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 요리후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가와 요리후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열한 번째 아들로, 1603년에 태어나 1661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그는 미토 번의 초대 번주였으며, 1630년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신임을 얻어 '부장군'으로 불리기도 했다. 요리후사는 여러 측실을 통해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1625년부터 1630년까지 미토에 부임하여 성하 마을을 정비하는 등 미토 번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모쓰마번주 - 마쓰다이라 사다쓰나
마쓰다이라 사다쓰나는 마쓰다이라 사다카쓰의 아들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명으로 마쓰다이라 씨로 복귀하여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섬기며 여러 지역의 다이묘를 역임했고,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운 인물이다. - 시모쓰마번주 - 마쓰다이라 다다마사 (1598년)
마쓰다이라 다다마사는 1598년 오사카에서 태어나 에도 막부의 총애를 받았으며, 오사카 여름 전투에서 공을 세운 후 에치젠 후쿠이 번의 번주가 되어 번정을 안정시키고 미쿠니 항을 재건했으나, 사망 후 후쿠이 번이 감봉되고 혈통이 단절되었다. - 미토번주 - 도쿠가와 쓰나에다
도쿠가와 쓰나에다는 에도 시대 미토 번의 3대 번주로, 선대 번주 도쿠가와 미쓰쿠니의 양자였으나, 재정난 속에서 개혁을 추진하다 농민 반발로 실패했고, 노가쿠에 심취했으며 쇼군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 미토번주 - 도쿠가와 아키타케
도쿠가와 아키타케는 미토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들로, 파리 만국 박람회에 일본 대표단을 이끌고 유럽을 순방하며 외교 활동을 펼쳤고, 메이지 유신 이후 미토 도쿠가와 가문의 당주가 되었으며, 육군 소위로 복무하다가 은퇴 후 사망했다. - 1603년 출생 - 정명공주
정명공주는 조선 선조와 인목왕후의 딸로, 영창대군과 함께 사랑받았으나 광해군과의 대립으로 유폐되었고, 인조반정 이후 공주로 복권되어 홍주원과 혼인하여 7남 1녀를 낳았으며, 서예에 능하고 종친의 어른으로 존경받았으며, 조선 시대 공주 중 가장 장수한 인물이다. - 1603년 출생 - 예로페이 하바로프
예로페이 하바로프는 17세기 러시아의 탐험가로서 아무르 강 유역을 탐험하고 러시아에 귀속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중국과의 충돌을 겪고 아무르 강 지도를 작성했다.
도쿠가와 요리후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도쿠가와 요리후사 |
로마자 표기 | Tokugawa Yorifusa |
별칭 | 미토 요리후사 |
출생 | 1603년 9월 15일 |
사망 | 1661년 8월 23일 |
개명 | 마쓰다이라 쓰루치요마루 → 마쓰다이라 요리후사 → 도쿠가와 요리후사 |
시호 | 위공 |
묘소 | 瑞龍山墓地 |
관위 | 종사위하 사에몬토쿠 우쇼쇼 정사위하 산기 사곤에곤쇼쇼 사곤에곤추조 여원 종삼위 곤추나곤 정삼위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도쿠가와 히데타다 → 도쿠가와 이에미쓰 → 도쿠가와 이에쓰나 |
번 | 히타치국 시모쓰마 번주 → 히타치 미토 번주 |
씨족 | 도쿠가와 씨 (도쿠가와 종가 → 미토 도쿠가와 가문) |
아버지 | 도쿠가와 이에야스 |
어머니 | 오만 |
준모 | 오카쓰 |
형제 | 마쓰다이라 노부야스 가메히메 도쿠히메 유키 히데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마쓰다이라 다다요시 후리히메 다케다 노부요시 마쓰다이라 다다테루 마쓰다이라 마쓰치요 마쓰다이라 센치요 도쿠가와 요시나오 도쿠가와 요리노부 요리후사 |
