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는 실수에 대응하는 정수를 정의하는 함수로, 수학 및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바닥 함수는 주어진 실수 이하의 최대 정수를, 천장 함수는 주어진 실수 이상의 최소 정수를 의미하며, 각각 \lfloor x \rfloor\lceil x \rceil로 표기한다. 이 함수들은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의 분해, 반올림, 나머지 연산, 자릿수 계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특히, 바닥 함수는 에르미트 항등식, 레일리의 정리, 와이소프의 게임 등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공식에 활용되며,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내장 함수로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항 연산 - 1의 보수
    1의 보수는 이진수에서 양수는 일반적인 이진수로, 음수는 양수의 각 비트를 반전시켜 표현하며, 덧셈 시 자리올림수가 발생하면 결과값에 더해야 하고, 0을 중복 표현하는 단점으로 현대에는 2의 보수가 주로 사용된다.
  • 단항 연산 - 제곱근
    제곱근은 x² = a를 만족하는 x 값으로, a가 양수일 때 두 개의 제곱근을 가지며, 수학, 물리학,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이고, 무리수와도 관련되어 행렬이나 연산자에도 확장된다.
  • 수학 표기법 - 기수법
    기수법은 수를 나타내는 방법 또는 체계로, 십진법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일진법, 명수법, 위치값 기수법 등으로 분류되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은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기반으로 위치값 기수법의 발전과 0의 도입으로 수학적 계산의 효율성을 높였다.
  • 수학 표기법 - 중위 표기법
    중위 표기법은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연산자 표기 방식이지만, 컴퓨터가 구문 분석하기 어렵고 연산 순서를 위해 괄호나 연산자 우선순위 규칙이 필요하다.
  • 특수 함수 - 람베르트 W 함수
    람베르트 W 함수는 we^w = z를 만족하는 w를 찾는 람베르트 이름을 딴 역함수 관계를 가지며, 여러 분야에서 지수 함수 방정식을 푸는 데 응용되는 무한히 많은 가지를 가진 함수이다.
  • 특수 함수 - 감마 함수
    감마 함수는 양의 실수부를 갖는 복소수 z에 대해 오일러 적분으로 정의되고 해석적 연속을 통해 복소평면 전체로 확장된 팩토리얼 함수의 일반화로서, 수학,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여러 표현과 성질을 가진다.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
개요
명칭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
영어 명칭Floor and ceiling functions
정의
바닥 함수실수 x보다 크지 않은 가장 큰 정수 (바닥)
기호⌊x⌋ 또는 floor(x)
천장 함수실수 x보다 작지 않은 가장 작은 정수 (천장)
기호⌈x⌉ 또는 ceil(x)
예시
바닥 함수⌊2.4⌋ = 2, ⌊-2.4⌋ = -3
천장 함수⌈2.4⌉ = 3, ⌈-2.4⌉ = -2
표기법
일반적인 표기[x] (드물게 사용됨)
Iverson 표기법케네스 아이버슨이 제안, ⌊x⌋ 및 ⌈x⌉
성질
정수 n에 대해⌊n⌋ = ⌈n⌉ = n
중요 성질⌊x+1⌋ = ⌈x⌉
응용
컴퓨터 과학컴퓨터 과학에서 배열 인덱스 계산, 테이블 크기 결정 등에 사용됨
관련 함수
소수 부분 함수{x} = x - ⌊x⌋

2. 정의

바닥 함수의 그래프


천장 함수의 그래프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는 실수정수로 변환하는 함수이다. 바닥 함수는 주어진 실수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 정수를, 천장 함수는 주어진 실수보다 크거나 같은 최소 정수를 반환한다.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1808년 제곱 잉여의 상호 법칙의 세 번째 증명에서 대괄호 표기 [x]를 처음 사용했다.[3] 케네스 E. 아이버슨이 1962년 저서 ''A Programming Language''에서 "floor"와 "ceiling"이라는 이름과 함께 \lfloor x\rfloor\lceil x\rceil 표기법을 도입하기 전까지, 가우스 기호가 수학에서 표준 표기법으로 사용되었다.[5][6]

