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날드 맥가브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날드 맥가브란은 미국의 선교학자이자 교회 성장 이론가이다. 예일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하고, 1923년부터 인도에서 선교사로 활동하며 교회 성장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1961년 노스웨스트 크리스찬 칼리지에 교회 성장 연구소를 설립하고, 1965년 풀러 신학교 세계 선교학부 초대 학부장을 역임하며 교회 성장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동질 집단 원리'를 통해 유사한 인구 통계를 가진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기독교로 개종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주요 저서로는 『교회 성장의 이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교학자 - 김명혁
김명혁은 순교자 김관주 목사의 아들이자 한국의 대표적인 복음주의 신학자 겸 목회자로, 월남 후 서울대 사학과 졸업, 미국 유학을 통해 다양한 신학 학위를 취득하고 총신대학교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강변교회 담임목사, 한국복음주의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교회 연합 운동에 기여했으며 어거스틴 연구 권위자로도 알려졌으나 2024년 별세했다. - 인도에 거주한 미국인 - 우마 서먼
우마 서먼은 1980년대 후반부터 배우와 모델로 활동하며, 특히 《펄프 픽션》과 《킬 빌》 시리즈에서 주연을 맡아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미국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 인도에 거주한 미국인 - 스탠리 존스
스탠리 존스는 인도의 낮은 카스트 계층과 교류하고 독립 운동을 지지하며 종교 간 화합을 위해 노력한 미국의 감리교 선교사이자 신학자로, 그의 사상은 간디와 마틴 루터 킹 주니어에게 영향을 주었고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선교사 - 주문모
청나라 출신 가톨릭 신부 주문모는 1794년 조선에 잠입하여 선교 활동을 하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으며, 초기 조선 천주교회 성장에 기여하여 2014년 시복되었다. - 선교사 - 방지일
방지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시대에 활동한 장로교 목사이자 선교사로, 중국 선교, 신사참배 저항, 독립운동 지원, 한국 개신교 발전 기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도날드 맥가브란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도널드 앤더슨 맥가브란 |
출생 | 1897년 12월 15일 |
사망 | 1990년 10월 10일 (92세) |
직업 | 선교학자, 선교사 |
종교 | 기독교 |
소속 | 제자운동 (Disciple Movement) |
학력 | |
학사 | 버틀러 대학교 |
석사 | 예일 대학교 |
박사 | 컬럼비아 대학교와 유니언 신학교 |
경력 | |
주요 경력 | 인도 선교사 인도 기독교 교회 연합회 임원 나그푸르 신학대학 강사 기독교 세계 선교 센터 설립자 풀러 신학교 교수 미국 선교학회 회장 |
저서 | |
주요 저서 | 《교회 성장의 의미》 《교회 성장 이해》 《교회 성장의 역동성》 《인도에서의 다리 건설》 《민족 현실과 교회 성장》 《선교 전략》 《하나님의 다리》 |
관련 인물 | |
관련 인물 | 랄프 윈터 |
2. 생애
예일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하고, 1923년부터 인도에서 선교사로서 지도적인 활동을 펼쳤다. 1955년에 인도에서의 선교사직을 사임하고, 푸에르토리코, 자메이카, 멕시코, 필리핀, 태국 그리고 콩고 등지에서 교회 성장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각지에서 세미나 등을 개최했다.
1961년에는 노스웨스트 크리스찬 칼리지에 초빙되어 교회 성장 연구소를 설립했다. 1965년에는 풀러 신학교에서 세계 선교학부 초대 학부장에 취임했다. 교회 성장 이론을 발전시켰다. 후계자로는 피터 와그너 등이 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맥가브란은 1897년 인도 다모에서 태어났다. 맥가브란은 아버지와 할아버지에 이어 그의 가문에서 3대째 선교사가 되었다.그는 인도 중앙 주에서 조기 교육을 받았다. 그의 가족이 미국으로 돌아온 후, 그는 털사와 인디애나폴리스에서 학교를 다녔다. 그는 버틀러 대학교(B.A., 1920), 예일 신학대학원(B.D., 1922), 이전 인디애나폴리스 선교 대학(M.A., 1923)을 다녔고, 인도에서 두 번의 임기를 보낸 후 컬럼비아 대학교(Ph.D., 1936)를 다녔다.
