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흥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흥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에 위치한 군이다. 북쪽으로는 자강도 룡림군과 함경남도 장진군, 동쪽으로는 함흥시 래일구, 영광군, 함주군, 남쪽으로는 요덕군, 서쪽으로는 녕원군, 자강도 동신군과 접한다. 랑림산맥 중 대동강의 발원지에 해당한다. 1952년 평안남도 영원군 지역을 합쳐 대흥군으로 신설되었으며, 이후 함경남도로 편입되었다가 평안남도로 복귀했다. 현재 대흥군은 대흥읍, 경수로동자구, 16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남도의 군 - 양덕군
    양덕군은 평안남도에 위치한 산지가 많은 고원 지대의 군으로, 고려 시대 양덕현을 기원으로 하며 평라선 양덕역과 양덕온천문화휴양지가 있다.
  • 평안남도의 군 - 대동군
    대동군은 평안남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평양직할시 등과 접하고, 일제강점기에 신설되어 행정 구역 변동을 겪었으며, 현재 1읍, 1구, 21리로 구성되고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952년 설치 - 평양시
    평양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대동강이 관통하는 평양 평야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 1952년 설치 - 우시군
    우시군은 북한 자강도 서쪽 끝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경하고, 1952년 벽동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수자원이 풍부하지만 철도가 없어 도로 교통에 의존하고 농업 중심의 낙후된 경제 구조를 가진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대흥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대흥군
한글 표기대흥군
한자 표기大興郡
로마자 표기Daeheung-gun
지도 정보
평안남도에서의 대흥군 위치
평안남도에서 대흥군의 위치
행정 구역
소속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속 도평안남도
하위 행정 구역1읍, 1 로동자구, 16리
군청 소재지대흥읍
통계 정보
면적1224 km²
인구 (2008년)32915명

2. 지리

북쪽은 자강도 룡림군함경남도 장진군, 동쪽은 함경남도 함흥시 래일구와 영광군함주군, 남쪽은 함경남도 요덕군, 서쪽은 녕원군, 자강도 동신군과 닿아있다. 랑림산맥대동강의 발원지에 해당하는 군이다.

3. 역사

1952년 12월 녕원군 성룡면, 대흥면, 소백면, 신창면, 온화면 5개 리, 덕화면 3개 리를 합쳐 대흥군(대흥읍, 24개 리)을 신설하였다.[4] 1954년 10월 함경남도에 편입되면서 옛 온화면과 성룡면 지역을 녕원군에 돌려주었다.[4] 1972년 11월 다시 평안남도로 돌아왔다.[4]

2001년 흑수리 일부가 함경남도 함흥시에 편입되어 옛 함주군 상창리와 통합, 래일로동자구로 승격되었다.[4]

1945년 8월 15일 광복 당시에는 녕원군의 일부였다. 1952년 12월 북한의 행정 구역 개편 때 녕원군 동북부에 해당하는 성룡면, 대흥면, 소백면, 신성면을 관할하는 대흥군(1읍 24리)이 신설되었다. 1954년 10월부터 1972년 11월까지는 함경남도 소속이었다.[4]

연도내용
1952년 12월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평안남도 영원군 성룡면, 대흥면, 소백면, 신성면 및 온화면, 덕화면의 각 일부 지역을 합쳐 대흥군 설치. 대흥읍, 룡대리, 청산리, 순호리, 룡평리, 광통리, 인룡리, 복흥리, 흑수리, 경수리, 평화리, 대동리, 소백리, 랑림리, 금성리, 창장리, 도흥리, 운흥리, 신남리, 창현리, 문삼리, 덕흥리, 온양리, 회양리, 신흥리 (1읍 24리)
1954년 10월행정 구역 재편에 따라 함경남도 대흥군이 됨. 룡대리, 청산리, 순호리, 온양리, 회양리, 신흥리가 평안남도 영원군에 편입. (1읍 18리)
1956년 9월창장리가 운흥리, 창현리에 분할 편입. (1읍 17리)
1961년 3월경수리가 경수노동자구로 승격. (1읍 1노동자구 16리)
1972년 11월행정 구역 재편에 따라 평안남도 대흥군이 됨. (1읍 1노동자구 16리)
2001년 8월흑수리 일부가 함경남도 함주군 상창리와 합병하여, 함경남도 함흥시 래일노동자구가 됨. (1읍 1노동자구 16리)


4. 행정 구역

대흥군은 1읍(대흥읍), 1로동자구(경수로동자구), 16개 리(랑림리, 평화리, 소백리, 대동리, 인룡리, 복흥리, 흑수리, 광통리, 룡평리, 운흥리, 창현리, 덕흥리, 신남리, 문삼리, 도흥리, 금성리)로 구성된다.[2][3]

대흥군은 북쪽으로 자강도 룡림군, 함경남도 장진군, 동쪽으로 함경남도 영광군, 함주군, 남쪽으로 함경남도 요덕군, 서쪽으로 자강도 동신군, 평안남도 녕원군과 접한다.

1952년 12월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평안남도 영원군 성룡면, 대흥면, 소백면, 신성면 및 온화면, 덕화면의 각 일부 지역을 합쳐 대흥군을 설치하면서 대흥읍과 24개 리가 성립되었다. 1954년 10월 행정 구역 재편에 따라 함경남도 대흥군이 되었고, 룡대리, 청산리, 순호리, 온양리, 회양리, 신흥리가 평안남도 영원군에 편입되었다.

1956년 9월 창장리가 운흥리, 창현리에 분할 편입되었고, 1961년 3월 경수리가 경수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 1972년 11월 행정 구역 재편에 따라 다시 평안남도 대흥군이 되었다. 2001년 8월 흑수리 일부가 함경남도 함주군 상창리와 합병하여 함흥시 래일노동자구가 되었다.[4]

4. 1. 행정 구역 일람

대흥군은 1읍(읍, 읍), 1개 노동자구(노동자구) 그리고 16개 리(리, )로 구성되어 있다.[2][3]

한글한자
대흥읍大興邑
경수로동자구鯨水勞動者區
창현리昌峴里
흑수리黑水里
인룡리仁龍里
금성리錦城里
광통리廣通里
문삼리文三里
복흥리福興里
평화리平和里
랑림리狼林里
룡평리龍坪里
신남리新南里
소백리小白里
대동리大同里
도흥리都興里
덕흥리德興里
운흥리雲興里

[4]

참조

[1] 간행물 DPR Korean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08 Population Census http://unstats.un.or[...] 2009
[2] 웹사이트 평안남도 대흥군 개요 -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The Institute for Peace Affairs 2013-02-27
[3] 웹사이트 대흥군 - 북한지명사전 http://nk.joins.com/[...] JoongAng Ilbo 2013-02-27
[4] 웹사이트 평안남도 대흥군 역사 http://www.cybernk.n[...]
[5]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