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명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명혁은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반대 운동으로 순교한 김관주 목사의 아들로, 1937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평양에서 성장했다. 1948년 신앙의 자유를 찾아 월남하여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 후 여러 신학 학위를 취득했다. 총신대학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강변교회 담임목사, 한국복음주의협의회 회장을 역임했다. 어거스틴 연구의 권위자로, 역사신학 관련 저술 활동을 했으며, 2024년 춘천 지역 교회에서 설교를 하러 가던 중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교학자 - 도날드 맥가브란
    도날드 맥가브란은 인도의 선교 경험을 바탕으로 '동질 집단 원리'를 제시하고 교회 성장 이론을 체계화한 미국의 선교사이자 교회 성장 이론가로서, 풀러 신학교 세계 선교 대학 초대 학장을 역임하며 교회 성장 연구와 선교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우구스티누스 - 욕정
    욕정은 강렬한 성적 욕망을 의미하며, 기독교에서는 죄와 연관되어 해석되기도 하고, 이슬람교에서는 욕망과 분노의 조화를 강조하는 등 다양한 종교적, 철학적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다.
  • 아우구스티누스 - 타가스테의 알리피우스
    타가스테의 알리피우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제자이자 친구로서 마니교에 관심을 가졌고, 법학을 공부하여 치안 판사로 일했으며, 밀라노에서 세례를 받은 후 타가스테 주교가 되어 아프리카 공의회에 참여하다 430년경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복음주의자 - 최자실
    대한민국의 목회자 최자실은 12세에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인 후 순복음신학교에 입학하여 목회자의 길을 걸으며, 조용기 목사와 함께 여의도순복음교회를 개척하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위한 사역에 헌신했다.
  • 대한민국의 복음주의자 - 조용기
    조용기는 1936년 출생하여 2021년 사망한 한국의 목사로, 여의도순복음교회를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회로 성장시켰으며, 4차원의 영성을 강조하고 신앙 서적을 저술했다.
김명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명혁 박사
이름김명혁
한글김명혁
한자金明赫
로마자 표기Kim Myeong-hyeok
매큔-라이샤워 표기Kim Myŏng-hyŏk
출생일1937년 6월 4일
출생지일본 도쿄
사망일2024년 2월 18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직업대학 교수 겸 개신교 목사 및 장로회 어거스틴 선교 신학
종교개신교(예장합신)
활동 기간1973년~2024년
부모김관주(부)
친척김현하(조부), 김정숙(조모)
학력
모교서울대학교, 페이스 신학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예일 신학대학원, 아퀴나스 신학대학원
주요 경력
직책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임기 시작1989년
임기 종료1993년

2. 생애

김명혁은 1937년 6월 4일 일본 도쿄에서 순교자 김관주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9][1] 2살부터 9살까지는 신의주에서, 10살부터 11살까지는 평양에서 살았다.[9][2] 그의 아버지 김관주 목사는 일제강점기에 신사참배를 반대하여 자주 투옥되었고, 해방 이후에는 소련 군정의 정치 협조 강요를 거부하다 1947년 조선민주당 창당에 참여한후 탈당 하였다. 이후 공산 정권에 의해 1947년 11월 18일 평양에서 체포되어 1950년 6월 23일경 순교하였다.[9]

순교자 김관주목사와 아들 김명혁박사


김명혁은 어릴 적 안주에서 온 가족이 등불을 켜 들고 멀리 떨어진 예배 처소에 가서 예배를 드리곤 했다.[9] 그의 할머니 김정숙 권사는 평생 기도와 주일 성수 신앙을 지키며 가족을 예수께 인도했으며, 새벽마다 산에 올라가 새벽기도를 했다.[9] 그의 부친 김관주 목사가 한경직 목사와 함께 신의주 제2교회에서 목회하던 시절, 김명혁은 한경직 목사의 사랑을 받으며 성장했고, 주일학교 선생님들의 가르침과 부친의 순교신앙을 통해 신앙을 키웠다.[9]

1946년 부친이 평양 서문밖교회로 목회지를 옮기면서 평양에서 초등부 시절을 보냈다.[9] 부친이 조선민주당 활동으로 인해 공산당에 체포되어 사동 탄광에 수감되었을 때, 김일성 주석의 외숙인 강량욱 목사의 회유를 받았으나, "내가 강 목사와 손잡으려면 왜 이곳에 와서 고생하겠느냐"며 거절했다고 한다.[9]

