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가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가장은 중국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형성된 전설로, 오대십국 시대와 송나라 시대를 거치며 요나라와의 전쟁에서 활약한 양씨 가문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양업은 북한의 장수였으나 송나라에 귀순하여 요나라와의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그의 아들 양연소와 손자 양문광은 국경 방어에 헌신했다. 양가장의 이야기는 희곡, 소설, 경극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특히 명나라 시대에 소설로 널리 퍼져 인기를 얻었다. 현대에는 영화, 드라마, 만화 등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어 중국뿐 아니라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대 십국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황후화
황후화는 장이머우 감독의 2006년 영화로, 오대 십국 시대 후당을 배경으로 황궁 내 권력, 욕망, 사랑, 복수가 얽힌 황제와 황후, 왕자들의 비극을 그린 작품이다. - 중국의 희곡 - 찻집 (희곡)
찻집은 라오 서가 중국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격변기를 찻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묘사하며 사회의 부조리와 시대상을 반영하는 희곡으로, 중국 현대 희곡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희곡 - 뇌우 (희곡)
《뇌우》는 1930년대 중국 사회를 배경으로 억압적인 가부장제, 신분 제도, 개인의 욕망과 자유의 갈등을 다루는 차오위의 희곡으로, 근친상간, 계급 갈등, 여성 억압 등의 주제를 통해 중국 현대 연극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17세기 소설 - 금병매
금병매는 송나라 시대의 서문경과 그의 처첩들을 통해 인간의 탐욕, 성욕, 권력욕을 적나라하게 묘사한 중국 고전 소설이다. - 17세기 소설 - 수당연의
수당연의는 수나라 말 당나라 초를 배경으로 수나라 황제들의 흥망성쇠와 당나라 건국 영웅들의 활약상을 담은 역사 소설로, 역사적 사실에 민간 설화와 전설이 가미되어 영상화되기도 했다.
양가장 | |
---|---|
양씨 가문 | |
![]() | |
다른 이름 | 양가장(楊家將) |
개요 | |
유형 | 역사 소설 모음 |
시기 | 11세기경 |
배경 | 북송 시대 |
위치 | 중국 |
창작 정보 | |
작가 | 불명 |
언어 | 중국어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 양업 양연랑 양종보 모계영 |
관련 작품 | |
소설 | 《양가장연의(楊家將演義)》 |
2. 역사적 배경
중국 허베이성 등 화북 지역에는 양씨 일족에 얽힌 전설이 민간 설화로 다수 전해지고 있다. 북한이 항복하고 북송에 귀순한 양업은 요나라와의 전쟁에서 활약하다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명장으로, 사후 양령공으로 불렸다. 그의 생애는 "양씨 일족의 이야기"로 확대되어 『양가장연의』라는 강사 소설로까지 성장했다. 양업의 명성과 그의 죽음에 대한 동정이 이러한 이야기의 토대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2. 1. 오대십국 시대와 북송의 건국
907년, 당나라가 멸망하면서 중국사는 오대 십국 시대라는 혼란기로 접어들었다. 이 시기 여러 군벌이 황제를 자처하며 다투었고, 북방에서는 거란족이 요나라를 건국하여 세력을 확장했다.[3] 이들은 주로 유목 민족으로, 남쪽의 한족과 한국인을 약탈하여 재물을 얻었다.[3]중원 지역은 만리장성을 따라 요충지를 설치하여 거란족의 침략에 대비했다. 그러나 연운 16주 지역은 936년 장군 석경당이 후당과의 전쟁에서 군사적 지원을 받는 대가로 요나라에 넘겨졌다. 이로 인해 거란족은 중원으로 쉽게 진입하여, 10년 후 후진을 멸망시켰다.
거란족은 중원을 점령하지 못했지만, 이는 북쪽의 위험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960년 송나라가 건국되었고, 초기에는 요나라를 달래 남중국 국가들을 상대하려 했지만, 연운 16주 회복을 목표로 삼았다.
