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장 (무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장은 무술 수련을 위한 공간을 의미하며, 불교 용어에서 유래되었다. 불교에서는 수행 장소를, 일본 무술에서는 신체 훈련 시설을 지칭하며, 서구에서는 일본 무술 도장만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는 태권도, 합기도, 검도 등 무술 수련 장소를 의미하며, 일본의 도장 문화와 유사하게 예절과 정신 수양을 중시한다. 도장은 일본, 한국 외에도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중국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사한 형태로 존재하며,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시설 - 경기장
경기장은 스포츠 및 이벤트를 위한 시설로, 종목별 전용 경기장과 다목적 경기장이 있으며, 관중석 유무에 따라 스타디움이나 돔으로 불리기도 하고, 다양한 종목에 특화된 형태로 존재하며 다른 종목 경기에 활용되기도 한다. - 스포츠 시설 - 헬스클럽
헬스클럽은 개인의 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운동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공간 외에도 수영장, 그룹 운동 수업, 사우나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유럽에서 시작되어 한국에서 사업화된 대중적인 운동 공간이다. - 일본의 무술 - 규도
규도는 일본의 전통적인 궁술로 정신 수양과 예의범절을 중시하며,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무사 계급의 등장과 함께 발전했고, 다양한 유파와 전일본궁도연맹을 중심으로 현대 스포츠화되었으며, 사법팔절을 기본 동작으로 수련하고, 도구와 기술 단계를 거쳐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 일본의 무술 - 공수도
공수도는 류큐 왕국의 무술에서 유래하여 중국 무술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다양한 유파와 수련 방식으로 구성되고, 2020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한국의 태권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문화 - 친일
친일은 일본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나 일본 관련 동향에 대한 긍정적 해석을 의미하며,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며, 국가 간 관계, 문화적 교류, 경제적 영향 등 다양한 요소가 친일 감정 형성에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 일본의 문화 - 오타쿠
오타쿠는 특정 대상에 집착적인 관심을 보이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로, 과거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아키하바라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문화를 지칭하기도 한다.
도장 (무술) | |
---|---|
도장 정보 | |
정의 | 무도 또는 심신 수련을 위한 장소 |
어원 | "도(道)"를 닦는 장소 |
목적 | 심신 단련, 정신 수양, 무예 연마 |
종류 | |
일본 무도 | 검도, 유도, 합기도, 공수도 등의 수련 장소 |
한국 무도 | 태권도, 합기도 등의 수련 장소 |
불교 | 좌선, 참선 등의 수행 장소 |
특징 | |
일본 도장 | 신성한 장소로 여겨짐 예절 중시 스승에 대한 존경심 강조 |
한국 도장 | 수련생 간의 협동심 강조 전통 무예 정신 계승 |
기타 | |
영어 명칭 | Dōjō |
한자 표기 | 道場 |
2. 역사
'도장'이라는 단어는 불교에서 유래되었으며, 처음에는 사찰의 부속 건물로 수행을 위한 장소였다.[2] 선 불교에서는 좌선 명상을 하는 장소를 '도장'이라고 부르기도 했다.[2]
일본에서는 프로레슬링을 포함하여 신체 훈련을 위한 모든 시설을 '도장'이라고 부를 수 있다.[3] 서구에서는 '도장'이라는 용어가 일본 무술에만 사용된다.[4]
센고쿠 시대 말기에 무술 도장이 처음 등장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폐지되었다가 가노 지고로가 유도와 그 도장을 새로 만들면서 다시 등장했다. 일본의 도장은 대부분 유파(流派|류하일본어)에 속하며, 간판에 자신들의 도장이 속한 유파의 이름을 적어둔다.
