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르나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르나 전투는 1805년 미국 해군과 해병대가 트리폴리의 자치령이었던 데르나를 점령하기 위해 벌인 전투이다. 미국은 오스만 제국 해적 행위에 대응하여 해상 봉쇄를 시도했으나, 육상에서의 직접적인 공격을 위해 윌리엄 이튼을 파견하여 하메트 카라만리를 복위시키려 했다. 이튼은 해병대와 용병 부대를 이끌고 데르나를 공격하여 승리했고, 이 전투는 미국 해병대의 첫 해외 파병 전투이자 결정적인 승리로 기록되었다. 데르나 전투의 승리는 미국이 트리폴리와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으며,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미국이 외국에서 치른 최초의 육상 전투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데르나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 | |
전투 명칭 | 데르나 전투 |
일부 | 제1차 바르바리 전쟁 |
날짜 | 1805년 4월 27일 – 1805년 5월 13일 () |
장소 | 데르나, 오스만령 키레나이카, 트리폴리타니아 |
결과 | 미국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미국 |
교전국 2 | 오스만 트리폴리타니아 |
지휘관 및 지도자 | |
미국 측 지휘관 | 윌리엄 이턴 프레슬리 오배넌 올리버 페리 하미드 카라만리 |
오스만 측 지휘관 | 유수프 카라만리 하산 베이 |
병력 규모 | |
미국 측 병력 | 미국 해병대 8명 아랍인 400–500명 그리스 용병 약 50명 슬루프 1척 브리그 1척 스쿠너 1척 |
오스만 측 병력 | 알려지지 않음 |
사상자 및 피해 | |
미국 측 사상자 | 14명 이상 사망 및 부상 |
오스만 측 사상자 | 알려지지 않음 |
2. 배경
오스만 제국의 자치령이었던 트리폴리와의 전쟁에 따라 미국 해군은 무력 제재를 가하기 위해 출격하였다. 해상 봉쇄와 함포 사격으로 트리폴리 측의 근거지를 제압하려던 트리폴리 항구 전투에서 미국 해군은 작전에 어려움을 겪었다. 트리폴리는 지리적 이점을 살려 강력하게 저항했고, 미국 해군은 프리깃을 잃는 등 손해에 비해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
1805년 4월 27일, 윌리엄 이튼과 프레슬리 오배넌 중위가 이끄는 미국 해병대와 용병 부대는 데르나에 도착하여 공격을 시작했다. 이들은 미국 해군 함선의 함포 사격 지원을 받으며, 공격 당일 데르나 시가지로 진입했다.[8] 미국군의 지상군 육로 파견을 사전에 인지한 유수프 카라만리는 트리폴리에서 데르나 방어 병력을 증원했으나, 미군의 급습으로 트리폴리군은 무너졌다.
이전부터 트리폴리 지배 계급의 불화를 주목하고 있던 전 튀니스 주재 미국 영사이자 미국 육군 장군 윌리엄 이튼은 더 직접적인 해결책을 제안했다. 그는 함대에 동행한 미국 해병대 분견대를 육로로 파견하여 트리폴리의 근거지를 점령하고, 이전 파샤였으나 동생 유사프 카라만리에게 지위를 빼앗기고 이집트로 망명한 하메트 카라만리를 내세워 정권을 전복시키는 작전을 제안했다.[15]
이튼 장군은 100명 정도의 미국 해병대 파견을 함대 사령관 새뮤얼 배런에게 요청했지만, 7명만 파견이 허가되었다. 1804년, 전 튀니스 영사였던 윌리엄 이튼은 ‘바르바리 국가의 해군 대리인’이라는 직함으로 지중해로 돌아왔다. 이튼은 미국 정부와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으로부터 하메트 카라만리의 주장을 지지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하메트 카라만리는 트리폴리 왕위의 정당한 상속자였으나, 그의 형제 유수프 카라만리에게 폐위되었다.[2]
