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토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토성은 일본 이바라키현 미토시에 위치한 평산성으로, 1214년에 건설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도쿠가와 씨의 미토번의 거성이었으며, 1764년 대화재와 메이지 시대의 폐성 과정을 거쳤다. 현재는 성터의 일부가 보존되어 있으며, 오테몬과 니노마루 각루 등이 복원되었다. 혼마루에는 이바라키현립 미토 제일고등학교가, 산노마루에는 미토번의 번교였던 고도칸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토번 - 고이시카와 고라쿠엔
    고이시카와 고라쿠엔은 도쿄도 분쿄구에 있는 일본 정원으로, 1629년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조성하고 도쿠가와 미쓰쿠니 대에 주지유의 조언을 받아 완성되었으며, 중국 명소를 본뜬 회유식 정원으로 일본의 사적 및 특별 명승지로 지정되었다.
  • 이바라키현의 성 - 오타성 (히타치국)
    1109년 후지와라 미치노베가 축성한 오타성은 사타케 가문의 거점으로서 센고쿠 시대에 히타치 지역 장악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 후 사타케 가문이 이봉되면서 폐성되었고 현재는 오타 초등학교 일대에 본곽이 남아있다.
  • 미토시의 건축물 - 이바라키 대학
    이바라키 대학은 1949년에 여러 학교를 통합하여 설립된 일본의 국립 대학으로, 5개의 학부와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미토, 히타치, 아미에 캠퍼스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한다.
  • 미토시의 건축물 - 가이라쿠엔역
    가이라쿠엔역은 이바라키현 미토시에 위치한 조반선 철도역으로, 하행선에만 승강장이 있어 우에노 방면 열차는 정차하지 않고, 특정 기간에만 영업하는 임시역이었으나 2023년부터 상시 승차권 발매가 가능해졌으며, 주변에는 가이라쿠엔 등 관광 명소가 있다.
미토성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미토성
로마자 표기Mito-jō
다른 이름바바 성
스이후 성
위치미토시, 이바라키현, 일본
좌표36°22′30.54″N 140°28′44.17″E
유형일본 성
건축 정보
건설 시작1214년
건설자바바 스케모토
개축사타케 요시노부
도쿠가와 요리후사
구조연곽식 평산성
천수없음 (미존재)
3층 5계층 독립식 망루 (1766년 재건, 비현존)
사용 기간1214년 ~ 1874년
철거1874년
현재 상태유적
소유주불명
역사
주요 통치 가문다이죠 씨(바바 씨)
에도 씨
사타케 씨
도쿠가와 씨
유적 및 문화재 정보
남아있는 구조물야쿠이 문 1동
번교
토루
빈 해자
문화재 지정이바라키현 사적
국가 특별 사적 (번교)
이미지
미토성 해자
야쿠이 문

2. 역사

미토성은 미토시 중심부 미토 역 북쪽 구릉지에 축성된 연곽식 평산성이다. 북쪽의 나카가와 강과 남쪽의 센바 호를 천연 해자로 삼았으며, 석성이 아닌 토성이었고 해자 또한 물이 없는 가라보리였다.

1214년 바바 스케모토에 의해 건설되었으나, 1416년 에도 미치후사에 의해 함락되어 에도씨가 지배하게 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성주가 되면서 미토 도쿠가와가의 거성이 되었다.

1764년 대화재로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고, 메이지 시대(Meiji period)에는 폐성되었다.[2][1] 태평양 전쟁 중에는 미토 공습으로 3층 망루(오산가이 야구라)가 소실되기도 했다.

현재 성터에는 산노마루의 미토 번 번교(藩校)였던 고도칸이 현존해 있으며, 야쿠이 문은 이바라키현립 수도 제1고등학교·부속 중학교(茨城県立水戸第一高等学校・附属中学校)로 이축되어 있다.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 미토시는 오테몬과 니노마루 각루 등을 목조로 복원하는 정비 사업을 진행하여, 2020년에는 오테몬이 목조로 복원되었고, 2021년에는 니노마루 각루 및 니노마루 도벽(土塀)의 일반 공개가 시작되었다.