아내 | 측실: 다니 히사코 (다카세노 쓰보네), 그 외 |
자녀 | 마쓰다이라 요리시게 가메마루 미쓰쿠니 마쓰다이라 요리모토 마쓰다이라 요리타카 마쓰다이라 요리오 마쓰다이라 요리오 마쓰다이라 요리야스 마쓰다이라 요리이 마쓰다이라 후사토키 자쓰가 시게요시 다이히메, 그 외 |
이미지 | |
![]() | |
기타 정보 |
2. 생애
1603년 후시미성(伏見城)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열한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이에야스의 측실인 요주인(養珠院)이며, 기슈 도쿠가와 가의 시조인 도쿠가와 요리노부와는 동복 형제이다. 어릴 적 이름은 츠루치요마루(鶴千代丸)였다.[3]
1606년 3세의 나이에 히타치 시모쓰마 성(下妻城) 10만 석 영지를 하사받았고,[1] 1609년 형 요리노부가 스루가국 영지를 받으면서 요리노부의 영지였던 미토 성 25만 석 영지를 새로 물려받았다. 그러나 어린 나이였기에 아버지 이에야스의 거성인 슨푸 성에서 유년기를 보냈다.[4] 1610년 이에야스의 명으로 친딸 시히메(市姫)를 잃은 에이쇼인(英勝院)의 양자가 되었다. 1611년 원복(元服)하고, 요리노부와 마찬가지로 세와겐지(清和源氏)의 통자(通字) 중 하나인 "頼(요리)" 자를 사용하여 요리후사(頼房)라는 이름을 지었다.
1614년 오사카 전투 당시에는 슨푸 성을 수비하였고, 1619년 17세가 되어서 처음으로 영지에 부임하였으나, 두 달 만에 에도로 돌아왔다. 이후 1625년부터 1630년까지는 1627년 조정에 사절로 다녀온 것을 제외하고는 매년 미토에 부임하여 미토 성 수리와 성 아랫마을을 조성하고 다양한 법령을 제정하여 정비했다.
1626년 8월 19일 종삼위 곤추나곤(지금의 부총리급)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날 가가번의 마에다 도시쓰네, 사쓰마번의 시마즈 이에히사, 센다이번의 다테 마사무네 또한 곤추나곤에 임명된 것이 문제가 되면서 이후 정삼위 곤추나곤으로 승진하였다. 1636년에는 정식으로 도쿠가와 성씨를 하사받아 사용하였다.[1]
1631년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병들자(다음 해 1월 사망) 이복형이자 쇼군인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친정이 시작되면서 요리후사의 부임은 드물어졌고, 이에미쓰 사망인 1651년까지 17년 동안 부임은 단 3회에 그쳤다. 이것이 전례가 되어 미토 번주는 기본적으로 에도에 상주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1630년 6월, 이에미쓰가 에이쇼인을 통해 "그대의 일은 따로 마음 편히 생각하는 대로 하되, 마음속에 두지 말고 모든 것을 상의하라. 형제는 있으나 쓸모가 없으므로, 나는 그대를 형제와 같이 생각하고 있다. 그대도 그렇게 알아주길 바란다."는 편지를 보냈는데, 이는 요리후사를 신뢰하여 에도에 상주하게 한 것으로 보이며, 미토 가문을 속칭 "부장군"이라고 부르는 근거가 되었다.
1661년, 미토에 부임 중 병이 들어 미토 성에서 사망했다. 향년 59세(만 57세).[3]
2. 1. 출생과 초기 생애
1603년 후시미성(伏見城)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열한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이에야스의 측실인 요주인(養珠院)이다. 어릴 적 이름은 츠루치요마루(鶴千代丸)였다.[3] 기슈 도쿠가와 가의 시조인 도쿠가와 요리노부와는 동복 형제이다.1606년 3세의 나이에 히타치 시모쓰마 성(下妻城) 10만 석 영지를 하사받았다.[1] 1609년 형 요리노부가 스루가국 영지를 받으면서 요리노부의 영지였던 미토 성 25만 석 영지를 새로 물려받았다. 그러나 어린 나이였기에 아버지 이에야스의 거성인 슨푸 성에서 유년기를 보냈다.[4]
1610년 이에야스의 명으로 친딸 시히메(市姫)를 잃은 에이쇼인(英勝院)의 양자가 되었다. 1611년 원복(元服)하고, 요리노부와 마찬가지로 세와겐지(清和源氏)의 통자(通字) 중 하나인 "頼(요리)" 자를 사용하여 요리후사(頼房)라는 이름을 지었다. 1614년 오사카 전투 당시에는 슨푸 성을 수비하였다.