1948년 7월, 김명혁은 사동 탄광에서 아버지 김관주 목사를 마지막으로 만났다.[9] 김명혁이 남쪽으로 가겠다고 하자 아버지는 허락했고, 어머니는 "너없이는 못살아" 하시면서 울면서 허락을 하셨다.[9] 1948년 8월, 11살의 나이에 김명혁은 신앙의 자유를 찾아 38선을 넘어 대한민국으로 왔다.[9][2][3] 함께 오던 어른들은 인민군에게 모두 잡히고 그만 혼자서 월남하였다.[9] 서울에 도착한 그는 영락교회에서 한경직 목사를 다시 만났고, 방산국민학교를 거쳐 서울중학교에 입학했다.[9] 1956년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했다.[1]

김명혁은 1961년 서울대학교 문리대 사학과(서양사 전공)를 졸업하고, 총회신학교에서 두 학기를 마친 후 1962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1] 훼이스 신학교(Faith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사(B.D.) 학위를 받고,[3]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교회사를 전공하여 신학석사(Th.M.) 학위를 받았다.[3] 예일 신학교(Yale Divinity School)에서 역사신학을 전공하여 신성 신학 석사(S.T.M.) 학위를 취득했다.[3] 1972년 12월 아퀴나스 신학 연구소(Aquinas Institute of Theology)에서 철학박사(Ph.D.) 학위를 받았다.[3]

그는 총회신학교에서 한철하 박사로부터 학문적 도전과 감화를 받아 교회사를 사건 위주가 아닌 주제와 흐름 위주로 연구하게 되었다. 특히 "어거스틴 연구" 강의를 통해 어거스틴의 신학 방법론과 신앙과 이성과의 관계에 대한 입장들을 배우면서 학문에 대한 정열을 갖게 되었고, 이는 훗날 어거스틴을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 학위 논문을 쓰게 된 동기가 되었다.

미국 유학 시절, 훼이스 신학교에서는 매크레이 박사의 교회사 강의를 통해 칭찬을 받았고, 인쇄소에서 일하며 생활비와 학비를 벌기도 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는 "신의 도성에 나타난 어거스틴의 역사이론"이라는 제목의 석사 학위 논문을 썼으며, 이는 박사 학위 논문으로 발전했다. 예일 신학교에서는 역사신학 교수 야로슬라브 펠리칸(Jaroslav Jan Pelikan) 교수의 지도를 받아 "교부들에 나타난 이사야서의 메시야적 해석"이라는 제목의 석사 학위 논문을 썼다.

1974년 귀국 후, 총신대학교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교수 및 강사로 활동했다.[5] 1989년 4월 18일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제3대 총장으로 취임하여 1993년까지 재직했다.[6] 그는 역사신학에 관한 여러 권의 저서를 썼으며 어거스틴 연구에 관한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1974년 귀국 후, 후암교회에서 교육목사로, 영안교회에서 개척 목회로 사역을 하였다.[9] 1980년 4월 6일 강변교회를 설립하여 28년 동안 담임목사로 섬겼다.(2008년 1월 13일 은퇴)[3][9] 1984년 10월 22일 한국복음주의협의회(KEF) 총무로 선출되었으며,[4] 2002년부터 2018년까지 회장직을 역임했다.[1]

김명혁은 2024년 2월 18일 춘천 지역 교회에서 설교를 하러 가던 중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향년 86세였다.[7]

2. 1. 어린 시절과 월남

김명혁은 1937년 6월 4일 일본 도쿄에서 순교자 김관주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9][1] 2살부터 9살까지는 신의주에서, 10살부터 11살까지는 평양에서 살았다.[9][2] 그의 아버지 김관주 목사는 일제강점기에 신사참배를 반대하여 자주 투옥되었고, 해방 이후에는 소련 군정의 정치 협조 강요를 거부하다가 1947년 조선민주당 창당에 참여한 후 탈당하였다. 이후 공산 정권에 의해 1947년 11월 18일 평양에서 체포되어 1950년 6월 23일경 순교하였다.[9]

김명혁은 어릴 적 안주에서 온 가족이 등불을 켜 들고 멀리 떨어진 예배 처소에 가서 예배를 드리곤 했다.[9] 그의 할머니 김정숙 권사는 평생 기도와 주일 성수 신앙을 지키며 가족을 예수께 인도했으며, 새벽마다 산에 올라가 새벽기도를 했다.[9] 그의 부친 김관주 목사가 한경직 목사와 함께 신의주 제2교회에서 목회하던 시절, 김명혁은 한경직 목사의 사랑을 받으며 성장했고, 주일학교 선생님들의 가르침과 부친의 순교신앙을 통해 신앙을 키웠다.[9]