2. 2. 인도 선교사 시절
존 R. 모트와 학생 지원 운동의 영향을 받은 맥가브란은 1923년 그리스도 교회(제자회) 소속 연합 기독교 선교 협회의 파송을 받아 선교사로서 인도로 돌아왔다. 그는 주로 교육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1927년에는 선교부의 종교 교육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이후 미국으로 잠시 돌아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1936년 취득), 다시 인도로 돌아온 뒤 1932년에는 교단의 인도 전체 선교부를 관리하는 현장 서기로 선출되었다.[3]인도에서의 선교 활동 기간 동안 맥가브란은 J. 와스컴 피켓의 저술과 연구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훗날 "나는 피켓의 불에서 내 촛불을 켰다"고 말할 정도였다.[4] 피켓은 1928년 인도 기독교 전국 협의회의 요청으로 인도 특정 사회 계층에서 나타나는 대규모 개종 현상, 즉 '기독교 대중 운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5]
맥가브란은 피켓의 연구에 주목하며, 자신이 속한 선교부의 상황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당시 그는 80명의 선교사와 여러 의료 및 교육 기관을 감독하고 있었지만, 수십 년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선교부 산하에는 약 30개의 작은 교회만이 존재했고 대부분 성장이 정체된 상태였다. 반면, 인도 다른 지역에서는 개인 단위가 아닌 집단 단위로 수천 명이 기독교로 개종하는 '민중 운동'이 일어나고 있었다. 맥가브란은 자신의 선교 본부가 있는 인디애나폴리스에 피켓의 도움을 받아 중부 인도 지역에서 왜 유사한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지에 대한 연구를 제안했고, 직접 피켓의 연구를 도우며 마드야 프라데시 지역 연구의 주요 설계자가 되었다.[6]
1937년, 맥가브란은 『인도 교회의 창립자들』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민중 운동을 일으킨 평범한 인도인들의 역할을 조명했다. 그는 연구를 통해 선교가 진행된 145개 지역 중 134개 지역의 교회 성장률이 1921년부터 1931년까지 11%에 불과하며, 심지어 교인 자녀들의 신앙 유지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나머지 11개 지역에서는 교회가 100%에서 200%까지 성장하는 것을 확인했다. 그는 왜 지리적으로 가까운 교회들 사이에서도 이러한 성장 격차가 발생하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졌다.
이 시기 맥가브란의 선교관에도 변화가 있었다. 어린 시절 그는 선교를 대위임령 수행, 세상의 복음화, 잃어버린 영혼 구원 등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예일 신학대학원 재학 시절 접한 H. 리처드 니부어의 영향으로 초기에는 선교를 자선, 교육, 의료, 구호, 전도 등 교회가 벽 밖에서 행하는 모든 활동으로 폭넓게 이해했다.[7] 1923년 인도에 파송될 당시 그는 이러한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인도에서의 경험을 통해 점차 선교의 핵심을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를 만드는 것'으로 다시 정의하게 되었다.[7]
1936년, 현장 서기 임기가 만료되었을 때 맥가브란은 재선되지 못했다. 이는 그의 교회 성장 중심의 선교관과 기존 선교부의 입장 차이 때문으로 보인다. 맥가브란의 회고에 따르면, 선교부는 사실상 그에게 "전도와 교회 성장에 대해 그렇게 많이 이야기하니, 당신이 주장하는 바를 직접 실천해 보라"는 의미로 새로운 임무를 부여했다.[7] 그는 이 임명을 받아들여 이후 17년 동안 사트나미 카스트 사이에서 민중 운동을 일으키는 데 헌신했다. 이 기간 동안 약 천 명의 사람들이 그리스도께로 인도되었고, 15개의 작은 마을 교회가 세워졌으며, 복음서는 현지 언어인 차티스가르어로 번역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2. 3. 교회 성장 연구소 설립과 활동
1958년, 맥가브란은 선교사직에서 물러나 미국으로 돌아와 여러 신학교에 교회 성장을 주제로 한 학과 개설을 제안했다. 1961년에는 노스웨스트 크리스천 칼리지(Northwest Christian College, 현 부시넬 대학교)에 교회 성장 연구소를 설립했다.1965년, 데이비드 앨런 허바드(David Allan Hubbard)의 초빙으로 풀러 신학교(Fuller Theological Seminary) 세계 선교 대학(School of World Mission)의 초대 학장으로 취임했다. 맥가브란은 저명한 선교학자들을 영입하여 세계적으로 가장 큰 규모의 선교 관련 학부를 구축했으며, 그의 지도 아래 풀러 신학교 세계 선교 대학은 학생 수 면에서도 세계 최대의 선교 학교로 성장했다.
그는 제자인 C. 피터 와그너(C. Peter Wagner)와 함께 풀러 복음주의 협회를 설립하여 풀러를 기반으로 전 세계 교회에 교회 성장 방법론을 전파했다. 또한, 미국 내 교회의 성장에 집중하기 위해 미국 교회 성장 연구소를 별도로 설립했는데, 이는 미국의 다양한 인종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조치였다.