실수 x에 대해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lfloor x \rfloor=\max \{m\in\mathbb{Z}\mid m\le x\} (바닥 함수)

: \lceil x \rceil=\min \{n\in\mathbb{Z}\mid n\ge x\} (천장 함수)

실수 x는 다음과 같이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x = \lfloor x \rfloor + \{x\}

여기서 \lfloor x \rfloor는 '''정수 부분''', \{x\}는 '''소수 부분'''이며 0 이상 1 미만의 값을 가진다.

2. 1. 바닥 함수

바닥 함수 \lfloor -\rfloor\colon\mathbb R\to\mathbb Z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floor x\rfloor=\max\{n\in\mathbb Z\colon n\le x\}

즉, 실수 x의 바닥 함수 값은 x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정수 가운데 가장 큰 값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lfloor 5.2\rfloor=5

:\lfloor-5.2\rfloor=-6

:\lfloor 3\rfloor=3

:\lfloor-4\rfloor=-4

바닥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lfloor x\rfloor
  • [x] ('''가우스 기호'''라고 부르지만, 가우스 함수와는 관련이 없다.)
  • \operatorname{floor}(x)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제곱 잉여의 상호 법칙의 세 번째 증명(1808)에서 대괄호 표기 [x]를 도입했다.[3] 1962년 케네스 E. 아이버슨이 저서 ''A Programming Language''에서 "floor"와 "ceiling"이라는 이름과 함께 \lfloor x\rfloor\lceil x\rceil 표기법을 도입하기 전까지, 가우스 기호가 수학에서 표준 표기법으로 사용되었다.[5][6]

실수 x에 대해 \lfloor x \rfloor를 '''정수 부분''', x - \lfloor x \rfloor를 '''소수 부분'''이라고 부른다. 소수 부분은 \{x\} [9] 와 같이 표현하며, x \mod 1이나 으로도 표기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lfloor 1.7 \rfloor = 1,\;\{ 1.7 \} = 0.7
  • \left\lfloor \frac{4}{3} \right\rfloor = 1,\;\left\{ \frac{4}{3} \right\} = \frac{1}{3}
  • \lfloor \sqrt{3} \rfloor = \lfloor 1.732\cdots \rfloor = 1,\;\{ \sqrt{3} \} = \sqrt{3} -1 = 0.732\cdots
  • \lfloor \pi \rfloor = \lfloor 3.14\cdots \rfloor = 3,\;\{ \pi \} = \pi -3 = 0.14\cdots
  • \lfloor e \rfloor = \lfloor 2.71\cdots \rfloor = 2,\;\{e\} = e-2 = 0.71\cdots

( \pi원주율, e는 자연 상수)

음수의 경우,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은 소수점 이하 부분과 일치하지 않는다.

  • \lfloor -1.7 \rfloor = -2,\;\{ -1.7 \} = 0.3
  • \left\lfloor -\frac{4}{3} \right\rfloor = -2,\;\left\{ -\frac{4}{3} \right\} = \frac{2}{3}
  • \lfloor -\sqrt{3} \rfloor = \lfloor -1.732\cdots \rfloor = -2,\;\{ -\sqrt{3} \} = 2- \sqrt{3} = 0.267\cdots
  • \lfloor -\pi \rfloor = \lfloor -3.14\cdots \rfloor = -4,\;\{ -\pi \} = 4- \pi = 0.85\cdots

2. 2. 천장 함수

'''천장 함수'''는 실수 x에 대해 x와 같거나 그보다 큰 정수 가운데 가장 작은 하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lceil 3.72\rceil=4, \lceil-3.72\rceil=-3, \lceil 4\rceil=4, \lceil-2\rceil=-2이다.