1946년 부친이 평양 서문밖교회로 목회지를 옮기면서 평양에서 초등부 시절을 보냈다.[9] 부친이 조선민주당 활동으로 인해 공산당에 체포되어 사동 탄광에 수감되었을 때, 김일성 주석의 외숙인 강량욱 목사의 회유를 받았으나, "내가 강 목사와 손잡으려면 왜 이곳에 와서 고생하겠느냐"며 거절했다고 한다.[9]

1948년 7월, 김명혁은 사동 탄광에서 아버지 김관주 목사를 마지막으로 만났다.[9] 김명혁이 남쪽으로 가겠다고 하자 아버지는 허락했고, 어머니는 "너없이는 못살아" 하시면서 울면서 허락을 하셨다.[9] 1948년 8월, 11살의 나이에 김명혁은 신앙의 자유를 찾아 38선을 넘어 대한민국으로 왔다.[9][2][3] 함께 오던 어른들은 인민군에게 모두 잡히고 그만 혼자서 월남하였다.[9] 서울에 도착한 그는 영락교회에서 한경직 목사를 다시 만났고, 방산국민학교를 거쳐 서울중학교에 입학했다.[9] 1956년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했다.[1]

2. 2. 학업과 신학 수업

김명혁은 1937년 6월 4일 일본 도쿄에서 북한 목사 김관주의 아들로 태어났다.[1] 2살부터 9살까지는 신의주에서, 10살부터 11살까지는 평양에서 살았으며, 1948년 8월, 11살의 나이로 38선을 넘어 대한민국으로 왔다.[2][3] 1956년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1] 1961년 서울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1964년 페이스 신학교(Faith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사, 1966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 석사, 1967년 예일 신학교(Yale Divinity School)에서 신성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2년 12월 아퀴나스 신학 연구소(Aquinas Institute of Theology)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3]

2. 3. 목회 활동과 한국복음주의협의회

김명혁은 1937년 6월 4일 일본 도쿄에서 순교자 김관주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으며,[1][9] 2살부터 9살까지 신의주에서, 10살부터 11살까지 평양에서 살았다.[2][3] 1948년 8월, 11살의 나이로 신앙의 자유를 찾아 홀로 38선을 넘어 대한민국으로 왔다.[2][3][9]

그의 아버지 김관주 목사는 일제 강점기에 신사참배를 반대하여 감옥에 자주 투옥되었고, 해방 후에는 조선민주당 창당에 참여했다가 공산 정권의 탄압을 받았다.[9] 1947년 11월 평양에서 체포되어 사동 탄광에서 강제 노역을 하다가 1950년 6월 23일경에 순교하였다.[9] 김명혁은 아버지의 순교 신앙을 본받아 어린 시절부터 신앙생활을 하였고, 월남 이후에는 한경직 목사의 지도를 받으며 성장했다.[9]

김명혁은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1956년),[1]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에서 서양사를 전공했다.(1961년)[1][9] 대학교에서 역사 공부를 통해 균형잡힌 사고와 포용적인 안목을 배우게 되었고, 손봉호, 김상복등과 함께 새 생활운동을 시작하기도 했다.[9] 이후 총회신학교에서 두 학기를 수학하고, 1962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페이스 신학교(Faith Theological Seminary) (1964년, 신학사),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1966년, 신학 석사), 예일 신학교(Yale Divinity School) (1967년, 신성 신학 석사)에서 공부했다.[3][9] 1972년 12월 아퀴나스 신학 연구소(Aquinas Institute of Theology)에서 철학박사(Ph.D.) 학위를 받았다.[3]

1974년 귀국 후, 후암교회에서 교육목사로, 영안교회에서 개척 목회로 사역을 하였다.[9] 1980년 4월 6일 강변교회를 설립하여 28년 동안 담임목사로 섬겼다.(2008년 1월 13일 은퇴)[3][9] 총신대학교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교수 및 강사로 활동했고,[5] 1989년 4월 18일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제3대 총장으로 취임하여 1993년까지 재직했다.[6] 1984년 10월 22일 한국복음주의협의회(KEF) 총무로 선출되었으며,[4] 2002년부터 2018년까지 회장직을 역임했다.[1]

김명혁은 어거스틴 연구의 권위자로 역사신학에 관한 여러 권의 저서를 썼다.[9] 2024년 2월 18일, 춘천 지역 교회에서 설교를 하러 가던 중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향년 86세였다.[7]

