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주열국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주열국지는 춘추전국 시대를 배경으로 한 중국의 역사 소설이다. 원나라 시대에 평화(강담)를 바탕으로 시작되어, 명나라 시대에 여소어에 의해 《열국지전》으로 쓰여졌다. 이후 풍몽룡의 수정과 채원방의 개정을 거쳐 현재의 《동주열국지》가 완성되었다.

주나라가 쇠퇴하고 제후국들이 패권을 다투는 춘추 시대와, 진나라의 통일 과정인 전국 시대를 다룬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진, 초, 제, 오나라 등이 있으며, 춘추 오패와 전국 칠웅의 흥망성쇠를 그린다.

한국에서는 김구용의 번역본, 고우영의 만화, 김영문의 새 완역본 등이 출간되었다. 영어, 태국어, 베트남어 등으로도 번역되었으며, 에릭 호노베와 올리비아 밀번 등의 영어 번역본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봉신연의
    봉신연의는 상나라 주왕의 폭정을 배경으로 주나라 건국 과정을 그린 중국 소설로, 신화적 인물들의 활약과 권선징악의 주제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었다.
  • 연의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 연의 - 수당연의
    수당연의는 수나라 말 당나라 초를 배경으로 수나라 황제들의 흥망성쇠와 당나라 건국 영웅들의 활약상을 담은 역사 소설로, 역사적 사실에 민간 설화와 전설이 가미되어 영상화되기도 했다.
  • 17세기 소설 - 금병매
    금병매는 송나라 시대의 서문경과 그의 처첩들을 통해 인간의 탐욕, 성욕, 권력욕을 적나라하게 묘사한 중국 고전 소설이다.
  • 17세기 소설 - 양가장
    양가장은 중국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요나라와의 전쟁에서 활약한 양씨 가문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널리 인기를 얻었고 현대에도 여러 미디어로 제작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동주열국지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동주열국지》 삽화'
원제東周列國志
원어 코드zh
국가중국
언어중국어
주제고대 중국
장르역사 소설
미디어 유형인쇄물
정보
제목 (한국어)동주열국지
간체东周列国志
병음Dōngzhōu Lièguó Zhì
베트남어Đông Chu liệt quốc chí
간지東周列國志
가나とうしゅうれっこくし
로마자Toshurekkokushi
한글동주열국지
한자東周列國志
저자
저자펑멍룽
참고 문헌Li, Wai-Yee (2010). "Full-Length Vernacular Fiction". In Mair, Victor H. (ed.). The Columbia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 625. ISBN 978-0-231-10984-0.
추가 정보
관련 인물차이위안팡

2. 성립 과정

《동주열국지》는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복합적인 작품이다. 원나라 때의 "열국(춘추전국 시대의 제후국)"을 소재로 한 평화(강담)를 바탕으로, 명나라 가정·융경 연간(1522년 - 1572년)에 여소어가 《열국지전》을 썼다. 명나라 말, 풍몽룡이 《열국지전》에서 사료와 맞지 않는 부분을 수정, 보충하여 《신열국지》로 개칭했다. 청나라 건륭 연간(1736년 - 1795년)에 채원방이 《신열국지》에 다시 수정을 가하여 《동주열국지》로 개칭했다.

2. 1. 원나라 ~ 명나라 초기

원나라 때 성립된 "열국(춘추전국 시대의 제후국)"을 소재로 한 평화(강담)를 바탕으로, 나라 가정·융경 연간(1522년 - 1572년)에 여소어가 《열국지전》을 썼다.

2. 2. 명나라 말기 ~ 청나라 초기

명나라 말, 풍몽룡이 《열국지전》에서 사료와 맞지 않는 부분을 수정, 보충하여 《신열국지》로 개칭했다. 청나라 건륭 연간(1736년 - 1795년)에 채원방이 《신열국지》에 다시 수정을 가하여, 현재 통용되는 《동주열국지》로 개칭했다.

3. 줄거리

《동주열국지》는 서주 말기부터 진나라의 통일까지, 즉 춘추전국시대의 역사를 다룬다. 서주 말 유왕의 무도한 정치로 이민족이 침입하여 서주가 멸망하고, 평왕이 도읍을 낙읍으로 옮기면서 동주가 시작되지만, 주나라의 위신은 실추되어 주변 제후국들이 패권을 다투게 된다.

각 제후국 안에서는 가신들이 세력을 키워 주군을 몰아내고 제후가 되는 경우도 있었는데, 진나라의 유력 가신인 씨, 씨, 씨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연합하여 진나라를 셋으로 나누고, 기원전 403년에는 주 왕실로부터 독립국으로 인정받는다.

이후 진왕 영정은 여섯 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한다.

