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도농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도농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도농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전철역이다. 역명은 고려 시대 도자기 원료 채굴과 조선 시대 흥선대원군이 농부들과 함께 농사를 지은 데서 유래했다.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된 후 1958년에 재건되었다.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남양주남부경찰서, 정약용도서관, 이마트 다산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진접역
    진접역은 2022년 3월 19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종착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하역이며, 주변에 해밀마을, 학교, 공원, 경복대학교 등이 위치하고 다음 역은 오남역이다.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오남역
    오남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선의 지하역으로, 2022년 3월 19일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진접(경복대)역과 별내별가람역 사이에 위치한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도농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사
주소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 433 (다산동 4056-1)
일반 정보
역명도농역
한자 표기陶農驛
로마자 표기Donong-yeok
역 번호K124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노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2면 4선
구조지상역
개업일1939년 4월 1일
통계
2018년 승차 인원9,090명
2018년 승강 인원17,172명
노선 정보
노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이전 역K123 구리역
역간 거리 (구리역)1.7 km
다음 역양정역 K125
역간 거리 (양정역)3.7 km
기점용산역
청량리 기점 거리11.2 km
임진강 기점 거리77.4 km
기타
역 등급3급
관리역망우관리역
비고중앙선의 기점으로, 경원선의 기점임. 경의·중앙선의 기점임.

2. 역명 유래

고려 시대에 이 지역에서 유명한 도자기 원료가 많이 채굴되어 '도(陶)' 자를 따왔다. 또한 조선 말기에는 흥선대원군이 농번기에 이곳에 이르러 직접 농기구를 들고 농부들과 함께 일하며 고락(苦樂)을 같이하였다 하여 '농(農)' 자를 따와 '도농(陶農)'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3. 역사

3. 1. 한국철도공사

2005년 1월 1일부로 한국철도공사가 출범하면서 한국철도공사의 역이 되었다. 같은 해 12월 16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덕소역까지 개통됨에 따라 여객 열차 취급이 중지되었다. 2014년 12월 27일에는 경의전철선 (용산선)이 공덕역에서 용산역까지 연장 개통되어 중앙전철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으며, 두 노선의 명칭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4. 역 구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1. 승강장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교상역사이다.


5. 이용객 변동

아래 자료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통계연보를 근거로 한 것이다.

연도경의·중앙선 일평균 이용 인원 (명/일)각주
승차하차승하차
2005년4,5034,4608,963[9]
2006년6,5856,19512,780
2007년8,7967,45116,247
2008년9,6268,19417,820
2009년10,4378,80219,239
2010년10,9879,16120,148
2011년9,0487,67516,723
2012년8,8197,56516,384
2013년9,0727,82016,892
2014년9,1477,95917,106
2015년9,1338,06217,195
2016년9,2128,15917,371
2017년9,0488,03217,080
2018년9,0908,06217,152
2019년9,9078,81118,718
2020년7,9107,21915,129
2021년8,1777,58015,757
2022년9,7858,97318,758
2023년10,6629,84120,503


  • 2005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5년 12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일간의 평균 자료이다.

6. 역 주변

7. 인접한 역

'''도농역 인접 역 목록'''
이전 역노선다음 역
구리역
(K123)
(문산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완행)
양정
(K125)
(지평 방면)
구리역
(K123)
(문산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급행)
덕소역
(K126)
(용문 방면)


참조

[1] 웹사이트 도농역 https://terms.naver.[...] 2019-06-10
[2] 웹사이트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3] 문서 도라산 기점 81.2 km
[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224호 1939-04-01
[5]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37호 1978-10-26
[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7호 1977-04-23
[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7,18호 1991-08-26
[8]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987호 http://gwanbo.mois.g[...] 2010-12-27
[9]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0
[10] 문서 회사 홈페이지 및 등기부에 다산동 주소로 표기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