2. 2. 양업과 북한(北漢)
양업은 원래 오대십국 시대 북한의 장수였다. 그는 뛰어난 용맹함으로 인해 "무적(無敵)"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북한 군주 유계원의 신임을 받았다.[4] 979년, 북송의 태종이 북한을 공격하여 멸망시키자, 양업은 송나라에 귀순하여 북방 방어의 중책을 맡게 되었다.2. 3. 요나라와의 전쟁
양업은 원래 북한의 명장이었으나, 송나라에 항복하여 요나라와의 전쟁에서 많은 공을 세웠다.[3] 특히 986년 안문관 전투에서 요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여 명성을 떨쳤다. 그러나 같은 해 진가곡 전투에서 송나라 주력 부대가 요나라 군대에 패배하고, 양업은 지원군을 받지 못한 채 고립되었다. 결국 양업은 요나라 군대에 포위되어 사로잡혔고, 굶어 죽었다.양업의 활약과 비극적인 최후는 "양씨 일족의 이야기"로 확대되어 『양가장연의』라는 강사 소설로 발전했다. 양업의 명성과 그의 죽음에 대한 동정이 이러한 이야기의 토대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2. 4. 양연소와 양문광
양업의 아들 양연소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요나라와의 전쟁에서 활약하였다. 그는 20년 이상 송나라의 북방 국경을 방어하며 거란족에게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4] 양연소의 아들 양문광 역시 뛰어난 장수로, 적청을 따라 농지고에 대한 남벌에 참여했으며, 서하로부터 송나라의 서쪽 국경을 방어했다.[4]3. 문학적 발전
양씨 가문에 대한 전설은 매우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다. 1051년, 오양수는 양문광이 군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전, 양씨 가문의 친척 묘비에 양업과 양연소를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5]
父子皆名將|아버지와 아들 모두 유명한 장군이었으며, 그들의 전술적 지식과 용맹함은 비할 데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까지 제국 전역의 신사들과 심지어 시골 아이들과 시골뜨기들까지 모두 그들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중국어
남송(1127-1279) 시대, 임안(현대 항저우, 저장성)의 이야기꾼들은 양씨 가문에 대한 이야기를 퍼뜨렸는데, 그중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6]
- "양령공" (楊令公)
- "다섯째 아들이 승려가 되다" (五郎為僧)
금나라의 희곡 목록에도 양가 장의 한 에피소드를 다룬 《대왕 추밀 찬》(打王樞密爨)이 있었다.[7]
원나라 시대에는 양가 장에 관한 잡극 형태의 연극이 등장했다. 명나라 시대에 편집되어 진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많은 대본이 완전하게 보존되었다.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호천탑 맹량 도골》(昊天塔孟良盜骨; "호천탑에서 맹량이 유골을 훔치다")
- 《팔대왕 개조 구충신》(八大王開詔救忠臣; "여덟 번째 대왕이 조서를 열어 충신을 구하다")
- 《사금오 사탁 청풍부》(謝金吾詐拆清風府; "사금오가 청풍부를 속여 철거하다")
- 《양육랑 조병 파천진》(楊六郎調兵破天陣; "양씨 가문의 여섯 번째 아들이 군대를 정렬하여 천군을 격파하다")
- 《초광찬 활나 소천우》(焦光贊活拿蕭天佑; "초광찬이 소천우를 생포하다")
- 《황미옹 사복 상수》(黃眉翁賜福上壽; "황미옹이 복을 내려 장수를 기원하다")
명나라 (1368–1644) 시대에는 양가(楊家)에 관한 여러 소설들이 나타났다. 만력제 통치 기간 (1572–1620) 동안 등장한 두 편의 소설은 다음과 같다.
- 兩宋南北志傳|양송남북지전중국어: 가정제 통치 기간 (1521–1567)에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저자는 서점 주인 슝다무(熊大木)일 가능성이 높다.
- 楊家府世代忠勇通俗演義|양가부세대충용통속연의중국어: 16세기 초 텍스트를 수정했을 가능성이 있으며,[8] 저자는 친화이 모커(秦淮墨客)로, 지전룬(紀振倫)의 필명으로 여겨진다.
