둠스데이 알고리즘은 특정 연도의 요일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특히 그레고리력 달력에서 날짜의 요일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 알고리즘은 7의 배수를 이용하여 날짜 간의 요일 관계를 파악하고, 세기의 기준일을 계산하여 연도별 둠스데이를 구한다. 둠스데이는 한 해의 특정 날짜를 기준으로, 기억하기 쉬운 날짜(예: 4/4, 6/6)를 활용하여 다른 날짜의 요일을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둠스데이 알고리즘은 다양한 계산 방법과 공식을 통해 특정 날짜의 요일을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게 해주며, 요일 문자와의 관계를 통해 요일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달력 알고리즘 - 율리우스일 율리우스일(JDN)은 기원전 4713년 1월 1일 정오부터 경과된 일수를 소수점으로 표현하여 천문학에서 날짜와 시간 표현,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 간 변환, 두 시점 사이의 일수 계산에 사용되는 시스템이며, 컴퓨터 처리 효율을 위해 JD, MJD, TJD 등 다양한 변종이 활용된다.
달력 알고리즘 - 부활절 날짜 부활절 날짜는 예수의 부활을 기념하는 기독교 절기로, 천문학적 배경과 역사적 맥락에 따라 결정되며,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이후 알렉산드리아 교회에서 정한 춘분, 교회 보름달 등을 기준으로 계산되지만, 그레고리력과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교회 간에 차이가 발생한다.
요일 - 일요일 일요일은 토요일과 월요일 사이의 한 주의 마지막 날로, 많은 국가에서 휴일이며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주일로 지켜지고, 헬레니즘 점성술에서 유래한 "태양의 날"을 의미하며, 콘스탄티누스 1세가 안식일로 선포한 이후 휴일로서의 의미가 확산되어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요일 - 목요일 목요일은 수요일과 금요일 사이의 요일로, 유럽어권에서는 토르 또는 유피테르의 날에서 유래했으며, 한국과 일본에서는 목성을 상징하고, 인도에서는 브리하스파티를 지칭하며, 여러 종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한국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영국의 총선이 치러지는 날이기도 하다.
위 표는 가로 방향으로 채워지며, 윤년마다 한 열을 건너뛴다. 이 표는 율리우스력에서는 28년, 그레고리력에서는 400년마다 순환한다. 단, 그레고리력에서 100의 배수(1800, 1900, 2100과 같이 윤년이 아닌 해)이면서 400의 배수가 아닌 해(2000년은 윤년)는 예외이다. 전체 주기는 율리우스력에서는 28년(1,461주), 그레고리력에서는 400년(20,871주)이다.
다음으로, 연도의 기준일을 찾는다. 컨웨이에 따르면 이를 수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11]
# 연도의 마지막 두 자릿수(''y''라고 한다)를 12로 나누고, ''a''를 몫의 바닥으로 한다.
# ''b''를 동일한 몫의 나머지로 한다.
# 그 나머지를 4로 나누고, ''c''를 몫의 바닥으로 한다.
# ''d''를 세 숫자(''d'' = ''a'' + ''b'' + ''c'')의 합으로 한다. (여기서 다시 7로 나누고 나머지를 구할 수 있다. 이 숫자는 ''y''에 ''y''를 4로 나눈 몫을 더한 것과 동일하다.)
# 기준일로부터 지정된 일수(''d'' 또는 ''d''/7의 나머지)만큼 앞으로 세어 연도의 둠스데이를 구한다.
:
예를 들어, 20세기 1966년의 경우를 보면 다음과 같다.
:
위의 4번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는 다음과 동일하다.
:
따라서 1966년의 둠스데이는 월요일이었다.
마찬가지로, 2005년의 둠스데이는 다음과 같이 월요일이다.
:
둠스데이 규칙
둠스데이의 기준일 계산은 기본 연도의 특정 날짜와 현재 연도의 동일한 날짜 사이의 일수를 계산한 다음, 7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두 날짜 모두 윤일(있는 경우) 이후에 오는 경우, 차이는 365''y'' + ''y''/4 (내림)이다. 365는 52 × 7 + 1과 같으므로, 나머지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이것은 ''y''의 큰 값을 4와 7로 나누는 데 익숙하다면 더 간단한 공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이는 위의 예와 동일한 답을 제공한다.
12가 관여하는 부분은 의 패턴이 12년마다 '거의' 반복되기 때문이다. 12년 후에는 이 된다. ''y''를 ''y'' mod 12로 바꾸면 이 추가 날짜를 버리는 것이 된다. 하지만 를 다시 더하면 이 오류를 보정하여 최종 공식을 얻을 수 있다.
