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클랜시 브라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3. 구성원
- 4. 음악적 특징 및 영향력
- 5. 사회적, 정치적 활동 및 논란
- 6. 유산 및 기념
- 7. 음반 목록 (디스코그래피)
- 참조
1. 개요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아일랜드 출신의 형제 패디, 톰, 리엄 클랜시와 토미 메이컴으로 구성된 포크 음악 그룹으로, 1956년 결성되어 미국과 켈트 지역의 포크 음악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흰색 스웨터, 아일랜드 전통 음악을 현대적으로 편곡한 곡들로 인기를 얻었으며, 밥 딜런을 비롯한 많은 뮤지션에게 영감을 주었다. 1960년대 후반 토미 메이컴의 탈퇴 이후 여러 멤버 교체를 거쳐 활동을 이어갔으며, 1996년 고별 공연을 끝으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대 음악 그룹 - 비지스
비지스는 기브 삼 형제를 중심으로 결성된 호주 출신 팝 그룹으로, 스키플과 록앤롤로 시작해 1970년대 디스코 음악으로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막대한 음악적 영향력을 남겼다. - 1950년대 음악 그룹 - 슈프림스
슈프림스는 다이애나 로스, 메리 윌슨, 플로렌스 발라드 등을 주축으로 1959년 결성되어 "Baby Love", "Stop! In the Name of Love" 등으로 1960년대 미국을 대표하는 걸 그룹으로 자리매김하며 흑인 음악 대중화에 기여하고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여성 음악 그룹이다. - 켈트 포크 음악 그룹 - 더 더블리너스
1962년 결성된 아일랜드 포크 밴드 더 더블리너스는 로니 드루, 루크 켈리, 바니 매케나, 키어런 버크를 중심으로 아일랜드 전통 음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큰 인기를 얻고 아일랜드 민족 음악의 세계화에 기여했으나 잦은 멤버 교체와 멤버들의 사망으로 50년간 활동 후 2012년 해체되었으며 일부 멤버들은 '더 더블린 레전드'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 켈트 포크 음악 그룹 - 더 매컬먼스
더 매컬먼스는 1968년부터 2016년까지 활동하며 다양한 앨범을 발매한 포크 그룹이다. - 아일랜드의 음악 그룹 - 더 더블리너스
1962년 결성된 아일랜드 포크 밴드 더 더블리너스는 로니 드루, 루크 켈리, 바니 매케나, 키어런 버크를 중심으로 아일랜드 전통 음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큰 인기를 얻고 아일랜드 민족 음악의 세계화에 기여했으나 잦은 멤버 교체와 멤버들의 사망으로 50년간 활동 후 2012년 해체되었으며 일부 멤버들은 '더 더블린 레전드'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 아일랜드의 음악 그룹 - 클라나드 (음악 그룹)
아일랜드의 브레넌 가족 밴드인 클라나드는 켈트 음악, 뉴에이지 음악, 팝 음악을 융합한 음악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Theme from Harry's Game", "In a Lifetime" 등의 대표곡과 그래미 어워드 수상 이후 2024년 해체했다.
더 클랜시 브라더스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더 클랜시 브라더스와 토미 메이컴 더 클랜시 브라더스와 루이스 킬런 더 클랜시 브라더스와 로비 오코늘 더 클랜시 브라더스와 에디 딜런 |
출신지 | 카운티 티퍼러리, 아일랜드와 카운티 아마, 북아일랜드 |
활동 기간 | 1956년–1998년 |
장르 | 전통 아일랜드 포크 켈트 |
레이블 | 트래디션 레코드 콜롬비아 레코드 오디오 피델리티 레코드 뱅가드 레코드 블랙버드 레코드 샤나키 레코드 |
이전 멤버 | 리엄 클랜시 패디 클랜시 톰 클랜시 토미 메이컴 보비 클랜시 루이스 킬런 로비 오코늘 핀바 클랜시 에디 딜런 |
2. 역사
클랜시 가문의 형제들과 토미 메이컴을 중심으로 결성된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아일랜드와 미국, 스코틀랜드의 포크 음악 부흥을 이끈 중요한 그룹이다.[56] 이들은 여러 차례 멤버 변화를 겪으면서도 꾸준히 활동했다.