이 소설들은 양가장 전설의 주요 자료가 되었다. 청나라 (1644–1911) 시대에는 이전 소설의 수정본, 속편, 특정 이야기를 다시 쓴 소설 등 더 많은 소설들이 등장했다.[9] 조광윤이나 적인을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들도 양가(楊家) 인물들을 다루었다.
청나라 가경제는 양가 장군들에 관한 240개의 곤극 희곡을 담은 ''세대를 깨우는 노래책''(昭代簫韶) 편찬을 명령했다. 1813년에 출판된 이 책은 왕정장(王廷章)과 판원셴(范聞賢)의 작품으로 여겨진다.[10] 너무 길어서 단 세 번만 공연되었고,[10] 서태후는 경극 버전으로 수정을 명령했지만 의화단 운동으로 중단되었다.[10]
자금성에서 상연된 희곡 외에도, ''진강'', ''위극'', ''평극'' 등 지역 중국 오페라 형식들이 양가 장군들에 관한 자체적인 이야기를 발전시켰다.[10] 20세기에는 ''평서''(스토리텔링)를 통해 중국에서 크게 대중화되었다.[10]
허베이성 등 화북 지역에는 양씨 일족 전설이 민간 설화로 다수 전해지며, 양업의 비극적인 최후에 대한 동정이 "양씨 일족의 이야기"를 『양가장연의』라는 강사 소설로까지 성장시켰다.
3. 1. 초기 전설의 형성 (11-13세기)
양씨 가문에 대한 이야기는 11세기부터 구전되기 시작했다. 1051년, 학자 오양수는 양문광의 친척 묘비에 양업과 양연소의 용맹함을 칭송하는 글을 새겼다.[5]父子皆名將|아버지와 아들 모두 유명한 장군이었으며, 그들의 전술적 지식과 용맹함은 비할 데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까지 제국 전역의 신사들과 심지어 시골 아이들과 시골뜨기들까지 모두 그들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중국어
남송(1127-1279) 시대, 송나라가 수도를 임안(현재의 항저우, 저장성)으로 옮겨야 했을 때, 임안의 이야기꾼들이 양씨 가문에 대한 이야기를 널리 퍼뜨렸다. 여진족이 통치하는 금나라에 의해 북쪽 영토가 정복되었기 때문이다. 이야기꾼들이 전하는 이야기 목록 중에는 다음과 같은 양씨 가문을 언급하는 제목들이 있었다.[6]
- "양령공" (楊令公)
- "다섯째 아들이 승려가 되다" (五郎為僧)
허베이성 등 화북 지역에는 양씨 일족에 얽힌 전설이 민간 설화로 다수 전해지고 있다. 북한이 항복하고 북송에 귀순하여, 사후 양령공으로 불린 유계업(劉継業)을 개명한 양업이 요나라와의 전쟁에서 활약하다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명장의 생애는, "양씨 일족의 이야기"로 확대되어 『양가장연의』라 불리는 강사 소설로까지 성장했다. 양업의 명장으로서의 인기와 그 비극적인 최후에 대한 동정이 그 토대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3. 2. 원/명나라 시대의 희곡 (14-15세기)
원나라 시대에는 양가장을 소재로 한 잡극 형태의 연극이 등장했다. 많은 대본이 완전하게 보존되었으며, 거의 모두 명나라 시대에 편집되었기 때문에 그 진정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7]- 《호천탑 맹량 도골》(昊天塔孟良盜骨; "호천탑에서 맹량이 유골을 훔치다")
- 《팔대왕 개조 구충신》(八大王開詔救忠臣; "여덟 번째 대왕이 조서를 열어 충신을 구하다")
- 《사금오 사탁 청풍부》(謝金吾詐拆清風府; "사금오가 청풍부를 속여 철거하다")
- 《양육랑 조병 파천진》(楊六郎調兵破天陣; "양씨 가문의 여섯 번째 아들이 군대를 정렬하여 천군을 격파하다")
- 《초광찬 활나 소천우》(焦光贊活拿蕭天佑; "초광찬이 소천우를 생포하다")
- 《황미옹 사복 상수》(黃眉翁賜福上壽; "황미옹이 복을 내려 장수를 기원하다")
3. 3. 명/청나라 시대의 소설 (16-19세기)
명나라 (1368–1644) 시대에 양가(楊家)에 관한 여러 소설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두 편의 소설은 모두 만력제의 통치 기간 (1572–1620) 동안 등장했다.- 兩宋南北志傳|양송남북지전중국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은 1593년 판이지만, 가정제 통치 기간 (1521–1567)에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는 서점 주인 슝다무(熊大木)일 가능성이 높다.