2. 1. 불교에서의 도장


도장(道場)이라는 말은 본래 무술이 아니라 불교 용어이며, 산스크리트어의 '보디만다(bodhi-manda, 보리수 아래의 금강좌)'를 번역한 것으로, 불도수행 장소를 가리킨다.[12]

처음에는 '도장'은 사찰의 부속 건물이었으며, '도'(道)로 끝나는 일본 예술, 즉 중국어의 '도'(道)를 위한 공식적인 훈련 장소였다. 때때로 선 불교 신자들이 ''좌선'' 명상을 하는 명상실을 '도장'이라고 불렀다.[2]
'젠도'(zendo)라는 대체 용어가 더 구체적이며 더 널리 사용된다. 국제선불교협회와 관련된 유럽의 '소토 선' 단체들은 창립 지도자인 타이센 데시마루처럼 명상실을 설명하기 위해 '젠도' 대신 '도장'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묘법연화경』 여래신력품 제21에는 "당지시처, 즉시'''도장'''(とうちぜしょ、そくぜどうじょう / 마땅히 알지니, 이 곳은 곧 도장이라)"이라는 '''도장관'''이 있다. 이것은 석가의 가르침을 진지하게 배우고 수행하는 장소는 어느 시대, 어느 장소이든, 시공을 초월하여 석가가 깨달음을 얻은 보리수 아래의 금강좌와 연결되어 동등한 도장이 된다는 생각이다.[12]
선승 도겐(1200-1253)은 절이 아니라 재가 제자의 집에서 사망했지만, 죽기 직전, 이 "즉시도장" 운운의 "도장관" 경문을 낮은 목소리로 읊조리며 걸어다니며, 그 경문을 기둥에 적었다.[13] 현대에도 이 의미 용법은 남아 있으며, 수행승을 받아들이는 선종 사찰은 "도장"이라고 불린다.
2. 2. 무술 도장의 등장 (센고쿠 시대 말기 ~ 에도 시대)
센고쿠 시대 말기, 사범들은 전국을 돌며 제자를 찾아 가르쳤고, 훈련 장소로는 개인 저택 등이 이용되었다. 에도 시대에 들어서면서 정주형 도장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옥외나 도마를 연습장으로 사용했으나, 에도시대 중기 이후 검술의 죽도 시합, 유술의 난토리 연습이 중심이 되면서 마룻바닥이나 다타미를 깐 연습장이 정비되었다. 에도 3대 도장처럼 대규모 도장이 등장하고, 각 번에서도 번교에 연습장을 설치했다.[14] 이 시기 도장에는 검의 신, 무의 신으로 여겨진 가시마 오카미(다케미카즈치)와 가토리 다이묘진(후쓰누시노카미)의 이름을 쓴 족자가 걸려 있었다.2. 3. 메이지 유신 이후 ~ 쇼와 시대 초기
메이지 시대 이후, 검도나 유도 연습장을 '''무도장'''이라 부르다가, "무"를 줄여 '''도장'''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화되었다[14].1899년(메이지 32년), 대일본무덕회는 교토에 무덕전을 건립하고, 이후 각 현에 대일본무덕회 지부로서 무덕전이 정비되었다. 학교 교육에 검도, 유도가 채택되면서 학교에 도장이 설치되었고, 학교에 따라서는 '''격기실'''이라고 부르기도 했다.1936년(쇼와 11년), 문부성 주최 체육 운동 주사 회의에서 "도장에는 신사를 설치할 것"이라는 답신이 이루어져, 학교 도장에 신사 설치가 의무화되었다[14]。 신사는 에도 시대의 전통적인 도장에는 없었고, 이때부터 국가신도의 영향을 받아 설치되기 시작한 것이다.『道場』はきわめて近代的なものであることがわかる|도장은 지극히 근대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일본어
2. 4. 2차 세계대전 이후 ~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후,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지령으로 국가신도가 폐지되고 학교 교육에서 무도가 금지되면서, 도장의 신사는 철거되었다. 현대에는 도시의 과밀화와 지가 상승으로 인해 개인이 도장을 소유하기 어려워져, 체육관이나 잡거 빌딩의 한 방을 빌리는 예도 많다.
경찰에서는 유도, 검도, 체포술이 필수 과목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도도부현의 경찰서, 경찰 학교, 경찰 본부 내에 모두 도장이 완비되어 있으며, 전국적으로 보면 셀 수 없을 정도의 도장 수가 된다. 경찰서가 유검도 교실을 열어 도장을 초중학생에게 개방하는 경우도 많다.