2. 4. 교육 활동과 신학

김명혁은 1961년 서울대학교 문리대 사학과(서양사 전공)를 졸업하고, 총회신학교에서 두 학기를 마친 후 1962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1] 훼이스 신학교(Faith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사(B.D.) 학위를 받고,[3]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교회사를 전공하여 신학석사(Th.M.) 학위를 받았다.[3] 예일대학교 신학원(Yale Divinity School)에서 역사신학을 전공하여 신성 신학 석사(S.T.M.) 학위를 취득했다.[3] 1972년 12월 아퀴나스 신학 연구소(Aquinas Institute of Theology)에서 철학박사(Ph.D.) 학위를 받았다.[3]

그는 총회신학교에서 한철하 박사로부터 학문적 도전과 감화를 받아 교회사를 사건 위주가 아닌 주제와 흐름 위주로 연구하게 되었다. 특히 "어거스틴 연구" 강의를 통해 어거스틴의 신학 방법론과 신앙과 이성과의 관계에 대한 입장들을 배우면서 학문에 대한 정열을 갖게 되었고, 이는 훗날 어거스틴을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 학위 논문을 쓰게 된 동기가 되었다.

미국 유학 시절, 훼이스 신학교에서는 매크레이 박사의 교회사 강의를 통해 칭찬을 받았고, 인쇄소에서 일하며 생활비와 학비를 벌기도 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는 "신의 도성에 나타난 어거스틴의 역사이론"이라는 제목의 석사 학위 논문을 썼으며, 이는 박사 학위 논문으로 발전했다. 예일대학교 신학원에서는 역사신학 교수 자로슬라브 펠리칸(Jaroslav Jan Pelikan) 교수의 지도를 받아 "교부들에 나타난 이사야서의 메시야적 해석"이라는 제목의 석사 학위 논문을 썼다.

1974년 귀국 후, 총신대학교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교수 및 강사로 활동했다.[5] 1989년 4월 18일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제3대 총장으로 취임하여 1993년까지 재직했다.[6] 그는 역사신학에 관한 여러 권의 저서를 썼으며 어거스틴 연구에 관한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2. 5. 소천

김명혁은 2024년 2월 18일 춘천 지역 교회에서 설교를 하러 가던 중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향년 86세였다.[7]

3. 경력

4. 학력


  • 서울중학교와 서울고등학교 졸업 (1953,1956)
  • 서울대학교 문리대 사학과 졸업(1961, B.A.)
  • 페이스 신학교(Faith Theological Seminary) 졸업(1964, B.D.)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Westminster Seminary) 졸업(1966, Th.M.)
  • 예일 대학교 신학원(Yale Divinity School) 졸업(1967, S.T.M.)
  • 아퀴나스 신학원 (Aquinas Institute of Theology) 졸업(1973, Ph.D.)
  • 풀러신학교 선교신학원(Fuller School of World Mission)(1974, Research Associate)
  • 튀빙겐 대학교(Tubingen University)(1984, Research Fellow)
  • 빌리그레이엄센터(Billy Graham Center)(1988, Scholar in Residence)

5. 신학 사상

김명혁은 역사적 정통 개혁주의보다는 복음주의 신학자로서 한국교회의 연합운동에도 기여하였다. 그의 신학사상은 역사적, 선교학적 접근에서 재조명되어야 한다.[10]

참조

[1] 웹사이트 김명혁목사 http://www.kbpc.kr/p[...] 2024-03-04
[2] 웹사이트 김명혁 목사 "나의 어린이 시절 신앙생활 이야기" https://www.christia[...] 2021-07-06
[3] 웹사이트 예레미야 같은 눈물의 목회자 남양(南陽) 김명혁 목사 https://www.christia[...] 2024-02-19
[4] 웹사이트 연혁 http://koreaef.org/i[...]
[5] 웹사이트 한국복음주의협 명예회장 김명혁 목사 교통사고로 별세 https://www.segye.co[...] 2024-02-19
[6] 웹사이트 합신역사 https://www.hapdong.[...]
[7] 웹사이트 김명혁 강변교회 원로 목사 교통사고로 별세 https://www.newsis.c[...] 2024-02-19
[8] 웹사이트 한국복음주의 협의회 http://koreaef.org/i[...]
[9] 웹사이트 예레미야 같은 눈물의 목회자 남양(南陽) 김명혁 목사 https://www.christia[...] 2024-02-29
[10] 웹사이트 [김명혁 칼럼] WCC 한국준비위 조직에 즈음하여… https://www.christia[...] 2012-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