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홍단호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홍단호 사건은 2007년 10월 29일 소말리아 해역에서 북한 화물선 대홍단호가 해적에게 피랍된 사건이다. 해적들은 선원들을 감금하고 몸값을 요구했으나, 미 해군 구축함 제임스 E. 윌리엄스함의 지원을 받은 북한 선원들의 저항으로 해적을 제압하고 대홍단호를 탈환했다. 이 사건으로 북한은 이례적으로 미국의 지원에 감사를 표하며 북미 협력을 강조했고, 이는 북한의 테러 지원 국가 지정 해제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북한 내부에서는 이 사건이 공식적으로 보도되지 않았으며, 남북 관계 개선에도 잠재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전투 - 오차드 작전
2007년 이스라엘 공군이 시리아의 알 키바르 지역을 공습한 오차드 작전은 이스라엘이 북한의 지원을 받아 건설 중이던 시리아 핵 시설을 파괴했다고 주장한 사건으로, 국제원자력기구 또한 해당 시설이 미신고 원자로와 유사함을 확인했다. - 2007년 전투 - 가자 전투 (2007년)
2007년 가자 전투는 2006년 팔레스타인 총선 이후 하마스와 파타 간의 권력 다툼이 격화되어 가자 지구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로, 하마스가 가자 지구를 장악하고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분열되었다. - 200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07년 남북정상회담
2007년 남북정상회담은 2007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평양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간에 개최되어,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와 남북 관계 발전,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을 논의하고 2007 남북정상선언문을 채택했다. - 200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07년 북한 홍수
2007년 북한 홍수는 8월 폭우로 북한 전역에 발생한 대규모 홍수 사태로 농경지 침수와 식량 안보 위협을 야기했으며, 국제 사회의 구호 지원을 받았다. - 2007년 소말리아 - 제미니호 피랍 사건
2011년 4월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싱가포르 선적 제미니호의 한국인 선원 4명은 1년 8개월간 열악한 환경과 정신적 스트레스에 시달리다 2012년 12월 석방되었으며, 이 사건은 해적의 위험과 피랍 선원 사후 지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2007년 소말리아 - 소말리아 전쟁 (2006년~2009년)
소말리아 전쟁은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소말리아에서 발생한 군사적 충돌로, 과도 연방 정부를 지원하는 에티오피아군과 이슬람 법정 연합 간의 충돌로 시작되어 반군 세력 개입으로 복잡해졌으며, 민간인 사상자와 인권 침해, 정치적 불안정, 극단주의 세력 성장을 초래했다.
대홍단호 사건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사건 개요 | |
사건명 | 대홍단호 사건 |
시기 | 2007년 10월 29일 |
장소 | 인도양, 모가디슈 연안 |
결과 | 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승리, 선원들이 배를 되찾음 |
교전 세력 | |
교전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국 해군 |
교전 2 | 소말리아 해적 |
지휘관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박용환 (Park Yong Hwan) |
미국 | 티모시 R. 트람페나우 (Timothy R. Trampenau) |
소말리아 해적 | 미상 |
병력 규모 | |
교전 1 | 구축함 1척, 나포된 화물선 1척, 선원 22명 |
교전 2 | 해적 7명 |
피해 규모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선원 6명 부상 (3명 중상) |
소말리아 해적 | 2명 사망, 5명 포로 (3명 부상) |
관련 작전 | |
이미지 | |
![]() |
2. 사건 발생
사건은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에서 북동쪽으로 약 약 112.65km 떨어진 해상에서 발생했다. 1978년 청진시에서 건조된 북한 화물선 ''대홍단호''가 소말리아 해적에게 나포되었다.[3][16]
피랍 다음 날, 대홍단호가 보낸 조난 신호를 접수한 미 해군의 유도 미사일 구축함 제임스 E. 윌리엄스가 구조를 위해 현장으로 출동했다.[6][7][17] 미 해군은 SH-60B 헬리콥터와 해상 강습 부대(VBSS) 팀을 파견하여 작전을 지원했다.[6][7][17]
북한 측 발표에 따르면, 대홍단호가 모가디슈 항에서 화물을 하역하던 중 무장 해적 7명이 경비원으로 위장하여 배에 승선했다. 해적들은 선원 22명을 조타실과 기관실에 감금한 뒤, 배를 강제로 해상으로 이동시키고 몸값으로 1.5만달러를 요구했다.[3][16]
3. 선원들의 저항과 미 해군과의 공조
