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소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소역은 1939년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49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복구되었다. 이후 수도권 전철 중앙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고, KTX,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한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다양한 편의시설과 공공기관, 교육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진접역
진접역은 2022년 3월 19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종착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하역이며, 주변에 해밀마을, 학교, 공원, 경복대학교 등이 위치하고 다음 역은 오남역이다.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오남역
오남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선의 지하역으로, 2022년 3월 19일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진접(경복대)역과 별내별가람역 사이에 위치한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덕소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역 정보 | |
역 이름 | 덕소역 |
로마자 표기 | Deokso-yeok |
한자 표기 | 德沼驛 |
역 번호 | K126 |
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56 (덕소리 590-17)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승강장 | 2면 4선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39년 4월 1일 |
역 정보 (일본어) | |
역 이름 | 徳沼駅 |
로마자 표기 | Deokso |
역 등급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노선 | 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역 번호 | K126 |
이전 역 | 양정 K125 |
역간 거리 (이전 역) | 2.3 km |
다음 역 | 도심 K127 |
역간 거리 (다음 역) | 1.5 km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청량리역 기점 17.2 km 임진강역 기점 83.4 km |
승차 인원 (2019년) | 6,431명 |
승강 인원 (2019년) | 12,787명 |
역 정보 (한국어) | |
역 이름 | 덕소역 |
한자 표기 | 德沼驛 |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56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망우관리역 |
개업일 | 1939년 4월 1일 |
역 등급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승강장 | 2면 4선 |
노선 | 중앙선 |
영업 거리 | 청량리역 기점 17.2 km |
이전 역 | 양정 |
역간 거리 (이전 역) | 2.3 km |
다음 역 | 도심 |
역간 거리 (다음 역) | 1.5 km |
이미지 정보 | |
![]() | |
![]() | |
![]() |
2. 역사
1939년 4월 1일 덕소역은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3] 1949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나,[4] 1950년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다. 1952년 4월 20일 역사가 복구되었고, 1958년 6월 21일 새로운 역사가 준공되었다.
1988년 1월 1일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으며,[5] 2005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청량리~덕소 간)이 개통되었다. 2007년 12월 27일에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 (덕소~팔당 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다.
2020년 3월 2일 누리로 운행을 시작했고, 2022년 7월 31일 KTX-이음, 2023년 12월 29일 ITX-마음이 정차하기 시작했다.
2. 1. 개요
1939년 4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3] 1949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4] 1950년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1952년 4월 20일 복구되었고, 1958년 6월 21일 새로운 역사가 준공되었다. 1988년 1월 1일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5] 2005년 1월 1일 한국국철이 한국철도공사로 개칭되었고, 2005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청량리~덕소 간)이 개통되었다. 2007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덕소~팔당 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으며 일부 열차는 시·종착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용산선)이 공덕역에서 용산역까지 개통되어 중앙선과 직통 운행을 시작하면서 양쪽 노선의 이름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변경하였다. 2020년 3월 2일 누리로 운행을 시작하였고, 2022년 7월 31일 KTX-이음이 정차하기 시작하였으며, 2023년 12월 29일 ITX-마음이 정차하기 시작하였다.2. 2. 연표
- 1939년 4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3]
- 1949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4]
- 1950년 6월 30일: 한국 전쟁으로 역사 소실
- 1952년 4월 20일: 역사 복구 준공
- 1958년 6월 21일: 역사 준공
- 1988년 1월 1일: 수소화물 취급 중지[5]
- 2005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청량리~덕소 간) 개통
- 2007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덕소~팔당 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며 일부 열차는 시·종착역
- 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역-용산역 구간 개통으로 직결 운행 개시)
- 2020년 3월 2일: 누리로 운행 개시
- 2022년 7월 31일: KTX-이음 정차 개시
- 2023년 12월 29일: ITX-마음 정차 개시
3. 역 구조
덕소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정차하는 고상홈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저상홈이 겸용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교상역사를 갖춘 지상역으로, 승강장 동쪽은 KTX 등이 정차하는 저상 승강장이고, 서쪽은 전철이 정차하는 고상 승강장이다.
3. 1. 개요
덕소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정차하는 고상홈과 무궁화호 등 일반 열차가 정차하는 저상홈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1]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3. 2. 승강장
덕소역의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용되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정차하는 고상홈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저상홈이 겸용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4. 이용객 변동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 이후 덕소역의 이용객 수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2005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5년 12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6]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경의·중앙선 | 승차 | 4,085 | 4,657 | 6,472 | 5,825 | 5,835 | 5,913 | 6,147 | 6,205 | 6,381 | 6,493 |
하차 | 4,670 | 4,900 | 6,090 | 5,829 | 5,898 | 5,925 | 6,203 | 6,231 | 6,411 | 6,605 | |
노선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의·중앙선 | 승차 | 6,463 | 6,539 | 6,530 | 6,397 | 6,431 | 4,786 | 4,795 | 5,121 | 5,288 | |
하차 | 6,621 | 6,617 | 6,538 | 6,353 | 6,356 | 4,765 | 4,759 | 5,135 | 5,251 |
5. 사건 사고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개·폐막식에 참석하기 위해 북한 김여정, 김영남, 김영철이 방남했던 2018년 2월 10일과 2월 25일, 이들의 의전을 위해 고속철도가 정차하지 않는 덕소역에 KTX 임시 열차가 편성되었다. 일부 언론에서는 이 특별 열차 편성을 김영철 방남 반대 시위를 피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하였으나,[7] 이들이 체류한 서울 워커힐 호텔과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6. 역 주변
편의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