천장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lceil x\rceil
  • \operatorname{ceil}(x)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1808년 2차 상호 법칙의 세 번째 증명에서 대괄호 표기 [''x'']를 도입했다.[3] 이는 케네스 E. 아이버슨이 1962년 저서 ''A Programming Language''에서 "floor"와 "ceiling"이라는 이름과 해당 표기 \lfloor x \rfloor\lceil x \rceil를 도입할 때까지 수학에서 표준으로 남아있었다.[5][6]

천장 함수는 실수 x에 대해 x 이상의 최소 정수로 정의되며,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ceil x \rceil := \min \{n \in \mathbb{Z} \mid x \le n \}.

예시는 다음과 같다.

  • \lceil n \rceil = n (n은 임의의 정수)
  • \lceil 1.7 \rceil = 2
  • \lceil \sqrt{3} \rceil = \lceil 1.732\cdots \rceil = 2
  • \lceil -\pi \rceil = \lceil -3.14\cdots \rceil = -3

2. 3. 소수 부분 함수

'''분수 부분 함수'''(分數部分函數, fractional part function영어) \{-\}\colon\mathbb R\to[0,1)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x\}=x-\lfloor x\rfloor=\min\{y\in\mathbb R_{\ge 0}\colon x-y\in\mathbb Z\}

여기서 \lfloor x \rfloor는 바닥 함수를 의미한다. 즉, 실수 x에서 정수 부분을 뺀 나머지가 소수 부분이 된다.

분수 부분 함수는 \{x\} 또는 \operatorname{frac}(x)로 표기한다. 모든 실수 ''x''에 대해, 0 \le \{x\} < 1 이다. 소수 부분은 톱니파 함수의 일종이다.[9]

실수 x에 대해 \lfloor x \rfloor를 '''정수 부분''', x - \lfloor x \rfloor를 '''소수 부분'''이라고 부른다. 정수 부분은 정수, 소수 부분은 0 이상 1 미만이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입력값 (x)정수 부분 (\lfloor x \rfloor)소수 부분 (\{x\})
n (임의의 정수)n0
1.710.7
\frac{4}{3}1\frac{1}{3}
\sqrt{3}1\sqrt{3} - 1 = 0.732\cdots
\pi3\pi - 3 = 0.14\cdots
e2e - 2 = 0.71\cdots
-1.7-20.3
-\frac{4}{3}-2\frac{2}{3}
-\sqrt{3}-22 - \sqrt{3} = 0.267\cdots
-\pi-44 - \pi = 0.85\cdots



위 표에서 원주율(\pi), 자연 상수(e)가 사용되었다. 입력값이 음의 비정수일 경우에는 정수 부분・소수 부분이 소수점 이하의 부분이 아님에 주의해야 한다.

3. 성질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11]


  • 기본 부등식:
  • 모든 실수 x에 대해, \lfloor x \rfloor \le x < \lfloor x \rfloor + 1 이고 \lceil x \rceil - 1 < x \le \lceil x \rceil 이다.
  • 0 \le \{x\} < 1 (소수 부분).
  • 정수:
  • x가 정수이면 \lfloor x \rfloor = \lceil x \rceil = x이다.
  • \lfloor x \rfloor\lceil x \rceil정수이다.
  • 음수:
  • -\lfloor x \rfloor = \lceil -x \rceil 이고, -\lceil x \rceil = \lfloor -x \rfloor 이다.
  • \lfloor x \rfloor + \lceil -x \rceil = 0.
  • \{x\} + \{-x\} = \begin{cases} 0&\text{if } x\in \mathbb{Z}\\ 1&\text{if } x\not\in \mathbb{Z}\end{cases}.
  • 정수 덧셈:
  • 임의의 정수 n에 대해, \lfloor x + n \rfloor = \lfloor x \rfloor + n 이고, \lceil x + n \rceil = \lceil x \rceil + n 이다.
  • \{x + n\} = \{x\}.
  • 멱등성: \big\lfloor \lfloor x \rfloor \big\rfloor = \lfloor x \rfloor 이고 \big\lceil \lceil x \rceil \big\rceil = \lceil x \rceil 이다.
  • 단조성:
  • x_{1} \le x_{2} 이면, \lfloor x_{1} \rfloor \le \lfloor x_{2} \rfloor 이고 \lceil x_{1} \rceil \le \lceil x_{2} \rceil 이다.
  • 불연속성:
  • \lfloor x \rfloor는 상반연속이고, \lceil x \rceil\{ x\}는 하반연속이다.
  • 구간별 선형 함수이며, 정수에서 불연속성을 갖는다.
  • 정수 부등식: n \le xn \le \lfloor x \rfloor는 동치이다. ( n은 정수, x는 실수)
  • 갈루아 연결: 바닥 함수는 잔류 사상이며, 정수를 실수에 포함시키는 함수의 상위 갈루아 연결의 일부이다.