한편, 대홍단호의 북한 선원들은 자신들을 감금한 해적들에게 기습적으로 맞서 싸우며 일부 무기를 탈취하는 데 성공했다.[6][18] 선원들은 함교와 기관실 등 선박의 중요 구역을 점거하며 해적들과 총격전을 벌였다.[6] 당시 선원들의 증언에 따르면, 해적들에게 "엔진이 고장났다"고 속여 방심하게 만든 뒤 기습하여 무기를 빼앗는 기지를 발휘하기도 했다.[18]
미 해군 헬리콥터는 상공에서 선원들의 전투를 지원하며 트랜시버를 이용해 해적들에게 항복을 권고했다.[18] 특히 제임스 E. 윌리엄스함에 마침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한국계 2세 승조원이 탑승하고 있어, 대홍단호 선원들과 직접 통신하며 작전을 조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8] 이러한 미군과 북한 선원 간의 이례적인 공조를 통해 약 3시간 30분에 걸친 교전 끝에 해적들을 성공적으로 제압하고 선박을 탈환할 수 있었다.[18]
3. 1. 피해 상황
교전 결과, 해적 중 1명[6] 또는 2명[18]이 사망하고 나머지는 북한 선원들에게 제압되어 체포되었다.[6][19] 체포된 해적 중 3명도 부상을 입었다.[6][19]
북한 선원 중에서는 6명이 부상을 당했으며, 이 중 3명은 중상이었다.[6][19] 조난 신호를 받고 출동한 미 해군 구축함 제임스 E. 윌리엄스의 의료진이 대홍단호에 승선하여 부상당한 선원들과 해적 포로들을 치료했다.[19] 특히 중상을 입은 선원 3명은 미 해군 구축함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18]
4. 사건의 영향
대홍단호 사건은 경색된 북미 관계에 예상치 못한 협력의 계기를 제공했다. 북한은 이례적으로 미국의 지원에 감사를 표하며[8][9][20][21] 양국 협력을 강조했고,[10][11][22][23] 이는 이후 북한의 테러 지원 국가 지정 해제 과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24][26] 그러나 북한 내부적으로는 이 사건을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고[27] 기존의 반미 선전을 이어가는[27]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
4. 1. 북미 관계 개선
북한 관영 통신사인 조선중앙통신은 이례적으로 긍정적인 성명을 통해 미국의 지원에 감사를 표하고,[8][9][20][21] 사건 해결 과정에서 이루어진 성공적인 미-북 협력을 강조했다.[10][11][22][23] 조선중앙통신은 더 나아가 이 사건이 "테러와의 싸움에서의" 양국 간 "협력의 상징"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24]미국 국무부 대변인 숀 매코맥은 이에 대해 "우리는 책임 있는 국제 해양 기구 및 조약 가맹국으로서 우리의 책무를 다하고 공해상에서의 조난 신호에 대응했습니다."라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24]
당시 미국은 1987년부터 북한을 테러 지원 국가로 지정하고 있었으나,[25] 대홍단호 사건 이전부터 관계 개선의 조짐이 보이고 있었다. 2007년 7월 북한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국내 원자로 가동을 중단했고, 9월에는 홍수 피해에 대한 미국의 인도적 지원에 감사를 표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등 미국과의 관계 개선 및 테러 지원 국가 지정 해제를 모색하는 움직임을 보였다.[24] 미국과 한국 정부 역시 이러한 북한의 태도를 "매우 협력적"이라고 평가했다.[24]
이러한 배경 속에서 발생한 대홍단호 사건은 북미 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24] 11월 2일, 미국 국무부 차관보이자 북핵 문제 미국 측 수석대표였던 크리스토퍼 힐은 미군이 선의의 표시로 북한 선박을 도운 것이라고 언급하며 사건의 의미를 강조했다.[24] 이 사건을 계기로 북한의 테러 지원 국가 지정 해제 절차가 가속화되었고,[24] 결국 다음 해인 2008년 10월 11일 미국은 북한을 테러 지원 국가 명단에서 공식적으로 제외했다.[26]
4. 2. 북한 내부 상황
한국의 언론사인 데일리NK에 따르면, 북한 국내 언론은 대홍단호 사건을 보도하지 않았으며, 북한 주민들에게도 사건의 존재 자체가 알려지지 않았다.[27] 이는 북한의 국영 통신사인 조선중앙통신이 이례적으로 미국에 감사를 표하고 양국 간 협력을 강조한 것과는[20][21][22][23] 대조적인 모습이다.데일리NK의 취재에 응한 한 탈북자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평소 강력한 군사력을 선전하는 북한 체제 입장에서 선원들이 해적에게 납치되었다는 사실 자체를 인정하기 어렵고, 더군다나 미국의 도움으로 풀려났다는 사실을 주민들에게 알리는 것은 더욱 곤란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27] 실제로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로동신문은 사건 발생 직후인 11월 3일에도 여전히 미국이 "남북 조선의 조화, 연대, 통일의 주요 장애"이며 북한 침략을 꾀하고 있다는 등, 기존의 대미 비난 논조를 유지하는 기사를 실었다.[27]
참조
[1]
뉴스
Well-trained North Korean Crew Members Knock Down Pirates
https://www.dailynk.[...]