'''멤버 변화'''
멤버 | 활동 기간 |
---|---|
패디 클랜시 | 1956년 ~ 1998년 |
톰 클랜시 | 1956년 ~ 1990년 |
리엄 클랜시 | 1956년 ~ 1974년, 1984년 ~ 1985년, 1990년 ~ 1996년 |
토미 메이컴 | 1956년 ~ 1969년, 1984년 ~ 1985년 |
보비 클랜시 | 1969년 ~ 1971년, 1977년 ~ 1998년 |
루이스 킬런 | 1971년 ~ 1974년 |
로비 오코늘 | 1977년 ~ 1996년 |
1956년 패디 클랜시, 톰 클랜시, 리엄 클랜시 형제와 토미 메이컴이 그룹을 결성했다. 1969년 토미 메이컴이 솔로 활동을 위해 떠난 후, 보비 클랜시, 피니바와 에디 퓨리, 루이스 킬런 등이 잠시 그룹을 거쳐갔다. 1977년 로비 오코늘이 합류하여 1996년까지 활동했고, 1984년 토미 메이컴과 리엄 클랜시가 재결합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1990년 톰 클랜시 사망 이후 리엄 클랜시가 다시 합류하여 1996년까지 활동했다.
1996년 이후에는 패디 클랜시와 보비 클랜시를 중심으로 활동이 이어졌으나, 멤버들의 연이은 사망으로 그룹 활동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2. 1. 초기 (1956년 ~ 1969년)
패디 클랜시, 톰 클랜시, 리엄 클랜시 형제와 토미 메이컴은 1956년에 그룹을 결성했다. 패디 클랜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공군(Royal Air Force)에 참전했고, 이후 톰 클랜시와 함께 캐나다를 거쳐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톰과 패디는 뉴욕에서 배우로 활동하며 자신들의 프로덕션 회사인 트리오 프로덕션을 설립했다. 이 회사를 통해 심야 민요 콘서트를 열었고, 여기서 아일랜드 민요를 불렀다.[10][11]1955년, 리암 클랜시가 연기자의 꿈을 쫒아 뉴욕으로 왔고, 토미 메이컴도 비슷한 시기에 미국으로 이민 와 클랜시 형제들과 연을 맺게 되었다.[12] 1956년 3월, 토미 메이컴은 사고로 손을 다쳤지만, 회복 후 패디 클랜시가 설립한 트래디션 레코드(Tradition Records)에서 클랜시 형제들과 함께 아일랜드 반란군 노래를 담은 앨범 ''더 라이징 오브 더 문''을 녹음했다.[13][14][46]
앨범명 | 발매 연도 | 설명 |
---|---|---|
더 라이징 오브 더 문 | 1956년 (1959년 재녹음) | 아일랜드 반란군 노래 앨범. 트래디션 레코드에서 발매. |
컴 필 유어 글래스 위드 어스 | 1959년 | 아일랜드 술집 노래 모음. |
이후 이들은 ''컴 필 유어 글래스 위드 어스'' 앨범을 발매하며 가수로서의 경력을 굳혔다.[16] 뉴욕, 시카고, 보스턴 등지에서 공연하며 인기를 얻었고, 나이트클럽 주인이 그들을 "클랜시 브라더스 앤 토미 메이컴"으로 칭하면서 그룹 이름이 정해졌다.[46] 1961년 초, ''에드 설리번 쇼'' 출연 제의를 받으며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2. 2. 중기 (1969년 ~ 1996년)
1969년 토미 메이컴이 솔로 활동을 위해 그룹을 떠난 후, 클랜시 형제들은 새로운 멤버들을 영입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1969년 4월, 보비 클랜시가 잠시 그룹에 합류했고, 피니바와 에디 퓨리 형제도 잠시 활동했다.[56] 1970년 12월에는 루이스 킬런이 합류하여 1975년까지 활동했다.[56]1977년에는 로비 오코늘이 합류하여 1996년까지 활동했다.[56] 1984년에는 오리지널 멤버인 토미 메이컴과 리엄 클랜시가 재결합하여 'Reunion' 앨범을 발매하고 투어를 진행하기도 했다.