하메트는 당시 국외로 망명하기로 결정했다. 이튼은 이 지역으로 돌아와 이집트에 망명 중인 하메트를 찾았다. 하메트는 그를 왕위에 복귀시키려는 이튼의 제안에 동의했다.[2]
준장 새뮤얼 배런은 지중해의 새로운 해군 사령관으로서, 이튼에게 미국 해군의 지중해 전대의 여러 소형 군함으로부터 해군 지원을 제공했다. 함선은 올리버 해저드 페리가 지휘하는 USS 노틸러스, 새뮤얼 에반스가 지휘하는 USS 호넷, 그리고 아이작 헐이 함장으로 있는 USS 아르고스였다. 세 척의 선박은 해안 포격 지원을 제공했다.[3] 이튼 영사는 프레스리 오배넌 해병 소위가 지휘하는 7명의 작은 부대를 받았다. 이튼과 오배넌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 작전을 폈다. 하메트 카라만리의 도움으로 그들은 약 400명의 아랍 및 그리스 용병을 모집했다.[4] 이튼은 스스로를 군대 장군이자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5]
1805년 3월 8일, 이튼 중위는 약 804.67km에 달하는 리비아 사막을 가로질러 서쪽으로 이집트에서 출발하는 부대를 이끌었다.[6] 그들의 목표는 키레나이카 (현재 동부 리비아)의 오스만 영토인 데르나 항구 도시였다. 용병 부대는 그 도시까지 도착하면 보급품과 돈을 약속받았다. 50일간의 여정 동안 이튼은 기독교 그리스인과 약 200~300명의 무슬림 아랍 및 터키 용병 사이의 긴장된 관계에 대해 걱정했다. 원정의 보급품은 줄어들었고, 이튼은 1805년에 "우리의 유일한 식량은 밥 한 줌과 비스킷 두 개뿐이다"라고 보고했다. 한때, 원정대의 일부 아랍인들은 보급 마차를 습격하려 했지만, 원정대의 유일한 대포를 사용한 해병대와 몇몇 그리스 포병에 의해 격퇴되었다. 반란은 여러 번 원정을 위협했다. 3월 10일부터 3월 18일 사이에 여러 아랍 낙타 운전사들이 마수아 성소를 가기 전에 반란을 일으켰다. 3월 22일부터 3월 30일까지, 셰이크 엘 타힙의 지휘하에 여러 아랍 용병들이 반란을 일으켰다.[7] 4월 8일, 이튼이 리비아와 트리폴리로 국경을 넘었을 때, 그는 아랍 반란을 진압했다. 4월 말, 그의 부대는 마침내 데르나에서 해안을 따라 몇 마일 떨어진 봄바 항구 도시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새뮤얼 배런 제독과 헐 선장이 탑승한 미국 해군 군함 USS 아르고스, USS 노틸러스 및 USS 호넷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튼은 신선한 보급품과 용병에게 지불할 돈을 받았다.
3. 전투 전개
오후 4시, 미 해병대와 용병대는 데르나의 트리폴리 측 방어 요새를 점령하고 시가지를 장악했다. 이때 오배넌은 요새에 성조기를 게양했는데, 이는 대서양 건너편에서 미국 국기가 게양된 최초의 사례였다.[8]
4월 28일, 트리폴리 측 원군이 반격에 나섰지만, 이튼 장군 등이 이끄는 약 800명의 용병대가 도착할 때까지 버티면서 5월 13일 트리폴리군은 격퇴되었고, 데르나는 완전히 미군의 수중에 들어갔다.[8] 터커에 따르면, 이 전투에서 미국인 사상자는 전사 2명, 부상 3명이었고, 그리스 용병은 9명이 죽거나 다쳤다. 무슬림 터키 또는 아랍 용병과 수비군의 사상자는 알려지지 않았다.[9]
3. 1. 병력 구성 및 사막 행군
1804년 11월, 프레슬리 오배넌 해병 소위가 이끄는 7명의 미국 해병 분견대는 이집트의 항구 도시 알렉산드리아에 상륙했다.[4] 이들의 임무는 이집트에 망명 중이던 하메트 카라만리를 찾아 그와 협력하여, 미국 측 이념에 동조하는 현지 지원자들로 용병 부대를 조직하는 것이었다.
