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 스타 (소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블 스타는 달, 화성, 금성, 목성의 위성이 식민지화된 미래를 배경으로 한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소설이다. 몰락한 배우가 유능한 정치인의 대역을 맡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납치된 정치인을 대신해 그의 역할을 수행하던 배우는, 건강이 악화된 정치인을 대신하여 임시 총리가 되어 선거에 출마하기에 이른다. 이 선거의 핵심 쟁점은 화성인의 참정권 부여였으며, 배우는 처음에는 반대했지만 점차 그들의 입장을 대변하게 된다. 이 소설은 1957년 휴고상을 수상했으며, 배우의 회고적인 결론으로 마무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6년 소설 - 벌거벗은 태양
벌거벗은 태양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SF 소설로, 형사 엘리야 베일리가 로봇과 함께 솔라리아 행성의 살인 사건을 해결하며, 인간의 신체 접촉을 혐오하고 로봇에 의존하는 사회의 특징을 보여준다. - 1956년 소설 - 101마리의 달마시안
101마리의 달마시안은 런던을 배경으로 달마시안 부부가 사악한 크루엘라 드 빌에게서 강아지들을 구출하는 이야기를 다룬 도디 스미스의 소설이다. - 배우를 소재로 한 소설 - 스테이션 일레븐
에밀리 세인트 존 만델의 소설 《스테이션 일레븐》은 조지아 플루 대유행으로 문명이 붕괴된 후 예술과 인간 관계를 통해 과거를 기억하고 미래를 만들어가는 생존자들의 삶을 그린 작품으로, 유랑 극단 '여행 교향악단'과 아역 배우 출신 커스틴 레이먼드를 중심으로 기억과 상실, 예술의 역할 등을 다룬다. - 배우를 소재로 한 소설 - 시스터 캐리
테오도어 드라이저의 소설 《시스터 캐리》는 19세기 말 미국 사회에서 물질적 성공을 추구하는 젊은 여성 캐리 미버의 여정과 내면의 공허함을 그린 자연주의 문학의 대표작이다. - 달을 배경으로 한 소설 - 파머 엘드리치의 세 개의 성흔
《파머 엘드리치의 세 개의 성흔》은 필립 K. 딕이 1965년에 발표한 과학 소설로, 환경 오염과 인구 과잉으로 고통받는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환각제를 통해 현실 도피를 꾀하는 인간 군상과 기업가의 음모를 그리고 있다. - 달을 배경으로 한 소설 - 지구에서 달까지
《지구에서 달까지》는 쥘 베른의 소설로, 대포를 이용하여 달까지 여행하려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달 탐사를 시도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 영향을 미쳤다.
더블 스타 (소설)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Double Star |
저자 | 로버트 A. 하인라인 |
삽화가 | 멜 헌터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장르 | SF |
출판사 | 더블데이 |
출판일 | 1956년 |
미디어 유형 | 인쇄 (하드커버 및 페이퍼백) |
한국어판 정보 | |
번역가 | 조호근 |
출판사 | 시공사 |
한국어 출판일 | 2017년 5월 26일 |
페이지 수 | 276쪽 |
ISBN | 9788952778482 |
2. 줄거리
소설의 배경은 달, 화성, 금성, 목성의 위성이 식민지화된 미래이다.[1] 태양계는 달의 수도에서 입헌군주제 하의 의회 민주주의에 의해 통치된다. 화성에는 지구인과는 다른 지적인 토착 외계 종족인 화성인이 선주민으로 존재하며, 최근 인간이 지배하는 태양계 정부의 시민권을 인정받았다.
소설의 이야기는 뛰어난 연기력을 가졌지만 몰락한 배우 '''로렌스 스미스'''(Lorenzo Smythe)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그는 우연한 기회에 영향력 있는 정치인 '''존 조셉 본포트'''(John Joseph Bonforte)의 대역을 맡게 되면서 정치적 사건의 중심에 서게 된다. 이 외에도 본포트의 충실한 비서 '''페니'''(Penelope Tagliaferro Russell)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이야기는 1인칭 시점으로 서술되며, 몰락한 배우 로렌스 스미스(예명: 로렌조 스마이트, "위대한 로렌조"로도 알려짐)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그는 뛰어난 배우이자 성대모사 능력을 가졌지만 거의 무일푼 상태였다. 한 우주인에게 고용되어 특정 공인의 대역을 맡게 된다.
