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고교 야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고교 야구는 1905년 한성고등학교에서 시작되어,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전국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1920년 전조선 야구 대회가 개최되었고, 1921년부터는 일본 전국 중등 학교 우승 야구 대회의 조선 지역 예선이 열리기도 했다. 해방 이후에는 청룡기, 황금사자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등 주요 전국 고교 야구 대회가 창설되어 한국 야구 발전에 기여했다. 1982년 프로 야구 출범 이후 고교 야구의 인기는 다소 감소했으나, 주말리그 도입 등 변화를 겪으며 현재까지 전국 95개 고등학교에서 야구부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 고교 야구는 프로 선수 육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영민 타격상과 같은 권위 있는 상을 통해 우수 선수들을 격려하고 있다.

2. 역사

1905년 대한제국에 야구가 전해진 이래, 한성중학교를 시작으로 여러 학교에서 야구부를 창단하며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에도 야구는 계속되었고, 1920년 조선체육회 창설 기념으로 제1회 전 조선 야구 대회가 열렸다. 1921년부터는 일본 전국 중등 학교 우승 야구 대회의 조선 지구 예선이 개최되어, 조선 대표 학교들이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7]

1926년 동아일보는 경신, 휘문, 배재, 중앙 4개 학교의 리그전을 개최했으나, 1936년부터 10년 가까이 중단되었다.[7]

1946년 자유신문사에 의해 전국 중등 학교 야구 선수권이 개최되었고, 1947년 동아일보사의 전국 지구 대표 중등 야구 쟁패전, 1949년 부산 산업신문사의 화랑대기 전국 중등 학교 야구가 개최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대회가 중단되었다가, 이후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 분리에 따라 대회명이 변경되었다. 전국 중등 학교 야구 경기 대회는 청룡기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 대회로, 주최자는 조선일보로 변경되었고, 전국 지구 대표 중등 학교 야구 쟁패전은 황금사자기 전국 고교 야구 대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7]

1967년 중앙일보동양방송 공동 주최의 대통령배 전국 고교 야구 대회가, 1971년 한국일보 주최의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2013년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주최의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개최되었다.[7]

2020년을 기준으로 전국의 야구부는 81개교에 이른다.

2. 1. 초창기와 일제강점기 (1905년 ~ 1945년)

조선대표 참가 성적'''회수연도참가학교성적7회1921부산공립상업학교8강8회1922경성중학교1회전9회1923휘문고등보통학교8강10회1924경성중학교1회전11회1925부산중학교2회전12회1926경성중학교8강13회1927경성중학교2회전14회1928경성중학교2회전15회1929평양중학교2회전16회1930대구공립상업학교2회전17회1931경성상업학교2회전18회1932평양중학교1회전19회1933선린상업학교1회전20회1934경성상업학교8강21회1935신의주상업학교2회전22회1936인천공립상업학교2회전23회1937용산중학교1회전24회1938인천공립상업학교2회전25회1939인천공립상업학교1회전26회1940평양제일중학교2회전27회1941청진수산학교(대회 중단)


2. 2. 해방 이후와 고교 야구 중흥기 (1946년 ~ 1981년)

1946년 자유신문사 주최로 해방 후 첫 야구 대회인 전국중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가 개최되었다. 1947년에는 동아일보사 주최의 전국지구대표 중등야구 쟁패전이 시작되었고, 1949년에는 부산산업신문사(현 국제신문) 주최로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개최되었다.[7]

1950년 한국 전쟁 발발로 인해 대회들이 2년에서 4년간 잠시 중단되기도 했다. 전쟁 이후, 학제 개편으로 중등학교야구선수권대회는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로, 중등야구 쟁패전은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로 이름이 바뀌었다. 자유신문사 간부들이 전쟁 중 납북되면서 조선일보사가 청룡기 대회를 주최하기 시작했다.[7]

1967년 중앙일보사와 동양방송(TBC) 공동 주최의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출범하였고, 1971년 한국일보사 주최의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시작되었다. 1979년 대구 매일신문사 주최의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개최되었다. 이때가 고교 야구 인기가 절정에 달했던 시기였다.[7]

1950년대에는 동산고등학교(6회)와 인천고등학교(5회)가, 1969년에는 선린상업고등학교가, 1971년에는 경북고등학교가 전국 대회를 석권하는 등 특정 학교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이후 한 학교가 한 해의 모든 대회를 우승하거나, 서울의 4대 전국대회를 모두 우승하는 경우는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7]

2. 3. 프로 야구 출범 이후와 현재 (1982년 ~ 현재)

1982년 프로 야구 출범으로 고교 야구의 인기는 상대적으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많은 명승부가 펼쳐졌고, 고교 선수들이 프로에 직행하는 사례도 늘어났다. 1994년 광주일보사 주최로 무등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2003년 인천일보사 주최로 미추홀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개최되었다.

2011년부터 선수들의 학습권 보장과 운동 병행을 위해 고교야구 주말리그가 도입되었다. 리그제 도입으로 기존 대회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는데,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는 폐지되고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이를 대체하게 되었다.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는 고교야구 주말리그 전반기 전국 대회,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는 후반기 전국 대회가 되었다. 전국체육대회 고등학교 야구는 기존대로 시행되고, 위의 4개 대회 외에 언론사 주최 전국고교야구대회는 전부 폐지되었다.

2013년 7월 16일, KT 위즈의 대한야구협회와 유스트림 코리아의 아마야구 후원 협약에 따라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부활하고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가 신설되었다.[2] 2013년 11월 21일 율곡고등학교 야구부 창단으로 1986년 59개교 이후 최다인 60개 팀 시대가 열렸다.[3] 2014년에는 글로벌선진학교가 야구부를 창단하였다.