니노마루 각루(二の丸角櫓)로 이어지는 통로


니노마루 각루(二の丸角櫓)


니노마루(二の丸)의 흙벽


니노마루(二の丸) 전망대에서 본 전망

2. 1. 에도 시대 이전

1190년대에 바바 스케모토가 축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오다이라씨(바바씨)의 거성이 되었다. 초기에는 '바바성'으로 불렸다.[4]

1416년 우에스기 젠슈의 난 때 대연만간은 우에스기 젠슈 측에 가담했지만, 아시카가 막부 측에 선 에도 미치후사에게 패배했다. 이로 인해 에도씨가 새로운 성주가 되었고, 약 170년간 에도씨의 지배가 이어졌다. 이후 에도씨는 종종 주군 가문인 사타케씨와 대립했다.

  • 1427년 대연만간이 가시마사의 청옥제에 봉사하기 위해 상륙국 부중(석강)으로 간 사이를 틈타 에도 미치후사가 미토성을 점령했다.[4]
  • 1510년 통아·통태 부자는 주군 가문과 동격의 지위를 얻었다.
  • 159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오다와라 정벌 때 에도 시게미치는 호조씨 측에 가담했고, 반대로 사타케 요시시게·요시노부 부자는 히데요시 군에 참전했다. 이로 인해 사타케씨는 히데요시로부터 히타치 1국 54만 을 받았다. 요시시게·요시노부는 에도씨가 농성하는 바바성을 공격하여 1594년에 시게미치를 패주시켰다.


요시노부는 이전까지의 거성이었던 오타성에서 미토성을 중요한 거점으로 정하고 이곳으로 본거지를 옮겼다. 요시노부는 입성하자마자 성을 대대적으로 개축하고, 성 이름도 바바성에서 미토성으로 바꾸었다. 그러나 사타케 요시노부는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애매한 태도를 보여 1602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미토에서 추방되어 데와국 아키타로 전봉되었다(구보타번).

2. 2. 에도 시대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다섯째 아들 다케다 노부요시가 15만 석으로 미토에 입성했지만, 이듬해 사망했다. 이후 이에야스의 열 번째 아들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20만 석으로 입성하였다. 1609년에는 이에야스의 열한 번째 아들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25만 석으로 입성하였고, 이후 미토 도쿠가와가의 거성이 되었다.[2]

미토 도쿠가와가는 산킨코타이를 하지 않는 에도 정부(定府) 다이묘였기 때문에, 성내 건축물은 소박했다. 오와리번나고야성, 기슈번와카야마성과 달리 전국 시대의 흔적이 짙은 연곽식 성이었다.

1764년 대화재로 건물 다수가 소실되었다.[2][1] 1841년 9대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고도칸을 개교하였고, 1842년에는 가이라쿠엔을 개원하였다.

2. 3. 막말

막말(幕末)에는 미토번에서 개혁파인 텐구토(天狗党)와 보수파인 쇼세이토(諸生党)가 대립하였다. 1864년(겐지 원년), 텐구토가 쓰쿠바산(筑波山)에서 거병하여 텐구토의 난(天狗党の乱)이 일어났다.[2] 이 대립은 메이지 유신(明治維新)까지 계속되어 1868년(메이지(明治) 원년)에는 미토 성내에서 전투가 벌어져 고도칸에 틀어박힌 쇼세이토를 텐구토가 공격했다. 이때 성내의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다.[2]

2. 4. 근현대

1871년(메이지 4년) 폐번치현으로 미토성은 폐성되었다.[2][1] 이듬해인 1872년(메이지 5년) 7월 19일 도쿄진대 보병 2개 소대가 주둔하여 도쿄진대 제4분영이 되었다.[5] 같은 해 방화 사건이 발생하여 혼마루 모퉁이 망루(隅櫓)가 소실되었다. 다른 번 출신자의 입성에 반발한 범행으로 여겨지며, 용의자로 에하시 아츠시(江橋厚)가 지목되었으나 석방되었고 범인은 잡히지 않았다.[6]

1945년 8월 2일 미토 공습으로 3층 망루가 소실되었다. 1952년 고도칸이 국가 특별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1964년에는 고도칸 정청, 지선당, 정문과 담장이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담장은 부속 지정). 1967년에는 토루와 공호가 이바라키현 지정 문화재(사적)로 지정되었으며, 1983년에는 야쿠이몬이 이바라키현 지정 건조물이 되었다. 2006년 4월 6일 일본 100명성(14번)으로 선정되었다.