화성으로 가는 우주선에서 그는 자신이 태양계에서 가장 저명한 정치인 중 한 명이자, 팽창주의 연합의 지도자인 존 조셉 본포트의 대역을 맡게 되었음을 알게 된다. 본포트는 다음 총선에서 당선될 가능성이 높은 인물이었으나, 정치적 반대자들에게 납치되었다. 본포트의 측근들은 그를 찾는 동안 스미스에게 본포트의 역할을 대신해 줄 것을 요청한다.
본포트는 구조되지만, 감금 중에 받은 치료(또는 약물 투여)로 인해 건강이 매우 악화된다. 이로 인해 스미스는 본포트의 역할을 계속 수행해야 했으며, 임시 총리가 되어 선거에 출마하기까지 한다. 선거의 핵심 정치적 쟁점은 인간이 지배하는 태양계에서 화성인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스미스는 본래 반(反)화성인 편견을 가지고 있었으나, 화성인의 참정권을 가장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본포트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점차 그의 외모뿐만 아니라 성격과 사고방식까지 닮아간다. 그는 화성인의 "둥지"에 동료로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선거에서 승리하는 순간, 본포트는 납치의 후유증으로 사망하고, 스미스는 평생 본포트의 역할을 맡게 된다. 소설은 25년 후의 회고적인 결론으로 마무리되는데, 스미스는 치료 목적으로 이 1인칭 서술을 작성했다고 밝힌다. 그는 자신의 젊은 시절과 야망을 거의 다른 사람의 것처럼 여기며, 정치 경력 동안 본포트의 이상을 최대한 실현하려 노력했다고 말한다. 본포트의 비서였고 현재 스미스의 아내인 페니는 "그 외에 다른 사람을 사랑한 적이 없었다"고 말하며, 스미스가 구현한 본포트의 모습에 대한 그녀의 변함없는 애정을 암시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등장인물
:: 한때 잘나갔으나 지금은 몰락한 배우. 스스로를 "위대한 로렌조"(The Great Lorenzo)라고 칭한다. 뛰어난 연기력과 모창 능력을 지녔으며, 이를 바탕으로 존 조셉 본포트의 대역을 맡게 된다. 처음에는 본포트의 정치적 견해에 반감을 가졌으나, 점차 그의 인격과 이상에 동화된다.
:: 태양계 제국의 전 최고 대신이자 야당인 팽창주의 연합의 지도자. 태양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인 중 한 명으로 꼽힌다. 특히 화성인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진보적인 정책을 강력히 지지한다.[1] 정치적 반대 세력에 의해 납치되었다가 구조되지만, 그 후유증으로 건강이 악화된다. 화성인들은 그를 '쿠카지제르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 본포트의 유능하고 충성스러운 비서. <정글의 유혹>(Jungle Lust)이라는 향수를 즐겨 사용한다. 본포트 사후, 그의 대역인 로렌스 스미스와 결혼한다.
:: 본포트 측근이 이용하는 우주 요트 "토미 페인 호"의 기장.
:: 우주 요트 "토미 페인 호"의 조종사.
:: 본포트 내각 시절 무임소 대신을 지냈던 인물.
:: 본포트의 홍보 및 언론 담당자.
:: 본포트의 주치의.
:: 오라녜-나사우 가문 출신의 태양계 제국 황제. 공식 칭호는 매우 길며(오라녜 공, 나사우 후작, 룩셈부르크 대공 등), 본포트의 오랜 친구이기도 하다. 증기 기관으로 움직이는 철도 모형 제작이 취미이다.