기준일을 계산하는 "홀수 + 11" 방법을 보여주는 간단한 순서도
연도의 기준일을 찾는 더 간단한 방법은 2010년 챔벌린 퐁과 마이클 K. 월터스에 의해 발견되었으며,[12] 제7회 국제 산업 및 응용 수학 회의 (2011)에 제출된 논문에 설명되어 있다. "홀수 + 11" 방법이라고 불리며, 이는 다음과 같은 계산과 같다.[12]
:.
이는 4(또는 12)로 나누기가 필요 없고, "홀수 + 11" 규칙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암산에 적합하며, 절차를 기억하기 쉽다. 또한, 11을 더하는 것은 10진법 산술에서 암산으로 수행하기 매우 쉽다.
이를 기준일로 확장하면, 절차는 종종 다음과 같이 6단계로 ''T''의 누적 합계를 계산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 ''T''를 연도의 마지막 두 자리 숫자로 설정한다.
# 만약 ''T''가 홀수라면, 11을 더한다.
# 이제 ''T'' = ''T''/2.
# 만약 ''T''가 홀수라면, 11을 더한다.
# 이제 ''T'' = 7 − (''T'' mod 7).
# 세기의 기준일로부터 ''T''일 앞으로 계산하여 연도의 기준일을 구한다.
예를 들어, 2005년에 이 방법을 적용하면 단계는 다음과 같다.
# ''T'' = 5
# ''T'' = 5 + 11 = 16 (''T''가 홀수이므로 11을 더한다)
# ''T'' = 16/2 = 8
# ''T'' = 8 (''T''가 짝수이므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 ''T'' = 7 − (8 mod 7) = 7 − 1 = 6
# 2005년 둠스데이 = 6 + 화요일 = 월요일
홀수+11 방법에 대한 명시적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이 식은 복잡해 보이지만, 공통 부분식 가 있기 때문에 한 번만 계산하면 되므로 실제로는 간단하다.[12]
이 표는 가로 방향으로 채워지며, 윤년마다 한 열을 건너뛴다. 이 표는 율리우스력에서는 28년마다, 그레고리력에서는 400년마다 순환한다. 단, 그레고리력에서 100의 배수(1800, 1900, 2100과 같이 윤년이 아닌)이면서 400의 배수(2000년은 여전히 윤년인 것처럼)가 아닌 해는 예외이다. 전체 주기는 율리우스력에서는 28년(1,461주), 그레고리력에서는 400년(20,871주)이다.
1796년부터 2105년까지의 연도에 대한 앵커 데이는 다음과 같다.
1796년부터 2105년까지의 연도에 대한 앵커 데이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1796
1797
1798
1799
1800
1801
1802
1803
1804
1805
1806
1807
1808
1809
1810
1811
1812
1813
1814
1815
1816
1817
1818
1819
1820
1821
1822
1823
1824
1825
1826
1827
1828
1829
1830
1831
1832
1833
1834
1835
1836
1837
1838
1839
1840
1841
1842
1843
1844
1845
1846
1847
1848
1849
1850
1851
1852
1853
1854
1855
1856
1857
1858
1859
1860
1861
1862
1863
1864
1865
1866
1867
1868
1869
1870
1871
1872
1873
1874
1875
1876
1877
1878
1879
1880
1881
1882
1883
1884
1885
1886
1887
1888
1889
1890
1891
1892
1893
1894
1895
1896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1904
1905
1906
1907
1908
1909
1910
1911
1912
1913
1914
1915
1916
1917
1918
1919
1920
1921
1922
1923
1924
1925
1926
1927
1928
1929
1930
1931
1932
1933
1934
1935
1936
1937
1938
1939
1940
1941
1942
1943
1944
1945
1946
1947
1948
1949
1950
1951
1952
1953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2036
2037
2038
2039
2040
2041
2042
2043
2044
2045
2046
2047
2048
2049
2050
2051
2052
2053
2054
2055
2056
2057
2058
2059
2060
2061
2062
2063
2064
2065
2066
2067
2068
2069
2070
2071
2072
2073
2074
2075
2076
2077
2078
2079
2080
2081
2082
2083
2084
2085
2086
2087
2088
2089
2090
2091
2092
2093
2094
2095
2096
2097
2098
2099
2100
2101
2102
2103
2104
2105
세기별 기준일은 다음과 같다.