유진(노스웨스트 크리스천 칼리지 소재지)과 풀러에서의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1970년에는 저서 "교회 성장의 이해"(Understanding Church Growth)를 출판했다. 맥가브란은 푸에르토리코, 자메이카, 멕시코, 필리핀, 태국, 콩고 등 세계 여러 지역을 방문하여 교회 성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며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의 연구와 활동은 후계자인 피터 와그너에게 영향을 미쳤다.
3. 교회 성장 이론
예일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를 졸업한 도날드 맥가브란은 1923년부터 인도에서 선교사로 활동하며 교회 성장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1] 1955년 인도 선교사직을 사임한 후, 그는 푸에르토리코, 자메이카, 멕시코, 필리핀, 태국, 콩고 등 여러 지역을 방문하여 교회 성장 사례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며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켰다.[1]
맥가브란은 1961년 노스웨스트 크리스찬 칼리지에 교회 성장 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65년에는 풀러 신학교 세계 선교학부의 초대 학부장으로 부임하여 교회 성장 연구를 학문 분야로 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그의 교회 성장 이론은 선교 현장에서의 경험과 광범위한 연구를 바탕으로 체계화되었으며, 피터 와그너 등 후대의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 그의 이론 중 핵심적인 개념으로는 동질 집단 원리와 민중 운동 등이 있다.
3. 1. 동질 집단 원리
교회 성장 이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맥가브란이 1970년에 출판한 저서 ''교회 성장의 이해''(Understanding Church Growth)에서 명확하게 제시되었다. 이 원리는 사람들이 언어, 문화, 계층, 직업 등 동일한 배경을 공유하는 집단, 즉 '동질 집단' 내에서 복음이 더 효과적으로 전파되고, 집단적인 개종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다.맥가브란은 인도에서의 선교 활동 경험, 특히 J. 와스컴 피켓의 연구[4][5]에 영향을 받아 이 원리를 정립했다. 그는 인도 선교 현장에서 수십 년간 활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의 교회는 성장이 거의 없는 반면[6], 다른 지역에서는 개인보다는 특정 카스트나 집단 전체가 함께 기독교로 개종하는 '민중 운동'을 통해 교회가 100% 이상씩 성장하는 것을 목격했다.[6] 이러한 대규모 개종 운동에 대한 관찰과 연구를 통해, 그는 사람들이 자신과 비슷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 안에서 복음을 더 쉽게 받아들이며, 이것이 교회 성장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결론지었다. 즉, 동질 집단 원리는 개인들이 유사한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공유할 때 집단적으로 기독교로 개종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설명한다.
3. 2. 기타 이론
맥가브란은 J. 와스컴 피켓의 연구에 깊은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인도 사회 특정 계층의 대규모 개종 현상인 "기독교 대중 운동"에 주목했다.[4][5] 그는 피켓의 연구를 접한 후, 자신의 선교 본부가 있는 중부 인도 지역에서는 왜 유사한 대규모 개종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고 연구를 시작했다.[6] 당시 맥가브란은 수십 년간의 선교 활동에도 불구하고 관할 지역 교회들의 성장이 미미한 것에 우려를 표했다. 반면, 인도 곳곳에서는 개인 단위가 아닌 집단 전체가 기독교로 개종하는 민중 운동(People Movement) 현상을 목격했다. 이는 특정 집단이나 계층 전체가 함께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하며, 맥가브란은 이러한 집단적 결단이 효과적인 교회 성장의 핵심이라고 보았다.그는 피켓의 연구를 적극적으로 도왔으며, 마드야 프라데시 지역 연구의 주요 설계자로 참여했다.[6] 1937년에는 『인도 교회의 창립자들』이라는 책을 통해 민중 운동을 이끌었던 평범한 인도인들의 역할을 강조했다. 맥가브란은 연구를 통해 선교 지역 145곳 중 134곳의 교회 성장률이 1921년부터 1931년 사이에 11%에 불과했지만, 나머지 11곳에서는 100%에서 200%까지 성장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탐구하며 민중 운동의 중요성을 더욱 확신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론적 확신은 실천으로 이어졌다. 1936년 이후 약 17년 동안 맥가브란은 사트나미 카스트 사이에서 직접 민중 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약 천 명의 사람들이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였고, 15개의 작은 마을 교회가 세워지는 성과를 거두었다.[7] 이 경험은 그의 교회 성장 이론, 특히 동질 집단 원리와 함께 민중 운동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핵심 근거가 되었다.