- 楊家府世代忠勇通俗演義|양가부세대충용통속연의중국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은 1606년 판이지만, 16세기 초 텍스트를 약간 수정한 판본일 가능성이 높다.[8] 저자는 찐링(金陵; 현대 난징, 장쑤성)의 서점 서기로 추정되는 친화이 모커(秦淮墨客; "친화이 묵객")로, 지전룬(紀振倫)의 필명으로 여겨진다.
이 소설들은 전설의 주요 자료가 되었다. 청나라 (1644–1911) 시대에는 이전 소설의 수정본, 속편, 특정 이야기를 다시 쓴 소설 등 더 많은 소설들이 등장했다.[9] 조광윤 (927–976) 또는 적인 (1008–1057)을 주인공으로 하는 등 유사한 설정의 다른 소설들도 양가(楊家)의 등장인물들을 다루었다.
『양가장연의』의 현존하는 간본으로는 『북송사전』과 『양가부전』 두 계통이 있다. 널리 인기를 얻은 것은 『북송사전』이다.
『북송사전』은 『남송사전』과 합쳐져 『남북양송사전』이라고 불린다. 명대 간본 중 고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것은 다음과 같다.[16]
- 진계유 찬, 『신각전상안감연의남송지전십권 북송지전십권 ?남북송지전』[17]
- 웅대목(유우다이보쿠) 찬, 『신간출상보정참채사감남북송사전통속연의제평』십권 50회+십권 50회 (만력 21년, 1592년)[18]
『양가부전』은 일본에는 명대 간본이 없지만, 중국 국가도서관, 베이징 대학 도서관, 타이완 중앙 도서관, 미국 국회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저자는 불명이지만, 문인 기진륜의 교열로 인해 문사(文辭)는 『북송사전』보다 약간 더 우아하다는 평을 받는다.[19]
『양가부전』에는 양문광의 남방 정벌 에피소드가 있지만, 『북송사전』에는 없어 어느 쪽이 먼저였는지에 대한 논의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21]
요나라와 전쟁 후 수십 년이 지나 양가군의 당주가 된 양종보는 백발의 노인이 되었다. 남만에서 농지고가 반란을 일으키자 적인이 파견되지만 패한다. 이에 송나라는 양종보와 그의 아들 '''양문광'''을 남만 정벌에 파견한다. 양가군은 고전하지만, 포증의 진언으로 양가의 여장군들이 원군으로 오고, 문광의 누이 '''선낭'''의 선술 활약 등으로 남만 평정에 성공한다.
실제 역사에서는 농지고의 반란은 적인이 평정했다. 『양가장연의』에서 적인은 훗날 양가군에 적대적인 역할을 맡는다.
인종이 동악에 보낸 사자가 여산적 '''두월영'''에게 습격당해 공물을 빼앗기는 사건이 발생한다. 양가군이 파견되지만, 양문광은 두월영의 의붓 여동생 '''두금고'''와 싸워 패하고, "나와 결혼하지 않으면 죽이겠다"는 협박에 결혼을 승낙한다. 문광은 두금고보다 10배 강하다는 두월영과도 결혼하게 된다. 산적이 공물을 돌려주어 일단락되면서 문광은 공물을 납부하러 동악으로 향한다.
이후 문광은 연가장에서 '''포비운'''과 그의 아버지에게 방해받고, 무술로는 이겼지만 도망가는 포비운을 쫓다 낙마하여 포로가 된다. 문광은 포비운과도 결혼하게 된다.
귀환 후, 문광은 아버지 종보의 사망으로 양가군의 당주가 된다. 문광은 인종의 딸과 약혼했으나, "'''어쩌다 세 명이나 되는 딸과 결혼하게 된 거냐'''"는 문제가 발생하지만, '''위화''' 등이 사정을 설명하여 수습한다. 그러나 적청 등의 잦은 참언에 염증을 느낀 문광은 친구 위화와 함께 학으로 변신하여 궁정을 떠난다.