멤버 | 활동 기간 |
---|---|
보비 클랜시 | 1969년 4월 ~ 1970년 12월, 1977년 3월 ~ 1984년 5월, 1985년 10월 ~ 1998년 |
피니바와 에디 퓨리 | 1969년 4월 ~ 1970년 6월 |
루이스 킬런 | 1970년 12월 ~ 1975년 6월 |
로비 오코늘 | 1977년 3월 ~ 1984년 5월, 1985년 10월 ~ 1996년 4월 |
1990년 톰 클랜시가 사망한 후, 리엄 클랜시가 다시 그룹에 합류하여 1996년까지 활동을 이어갔다.
2. 3. 후기 (1996년 이후)
1996년 리엄 클랜시와 로비 오코늘이 그룹을 떠났다. 패디 클랜시와 보비 클랜시는 에디 딜런 등과 함께 활동을 계속했다.[56]1996년 이후 사망 |
---|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초기에 패디 클랜시, 톰 클랜시, 리엄 클랜시 형제와 토미 메이컴으로 구성되어 활동했다. 1969년 토미 메이컴이 솔로 활동을 위해 탈퇴한 후, 보비 클랜시와 핀바 퓨리, 에디 퓨리 형제가 합류했다. 1971년에는 루이스 킬런이, 1977년에는 로비 오코늘이 새 멤버로 참여했다.
1998년 패디 클랜시, 2002년 보비 클랜시, 2007년 토미 메이컴, 그리고 2009년 리엄 클랜시가 차례로 사망하면서 그룹 활동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이후 멤버들의 가족들이 '더 클랜시 레거시' 등의 그룹을 결성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 구성원
3. 1. 역대 구성원 타임라인
3. 2. 구성원 정보
4. 음악적 특징 및 영향력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현대 포크 음악 역사에서 중요한 그룹으로, 미국,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의 포크 음악 부흥을 이끌었다. 피트 시거 등과 함께 포크 음악 부흥을 이끌었지만, 더 클랜시 브라더스의 등장은 미국과 켈트 국가의 포크 리바이벌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밥 딜런, 존 바에즈 등 미국의 대표적인 포크 가수들이 더 클랜시 브라더스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이들은 다시 다른 미국 포크 가수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더 클랜시 브라더스의 음악은 아일랜드 본토뿐만 아니라 미국의 포크 음악, 더 나아가 김민기, 양희은, 김광석 등 한국의 통기타 포크 음악에도 영향을 미쳤다.
4. 1. 밥 딜런과의 관계
밥 딜런은 더 클랜시 브라더스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딜런은 자신의 곡들 중 일부를 아일랜드와 영국의 전통 포크송을 바탕으로 만들었다. 예를 들어, 'Ramblin' Gamblin' Willie'는 아일랜드 포크송 브레넌 온 더 모어[57]를, 'Restless Farewell'은 파팅 글래스[58]를, 'Farewell'은 잉글랜드 포크송 리빙 어브 리버풀[59]을, 'Pretty Peggy-O'는 스코틀랜드 포크송 메이드 어브 파이프-이-오(Maid of Fife-E-O)[57]를 패러디했다. 또한 'With God on Our Side'는 도미니크 비언(Dominic Behan)의 패트리엇 게임(Patriot Game)을 패러디했는데, 원작자의 허락 없이 사용하여 표절 논란이 있었다.딜런은 더 클랜시 브라더스를 "자신의 영웅"이라고 칭했다.