현대 도장의 경영 형태에는 무도 조직·단체의 본부가 직할하는 직할 도장, 본부 산하에 있지만 독립적으로 운영을 맡는 관할 도장, 어느 단체에도 속하지 않는 독립 자영의 마을 도장 등이 있다.
3. 일본 무술 도장의 특징
일본의 도장은 대부분 유파( 流派|류하일본어 )에 속하며, 간판 또는 이름판에 자신들의 도장이 속한 유파의 이름을 적어둔다. 규모가 큰 유파는 지역마다 하위 조직이 있으며, 최종적으로 유파의 근거지인 도장(유도의 고도칸 등)으로 연결된다. 도장은 기술 교습을 위해 세운 것과 개인의 단련을 위해 세운 것으로 나뉜다. 기술 교습을 위해 세워진 경우에는 사범이 제자들에게 유파의 무술, 격투 기술 등을 가르치며, 이와 함께 정신적인 부분도 훈련한다. 도장 건물은 전용 빌딩을 직접 세우거나, 다세대 빌딩의 일부를 쓰거나, 개인 도장의 경우 자택의 일부를 헐어 쓰기도 한다. 일본식 도장에서는 도장 안에 신위를 모시고, 도장의 훈(訓)을 담아둔 액자를 걸기도 하며, 유도장에서는 다타미로, 검도장에서는 판자를 이어붙여 바닥을 만든다.
도장은 센고쿠 시대 말기에 처음으로 시작되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한동안 폐지되었다가 가노 지고로가 유도와 그 도장을 새로 만들었다.
일본 무술 도장은 특별한 공간으로 여겨지며 사용자들이 잘 관리한다.
3. 1. 공간 구성 및 예절
도장에서는 신발을 신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이다. 많은 유파에서 훈련 전후에 도장을 청소하는 의례(''소지'', 掃除)를 행한다.[5] 정기적인 청소는 위생적인 이점 외에도 도장이 학생회(또는 우치데시와 같은 특별한 학생들)에 의해 지원되고 관리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강화하는 역할도 한다.많은 전통적인 도장은 정확하게 규정된 패턴을 따르며, 학생과 지도자의 계급에 따라 사용되는 ''쇼멘''(正面; "정면")과 다양한 입구가 있다. 쇼멘은 도장의 북쪽에 위치하고 입구를 향하는 벽으로 지정된다.[5]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도장의 왼쪽 하단 모서리에서 입장하고 (쇼멘을 기준으로), 지도자는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위치한다. 쇼멘에는 일반적으로 신사를 설치하거나, 유파의 간반, 타이코 북, 갑옷(오요로이) 등을 전시하기도 한다. 도장의 이름과 ''도장 훈''(대략 "도장 규칙")이 쇼멘에 게시되는 경우도 많다.
3. 2. 혼부 도장 (本部道場)
''혼부 도장''(本部道場)은 특정 무술 스타일의 중앙 훈련 시설이자 행정 본부이다.일본에 위치한 몇몇 잘 알려진 ''도장''은 다음과 같다.
4. 다른 문화권의 유사 시설
일본 및 기타 국가에서는 "도장"과 동등한 훈련장을 지칭하는 다른 이름들이 있다.
- 인도
- 아카라 (인도 무술)
- 칼라리 (칼라리파야트)
- 인도네시아
- 겔랑강(실랏 멜라유)
- 사사란(빤짝 실랏)
- 베트남
- 베트 보 다오 도장
- 중국
- 중국 무술에서 '무관'(武馆)은 문자 그대로 '무술관'을 뜻하며, 도장과 유사하게 학생과 사범 간에 유교적인 계층 구조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계층 구조는 관료제보다는 '가족'과 더 유사한 경우가 많다.[9] 일부 무관에만 존재하는 제단은 과거의 스승, 신 또는 둘 다에게 헌정될 수 있다.[9] 이는 도장의 경우 스승의 사진이 일반적으로 제단 자체 내에 배치되지 않는다는 점과 다르다.[9] 역사적으로, 그리고 때로는 오늘날에도 이러한 유형의 문화 사업은 커뮤니티 센터로 사용되었다.[9] 이는 오늘날 많은 도장이 기존의 커뮤니티 센터에 합류하여 그 일부가 되는 것과는 반대이다.[9] 무관은 쇼 브라더스 회사와 고(故) 영춘권 대가 이소룡과 무술 영웅 황비홍에 관한 영화와 같이 많은 쿵푸 영화의 중심 기관이다.[9]
- 중국, 홍콩, 마카오 및 대만에 설립된 일본 및 한국 무술 학교에 사용되는 한자 때문에 도장/도장은 북경어로는 "다오창"(daochang)으로, 광둥어로는 "도청"(dou cheung)으로 발음된다.