3. 4. 청나라 시대의 경극 (19세기)
가경제는 1796년부터 1820년까지 재위하면서 양가 장군들에 관한 240개의 곤극 희곡을 담은 ''세대를 깨우는 노래책''(昭代簫韶) 편찬을 명령했다. 이 책은 1813년에 출판되었으며, 왕정장(王廷章)과 판원셴(范聞賢)의 작품으로 여겨진다.[10]이 오페라 시리즈는 분량이 너무 길어서 여러 해 동안 단 세 번만 공연되었다.[10] 이후 서태후는 이 작품을 경극 버전으로 수정하라고 명령했는데, 이는 1898년부터 1900년 의화단 운동과 그에 따른 외국 침략으로 중단되기 전까지 진행된 거대한 프로젝트였다.[10]
4. 주요 등장인물
양가장(楊家將)의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양씨 가문''': 양업과 그의 아내 사새화, 그들의 일곱 아들과 며느리, 손자, 손녀 등. 북한 출신으로 송나라에 귀순하여 충성을 다하지만, 간신 반인미의 모략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 '''송나라''': 송 태종을 비롯한 송나라 황실과 조덕방, 구준 등 양가장을 돕는 인물들. 반인미와 같이 양가장을 모함하는 인물도 있다.
- '''요나라''': 소황후를 비롯한 요나라 황실과 장수들. 양가장의 숙적으로, 송나라와 끊임없이 대립한다.
- '''기타''': 서하의 왕 이고재와 같이 송나라를 위협하는 외부 세력과, 양가군에서 활약하는 12명의 과부 등.
4. 1. 양씨 가문
양업은 양가장의 주인공이며 북한 출신의 송나라 장수이다. 송나라의 명장이자 충신으로 활약하지만 조정의 중신인 반인미의 모략으로 인해 이릉비(李陵碑)에 머리를 부딪혀 자결한다.[4]원나라 역사가가 《송사》에서 양업에 대해 평하기를, "양예는 병사들의 존경을 진정으로 받았다. 그의 휘하 병사들은 그를 떠나는 것을 참지 못했고, 차라리 그와 함께 싸우다 죽는 것을 택했다. 충성과 정의의 정신이 매우 뚜렷하다."라고 하였다.[4]
양업은 북한의 장군으로, 뛰어난 용맹함으로 인해 "무적"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북한의 군주 유계원이 항복한 후 송나라를 섬겼다. 송 태종은 양업을 매우 신뢰하여 송나라의 북쪽 국경을 거란족이 통치하는 요나라로부터 방어하도록 위임했으며, 양업은 안문관 전투에서 승리하여 적에게 공포를 심어주는 동시에 일부 송나라 관리들의 질투를 받았다.
986년, 요나라 군대에 대한 북벌 작전 중, 반미 장군이 지휘하는 송나라 군대는 주력 적군에게 공격을 받았다. 반미 등은 양업에게 훨씬 더 큰 적과 싸우도록 강요했고, 양업은 진가곡(陳家谷)에서 요나라 군대와 격렬한 전투를 벌였지만 증원군은 도착하지 않았다. 훨씬 더 큰 군대에 포위된 양업은 요나라 군대에게 사로잡혀 굶어 죽었다. 양업의 일곱 아들 중 한 명이 사망했다. 반미는 나중에 양업의 죽음에 대한 책임으로 송 태종에 의해 좌천되었다.
양업의 가족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설명 |
---|---|
사새화 | 양업의 부인 |
양연평 | 양업의 장남 |
양연정 | 양업의 차남 |
양연휘 | 양업의 3남 |
양연랑 | 양업의 4남 |
양연덕 | 양업의 5남 |
양연소 | 양업의 6남, 양업의 아들들 중 유일한 실제 역사적 인물 |
양연사 | 양업의 7남 |
양연순 | 양업의 8남 |
양종보 | 양연소의 아들 |
양문광 | 양종보의 아들 |
양업의 일곱 아들 중 가장 뛰어난 인물은 양연소로, 20년 이상 요나라 군대로부터 송나라의 북쪽 국경을 계속 방어했으며 거란족은 그를 두려워했다. 양연소의 아들 양문광 역시 중요한 장군이 되어 적청을 따라 농지고에 대한 남벌에 참여했다. 그는 또한 서하로부터 송나라의 서쪽 국경을 방어했다.