세기
기준일
1600–1699
화요일
1700–1799
일요일
1800–1899
금요일
1900–1999
수요일
2000–2099
화요일
2100–2199
일요일
2200–2299
금요일
4. 기억하기 쉬운 둠스데이
어떤 달력 날짜의 요일을 쉽게 찾기 위해서는 가까운 둠스데이를 기준으로 삼으면 편리하다. 각 달의 둠스데이를 쉽게 기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월: 평년에는 1월 3일, 윤년에는 1월 4일이 둠스데이이다. "4년 중 3년은 3일, 4번째 해는 4일"로 기억하면 쉽다.
2월: 2월의 마지막 날은 항상 둠스데이이다.
3월: 3월 0일(3월 1일 전날, 즉 2월의 마지막 날) 또는 원주율 날(3월 14일)을 떠올리면 된다.
4월 ~ 12월 (짝수 달): 4/4, 6/6, 8/8, 10/10, 12/12처럼 날짜가 겹치는 날이 둠스데이이다.
5월 ~ 11월 (홀수 달): "나는 9시부터 5시까지 7-11에서 일한다"라는 문장을 활용하면 9/5, 7/11, 5/9, 11/7을 쉽게 기억할 수 있다.[7]
특정 연도의 둠스데이는 그 해의 3월부터 다음 해 2월까지의 날짜 요일과 관련이 깊다. 따라서 같은 해 1월과 2월은 평년과 윤년을 구분해야 한다.
5. 요일 이름 연상 기호
이 알고리즘은 요일을 7을 법으로 하는 숫자처럼 취급하므로, 존 콘웨이는 요일과 숫자의 관계를 머릿속으로 일일이 세지 않고 기억하기 위해 요일을 "무요일" 또는 "일요일"(일요일), "일요일"(월요일), "이요일"(화요일), "세요일"(수요일), "네요일"(목요일), "다섯요일"(금요일), "여섯요일"(토요일)로 생각하는 것을 제안했다.[10]
요일
색인 번호
연상 기호
일요일
0
무요일 또는 일요일
월요일
1
일요일
화요일
2
이요일
수요일
3
세요일
목요일
4
네요일
금요일
5
다섯요일
토요일
6
여섯요일
슬라브어군, 중국어, 에스토니아어, 그리스어, 포르투갈어, 갈리시아어, 히브리어와 같은 일부 언어는 요일 이름의 일부를 순서대로 사용한다. 슬라브어, 중국어, 에스토니아어는 위의 표와 일치하며, 언급된 다른 언어는 일요일을 첫 번째 요일로 계산한다.
6. 둠스데이 알고리즘의 활용
둠스데이 알고리즘은 특정 날짜의 요일을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달력을 보지 않고도 요일을 알 수 있다.
둠스데이 알고리즘의 핵심은 '둠스데이'라는 기준 날짜를 이용하는 것이다. 둠스데이는 각 연도마다 요일이 정해져 있는 특정한 날짜이다. 예를 들어, 2024년의 둠스데이는 목요일이다.
둠스데이는 연도뿐만 아니라 월별로도 정해져 있다. 짝수 달(4, 6, 8, 10, 12월)은 해당 월의 날짜와 같은 숫자의 날이 둠스데이가 된다 (4월 4일, 6월 6일, 8월 8일, 10월 10일, 12월 12일). 홀수 달은 "나는 9시부터 5시까지 7-11에서 일한다"라는 문장을 통해 둠스데이를 기억할 수 있다 (5월 9일, 7월 11일, 9월 5일, 11월 7일).
2021년 크리스마스가 무슨 요일인지 알려면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2021년의 둠스데이는 일요일이다. 12월 12일은 둠스데이이므로, 그로부터 13일 뒤(2주에서 하루 뺀 날)인 12월 25일은 토요일이다. 크리스마스는 항상 둠스데이의 전날이다. 또한 미국 독립 기념일(미국 독립 기념일)인 7월 4일은 항상 둠스데이와 같은 요일이며, 할로윈(10월 31일), 파이데이(3월 14일), 그리고 12월 26일(박싱 데이)도 마찬가지다.
1985년 9월 18일이 무슨 요일인지 알고 싶다고 가정해 보자. 먼저 세기의 기준 요일인 수요일부터 시작한다. 여기에 a, b, c를 더한다.[1]
a는 85/12의 몫인데, 이는 7이다.
b는 85 mod 12인데, 이는 1이다.
c는 b/4의 몫인데, 이는 0이다.