3. 1. 부등식

다음과 같은 부등식들이 성립한다.

:\lfloor x\rfloor\le x<\lfloor x\rfloor+1

:\lceil x\rceil-1

비슷하게, 다음과 같은 부등식들이 성립한다.

:x-1<\lfloor x\rfloor\le x

:x\le\lceil x\rceil

:0\le\{x\}<1

삼각 부등식과 닮은 다음과 같은 부등식들이 성립한다.[11]

:\lfloor x\rfloor+\lfloor y\rfloor\le\lfloor x+y\rfloor\le\lfloor x\rfloor+\lfloor y\rfloor+1

:\lceil x\rceil+\lceil y\rceil-1\le\lceil x+y\rceil\le\lceil x\rceil+\lceil y\rceil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를 통해 실수 부등식과 동치인 정수 부등식을 얻을 수 있다. 즉, 임의의 n\in\mathbb Zx\in\mathbb R에 대하여, 다음 두 부등식이 서로 동치이다.

  • n>x
  • n>\lfloor x\rfloor


마찬가지로, nx에 대하여, 다음 두 부등식이 서로 동치이다.

  • n
  • n<\lceil x\rceil


마찬가지로, nx에 대하여, 다음 두 부등식이 서로 동치이다.

  • n\ge x
  • n\ge\lceil x\rceil


마찬가지로, nx에 대하여, 다음 두 부등식이 서로 동치이다.

  • n\le x
  • n\le\lfloor x\rfloor


순서론의 언어로 표현하면, 바닥 함수는 잔류 사상인데, 이는 정수를 실수에 포함시키는 함수의 상위 갈루아 연결의 일부이다.

:

\begin{align}

x
n
x\le n &\;\;\mbox{ if and only if } &\lceil x \rceil &\le n, \\

n\le x &\;\;\mbox{ if and only if } &n &\le \lfloor x \rfloor.

\end{align}


3. 2. 항등식

천장 함수는 바닥 함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1]

: \lceil x\rceil=-\lfloor-x\rfloor=

\begin{cases}\lfloor x\rfloor&x\in\mathbb Z\\\lfloor x\rfloor+1&x\not\in\mathbb Z\end{cases}

비슷하게 다음과 같은 항등식들이 성립한다.[11]

: \lfloor-x\rfloor=

\begin{cases}-\lfloor x\rfloor&x\in\mathbb Z\\-\lfloor x\rfloor-1&x\not\in\mathbb Z\end{cases}

: \lceil-x\rceil=

\begin{cases}-\lceil x\rceil&x\in\mathbb Z\\-\lceil x\rceil+1&x\not\in\mathbb Z\end{cases}

: \{-x\}=

\begin{cases}0&x\in\mathbb Z\\-\{x\}+1&x\not\in\mathbb Z\end{cases}

임의의 정수는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의 고정점이다.[11]

: \lfloor n\rfloor=\lceil n\rceil=n\qquad n\in\mathbb Z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의 정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항등식들이 성립한다.[11]