4. 2. 송나라
태종은 송나라의 제2대 황제였다.[1] 조덕방은 태종의 아우로 팔현왕(八賢王)이라 불렸으며, 양씨 가문의 조력자였다. 그는 실제 태종의 아우인 조덕방과 태종의 8남인 조원엄을 합친 인물이었다.[2] 반미의 이름을 바꾼 반인미는 악역으로, 실제 역사와는 달리 간신으로 등장했다.[3] 구준은 훗날 재상이 되는 인물로, 반인미를 심판하는 역할을 했다.송나라가 약한 북한 왕국을 침략했을 때, 송 태조의 군대는 북한 장군 양업에게 기습당해 큰 패배를 겪었다.[5] 몇 년 후, 태조의 후계자인 송 태종이 다시 침략을 시도했고, 이번에도 양업과 그의 가족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저지당했다.[5]
양업이 항복한 후, 태종은 그의 가족에게 "천파부"라는 저택을 하사했다.[6] 양업은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송나라 북쪽 국경에서 요나라 군대를 격파했다.[6] 질투심 많은 반인미는 황제에게 자신의 아들 반보를 선봉으로 임명할 것을 제안했지만, 다른 신하들은 반보의 경험 부족을 이유로 반대했다.[6] 반인미는 무술 대회를 제안했고, 황제는 동의했다.[6] 양업은 아들들을 집에 가두었지만, 일곱째 아들이 몰래 빠져나와 대회에 참가해 반보를 죽였다.[6]
반인미는 요나라 군대의 도움을 요청하여 양업과 그의 가족, 태종을 유주로 유인해 포위했다.[7] 양업의 첫째 아들은 황제처럼 옷을 입고 요나라 왕자를 만나 평화 회담을 제안했지만, 이는 함정이었다.[7] 양업과 그의 부하들이 쌍늑산으로 후퇴했을 때, 그의 두 막내 아들만 남았다.[7] 양업은 일곱째 아들에게 반인미에게 지원군을 요청하도록 했지만, 일곱째 아들은 반인미에게 죽임을 당했다.[7]
양업은 이릉의 이름이 새겨진 돌판에 머리를 부딪혀 자살했고, 여섯째 아들은 송나라 영토로 탈출했다.[8] 태종은 여섯째 아들로부터 반인미의 범죄에 대한 보고를 받았고, 조덕방의 도움으로 사건을 조사했다.[9] 구준이 반인미에게 여러 범죄를 선고하고 처형했다.[9]
아버지의 뒤를 이어 송나라 군대의 새로운 사령관이 된 양연소는 새로운 황제 아래서 요나라 군대와 계속 싸웠다.[10] 송 진종은 양씨 가족에게 돌 비석을 세워 명예를 기렸다.[10]
4. 3. 요나라
요나라는 907년 거란족이 세운 국가로, 947년에 공식적으로 국호를 요나라로 칭했다. 거란족은 유목 민족으로, 남쪽의 한족과 한국인을 약탈하여 재물을 얻는 일이 잦았다.[3]중원 지역은 옛 만리장성을 따라 전략적 요충지를 설치하여 거란족의 침략에 대비했다. 그러나 936년, 연운 16주 지역을 후당과의 전쟁에서 군사적 지원을 받는 대가로 요나라에 넘겨주면서 상황이 악화되었다. 요나라는 이 지역을 발판 삼아 후진을 멸망시키는 등 중원으로 쉽게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3]
송나라 건국 이후에도 요나라와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송 태조와 송 태종은 연운 16주를 회복하려 했으나, 양업과 그의 가족이 이끄는 군대에 번번이 막혔다. 이후 반인미의 모략으로 양업이 죽고, 양연소가 송나라 군대의 새로운 사령관이 되어 요나라와 계속 싸웠다.