2. 4. 1. 목조 복원 사업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 미토시는 오테몬과 니노마루 각루 등을 목조로 복원하는 정비 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을 진행하였다.[7][8][9]

2015년에는 기부를 모으는 "한 장의 기와 성주" 사업이 시작되었다.[13][14] 같은 해 4월에는 미노마루의 "스기야마몬"이 복원되고 주변도 정비되었다.[15] 오테몬 목조 복원을 위한 "한 장의 기와 성주" 사업은 2018년 6월 30일에 종료되었고, 니노마루 각루 지붕에 사용할 기와 기부를 모으는 "한 장의 기와 성주" 모집은 2020년 3월 31일까지 계속되었다.[16]

2020년 2월 4일에는 오테몬 목조 복원식이 거행되었다.[10][11][12] 오테몬 복원 공사 전 발굴 조사에서는 문과 흙담 사이에 기와와 점토를 번갈아 쌓아 올린 네리베이(練塀)가 확인되어 문과 함께 목조로 복원되었다.

2021년 6월 27일부터 목조 복원된 니노마루 각루 및 니노마루 도벽(土塀)의 일반 공개가 시작되었다.

3. 구조

미토시 중심부, 미토역 북쪽에 인접한 구릉에 축성된 연곽식 평산성이다. 북쪽의 나카가와강, 남쪽의 센바호를 천연 해자로 활용했다. 혼마루, 니노마루, 산노마루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일렬 배치되었고, 각각 공하(空堀)로 구획되었다. 성곽은 주로 토루와 공하로 구성된 전국 시대 동국의 전형적인 성이다.

성의 역사는 헤이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처음에는 마바 씨의 거관이 현재의 혼마루 부근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후, 마바 씨를 몰아낸 에도 씨가 미토성을 거성으로 삼았다. 에도 씨 시대에는 니노마루가 축성되었고, 현재의 혼마루가 내성, 니노마루가 중신의 저택 등이 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 공을 세워 영지를 안도받은 사타케 씨는 미토성을 강습하여 에도 씨를 멸망시켰다. 사타케 씨는 거점을 오타성에서 미토성으로 옮겨 히타치국의 주인이었던 사타케씨의 거성이 되었다. 사타케 씨 시대에 산노마루, 니노마루, 혼마루, 아래쪽 마루가 이어지는 현재의 성곽 배치의 기초가 만들어졌다고 생각된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중립을 지킨 사타케 씨는 아키타로 전봉되었고, 도쿠가와 가문의 성이 된 미토성에는 다케다 노부요시가 봉해졌다. 그러나 노부요시는 이듬해 후계자 없이 급사했기 때문에,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봉해져 이후 고산케 (미토 도쿠가와 가)의 거성으로서 메이지 유신을 맞이한다. 같은 고산케인 오와리번나고야성, 기슈번와카야마성과 달리 전국 시대의 흔적이 짙은 연곽식 성이다. 미토 도쿠가와 가는 산킨코타이를 하지 않는 에도 정부(定府) 다이묘였기 때문에, 미토성이 번주의 거성으로 사용되는 일이 적어 성내의 건축물은 소박했다.

에도 시대 고텐은 니노마루에 현재의 이바라키현립 미토 제3고등학교와 이바라키대학 교육학부 부속 소학교·이바라키대학 교육학부 부속 유치원에 걸치는 형태로 존재했다. 산노마루에는 번교 등이 있었고, 혼마루는 주로 창고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산노마루 해자

3. 1. 오산가이야구라 (御三階櫓)