어려움 속에서도, 미국 해병대는 하메트 카라만리를 찾아 그의 인망과 해병대의 노력을 통해 약 500명의 기독교 및 이슬람교 용병으로 구성된 부대를 조직할 수 있었다.[4]
이 행군은 1,000km에 달하는 사막을 넘는 것이었지만, 당시 일반적인 대상이라면 2주 정도면 돌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유수프 카라만리에게 가담하는 각 지역 족장들의 방해 외에도, 내부적으로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대립으로 인한 용병 간의 싸움이나 물자 수송에 고용된 낙타몰이꾼들의 파업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프레슬리 오배넌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전진했기 때문에 사막을 넘는 데 45일이 걸렸다.[6]
오배넌 소위가 연안 경로를 채택했기 때문에 미군 지상 부대는 미국 해군의 보급 등의 지원을 수시로 받을 수 있었다. 본격적인 전투에 돌입하기 직전인 1805년 4월 25일까지 미국 해군 함정으로부터 보급이 이루어졌다.[7]
3. 2. 데르나 공격
1805년 4월 27일, 윌리엄 이튼과 프레슬리 오배넌 중위가 이끄는 미국 해병대와 용병 부대는 데르나에 도착하여 공격을 시작했다. 미국 해군 함선의 함포 사격 지원을 받으며, 이들은 공격 당일 데르나 시가지로 진입했다.[8]
미국군의 지상군 육로 파견을 사전에 인지한 유수프 카라만리는 트리폴리에서 데르나 방어 병력을 증원했으나, 미군의 급습으로 트리폴리군은 무너졌다. 오후 4시, 미 해병대와 용병대는 데르나의 트리폴리 측 방어 요새를 점령하고 시가지를 장악했다. 이때 오배넌은 요새에 성조기를 게양했는데, 이는 대서양 건너편에서 미국 국기가 게양된 최초의 사례였다.[8]
4월 28일, 트리폴리 측 원군이 반격에 나섰지만, 이튼 장군 등이 이끄는 약 800명의 용병대가 도착할 때까지 버티면서 5월 13일 트리폴리군은 격퇴되었고, 데르나는 완전히 미군의 수중에 들어갔다.[8] 터커에 따르면, 이 전투에서 미국인 사상자는 전사 2명, 부상 3명이었고, 그리스 용병은 9명이 죽거나 다쳤다. 무슬림 터키 또는 아랍 용병과 수비군의 사상자는 알려지지 않았다.[9]
4. 전투의 영향
데르나 전투는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미국이 해외에서 치른 최초의 육상 전투였다.[10] 이 전투는 제1차 바르바리 전쟁 (1801–1805)에서 결정적인 작전이었으며, 미국의 승리로 1805년 6월 10일 강화 조약이 체결되어 전쟁이 종결되었다.
미국은 트리폴리 측의 최대 근거지인 트리폴리를 공략함으로써, 유사프 카라만리가 강경한 태도를 누그러뜨리고 "향후 미국 선박에 대해 통행료를 부과하지 않고 안전한 항해를 보장한다"는 미국의 요청을 수락하게 만들었다. 이로써 미국은 트리폴리로부터 통행료 면제와 안전 항해를 보장받았다.[16]
이 전투는 미국 해병대의 첫 해외 파병 전투였으며, 프레슬리 오배넌의 지휘 아래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승리는 해병대 찬가("To the shores of Tripoli")에 반영되었다.[17]
프레슬리 오배넌은 전투 후 하메트 카라만리로부터 맘루크 칼을 하사받았다. 이 칼은 미국 해병대 장교용 맘루크 검의 기원이 되었다.