4. 2. 아일랜드 포크 음악에 대한 영향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현대 포크 음악사에서 매우 중요한 그룹으로 평가받는다. 이들은 미국과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의 포크 음악 부흥을 이끈 선구자로 여겨진다.[64] 피트 시거 등 이들 이전에도 포크 음악 부흥 운동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더 클랜시 브라더스의 등장은 미국과 켈트 국가에서 포크 음악이 대중적으로 확산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64]이들의 활동은 특히 아일랜드 본토의 포크 음악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전통 아일랜드 음악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대중에게 선보였다.[64] 이들의 성공은 더 더블리너스, 디 아이리시 로버스, 더 퓨리스, 더블린 시티 램블러스, 더 발리콘 등 수많은 아일랜드 포크 그룹들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64]
4. 3. 한국 포크 음악에 대한 영향
밥 딜런, 존 바에즈 등 미국의 대표적인 포크 가수들은 더 클랜시 브라더스로부터 영향을 받아 음악계에 등장하였으며, 이들은 다시 주디 콜린스, 피터, 폴 앤 메리 등 다른 미국 포크 가수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미국의 포크 음악은 김민기, 양희은, 김광석 등 한국의 통기타 포크 음악에도 영향을 미쳤다.[65]5. 사회적, 정치적 활동 및 논란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아일랜드 독립운동과 관련된 노래를 부르기도 했으며, 이는 북아일랜드의 친영파 정치인 이언 페이즐리로부터 비난을 받기도 했다.[66] 패디와 톰 클랜시는 과거 IRA(아일랜드 공화국군)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다. 이들의 정치적 성향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지만, 음악을 통해 민족주의적인 정서를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6. 유산 및 기념
더 클랜시 브라더스의 음악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으며, 이들의 업적을 기리는 다양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2006년 3월, 클랜시 형제와 토미 메이컴이 데뷔 앨범을 녹음한 지 50년 후, 코너 머레이는 그룹에 대한 첫 번째 장편 전기 영화 《The Clancy Brothers with Tommy Makem & Robbie O'Connell: The Men Behind the Sweaters》를 썼다. 이 책은 1922년 패디 클랜시의 출생부터 2006년 초까지 클랜시 형제의 연대기를 담고 있다. 같은 해, 리암 클랜시에 대한 2시간짜리 다큐멘터리 《The Legend of Liam Clancy》가 아일랜드 텔레비전에서 방영되었으며, 토미 메이컴과 그의 아들들, 5인조 아일랜드 포크 그룹 더 메이컴 브라더스(The Makem and Spain Brothers)와 함께 새로운 콘서트 스페셜이 방영되었다.
리암 클랜시는 21세기에도 솔로 투어를 계속했다. 2002년 더블데이 출판사에서 그의 자서전 ''Mountain of the Women: Memoirs of an Irish Troubadour''를 출판했다. 이 책은 그의 초기 시절과 클랜시 형제와 토미 메이컴의 초기 결성 및 초기 성공을 다루고 있다. 클랜시는 미국과 아일랜드 텔레비전에서 자서전을 홍보하는 데 출연했다. 노래를 잠시 멈춘 그는 2005년 "Seventy Years On" 투어로 무대에 화려하게 복귀했다. 그는 2005년 8월 더블린의 게이티 극장에서 더 더블리너스의 로니 드루와 패디 라일리와 함께 아이리쉬 레전드 공연의 일환으로 노래했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클랜시는 1990년대에 가끔 함께 작업했던 에반스 앤 도허티의 케빈 에반스와 함께 무대와 스튜디오에서 활동했다. 그의 마지막 앨범 《The Wheels of Life》는 2008년 10월에 발매되었으며, 도노반, 메리 블랙, 젬마 헤이즈, 톰 팍스턴과 같은 다른 저명한 음악가들이 참여했다.
토미 메이컴은 폐암과의 오랜 투병 끝에 2007년 8월 1일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년 후 리암 클랜시는 형 바비의 목숨을 앗아간 것과 같은 질병인 폐섬유증으로 사망했다. 그는 2009년 12월 4일 아일랜드 코크의 한 병원에서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아내와 일곱 자녀를 남겼다.