요나라 관련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소황후(蕭皇后): 요나라의 황후.
- 명희공주(明姬公主): 요나라의 공주. 은경공주(銀鏡公主)라고도 불린다. 양씨 가문 4남인 양연랑을 사모하게 된다.
- 소은종: 요(遼)의 황태후. 양가의 숙적.
- 철경공주: 요(遼)의 제1공주. 양연랑의 부마.
- 최운공주: 요(遼)의 제2공주. 양연순의 부마.
- 천경왕 야율상: 소은종의 의붓 동생.
- 소천우: 요(遼)의 장군.
- 소천좌: 요(遼)의 장군.
- 목단: 양연휘와 철경공주의 아들. 사새화와 소은종의 손자.
송나라와 요나라의 전쟁에서 양가장의 활약은 대단했지만, 전연의 맹과 같은 굴욕적인 강화 조건을 받아들여야 했다.
5. 현대의 계승
양가 이야기는 민담, 연극, 오페라, 소설, 만화,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등 다양한 형태로 전해져 왔다. 작곡가 두밍신은 경극 《양문녀장》(楊門女將)을 작곡했는데, 이는 북송나라와 서하 왕국 간의 전쟁을 배경으로 한다. 2000년에는 중국 필하모닉 오케스트라(CPO)를 위한 교향곡 버전도 제작되었다.[13]
다음은 양가장을 소재로 한 영상 작품 목록이다.
연도 | 제목 | 제작 및 국가 | 출연 |
---|---|---|---|
1972 | 14인의 아마존 十四女英豪 | 쇼 브라더스 스튜디오 (홍콩) | 이자 링포, 리사 루, 릴리 호, 웨화, 서패패, 친페이, 톈 펑, 총화, 로 리에, 폴 춘 |
1983 | 팔괘곤법 五郎八卦棍 | 쇼 브라더스 스튜디오 (홍콩) | 고든 류, 알렉산더 푸, 카라 후, 릴리 리, 고페이, 람학명, 왕 롱웨이, 양징징 |
1984 | 양가장열장 楊家將 | 허난 공연예술 외 (중국 본토/홍콩) | 녜젠구어, 양서우린, 왕젠, 스창진, 쉬칭샹, 차오쉐즈, 딩궁허, 마린 |
1985 | 팔괘곤법 如來八卦棍 | Hop Chung Films 외 (홍콩/중국 본토) | 양소룡, 관종샹, 왕초셧, 관 하이산, 감산, 왕링첸, 찬딕학 |
2006 | 혈전삼차구 血濺三岔口 | CCTV-6 외 (중국 본토) | 이전, 우웨, 자오훙페이, 자오량, 스다이메이, 루안젠, 후보, 고우즈 |
2011 | 양문녀장지군령여산 楊門女將之軍令如山 | 상해영화집단 외 (중국 본토) | 장백지, 임현제, 정패패, 유효경, 주혜민, 샤오밍위, 저우샤오페이, 오시마 유카리 |
2013 | 구세양가장 忠烈楊家將 | 페가수스 모션 픽쳐스 외 (홍콩/중국 본토) | 정소추, 정이건, 위파, 주유민, 리신, 임봉, 오존, 부신보, 소병, 서범 |
2019 | 송요대전 大破天门阵 | 상하이 렌지아 문화 미디어 외 (중국 본토) | 사금고와, 왕진신, 메이 리얼, 푸허 |
colspan="4" | | |||
뮤지컬 영화 | |||
1956 | 목계영 삼금 삼종 양종보 | 홍콩 | 광동 오페라 |
1956 | 양팔매 초친 | 홍콩 | 광동 오페라 |
1957 | 목계영 양종보 대파 천문진 | 홍콩 | 광동 오페라 |
1958 | 목계영 대전 홍주 | 중국 | 경극 |
1958 | 목계영 괘수 | 중국 | 위극 |
1959 | 사랑탐모 | 홍콩 | 광동 오페라 |
1959 | 금도 | 홍콩 | 광동 오페라 |
1960 | 양문녀장 | 중국 | 경극 |
1961 | 무적 양가장 | 홍콩 | 광동 오페라 |
1962 | 목계영 초친 | 홍콩 | 조주 오페라 |
1984 | 사새화 | 중국 | 상당노자(上黨落子) 오페라 |
colspan="4" | | |||
뮤지컬 텔레비전 시리즈 | |||
1982 | 양가장 | CTS (타이완) | 타이완 오페라, 양리화 주연 |
1985 | 양가장 | CTS (타이완) | 타이완 오페라, 예칭 주연 |
2005 | 사새화 | CCTV-11 (중국) | 경극 |