미토시 중심부의 미토 역 북쪽 구릉지에 축성된 미토성은 에도 막부를 꺼려 천수를 건설하지 않았다. 대신 3층 5계의 오산가이야구라를 천수각 대용으로 사용하였다. 초대 오산가이야구라는 "삼층물견(三階物見)"이라 불리는 삼중櫓였으며, 1764년(메이와 원년)에 소실되었다. 당시에는 동판葺(銅板葺)이었으나, 이전에는 초가지붕(茅葺)이었고 매우 간소했다고 한다. 1766년(메이와 3년)에 재건된 2대째 오산가이야구라는 외관 3중, 내부 5층의 층탑형으로, 최상층의 이리모야(入母屋) 이외의 박공(破風)이 없고, 櫓台 없이 지면에 놓인 초석(礎石) 위에 세워졌다. 1층과 2층은 해삼벽(海鼠壁)이었고, 3층, 4층, 5층은 백벽이었다. 쇼와 전전기까지 남아 있었으나, 1945년 (쇼와 20년) 8월 2일 미토 공습으로 소실되었다. 태평양 전쟁일본 본토 공습으로 소실된 천수각에 해당하는 건축물 중 현재 복원되지 않은 것은 미토성뿐이다.

미토성 삼층櫓

4. 현황

산노마루 부근은 성터로 정비되어 있으며, 토루와 공하가 현존하고 있다.[1] 미토번번교였던 고도칸(국가 중요문화재, 특별 사적)이 산노마루에 현존하고 있다.[1] 야쿠이몬(이바라키현 지정 유형 문화재)은 미토 제일고등학교로 이축되었으며, 현존하는 미토성 건물 중 가장 오래되었다.[1]

현재 성터는 문교 지구로, 미토 제일고등학교, 미토 제삼고등학교, 미토시립 미토 제2중학교, 미토시립 산노마루 초등학교, 이바라키대학 부속 초등학교·유치원 등의 학교 시설이 들어서 있다.[1] 메이지 시대에 니노마루와 산노마루 사이 해자는 도로, 혼마루와 니노마루 사이 해자는 철도 부지로 전용되었다.[1]

4. 1. 교통편

조반선 미토역에서 도보 약 8분 거리이다.[1]

4. 2. 공개 상황

혼마루는 이바라키현립 미토 제일고등학교·부속 중학교 부지로 되어 있으며, 견학 목적으로 출입할 수 있다. 구 니노마루는 도로 외 학교 부지 내에는 출입할 수 없다. 구 산노마루는 미토시립 산노마루 초등학교를 제외하고, 고도칸은 유료이며, 그 외 부지는 무료로 출입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Mito Castle http://www.japanese-[...]
[2] 웹사이트 Mito Castle http://www.jcastle.i[...] 2016-03-21
[3] 웹사이트 大手橋 http://jcca.yin.or.j[...] 2020-02-08
[4] 서적 南北朝~室町前期の常陸大掾氏 岩田書院 2019
[5] 웹사이트 東京鎮台第四分営ヲ常陸国元水戸城ニ置ク https://www.digital.[...]
[6] 서적 近代化と人間の諸問題 中央大学出版部 1974
[7] 웹사이트 水戸城大手門、二の丸角櫓、土塀整備基本計画を策定しました http://www.city.mito[...] 2020-02-08
[8] 웹사이트 水戸城大手門、二の丸角櫓、土塀整備基本計画基本計画(PDF) http://www.city.mito[...]
[9] 뉴스 特集 よみがえる水戸城 水戸城大手門・二の丸角櫓を木造復元 https://mito.mykoho.[...] 広報みと 2016-10-01
[10] 뉴스 「水戸城大手門木造復元 完成で記念式」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20-02-05
[11] Youtube マイタウン水戸20200111「水戸城大手門完成」 https://www.youtube.[...]
[12] Youtube 水戸城大手門の木造復元完成を祝う https://www.youtube.[...]
[13] 웹사이트 一枚瓦城主募集 http://www.city.mito[...]
[14] 뉴스 水戸城大手門木造復元へ好発進 「一枚瓦城主」100万円鬼瓦も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5-06-09
[15] 뉴스 「門」再生や見晴らし台 水戸城跡景観整備 http://ibarakinews.j[...] 茨城新聞
[16] 웹사이트 水戸城二の丸角櫓の一枚瓦城主を募集しています https://www.city.mit[...] 水戸市 2019-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