1619년 17세가 되어서 처음으로 영지에 부임하였으나, 두 달 만에 에도로 돌아왔고, 이후 청년 시절 대부분을 에도에서 보냈다.

2. 2. 미토 번주
1606년 3세의 나이에 히타치 시모쓰마 성(下妻城) 10만 석 영지를 하사받았다.[1] 1609년 형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스루가국 영지를 받으면서 요리노부의 영지였던 미토 성 25만 석 영지를 새로 물려받았다.[4]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거성인 슨푸 성에서 유년기를 보낸 요리후사는 관례 이후 분가하여 새 가문을 일으킨 뒤 미토 지방에 입성하였다. 1614년 오사카 전투 당시에는 슨푸 성을 수비하였다.1626년 8월 19일 종삼위 곤추나곤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날 요리후사보다 신분이 낮은 가가번의 마에다 도시쓰네, 사쓰마번의 시마즈 이에히사, 센다이번의 다테 마사무네 또한 곤추나곤에 임명된 것이 문제가 되면서 이후 정삼위 곤추나곤으로 승진하였다. 1636년에는 정식으로 도쿠가와 성씨를 하사받아 사용하였다.[4]
1625년(간에이 2년)부터 1630년(간에이 7년)까지, 간에이 3년의 상락(上洛)을 제외하고 매년 미토에 부임하여 미토 성 수리와 성하 마을 조성, 다양한 법령을 제정하고 성하 정비를 실시했다. 그러나 1631년(간에이 8년)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병들자(다음 해 1월 사망),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친정이 시작되면서 요리후사의 부임은 드물어졌고, 이에미쓰 사망인 1651년(게이안 4년)까지 17년 동안 부임은 단 3회에 그쳤다. 이것이 전례가 되어 미토 번주는 기본적으로 에도에 상주하는 정부(定府)가 되었다.
1661년 (간분 원년), 미토에 부임 중 병이 들어 미토 성에서 사망했다. 향년 59세(만 57세).
2. 3. 이에미쓰와의 관계
이에미쓰는 요리후사의 이복 동생으로, 요리후사는 이에미쓰의 학우적 입장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1630년(寛永 10년) 6월, 이에미쓰는 에이쇼인을 통해 요리후사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냈다. "그대의 일은 따로 마음 편히 생각하는 대로 하되, 마음속에 두지 말고 모든 것을 상의하라. 형제는 있으나 쓸모가 없으므로, 나는 그대를 형제와 같이 생각하고 있다. 그대도 그렇게 알아주길 바란다."[4]당시 이에미쓰의 동생은 두 명이었지만, 이복동생인 도쿠가와 다다나가는 개역되어 다카사키에 유폐 중이었고, 다른 이복동생인 호시나 마사유키는 양자로 고토우번 3만 석을 계승한 지 2년 밖에 되지 않았다. 한편, 도쿠가와 요시나오와 도쿠가와 요리노부는 과거 반역 혐의를 받는 등 이에미쓰와 불화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이에미쓰는 요리후사를 믿을 만한 친척으로 여겨 에도에 상주하게 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미토 가문을 속칭 "부장군"이라고 부르는 근거가 되었다.[4]