colspan="4" | | |||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시리즈 | |||
2011 -2013 | 양가장 | CCTV-14 (중국) | 세 시즌 방영 |
1990년대에는 메가 드라이브용 벨트 스크롤 액션 게임 ''양가장''(楊家將)이 출시되기도 했다.[14]
일본에서는 오카자키 유미와 마츠우라 토모코[22]가 『완역 양가장연의』를 번역하여 출간했다.[23] 호쿠토 켄조는 소설 『양가장』을 집필했다. 최근에는 만화 『양가장기담』(2022년-2024년, 작가: 아리타니 미노루(만화) 이노우에 미야(원작))[24][25]이 연재되기도 했다.
5. 1. 한국에 미친 영향
양가장 이야기는 중국에서 경극이나 텔레비전 드라마의 단골 소재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빌트 L. 이데마와 스티븐 H. 웨스트의 ''양가장 장군 - 초기 4개의 희곡''[12]은 양가장 장군에 관한 초기의 4개의 희곡에 대한 완전한 번역본을 제공한다.
- 수호전의 등장인물인 푸른 낯의 짐승 양지 (수호전)는 양가장의 가상 후손이다.
- 김용의 ''사조영웅전''에서 양철심, 양강, 양과는 양재흥의 가상 후손이다.
다음은 양가장을 소재로 한 영상 작품들이다.
제목 | 제작 연도 | 제작 국가 | 비고 |
---|---|---|---|
양문여장 | 1981년 | 홍콩 | 일본 미공개 |
양가장 | 1985년 | 홍콩 | 원제: 양가장, 유덕화, 양조위, 주윤발 등 출연, 일본 DVD 출시 |
양가장 | 1991년 | 중국 | 원제: 양가장, 일본에서는 1997년 NHK BS-2에서 방영 |
양가장전기: 형제들의 난세 | 2006년 | 중국 | 원제: 소년양가장 |
목계영괘수 | 2012년 | 중국 | 일본 미공개 |
참조
[1]
문서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서적
The Generals of the Yang Family-Four Early Plays
World Scientific
[13]
웹사이트
Symphony Accompanies Heroine Tales
http://www.china.org[...]
[14]
웹사이트
Beat Em Up: It Came From China: Yang Warrior Family for the Sega Genesis – What about channel 4?
http://www.rfgenerat[...]
[15]
간행물
楊家将・楊令公の物語 : その最期を中心に
https://dlisv03.medi[...]
大阪市立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
2017-03
[16]
간행물
講史小説と歴史書 (2) : 『残唐五代史演義』,『南宋志伝』の構造と変容
https://doi.org/10.1[...]
東京大学東洋文化研究所
1999-03
[17]
문서
[18]
문서
[19]
간행물
講史小説と歴史書(3) : 『北宋志伝』『楊家将演義』の成書過程と構造
https://hdl.handle.n[...]
金沢大学文学部中国語学・中国文学講座
1999-04
[20]
문서
[21]
간행물
明刊本《楊家将演義》小説の基本問題 : 《北宋志伝》と《楊家府伝》の二系統とその対比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大学院総合国際学研究科
2014-01
[22]
문서
[23]
문서
[24]
웹사이트
楊家将奇譚 一
https://www.kadokawa[...]
2023-06-06
[25]
웹사이트
楊家将奇譚 三(最新刊) | 有谷実/井上実也 | 無料漫画(マンガ)ならコミックシーモア
https://www.cmoa.jp/[...]
2024-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