7. 음반 목록 (디스코그래피)
1969년 토미 메이컴이 탈퇴하고, 보비 클랜시가 그를 대체하여 합류하였으나 1971년에 탈퇴했다.[1] 그 후 콘서티나 연주자 루이스 킬런이 정식 멤버로 영입되었고, 리엄 클랜시도 콘서티나를 연주하기 시작했다.[1]
1970년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레이블을 오디오 피델리티(Audio Fidelity)로 변경했다.[1] 2기 (패디, 톰, 보비 클랜시 & 핀바, 에디 퓨리)에서는 2장의 앨범이, 3기 (패디, 톰, 리엄 클랜시 & 루이스 킬런)에서는 1장의 앨범이 발매되었다.[1]
1974년 그룹이 해체된 이후, 1975년 토미 메이컴과 리엄 클랜시는 2인조 그룹으로 활동을 시작했다.[1]
7. 1. 1기 (패디, 톰, 리엄 클랜시 & 토미 메이컴)
1968년 토미 메이컴은 자신이 지은 곡 가운데 최고 히트곡인 포 그린 필즈(Four Green Fields)를 작사 및 작곡하였다. 이 곡은 아일랜드의 민족 감정을 자극하는 곡으로, 1968년도 앨범인7. 1. 1. 트래디션 레코드
- ''달의 부상'' (1956년 첫 발매, 1959년 재녹음 발매)
- ''Come Fill Your Glass with Us'' (또는 ''음주와 불량배짓의 아일랜드 노래'') (1959)
- ''클랜시 브라더스와 토미 메이컴'' (1961)
7. 1. 2. 콜롬비아 레코드
- A Spontaneous Performance Recording (1961년)
- Hearty and Hellish! A Live Nightclub Performance (1962년)
- The Boys Won't Leave the Girls Alone (1962년)
- In Person at Carnegie Hall (1963년)
- The First Hurrah! (1964년)
- Recorded Live in Ireland (1965년)
- Isn't It Grand Boys (1966년)
- 부활절 봉기 50주년 기념 앨범 Freedom's Sons (1966년)
- The Irish Uprising (1966년)
- In Concert (1967년)
- Home, Boys, Home (1968년)
- Sing of the Sea (1968년)
- The Bold Fenian Men (1969년)
- Reunion (1984년)
- Ain't It Grand Boys (1995년)
7. 2. 2기 (패디, 톰, 보비 클랜시 & 핀바, 에디 퓨리)
1968년 토미 메이컴은 자신이 작사 및 작곡한 포 그린 필즈(Four Green Fields)를 발표했다. 이 곡은 아일랜드의 민족 감정을 자극하며 1968년 앨범7. 2. 1. 콜롬비아 레코드
7. 2. 2. 오디오 피델리티 레코드
Welcome to Our House영어 (1970)7. 3. 3기 (패디, 톰, 리엄 클랜시 & 루이스 킬런)
1969년, 토미 메이컴이 탈퇴하면서 밴드에 공백이 생겼다. 이를 위해 에디 퓨리와 핀바르 퓨리 형제가 합류하여 각각 밴조, 틴 휘슬, 일리언 파이프 연주를 맡았다. 또한 보비 클랜시가 토미 메이컴을 대체하는 멤버로 들어왔으나, 1971년에 탈퇴했다. 이후 콘서티나 연주를 맡았던 루이스 킬런이 영입되었고, 리엄 클랜시도 콘서티나를 연주하게 되었다.1970년대 초, 멤버들은 함께 공연하는 것에 지쳐갔다. 톰 클랜시는 영화계로 복귀했고, 1974년 호주 투어 중 톰이 영화 활동을 선택하면서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해체되었다.
