (공저: 임동욱, 황종우, 우병렬)
  • 《정당·선거·여론》, 1996년 (편저: 이갑윤)
  • 《작은정부 큰국민》, 1994년
  • 《지방선거와 행정》, 1994년 (공저: 박동서)
  • 《행정조직 개혁》, 1994년 (공저: 강신택)
  • 《우리는 신이 아니다》, 1994년 (공저: 외 4인)
  • 《우리동네 선거이야기 나라 선거이야기 고쳐야할 선거이야기》, 1992년
  • 《한국의 관료제연구》, 1991년
  • 《한국 의회과정론》, 1991년 (공저: 박동서)
  • 《한국의 의회정치》, 1991년 (공저: 김학수, 박찬욱)
  • 《한국의 선거정치학》, 1990년
  •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1990년 (공저: 신도철, 최명, 박찬욱)
  • 《Elections in Korea》, 1988년
  • 《한국선거론》, 1987년 (공저: 길승흠, 안병만)
  • 《의회와 행정부》, 1987년 (편저: 박동서)
  • 《관료와 발전》, 1986년
  • 《한국인의 민주정치의식: 대중과 엘리트》, 1986년 (공저: 박동서)
  • 《정치학 - 성찰과 조망》, 1984년 (역서: 최명)
  • 《행정과학서설》, 1983년
  • 《사회과학방법론》, 1983년
  • 《한국의 지역사회개발》, 1981년
  • 《사회과학연구방법론》, 1976년

5. 상훈

6. 관련 홈페이지


  • [http://www.finegovt.com 바람직한 정부를 위하여]
  • [http://gspa.snu.ac.k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http://www.kapa21.or.kr 한국행정학회]
  • [http://www.kossrec.org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 [https://web.archive.org/web/20090724140731/http://hr.mopas.go.kr/ 행정안전부 정부인사포털(전 중앙인사위원회 홈페이지)]
  • [http://www.sisain.co.kr 시사IN]
  • [http://www.assembly.re.kr 한국의회발전연구회]
  • [http://www.kpec.or.kr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 [https://web.archive.org/web/20070823173043/http://www.kpec.or.kr/Site/web/sub.asp?menuKMCD=KP0062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 이달의 읽을만한 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