4. 1. 인도
- 아카라 (인도 무술)
- 칼라리 (칼라리파야트)
4. 2. 한국
한국에서 무술 학교는 일본식 도장과 상당히 유사하다.4. 3.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는 겔랑강(실랏 멜라유)과 사사란(빤짝 실랏)이 있다.4. 4. 베트남
베트 보 다오 도장.4. 5. 중국
중국 무술에서 '무관'(武馆)은 문자 그대로 '무술관'을 뜻하며, 도장과 유사하게 학생과 사범 간에 유교적인 계층 구조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계층 구조는 관료제보다는 '가족'과 더 유사한 경우가 많다.[9] 일부 무관에만 존재하는 제단은 과거의 스승, 신 또는 둘 다에게 헌정될 수 있다.[9] 이는 도장의 경우 스승의 사진이 일반적으로 제단 자체 내에 배치되지 않는다는 점과 다르다.[9] 역사적으로, 그리고 때로는 오늘날에도 이러한 유형의 문화 사업은 커뮤니티 센터로 사용되었다.[9] 이는 오늘날 많은 도장이 기존의 커뮤니티 센터에 합류하여 그 일부가 되는 것과는 반대이다.[9] 무관은 쇼 브라더스 회사와 고(故) 영춘권 대가 이소룡과 무술 영웅 황비홍에 관한 영화와 같이 많은 쿵푸 영화의 중심 기관이다.[9]중국, 홍콩, 마카오 및 대만에 설립된 일본 및 한국 무술 학교에 사용되는 한자 때문에 도장/도장은 북경어로는 "다오창"(daochang)으로, 광둥어로는 "도청"(dou cheung)으로 발음된다.
5. 다른 분야에서의 활용
'도장'이라는 용어는 몰입형 학습 공간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선불교에서 좌선 명상실을 '도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젠도'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2] 소프트웨어, 디지털 학습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도장'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양성 도장"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분야의 강습, 세미나가 개최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참조
[1]
기타
[2]
서적
An Introduction to Zen Buddhism
Grove Press
[3]
웹사이트
Meaning of Dojo
http://www.kendo-gui[...]
Kendo for Life
2013-11-30
[4]
웹사이트
Martial Arts
http://www.japan-gui[...]
2012-11-13
[5]
웹사이트
The Dojo: A Place of Study and Practice
https://www.ijf.org/[...]
[6]
웹사이트
Daily Life at a Sumō Stable: A Visit to the Takadagawa Stable
https://www.nippon.c[...]
2018-08-23
[7]
서적
Tae Kwon Do: The Ultimate Reference Guide to the World's Most Popular Martial Art
Skyhorse
[8]
웹사이트
What Is A Dojang?
https://static1.squa[...]
[9]
서적
Martial Arts Politics Explained
Amazon Digital Services LLC - Kdp
[10]
웹사이트
The DOJO app
https://www.thedojoa[...]
2024-12-07
[11]
웹사이트
Get Real-time Business Insights with the Dojo Dashboard {{pipe}} Dojo
https://dojo.tech/ap[...]
[12]
서적
サンスクリット版縮訳 法華経 現代語訳
角川ソフィア文庫
[13]
기타
建撕記二巻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4]
서적
剣道を知る事典
東京堂出版
[15]
서적
剣道を知る事典
東京堂出版
[16]
뉴스
カラテが米国でクールに見えるワケ
https://business.nik[...]
日経ビジネス
2019-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