2007-11-02
[2]
웹사이트
DDG 95 - USS James E. Williams
https://www.seaforce[...]
[3]
뉴스
Pirates 'overpowered' off Somalia
http://news.bbc.co.u[...]
2014-08-28
[4]
뉴스
N. Korea Thanks U.S. for Piracy Aid
http://www.military.[...]
2007-11-09
[5]
웹사이트
U.S. Navy Still Battles Pirates on the High Seas
http://iipdigital.us[...]
US Government
2017-07-15
[6]
뉴스
Crew wins deadly pirate battle off Somalia
https://edition.cnn.[...]
2007-10-30
[7]
뉴스
Pirates 'overpowered' off Somalia
http://news.bbc.co.u[...]
2014-08-28
[8]
뉴스
North Korea offers rare thanks to U.S. for help
https://www.reuters.[...]
Reuters
2018-08-19
[9]
뉴스
N. Korea thanks U.S. for helping its sailors in fight with Somali pirates
https://www.denverpo[...]
Denver Post
2018-08-19
[10]
뉴스
DPRK's Consistent Principled Stand to Fight against All Forms of Terrorism Reiterated
http://www.kcna.co.j[...]
2007-11-11
[11]
뉴스
NKorea Thanks US Over Piracy Standoff
https://www.washingt[...]
2019-01-27
[12]
뉴스
Pirates 'overpowered' off Somalia
http://news.bbc.co.u[...]
2007-10-31
[13]
뉴스
N. Korea Thanks U.S. for Piracy Aid
http://www.military.[...]
2007-11-09
[14]
웹사이트
U.S. Navy Still Battles Pirates on the High Seas
http://iipdigital.us[...]
US Government
2017-07-15
[15]
뉴스
Crew wins deadly pirate battle off Somalia
https://edition.cnn.[...]
2007-10-30
[16]
뉴스
Pirates 'overpowered' off Somalia
http://news.bbc.co.u[...]
2007-10-31
[17]
뉴스
Crew wins deadly pirate battle off Somalia
https://edition.cnn.[...]
2007-10-30
[18]
뉴스
How the US and North Korea teamed up to fight a common enemy — pirates
https://www.nknews.o[...]
NK News
2023-03-09
[19]
뉴스
N. Korea thanks U.S. for helping its sailors in fight with Somali pirates
https://www.denverpo[...]
Denver Post
2018-08-19
[20]
뉴스
North Korea offers rare thanks to U.S. for help
https://www.reuters.[...]
Reuters
2018-08-19
[21]
뉴스
N. Korea thanks U.S. for helping its sailors in fight with Somali pirates
https://www.denverpo[...]
Denver Post
2018-08-19
[22]
뉴스
DPRK's Consistent Principled Stand to Fight against All Forms of Terrorism Reiterated
http://www.kcna.co.j[...]
2007-11-11
[23]
뉴스
NKorea Thanks US Over Piracy Standoff
https://www.washingt[...]
2007-11-08
[24]
뉴스
N. Korea thanks U.S. for helping its sailors in fight with Somali pirates
https://www.denverpo[...]
Denver Post
2018-08-19
[25]
뉴스
N. Korea Thanks U.S. For Pirate Attack Aid
https://www.cbsnews.[...]
CBS News
2023-03-09
[26]
뉴스
米国による北朝鮮のテロ支援国家指定解除について 中曽根外務大臣談話,日本外務省,平成20年10月12日
https://www.mofa.go.[...]
[27]
뉴스
North Korean Citizens Have Not Heard about the Dai Hong Dan Incident
https://www.dailynk.[...]
Daily NK
2023-03-09
[28]
URL
http://news.bbc.co.u[...]
[29]
URL
http://www.military.[...]
[30]
URL
http://iipdigital.us[...]
[31]
URL
http://edition.cn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