2. 4. 만년
1626년 8월 19일 종삼위 곤추나곤(지금의 부총리급)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날 가가번의 마에다 도시쓰네, 사쓰마번의 시마즈 이에히사, 센다이번의 다테 마사무네 또한 곤추나곤에 임명된 것이 문제가 되면서 이후 정삼위의 곤추나곤으로 승진하였다. 1636년에는 정식으로 도쿠가와 성씨를 하사받아 사용하였다.[1]1625년부터 1630년까지는 1627년 조정에 사절로 다녀온 것을 제외하고는 매년 미토에 부임하여 미토성(水戸城)의 수리와 성 아랫마을 조성, 다양한 법령을 제정하고 성 아랫마을을 정비했다. 그러나 1631년 히데타다가 병들자(다음 해 1월 사망), 이에미쓰의 친정이 시작되면서 요리후사의 부임은 드물어졌고, 이에미쓰 사망인 1651년까지 17년 동안 부임은 단 3회에 그쳤다. 이것이 전례가 되어 미토번주는 기본적으로 에도에 상주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1630년 6월, 이에미쓰가 에이쇼인을 통해 "그대의 일은 따로 마음 편히 생각하는 대로 하되, 마음속에 두지 말고 모든 것을 상의하라. 형제는 있으나 쓸모가 없으므로, 나는 그대를 형제와 같이 생각하고 있다. 그대도 그렇게 알아주길 바란다."는 편지를 보냈다(도쿠가와 뮤지엄(徳川ミュージアム) 소장). 당시 이에미쓰의 동생은 두 명이 있었지만, 이복동생인 도쿠가와 다다나가는 영지가 몰수되고 다카사키(高崎)에 유폐 중이었고, 이복동생인 호시나 마사유키는 양자인 고토우(高遠)번 3만 석을 계승한 지 2년 밖에 되지 않았다. 한편, 요시나오와 요리노부에게는 과거 반역의 혐의를 받는 등 불화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이에미쓰는 요리후사를 믿을 만한 친척으로 여겨 에도에 상주하게 한 것 같다. 미토 가문을 속칭 "부장군(副将軍)"이라고 부르는 근거가 되었다.
1661년, 미토에 부임 중 병이 들어 미토성에서 사망했다. 향년 59세(만 57세).[3]
3. 관직 및 위계 이력
시기 | 관직 및 위계 |
---|---|
1606년(게이초 11년) 9월 23일 | 히타치국 시모쓰마 10만 석 영주[1] |
1609년(게이초 14년) 1월 5일 | 종사위하·좌위문독(従四位下・左衛門督)[1] |
1609년(게이초 14년) 12월 22일 | 히타치국 미토 25만 석으로 전봉(転封)[1] |
1611년(게이초 16년) 3월 20일 | 정사위하·좌근위권소장(正四位下・左近衛権少将)[1] |
1611년(게이초 16년) | 원복, 요리후사로 개명[1] |
1617년(겐나 3년) 7월 | 좌근위권중장(左近衛権中将)[1] |
1620년(겐나 6년) 8월 21일 | 참의(参議), 좌근위권중장은 유임[1] |
1622년(겐나 8년) 10월 | 영지 3만 석 증가[1] |
1626년(간에이 3년) 8월 19일 | 종삼위·권중납언(従三位・権中納言)[1] |
1627년(간에이 4년) 1월 7일 | 정삼위(正三位)[1] |
4. 미토 번 부임 이력
도쿠가와 요리후사는 1606년부터 1609년까지 시모쓰마 번(10만 석)에 봉해졌다가 1610년에 미토 번(히타치 국, 35만 석)으로 옮겨 도쿠가와 가문의 미토 분가(고산케의 분가)를 창설했다.[1] 미토 번 부임 이력은 다음과 같다.