2015년부터 고교야구 주말리그는 전반기에만 열리게 되었다. 후반기에는 토너먼트 대회가 3개나 열려 일정상 주말리그를 진행할 수 없게 되었으나, 고교야구 선수들을 야구만 하는 선수로 만들 수 있다는 비판도 있었다.[4] 8월에 열린 제3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부터 송탄제일고등학교와 백송고등학교[5]가 참가했다.

2010 시즌 이후 지방 도시에서 주최하던 4개의 하위 고등학교 야구 대회는 고교 주말 리그로 대체되었다.

대회개최 도시참가 팀 수시작 연도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부산241949년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대구221979년
무등기 전국고교야구대회광주221994년
미추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인천222003년


3. 주요 전국 고교 야구 대회

대한민국의 전국 고교 야구 대회는 다음과 같다.

5대 전국대회 (메이저 대회)
대회개최 도시참가 학교개최 연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서울36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서울36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기타 도시41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기타 도시63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기타 도시63



5대 전국 대회(메이저 대회)는 전통, 상금 규모, 대중의 관심 면에서 한 해의 가장 중요한 고등학교 야구 행사이다.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전국체육대회 고교 야구 부문 외에는 지역 예선 없이 진행한다.

과거에는 지방 도시에서 주최하는 4개의 하위 고등학교 야구 대회가 있었으나, 2010 시즌 이후 고교 주말 리그로 대체되었다.

지방 도시 전국 대회
대회개최 도시참가 팀 수시작 연도
화랑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부산24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대구22
무등기 전국고교야구대회광주22
미추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인천22


4. 한국 고교 야구의 특징 (일본 고교 야구와의 비교)

한국의 고교 야구는 일본과 달리 선수 대부분이 프로 진출을 목표로 한다. 부모가 "아들을 반드시 프로 야구 선수로 만들겠다"는 식으로 결정하는 경향이 강하다. 일본 고교 야구는 학교 측이 운영하고 감독도 학교 관계자인 경우가 많지만, 한국은 감독이 학교 관계자가 아닌 외부 고용인이며, 감독 보수의 절반 이상을 학부모들이 부담한다.[1]

한국 고교 야구 선수의 90% 이상이 프로를 목표로 한다는 점이 일본 고교 야구와 다르다. 일본의 고교 야구 팀 수는 약 3700개교인 반면, 한국은 약 80~100개교로 매년 3~4개교씩 증가하고 있다.[1]

5. 야구부 운영 고등학교

2023년 기준으로 전국 95개 고등학교에서 야구부를 운영하고 있다.[6]

지역학교 수학교 목록
서울16경기고등학교, 경동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배명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성남고등학교, 성지고등학교, 신일고등학교, 장충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 휘문고등학교
부산6개성고등학교, 경남고등학교, 부경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대구3경북고등학교, 대구고등학교, 대구상원고등학교
인천3동산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제물포고등학교
광주3광주동성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광주진흥고등학교
대전2대전고등학교, 대전제일고등학교
울산1울산공업고등학교
경기18경기항공고등학교, 경민IT고등학교, 라온고등학교(구 송탄제일고등학교), 백송고등학교, 부천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 상우고등학교, 소래고등학교, 신흥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 유신고등학교, 율곡고등학교(현 율곡고야구단), 인창고등학교, 장안고등학교, 진영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충훈고등학교
강원4강릉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원주고등학교, 강원고등학교
충북3세광고등학교, 청주고등학교, 충주성심학교
충남3광천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 북일고등학교
전북3군산상업고등학교, 인상고등학교, 전주고등학교
전남2화순고등학교, 효천고등학교
경북4경주고등학교, 글로벌선진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도개고등학교
경남4김해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 용마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
제주1제주고등학교


6. 이영민 타격상

20회광주제일고등학교(광주서중 포함)19회북일고등학교17회대구상원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대구상중, 대구상고 포함)
(덕수상고, 덕수정보고 포함)16회신일고등학교
동산고등학교12회대구고등학교11회군산상업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선린상고 포함)10회광주동성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광주상고 포함)9회개성고등학교(부산상중, 부산상고 포함)8회부경고등학교(경남상고 포함)7회광주진흥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6회휘문고등학교5회경동고등학교
성남고등학교4회배명고등학교
세광고등학교
장충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동대문상고 포함)3회공주고등학교
경기고등학교
경기공업고등학교
대전고등학교
제물포고등학교(現 서울과학기술대학교)2회마산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
성동고등학교
용마고등학교
유신고등학교
전주고등학교
중앙고등학교(해체)1회경복고등학교
보성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전국체전, 한국야구대제전 우승은 우승 횟수에 포함되지 않았다.

참조

[1] 이미지 http://news.donga.co[...] 2022-03
[2] 웹사이트 10구단 KT, 아마야구에 10년간 100억 후원 http://economy.hanko[...] 2014-09-03
[3] 뉴스 사상 최초 고교야구 60팀 시대 '활짝' http://news.itimes.c[...] 인천일보
[4] 뉴스 주말리그 축소…과거로 돌아가는 고교야구 http://sports.mk.co.[...] MK 스포츠
[5] 뉴스 '고양 유일' 백송고 야구부 창단, 68번째 고교야구팀 탄생 http://www.sportsq.c[...] 스포츠Q
[6] 문서 대한민국에서 고교 야구 리그에 참가하는 유일한 특수학교 야구단이다.
[7] 문서 전국체전 부분의 우승 학교 목록은 각 학교의 홈페이지를 참조하였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