데르나 전투는 미국이 국제 무대에서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군사력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5. 같이 보기
- 윌리엄 이튼
- 프레슬리 오배넌
- 하메트 카라만리
- 유수프 카라만리
- 제1차 바르바리 전쟁
- 트리폴리 항구 전투
5. 1. 관련 인물
- 윌리엄 이튼
- 프레슬리 오배넌
- 하메트 카라만리
- 유수프 카라만리
5. 2. 관련 사건
제1차 바르바리 전쟁 중 트리폴리 항구 전투에서 미국 해군은 트리폴리 측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큰 성과를 얻지 못했다. 이에 윌리엄 이튼 장군은 미국 해병대 분견대를 이끌고 육로로 트리폴리 측 근거지를 점령하고, 이집트로 망명한 하메트 카라만리를 옹립하여 정권 전복을 꾀하는 작전을 제안했다.하메트 카라만리를 찾아 약 500명의 기독교 및 이슬람교 용병대를 조직한 미국 해병대는 성조기를 선두로 트리폴리 측 최대 거점인 트리폴리로 행군을 시작했다.[15] 이 행군은 1,000km에 달하는 사막을 넘는 것이었지만, 미국 해군의 보급 지원을 받으며 1805년 4월 25일까지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용병 간의 싸움이나 물자 수송에 고용된 낙타몰이꾼들의 파업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고, 프레슬리 오배넌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전진해야 했다.[7]
1805년 4월 27일, 데르나에 도착한 미국 해병대는 용병대와 함께 공격을 시작했다. 미국 해군 함선의 함포 사격 지원을 받아, 공격 당일 시가지로 돌입했다.[8] 미국군의 육로 파견을 이미 파악하고 있던 유수프 카라만리는 데르나 방어를 위한 원군을 파견했지만, 미국군의 급습에 트리폴리 측은 붕괴되었다. 오후 4시까지 미국 해병대와 용병대는 데르나의 요새를 점령하고 시가지를 제압했다. 프레슬리 오배넌은 점령한 요새 위에서 성조기를 흔들었다.[8]
4월 28일 트리폴리 측 원군의 반격이 있었지만, 프레슬리 오배넌 부대는 이튼 장군과 약 800명의 용병대가 도착할 때까지 버텼고, 5월 13일까지 트리폴리 측을 격퇴하여 데르나를 완전히 확보했다.[9]
5. 3. 기타
이 전투는 미국 해병대가 처음으로 해외에 파병되어 벌인 본격적인 전투였다. 프레슬리 오배넌은 이 전투에서 결정적인 전력 차이를 뒤집고 승리하여 지휘관으로서의 공을 세웠고, 이는 해병대 찬가의 "''트리폴리 해안으로''"라는 가사에 반영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17]하메트 카라만리는 전장에서 직접 지휘를 맡았던 프레슬리 오배넌의 용맹을 칭송하며 자신의 맘루크 검을 하사했다. 오배넌이 카라만리에게서 받은 맘루크 검을 개량한 M1875는 한때를 제외하고 현재까지 미국 해병대 장교의 제식 장비로 사용되고 있으며, 의례용뿐만 아니라 전투용으로도 쓰인다.
참조
[1]
간행물
Battle of Derne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1805-04-27
[2]
서적
The Barbary Wars: American Independence in the Atlantic World
Hill and Wang
[3]
서적
The Barbary Wars: American Independence in the Atlantic World
Hill and Wang
[4]
서적
Early American Wars
Kurose Ross
[5]
서적
The Barbary Wars: American Independence in the Atlantic World
Hill and Wang
[6]
웹사이트
1775: Founding of the Marine Corps
http://www.marines.c[...]
[7]
웹사이트
Taking the shores of Tripoli required a long land march
http://www.leatherne[...]
2017-12
[8]
서적
Naval Documents Relating to the United States Wars with the Barbary Powers, Volume V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9]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Wars of the Early American Republic, 1783–1812: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10]
웹사이트
Battle of Derna
http://www.marines.c[...]
US Marine Corps
[1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5-10-06
[12]
웹사이트
First Lieutenant Presley Neville O'Bannon
https://web.archive.[...]
US Marine Corps
[13]
뉴스
Kill the pirates
http://www.post-gaze[...]
Pittsburgh Post-Gazette
2009-04-12
[14]
서적
Anti-Slavery Poems: Songs of Labor and Reform
https://books.google[...]
Outlook Verlag GmbH
[15]
서적
The Barbary Wars: American Independence in the Atlantic World
Hill and Wang
[16]
웹인용
Battle of Derna
http://www.marines.c[...]
US Marine Corps
2011-02-24
[17]
뉴스
Kill the pirates
http://www.post-gaze[...]
Pittsburgh Post-Gazette
2009-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