이렇게 하면 a + b + c = 8이 된다. 수요일부터 8일을 세면 목요일에 도달하는데, 이는 1985년의 둠스데이이다. (숫자를 사용하면: 모듈로 7 산술에서 8은 1과 합동이다. 세기의 기준 요일이 수요일(인덱스 3)이고 3 + 1 = 4이므로 1985년의 둠스데이는 목요일(인덱스 4)이었다.) 이제 9월 18일을 근처의 둠스데이인 9월 5일과 비교한다. 18일은 둠스데이에서 13일 지난 날짜, 즉 2주보다 하루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8일은 수요일이었다(목요일 바로 전날). (숫자를 사용하면: 모듈로 7 산술에서 13은 6 또는 더 간결하게는 -1과 합동이다. 따라서 둠스데이인 목요일에서 1을 빼면 1985년 9월 18일이 수요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1]
미국 남북 전쟁이 1861년 4월 12일에 섬터 요새에서 발발했을 때 요일을 구한다고 가정해 보자. 해당 세기의 앵커 데이는 화요일로부터 94일 후, 즉 금요일이었다. (18 × 5 + ⌊18/4⌋로 계산, 또는 위에 있는 표에서 세기의 앵커 데이를 참조). 숫자 61은 6일의 변위를 주므로 둠스데이(doomsday)는 목요일이었다. 따라서 4월 4일은 목요일이었고, 8일 뒤인 4월 12일은 금요일이었다.[2]
7. 둠스데이와 요일 문자
L
나머지 두 자리수 연도
#
율리우스력 (r ÷ 7)
그레고리력 (r ÷ 4)
r519
1620r0
A
00 06 17 23
28 34 45 51
56 62 73 79
84 90
0
r418
15 19 r3
G
01 07 12 18
29 35 40 46
57 63 68 74
85 91 96
1
r317
해당 없음
F
02 13 19 24
30 41 47 52
58 69 75 80
86 97
2
r216
18 22 r2
E
03 08 14 25
31 36 42 53
59 64 70 81
87 92 98
3
r115
해당 없음
D
09 15 20 26
37 43 48 54
65 71 76 82
93 99
4
r014
17 21 r1
C
04 10 21 27
32 38 49 55
60 66 77 83
88 94
5
r613
해당 없음
B
05 11 16 22
33 39 44 50
61 67 72 78
89 95
6
8. 400년 주기
둠스데이 알고리즘에서 그레고리력은 400년마다 반복되는데, 이는 400년 동안 정확히 146,097일, 즉 20,871주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700-1799년의 앵커 데이는 2100-2199년의 앵커 데이와 같으며, 이들은 모두 일요일이다.
둠스데이의 전체 400년 주기는 아래 표와 같다. 세기는 가상 그레고리력 및 율리우스력(J)을 기준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레고리력 윤년은 강조 표시되어 있다.
400년 주기에서 요일 및 연도 유형별 그레고리력 둠스데이의 빈도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합계
평년
43
43
43
43
44
43
44
303
윤년
13
15
13
15
13
14
14
97
합계
56
58
56
58
57
57
58
400
400년 주기 동안 특정 날짜가 특정 요일에 해당되는 빈도는 위 표에서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2월 28일은 전년도의 둠스데이 다음 날이므로 화요일, 목요일, 일요일에 각각 58번 해당한다. 2월 29일은 윤년의 둠스데이이므로 월요일과 수요일에 각각 15번 해당한다.
율리우스력은 28년 주기로 반복된다. 이 주기 동안 모든 요일은 윤년에 한 번, 평년에 세 번 나타난다. 평년은 윤년 이후 6년, 17년, 23년 후에 나타나므로, 6년, 11년, 6년, 5년 간격으로 불규칙하게 분포한다.
9. 율리우스력과 둠스데이
그레고리력은 현재 동지와 같은 천문 현상과 정확히 일치한다. 1582년에 율리우스력의 수정이 처음 시행되었다. 달력의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10일이 건너뛰어졌고, 종말일은 10일(즉, 3일) 앞으로 이동했다. 즉, 10월 4일 목요일(율리우스력, 종말일은 수요일) 다음 날은 10월 15일 금요일(그레고리력, 종말일은 일요일)이었다. 표에는 율리우스력 연도가 포함되어 있지만, 알고리즘은 그레고리력과 원시 그레고리력에만 적용된다.