7. 3. 1. 오디오 피델리티 레코드
1970년에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레이블을 오디오 피델리티(Audio Fidelity)로 바꾸었다. 2기 체제에서는 앨범 2장, 3기에서는 1장이 나왔다.[13] 보비 클랜시는 1971년에 탈퇴했다.[13]- ''Show Me The Way'' (1972)
- ''Save the Land!'' (1972)
- ''Live on St. Patrick's Day'' (1973)
7. 3. 2. 뱅가드
Clancy Brothers Greatest Hits(1973)[46]7. 4. 4기 (패디, 톰, 보비 클랜시 & 로비 오코늘)
리엄 클랜시의 공식 복귀로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1980년대에 비해 더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1991년에는 아이리시 페스티벌 크루지즈(Irish Festival Cruises)에 출연하였으며, 1992년에 네 사람은 토미 메이컴과 함께 밥 딜런 데뷔 30주년 기념 행사에 참가하였다. 이 행사를 계기로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22년 만의 스튜디오 앨범이자 마지막 앨범인그러나 아이리시 페스티벌 크루지즈 때문에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금전 관련 분쟁을 겪게 되었다. 1996년 리엄 클랜시와 로비 오코늘은 과거의 메이컴 앤드 클랜시처럼 2인조 그룹을 결성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들은 1996년 2월에 미국, 3월에는 아일랜드에서 고별 공연을 하였고, 3월의 고별 공연은 비디오로 발매되기도 하였다.[68]
앨범명 | 발매 레이블 | 발매 연도 |
---|---|---|
The Clancy Brothers Live | 뱅가드 | 1982년 |
Tunes n Tales of Ireland | 포크 이어러 레코드 | 1988년 |
7. 5. 5기 (패디, 리엄, 보비 클랜시 & 로비 오코늘)
리엄 클랜시가 공식 복귀하면서 더 클랜시 브라더스는 1980년대보다 활발하게 활동했다. 1991년 아이리시 페스티벌 크루지즈(Irish Festival Cruises)에 출연했고, 1992년에는 토미 메이컴과 함께 밥 딜런 데뷔 30주년 기념 행사에 참가했다. 이 행사로 22년 만에 스튜디오 앨범이자 마지막 앨범인7. 6. 메이컴 앤드 클랜시 (토미 메이컴 & 리엄 클랜시)
토미 메이컴과 리엄 클랜시는 1975년 더 코리스처럼 2인조 그룹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두 사람은 아일랜드, 잉글랜드, 미국, 캐나다, 호주 등지를 돌며 공연하였다. 1984년에 리유니언 투어 때문에 활동을 중단했다가, 1986년 재개하여 1988년까지 활동하면서 모두 7장의 앨범과 13장의 싱글을 발매하였다. 히트 곡으로는 앤 더 밴드 플레이드 월칭 마틸다(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와 레드 이즈 더 로즈(Red is the Rose)가 있다. '앤 더 밴드 플레이드 월칭 마틸다'는 1976년도 아일랜드 차트 1위, '레드 이즈 더 로즈'는 1979년도 아일랜드 차트 3위를 기록했다.1974년 더 클랜시 브라더스 해체 이후, 리엄 클랜시는 형들(패디, 톰, 보비 클랜시)과 나이 차이가 있어 그룹의 막내로 여겨지는 것이 싫었고, 형들보다 나이 차이가 적은(3살 위) 토미 메이컴에게 더 친근감을 느꼈다. 그래서 재결성된 더 클랜시 브라더스에 합류하지 않고 토미 메이컴과 2인조로 활동을 계속하였다.
; 앨범 목록
앨범명 | 발매 연도 |
---|---|
Tommy Makem and Liam Clancy | 1976년 |
The Makem & Clancy Concert | 1977년 |
Two for the Early Dew | 1978년 |
The Makem and Clancy Collection | 1980년 |
Live At The National Concert Hall | 1983년 |
We've Come A Long Way | 1986년 |
7. 7. 클랜시, 오코늘 앤드 클랜시 (리엄, 도널 클랜시 & 로비 오코늘)
1997년, 리엄 클랜시는 그의 조카 도널 클랜시와 함께 클랜시, 오코늘 & 클랜시(Clancy, O'Connell & Clancy)라는 이름으로 앨범을 냈다. 1998년에는 ''The Wild And Wasteful Ocean''을 발매했다.참조
[1]
뉴스
Last Clancy brother Liam is buried, but clan leaves impression on Irish music
https://archive.toda[...]