3. 1. 춘추 시대

서주 말, 유왕의 무도한 정치로 인해 이민족이 침입하여 서주는 멸망한다. 유왕의 아들인 평왕은 도읍을 낙읍으로 옮겨 동주가 시작되지만, 주나라의 위신은 실추되어 주변의 제후국들이 패권을 다투게 된다. 춘추 시대의 시작이다. 패권 다툼의 결과, 제 환공, 송 양공, 진 문공, 진 목공, 초 장왕과 같은 패자들이 차례로 등장한다. 이른바 "춘추 오패"의 탄생이다. 또한, 남방의 에서는 합려, 월에서는 구천과 같은 "오패"에 이은 패왕이 태어난다.

3. 2. 전국 시대

서주 말, 유왕의 무도한 정치로 이민족이 침입하여 서주는 멸망한다. 평왕은 도읍을 낙읍으로 옮겨 동주가 시작되지만, 주나라의 위신은 실추되어 주변의 제후국들이 패권을 다투게 된다. 춘추 시대가 시작되고, 각 제후국 안에서 가신들이 세력을 갖기 시작하여 주군을 쓰러뜨리고 스스로 제후가 되는 자도 나타났다. 그 전형이 진나라의 유력 가신인 씨, 씨, 씨의 삼씨이다. 이 삼씨가 연합하여 진을 삼분하고, 기원전 403년에는 각각 독립국으로 주 왕실로부터 인정을 받는다. 이로써 완전한 역성혁명의 세계, 즉 전국 시대가 시작된다.

이렇게 재편성된 제후국들 중 , , , 초, 연, 제, 진이 "전국의 칠웅"으로 불린다. 이 칠웅 중 처음에는 위, 조, 제가 우세했지만, 점차 쇠퇴한다. 한편, 중원에서 멀리 서쪽 변방에 있던 진나라는 상앙의 개혁 등을 통해 부국강병 정책을 추진하여 급속히 세력을 늘려간다. 다른 여섯 나라는 이를 위협으로 느껴 연합하여 진나라에 맞서려 하지만, 각국의 이해관계가 충돌하여 협력 체제가 붕괴된다. 진나라는 이 기회를 틈타 한 나라씩 침략하여, 진왕 영정(후의 진 시황제) 때 여섯 나라를 멸망시키고 중국 전토를 통일한다.

4. 주요 등장인물

나라주요 등장인물
진나라진헌공, 진목공, 진문공, 중이
초나라초장왕, 초성왕
오나라합려
월나라구천


5. 한국어 번역 및 출판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종류의 《동주열국지》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5. 1. 주요 번역본

대한민국에서는 김구용의 '동주 열국지'와 고우영이 그린 '만화 열국지'가 유명하다. 2015년 김영문이 기존 '열국지' 번역본의 오류를 바로잡고, 삽화를 넣은 새 완역본을 출간했다.

6. 다른 언어 번역

한국어, 태국어, 베트남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한국어 번역본은 2003년에 출간되었다.[2]

6. 1. 영어 번역

에릭 호노베는 처음 10개의 장을 영어로 번역했다([https://cup.cuhk.edu.hk/index.php?route=product/product&path=64&product_id=4242 ''정나라 장공의 부상''], ISBN 978-962-7255-48-2). 일부 장은 ''렌디션스''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https://www.cuhk.edu.hk/rct/pdf/e_outputs/b83/v83p013.pdf 제1장] 및 [http://www.cuhk.edu.hk/rct/pdf/e_outputs/b85/v85p007.pdf 제5장].[2]

올리비아 밀번은 원본 108개 장 중 17개를 영어로 번역했다. 이 번역은 2022년에 소설의 요약본으로 출판되었다(''위험에 처한 왕국: 고대 중국의 전쟁 소설,'' ISBN 9780520380516).[5] 2023년에는 완전 번역본이 4권으로 출판되었다.[6]

6. 2. 태국어 번역

이 소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는데, 그중 태국어 번역본은 라마 2세 국왕의 명을 받아 1819년에 고위 공무원 위원회에 의해 이루어졌다.[3]

6. 3. 베트남어 번역

이 소설은 한국어, 태국어, 베트남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1933년 응우옌도묵(Nguyễn Đỗ Mục)이 베트남어 번역본을 만들었다.[4]

참조

[1] 서적 "Full-Length Vernacular Fiction". In Mair, Victor H. (ed.). The Columbia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2] 웹사이트 최이산씨, 원전 "열국지" 완역 http://www.kihoilbo.[...] kihoilbo 2003-11-18
[3] 간행물 War Strategics in Liadkok http://e-journal.sru[...]
[4] 웹사이트 Nguyễn Đỗ Mục http://daitudien.net[...] daitudien n.d.
[5] 웹사이트 Two New Translations of Feng Menglong's Classic "Chronicles" https://asianreviewo[...] 2022-04-23
[6] 웹사이트 New Book Announcement: "Kingdoms in Peril, Volumes 1-4" by Feng Menglong, translated by Olivia Milburn https://asianreviewo[...] 2024-04-18
[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