3. 2. 기타 등장인물
:: 우주 요트 "토미 페인 호"의 기장
:: 우주 요트 "토미 페인 호"의 조종사
:: 본포트 내각의 전 무임소 대신
:: 본포트의 홍보 담당
:: 본포트의 주치의
:: 태양계 제국 황제.
:: 공식적인 칭호는 <오렌지 공, 나사우 후작, 룩셈부르크 대공, 신성 로마 제국나이트 커맨더, 제국 육해공군 제독 장군, 화성인 전체 자문, 궁민의 보호자, 신의 은총으로 저지대의 왕이자 여러 행성과 그 사이 공간의 황제>
:: 본포트의 옛 친구. 취미는 증기 기관으로 움직이는 철도 모형의 제작.
4. 용어
- 퍼레이 파일 (Faley file): 본포트가 접촉한 인물에 대한 정보를 광범위하게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름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정치 고문이었던 제임스 퍼레이(James Farley)에서 따왔다.
- 뉴 바타비아 (New Batavia): 달 지하에 건설된 태양계 제국의 수도이다.
- 생명 지팡이 (life wond): 성년에 이른 화성인이 반드시 항상 휴대해야 하는 열선총과 유사한 무기이다.
5. 평가
저명한 SF 작가이자 평론가인 제임스 블리시는 하인라인이 여러 소설에서 1인칭 주인공을 다루는 방식을 일반적으로 선호하지 않았지만, 1957년에 《더블 스타》의 주인공 '위대한 로렌조'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는 로렌조를 "하인라인이 창조한 유일한 1인칭 화자로서, 살아있고, 완전히 독립적인 인간"이라고 묘사하며, 로렌조의 성격 형성 과정과 압박 속에서의 성장이 설득력 있게 그려졌다고 덧붙였다.[2]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의 평론가 플로이드 C. 게일은 이 소설을 칭찬하며 "고대 플롯을 가지고, 즐거운 독서 경험을 선사하는 하인라인의 능력을 보여주는 훌륭한 예시"라고 평했다.[3] 앤서니 부처는 "어느 정도의 망설임과 실망감"이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하인라인이 "단순히 즐겁고 재미있는 경소설을 창작했고, 그 임무를 훌륭하게 성공했다"고 결론지었다.[4]
이 소설은 1957년 월드콘에서 휴고상 최우수 장편 소설 부문을 수상했으며, 이는 하인라인의 첫 번째 휴고상 수상이기도 했다.[5] 2012년에는 게리 K. 울프가 편집한 아메리카 문고의 2권짜리 박스 세트 《미국 SF: 1950년대의 9가지 고전 소설》에 포함되어 그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았다.[6]
6. 논란
1970년대 영국판 《더블 스타》의 표지 삽화는 앤서니 로버츠(Anthony Roberts)[7]가 담당했는데, 이 삽화가 2000년 터너상 현대 미술 부문 출품작의 기반이 되면서 예상치 못한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제의 예술가인 글렌 브라운(Glenn Brown)[8]은 표절 혐의를 받았다.
7. 한국어 번역
아직 한국어 번역본은 출간되지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Parliamentary Democracy with Martians: Robert Heinlein's Double Star
https://reactormag.c[...]
2010-07-22
[2]
서적
The Issues at Hand
[3]
간행물
Galaxy's 5 Star Shelf
Galaxy Science Fiction
1955-09
[4]
간행물
Recommended Reading
F&SF
1956-06
[5]
웹사이트
1956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26
[6]
웹사이트
Classic Sci-Fi Novels Get Futuristic Enhancements from Library of America
http://artsbeat.blog[...]
2013-01-09
[7]
웹사이트
Publication: Double Star
http://www.isfdb.org[...]
2022-08-30
[8]
뉴스
Copycat row hits Turner Prize
http://news.bbc.co.u[...]
2007-11-26
[9]
서적
十億年の宴 SF - その起源と歴史
東京創元社
1980
[10]
서적
創元SF文庫総解説
東京創元社
2023-12-22
[11]
웹인용
알라딘: 더블 스타
http://www.aladi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