2009-12-22
[2]
AV media
Folk Hibernia
https://www.youtube.[...]
BBC 4
2006
[3]
서적
The Greatest Irish Americans of the 20th Century
Oak Tree Press
[4]
뉴스
'Tis a Fine Way to Honor Paddy Clancy
http://www.nydailyne[...]
1999-11-07
[5]
뉴스
Irish Folk Singer Patrick Clancy
https://www.chicagot[...]
2014-04-19
[6]
뉴스
The Clancy Brothers' mum sends them new sweaters
https://www.theguard[...]
2011-06-16
[7]
AV media
Bringing It All Back Home: The Influence of Irish Music in America
https://www.youtube.[...]
BBC/RTÉ
1990
[8]
뉴스
Folk Music: Old and Young Stars at Town Hall
1960-09-19
[9]
뉴스
Oh ''that'' Clancy!
1972-01
[10]
간행물
The Clancy Brothers and Robbie O'Connell: A Final Farewell?
1996-03-01
[11]
서적
Rainbow Quest: The Folk Music Revival and American Society, 1940–1970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002
[12]
간행물
Sad Songs Fighting Songs
1980-06-15
[13]
간행물
Every picture tells a story in the world of Bobby Hanvey: Tommy sure to Makem listen [Tommy Makem interview]
2003-03-08
[14]
서적
The Mountain of the Women: Memoirs of an Irish Troubadour
https://archive.org/[...]
Doubleday
2002
[15]
웹사이트
The Rising of the Moon: At the Clancy Brothers and Tommy Makem
http://clancybrother[...]
[16]
간행물
Recordings: Various Artists; The Clancy Brothers & Tommy Makem
2006-06
[17]
AV media
Late Late Show Special: The Clancy Brothers & Tommy Makem (Part 2)
https://www.youtube.[...]
1984-04-28
[18]
서적
The Mountain of the Women: Memoirs of an Irish Troubadour
https://archive.org/[...]
Doubleday
2002
[19]
AV media
Late Late Show Special: The Clancy Brothers & Tommy Makem
https://www.youtube.[...]
1984-04-28
[20]
문서
Corrigan, Vawn (2019). Irish Aran, History, Tradition, Fashion. O'Brien Press. http://www.obrien.ie/irish-aran
[21]
웹사이트
Grammy Awards 1962 (Note: The eponymous album nominated is better known by its subtitle, ''A Spontaneous Performance'')
http://www.awardsand[...]
Awards & Shows
2014-04-19
[22]
AV media
Late Late Show Special: The Clancy Brothers & Tommy Makem
https://www.youtube.[...]
1984-04-28
[23]
간행물
Eire: Clancys, Makem Topping Presley
1963-09-07
[24]
뉴스
Folk music great Paddy Clancy dies aged 76
http://www.independe[...]
2014-04-18
[25]
간행물
Top LP's
1963-12-21
[26]
간행물
Top LP's
1964-05-30
[27]
간행물
Our Musical Score: Columbia Records 1964 LP Chart Performance
1964-12-26
[28]
간행물
Hits of the World: Eire
1964-03-21
[29]
간행물
Hits of the World: Eire
1964-04-04
[30]
서적
British Hit Singles & Albums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31]
간행물
Clancy Brothers and Tommy Makem: A Lot of Talent and a Bit o' Blarney
1985-10-27
[32]
간행물
Clancys Headline St. Patrick's Day Party
1999-03-14
[33]
AV media
The Yellow Bittern: The Life and Times of Liam Clancy
RTÉ
2009
[34]
뉴스
Makem tours with the Clancy Brothers
1985-10-15
[35]
웹사이트
Tunes 'n' Tales of Ireland – Review
http://clancybrother[...]
2014-06-06
[36]
뉴스
Tommy Makem (obituary)
https://www.telegrap[...]
2014-04-21
[37]
뉴스
Liam Clancy dies aged 74
http://www.rte.ie/ne[...]