4. 주요 저서
- 『하나님의 교량』 (The Bridge of God, 1954)
- 『교회의 발전과 전도』 (도널드 맥가브란 저, 후지미 코우조 역, 생명의 말씀사, 1967)
- 『교회 성장 이해』 (Understanding Church Growth, 1970)
맥가브란은 1958년 선교 사업에서 사임한 후, 여러 미국 신학교에 교회 성장을 주제로 한 학과 개설을 제안했다. 1961년에는 현재 부시넬 대학교(Bushnell University)인 노스웨스트 크리스천 칼리지(Northwest Christian College)에 교회 성장 연구소가 설립되었다. 1965년, 데이비드 앨런 허바드(David Allan Hubbard)는 맥가브란을 풀러 신학교(Fuller Theological Seminary) 세계 선교 대학(School of World Mission)의 초대 학장으로 초빙했다. 맥가브란은 이곳에 많은 선교학자들을 영입하여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선교 관련 학부를 만들었으며, 그의 지도 아래 풀러 세계 선교 대학은 학생 수 기준으로 세계 최대의 선교 학교가 되었다. 그는 제자인 C. 피터 와그너(C. Peter Wagner)와 함께 풀러 복음주의 협회를 설립하여 풀러 신학교를 중심으로 자신의 교회 성장 방법을 전 세계 교회에 적용하고자 했다. 또한 미국 내 교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미국 교회 성장 연구소를 별도로 설립하기도 했다. 이 책은 유진과 풀러에서의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1970년에 출판되었으며, '동질 집단 원리'로 알려진 교회 성장 이론의 핵심 내용을 명확히 제시했다. 이 원리는 인도에서의 대규모 개종 운동 경험을 바탕으로, 비슷한 인구 통계학적 배경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기독교로 개종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강조한다.
- 『교회 성장 10가지 조건』 (윈필드 언 공저, 나카무라 토시오 역, 아리가 키이치 감수, 생명의 말씀사, 1984)
- 『세계 선교의 전망』 (랄프 D. 윈터, 존 스토트 외 공저, 논문집, 생명의 말씀사)
5. 비판과 논쟁
(해당 섹션 제목 '비판과 논쟁'에 부합하는 내용이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맥가브란의 경력과 '동질 집단 원리' 소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6. 영향과 유산
1955년 인도 선교사직을 사임한 맥가브란은 푸에르토리코, 자메이카, 멕시코, 필리핀, 태국, 콩고 등지에서 교회 성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세미나를 개최하며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켰다.
1958년, 그는 여러 미국 신학교에 교회 성장을 주제로 한 학과 개설을 제안했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961년에는 당시 노스웨스트 크리스천 칼리지(Northwest Christian College, 현 부시넬 대학교)에 초빙되어 교회 성장 연구소를 설립했다.
1965년, 데이비드 앨런 허바드(David Allan Hubbard)의 초빙으로 풀러 신학교(Fuller Theological Seminary) 세계 선교 대학(School of World Mission)의 초대 학장이 되었다. 맥가브란은 이곳에 저명한 선교학자들을 영입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선교 관련 학부를 구축했으며, 그의 지도 아래 풀러 신학교 세계 선교 대학은 학생 수 기준으로도 세계 최대의 선교 학교로 성장했다.
그는 제자인 C. 피터 와그너(C. Peter Wagner)와 함께 풀러 복음주의 협회를 설립하여 풀러 신학교를 중심으로 자신의 교회 성장 방법론을 전 세계 교회에 전파하고자 했다. 또한 미국 내 교회 성장에 주목하여, 인구 통계학적,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미국 교회 성장 연구소를 별도로 설립하기도 했다.
유진과 풀러에서의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1970년 대표 저서인 『교회 성장의 이해』(Understanding Church Growtheng)를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인도에서의 대규모 개종 운동 경험을 토대로, 유사한 배경을 가진 동질 집단 내에서 집단적 개종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동질 집단 원리'(homogeneous unit principle)를 핵심 이론으로 제시했다. 그의 교회 성장 이론은 후계자인 피터 와그너 등을 통해 계승 및 발전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4-16
[2]
웹사이트
Who is the Evangelical Missiological Society? – EMS
https://www.emsweb.o[...]
[3]
웹사이트
Donald McGavran
https://www.thetrave[...]
2015-02-13
[4]
간행물
The Legacy of Donald A. McGavran
http://international[...]
[5]
서적
1933 Christian Mass Movements in India
Lucknow Publishing House
[6]
서적
Christian Missions in Mid-India
Lucknow Publishing House
[7]
간행물
My Pilgrimage in Mission
https://www.internat[...]
[8]
서적
Dictionary of Mission: Theology, History, Perspectives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6-01-30
[9]
서적
International Development from a Kingdom Perspective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WCIU Press
[10]
서적
Evaluating the Church Growth Movement: 5 Views - Zondervan,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0-06-01
[11]
서적
Understanding Church Growth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2]
웹인용
개신교 선교 인물사(4) 도날드 A 맥가브란(1897-1990)
http://kr.christiani[...]
2015-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