횟수 | 날짜(음력) | 내용 |
---|---|---|
1 | 1619년 10월 | 입봉, 같은 해 12월 귀복 |
2 | 1625년 | 입봉, 같은 해 12월 귀복 |
3 | 1627년 7월 | 입봉, 같은 해 12월 귀복 |
4 | 1628년 10월 | 입봉, 같은 해 12월 귀복 |
5 | 1629년 11월 | 입봉, 같은 해 12월 귀복 |
6 | 1630년 10월 | 입봉, 같은 해 12월 귀복 |
7 | 1635년 8월 | 입봉, 같은 해 12월 귀복 |
8 | 1642년 11월 | 입봉, 이듬해 3월 귀복 |
9 | 1648년 10월 | 입봉, 이듬해 4월 귀복 |
10 | 1657년 2월 | 입봉, 이듬해 1월 귀복 |
11 | 1661년 2월 | 입봉, 7월 사망 |
5. 일화
도쿠가와 요리후사 시대, 미토 번 중간인 모헤에가 헌상 연어를 교토로 운반하던 중, 오카베 숙소에서 십수 명의 하타모토들에게 시비가 걸려 길이 막혔다. 모헤에는 "공무 중이므로 길을 비켜달라"고 부탁했지만, 하타모토들은 칼을 빼어 들고 위협하며 길을 내주지 않아 승강이 끝에 난투가 벌어졌다. 미토 번의 중간은 와키자시 외에는 칼을 찰 수 없었지만, 모헤에는 그래도 하타모토 몇 명을 베는 등 분투했다. 그러나 응원하러 달려온 하타모토들에게 창에 찔려 "말에 있는 짐은 미토 님께서 조정에 바치는 헌상품이다. 이 일은 반드시 전해질 것이다"라는 말을 남기고 숨을 거두었다. 요리후사는 모헤에의 충성심과 용기를 칭찬하여 유해를 정중히 장사 지내고 기념비를 세웠으며, 이후 공무에 한해 중간이 태도를 차는 것을 허락했다.[5]
6. 가족 관계
- 아버지: 도쿠가와 이에야스
- 어머니: 가게야마도노 (1580–1653), 후에 요주인
- 양어머니: 오카지노 가타
- 부인, 측실, 자녀:
부인/측실 | 자녀 (이름, 출생-사망) | 비고 |
---|---|---|
구쿠코(다니 히사코) (1604-1662) (다니 시게노리의 딸) | 고마쓰 마쓰다이라가 시조 | |
오카쓰노 카타 (사사키 마사카쓰의 딸) | ||
오야노 카타 | ||
기사 (노자와 쓰네후루의 딸) | 사녀: 오히메 (1627-1656),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양녀, 마에다 미쓰타카의 정실 | |
타마 (코젠지 쵸우젠의 딸, 미키노쓰구의 조카) | 육남: 마쓰다이라 요리토시 (1630-1674), 마쓰다이라 구마가 | |
아이 (코모리 요리후사의 딸) | ||
슌 (계보 불명) | ||
시치 (오이다 요시요시의 딸) | ||
이쿠 (타카노 기요효의 딸) | 쿠마 (1649-1709), 이토 토모쓰구와 결혼 | |
기타 | 양녀: 토라, 다이요 신슈 육녀, 스즈키 시게마사의 부인 후 이혼 | |
- 낙인설: 오쿠보 마사타다
7. 등장 작품
- 대하드라마
- * 덕천가강 (1983년) - 나카무라 진
- * 아오이 덕가와 삼대 (2000년) - 오오사이바 쿠니히코
8. 족보
관계 | 이름 |
---|---|
부친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모친 | 요주인 |
조부 | 마쓰다이라 히로타다 |
조모 | 오다이노가타 |
외조부 | 마사키 요리타다 |
외조모 | 고 호조씨 혹은 다나카씨 |
증조부 | 마쓰다이라 기요야스 |
증조모 | 아오키씨 |
증외조부 | 미즈노 다다마사 |
증외조모 | 게요인 |
외증조부 | 마사키 도키타다 |
외증조모 | 가즈야씨 |
고조부 | 마쓰다이라 노부타다 |
고조모 | 오코치씨 |
고외조부 | 미즈노 기요타다 |
외고조부 | 마사키 미치쓰나 |
외외고조부 | 가즈야 노토노카미 |
참조
[1]
문서
Annals of Mito, 水戸紀年
[2]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7-11-13
[3]
간행물
勝浦市史 通史編
[4]
문서
幕府祚胤伝
[5]
문서
水戸紀年, 水府地理温故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