2009-12-04
[38]
뉴스
Singer Liam Clancy dies aged 74
http://www.irishtime[...]
2009-12-04
[39]
간행물
Top U.S. Artists by Category
1964-12-26
[40]
웹사이트
PLAYBOY INTERVIEW: BOB DYLAN
https://www.interfer[...]
[41]
웹사이트
Trad Beat: Honoring Paddy Clancy
https://www.irishech[...]
2011-02-16
[42]
서적
Rainbow Quest: The Folk Music Revival and American Society, 1940–1970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002
[43]
문서
Rainbow Quest
[44]
서적
Down the Highway: The Life of Bob Dylan
Grove Press
2002
[45]
웹사이트
THE BONO VOX INTERVIEW JULY 8, 1984
https://www.interfer[...]
[46]
AV media
The Story of the Clancy Brothers & Tommy Makem
https://www.youtube.[...]
YouTube
2003
[47]
문서
Down the Highway: The Life of Bob Dylan
[48]
웹사이트
Woodsongs Archive
http://www.woodsongs[...]
[49]
웹사이트
STAMPS DUTY: Four Irish trad bands featured by An Post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50]
웹사이트
What's Real in 'Inside Llewyn Davis'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3-12-05
[51]
웹사이트
The Real-Life Figures Who Inspired the Coen Brothers' New Movie
https://slate.com/cu[...]
2013-12-02
[52]
뉴스
'Inside Llewyn Davis' review: A poignant evocation of the 1960s New York folk scene
https://www.washingt[...]
[53]
웹사이트
'Iconic Aran jumper' to go on display at New York Museum of Modern Art
https://www.thejourn[...]
2019-04-24
[54]
문서
Ain't it Grand Boys: A Collection of Unissued Gems
1995
[55]
문서
그냥 '포크'라고 하는 경우에는 미국과 영국(잉글랜드)의 앵글로 색슨 포크 음악을 가리킨다.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는 영어를 쓰지만 민족이 켈트족이기 때문에 따로 '아일랜드 포크', '스코틀랜드 포크'라고 한다.
[56]
문서
마지막 2년 동안 멤버였던 핀바 클랜시와 에디 딜런은 정보가 불충분하고, 이 시기의 그룹은 사실상 해체된 것이나 다름없었기 때문에 생략했다
[57]
문서
더 클랜시 브라더스의 1961년도 앨범에 수록
[58]
문서
더 클랜시 브라더스의 1959년도 앨범에 수록
[59]
문서
더 클랜시 브라더스의 1964년도 앨범에 수록
[60]
문서
1982년에 나온 앨범에 수록되어 있는 'The Green Fields of France'라는 곡에서는 보비 클랜시가 하모니카를, 패디 클랜시가 보란을, 로비 오코늘이 기타를 연주한다.
[61]
문서
콘서티나를 다루기 시작한 것은 1971년부터이다. 1, 2기 때는 기타만 쳤다.
[62]
문서
가입 전 솔로 활동(1960~1969년) 시에는 기타와 하모니카를 다루었고, 2기 멤버일 때는 하모니카만 연주했다. 밴조는 2기 탈퇴 이후부터 다루었고, 4기 멤버로 복귀했을 때는 기타는 이따금 치고 대체로 밴조를 담당하게 되었다.
[63]
문서
여기에서의 IRA는 1922년부터 1969년까지의 IRA를 가리킨다. 현재의 IRA(PIRA)가 아니다.
[6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clancybrother[...]
2011-11-16
[65]
Youtube
비디오 4분 27초부터 4분 42초까지
https://www.youtube.[...]
[6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clancybrother[...]
2010-12-22
[67]
문서
이언 페이즐리는 북아일랜드의 근본주의 개신교 목사인 동시에 친영파 수구 정치인이다. 한국의 친일파 수구 목사들이 색깔론을 내세우듯이, 아일랜드인들 대부분이 믿는 가톨릭을 나름의 근거를 내세워 공공연히 비방하고 교황을 헐뜯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68]
웹사이트
http://clancybroth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