: \max\{n\in\mathbb Z\colon n\le x\}=\lfloor x\rfloor

: \min\{n\in\mathbb Z\colon n\ge x\}=\lceil x\rceil

: \min\{n\in\mathbb Z\colon n>x\}=\lfloor x\rfloor+1

: \max\{n\in\mathbb Z\colon n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와 분수 부분 함수의 합성은 다음과 같다. 특히,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와 분수 부분 함수는 모두 멱등 함수이다.[11]

: \lfloor\lfloor x\rfloor\rfloor=\lfloor x\rfloor

: \lceil\lceil x\rceil\rceil=\lceil x\rceil

: \{\{x\}\}=\{x\}

: \lceil\lfloor x\rfloor\rceil=\lfloor x\rfloor

: \lfloor\lceil x\rceil\rfloor=\lceil x\rceil

: \{\lfloor x\rfloor\}=0

: \lfloor\{x\}\rfloor=0

: \{\lceil x\rceil\}=0

: \lceil\{x\}\rceil=\begin{cases}0&x\in\mathbb Z\\1&x\not\in\mathbb Z\end{cases}

임의의 n\in\mathbb Zx\in\mathbb R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항등식들이 성립한다. 특히, 분수 부분 함수는 양의 최소 주기가 1인 주기 함수이다.[11]

: \lfloor x+n\rfloor=\lfloor x\rfloor+n

: \lceil x+n\rceil=\lceil x\rceil+n

: \{x+n\}=\{x\}

임의의 m,n\in\mathbb Z (n>0) 및 x\in\mathbb R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항등식들이 성립한다.[11]

: \left\lfloor\frac{x+m}n\right\rfloor=\left\lfloor\frac{\lfloor x\rfloor+m}n\right\rfloor

: \left\lceil\frac{x+m}n\right\rceil=\left\lceil\frac{\lceil x\rceil+m}n\right\rceil

: \biggl\lceil\frac mn\biggr\rceil=\left\lfloor\frac{m+n-1}n\right\rfloor

임의의 n\in\mathbb Z^+x,y\in\mathbb R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항등식들이 성립한다.[11]

: \lfloor\lfloor x/y\rfloor/n\rfloor=\lfloor x/(yn)\rfloor

: \lceil\lceil x/y\rceil/n\rceil=\lceil x/(yn)\rceil

임의의 n\in\mathbb Z^+x\in\mathbb R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합 공식이 성립한다. 이를 '''에르미트 항등식'''이라고 한다.[11]

: \lfloor nx\rfloor=\lfloor x\rfloor+\left\lfloor x+\frac 1n\right\rfloor+\cdots+\left\lfloor x+\frac{n-1}n\right\rfloor

: \lceil nx\rceil=\lceil x\rceil+\left\lceil x-\frac 1n\right\rceil+\cdots+\left\lceil x-\frac{n-1}n\right\rceil

특히, x=m/n (m\in\mathbb Z)인 경우 다음과 같다.[11]

: \begin{align}m

&=\biggl\lfloor\frac mn\biggr\rfloor+\left\lfloor\frac{m+1}n\right\rfloor+\cdots+\left\lfloor\frac{m+n-1}n\right\rfloor\\

&=\biggl\lceil\frac mn\biggr\rceil+\left\lceil\frac{m-1}n\right\rceil+\cdots+\left\lceil\frac{m-n+1}n\right\rceil\end{align}

특히, n=2인 경우 다음과 같은 항등식을 유도할 수 있다.[11]

: m=\biggl\lfloor\frac m2\biggr\rfloor+\biggl\lceil\frac m2\biggr\rceil

임의의 m,n\in\mathbb Z^+x\in\mathbb R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biggl\lfloor\frac xn\biggr\rfloor+\biggl\lfloor\frac {x+m}n\biggr\rfloor+\left\lfloor\frac{x+2m}n\right\rfloor+\cdots+\left\lfloor\frac{x+(n-1)m}n\right\rfloor=\biggl\lfloor\frac xm\biggr\rfloor+\biggl\lfloor\frac {x+n}m\biggr\rfloor+\left\lfloor\frac{x+2n}m\right\rfloor+\cdots+\left\lfloor\frac{x+(m-1)n}m\right\rfloor