그레고리력은 모든 국가에서 동시에 채택된 것이 아니므로, 수세기 동안 서로 다른 지역에서 같은 날짜에 서로 다른 날짜를 사용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0. 둠스데이 계산 공식
어떤 한 날과 다른 한 날의 요일이 같으려면, 그 두 날 사이의 날짜 차이가 7의 배수여야 한다. 예를 들어 1월 1일과 1월 8일, 1월 15일은 같은 요일이다.[11]
4월 4일과 6월 6일은 63일 차이가 나며, 6월 6일과 8월 8일 역시 63일 차이가 난다. 이와 같이, 한 해 안에서 요일이 서로 같은 둠스데이의 날짜 차이 역시 7의 배수이다. 둠스데이는 한 해 안에서 항상 요일이 같은 날들 중 사람들이 기억하기 쉬운 날짜를 선택해서 만든 날들이다.[11]
둠스데이 알고리즘에서 현재 그레고리력 연도의 앵커 데이는 이다.
1796년부터 2105년까지의 연도에 대한 앵커 데이는 다음과 같다.
1796년부터 2105년까지의 연도에 대한 앵커 데이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1796
1797
1798
1799
1800
1801
1802
1803
1804
1805
1806
1807
1808
1809
1810
1811
1812
1813
1814
1815
1816
1817
1818
1819
1820
1821
1822
1823
1824
1825
1826
1827
1828
1829
1830
1831
1832
1833
1834
1835
1836
1837
1838
1839
1840
1841
1842
1843
1844
1845
1846
1847
1848
1849
1850
1851
1852
1853
1854
1855
1856
1857
1858
1859
1860
1861
1862
1863
1864
1865
1866
1867
1868
1869
1870
1871
1872
1873
1874
1875
1876
1877
1878
1879
1880
1881
1882
1883
1884
1885
1886
1887
1888
1889
1890
1891
1892
1893
1894
1895
1896
1897
1898
1899
1900
1901
1902
1903
1904
1905
1906
1907
1908
1909
1910
1911
1912
1913
1914
1915
1916
1917
1918
1919
1920
1921
1922
1923
1924
1925
1926
1927
1928
1929
1930
1931
1932
1933
1934
1935
1936
1937
1938
1939
1940
1941
1942
1943
1944
1945
1946
1947
1948
1949
1950
1951
1952
1953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31
2032
2033
2034
2035
2036
2037
2038
2039
2040
2041
2042
2043
2044
2045
2046
2047
2048
2049
2050
2051
2052
2053
2054
2055
2056
2057
2058
2059
2060
2061
2062
2063
2064
2065
2066
2067
2068
2069
2070
2071
2072
2073
2074
2075
2076
2077
2078
2079
2080
2081
2082
2083
2084
2085
2086
2087
2088
2089
2090
2091
2092
2093
2094
2095
2096
2097
2098
2099
2100
2101
2102
2103
2104
2105
이 표는 가로 방향으로 채워지며, 윤년마다 한 열을 건너뛴다. 이 표는 율리우스력에서는 28년마다, 그레고리력에서는 400년마다 순환한다.
먼저 세기의 기준일을 구한다. 둠스데이 규칙을 위해 세기는 '00으로 시작하여 '99로 끝난다. 다음 표는 1600–1699, 1700–1799, 1800–1899, 1900–1999, 2000–2099, 2100–2199, 2200–2299 세기의 기준일을 보여준다.
[1]
웹사이트
Tomorrow is the Day After Doomsday
https://web.archive.[...]
Eureka
1973-10
[2]
서적
Winning Ways: For Your Mathematical Plays, Volume. 2: Games in Particular
Academic Press, London
1982
[3]
간행물
To Find the Day of the Week for Any Given Date
Nature
1887-03-31
[4]
서적
The Universe in a Handkerchief: Lewis Carroll's Mathematical Recreations, Games, Puzzles, and Word Plays
Springer-Verlag
1996
[5]
웹사이트
What Day is Doomsday
https://ww2.amstat.o[...]
Mathematics Awareness Month
2014-04
[6]
웹사이트
Not Just Fun and Games
https://www.scientif[...]
2024-04-18
[7]
Youtube
John H. Conway - Doomsday, part 1
https://www.youtub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20-04-14
[8]
Youtube
The Doomsday Algorithm - Numberphile
https://www.youtube.[...]
2023-07-09
[9]
웹사이트
Doomsday Algorithm
http://rudy.ca/dooms[...]
2017-05-27
[10]
뉴스
On what day of the week is Christmas? Use the Doomsday Rule
https://www.irishtim[...]
2022-07-20
[11]
웹사이트
Tomorrow is the Day After Doomsday
https://www.archim.o[...]
Eureka
1973-10
[12]
간행물
Methods for Accelerating Conway's Doomsday Algorithm (part 2)
https://arxiv.org/ab[...]
7th International Congress on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