즉, 이러한 합 공식은 m,n의 순서와 무관하다. 특히, x=0인 경우 합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11]

: \biggl\lfloor\frac mn\biggr\rfloor+\left\lfloor\frac{2m}n\right\rfloor+\cdots+\left\lfloor\frac{(n-2)m}n\right\rfloor=\frac{(m-1)(n-1)+\gcd\{m,n\}-1}2

특히, m,n이 서로소인 경우 (즉, \gcd\{m,n\}=1인 경우) 다음과 같다.[11]

: \biggl\lfloor\frac mn\biggr\rfloor+\left\lfloor\frac{2m}n\right\rfloor+\cdots+\left\lfloor\frac{(n-2)m}n\right\rfloor=\frac{(m-1)(n-1)}2

다음 공식들은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를 포함하는 식을 단순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1]

:

\begin{alignat}{3}

\lfloor x \rfloor &= m \ \ &&\mbox{ if and only if } &m &\le x < m+1,\\

\lceil x \rceil &= n &&\mbox{ if and only if } &\ \ n -1 &< x \le n,\\

\lfloor x \rfloor &= m &&\mbox{ if and only if } &x-1 &< m \le x,\\

\lceil x \rceil &= n &&\mbox{ if and only if } &x &\le n < x+1.

\end{alignat}



순서론의 언어로 표현하면, 바닥 함수는 잔류 사상인데, 이는 정수를 실수에 포함시키는 함수의 상위 갈루아 연결의 일부이다.[11]

:

\begin{align}

x
n
x\le n &\;\;\mbox{ if and only if } &\lceil x \rceil &\le n, \\

n\le x &\;\;\mbox{ if and only if } &n &\le \lfloor x \rfloor.

\end{align}



다음 공식들은 정수 n을 인수에 더하는 것이 함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11]

:

\begin{align}

\lfloor x+n \rfloor &= \lfloor x \rfloor+n,\\

\lceil x+n \rceil &= \lceil x \rceil+n,\\

\{ x+n \} &= \{ x \}.

\end{align}



위의 공식들은 n이 정수가 아닌 경우에는 절대 참이 아니지만, 모든 x와 y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11]

:\begin{align}

\lfloor x \rfloor + \lfloor y \rfloor &\leq \lfloor x + y \rfloor \leq \lfloor x \rfloor + \lfloor y \rfloor + 1,\\[3mu]

\lceil x \rceil + \lceil y \rceil -1 &\leq \lceil x + y \rceil \leq \lceil x \rceil + \lceil y \rceil.

\end{align}

정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11]

:\lfloor x \rfloor \le \lceil x \rceil,   여기서 등호는 x가 정수일 때만 성립한다. 즉,

:\lceil x \rceil - \lfloor x \rfloor = \begin{cases}

0&\mbox{ if } x\in \mathbb{Z}\\

1&\mbox{ if } x\not\in \mathbb{Z}

\end{cases}

실제로, 정수 n에 대해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 모두 항등 함수이다.[11]

:\lfloor n \rfloor = \lceil n \rceil = n.

인수를 부정하면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가 바뀌고 부호가 변경된다.[11]

: \begin{align}

\lfloor x \rfloor +\lceil -x \rceil &= 0 \\

  • \lfloor x \rfloor &= \lceil -x \rceil \\
  • \lceil x \rceil &= \lfloor -x \rfloor

\end{align}



그리고:[11]

:\lfloor x \rfloor + \lfloor -x \rfloor = \begin{cases}

0&\text{if } x\in \mathbb{Z}\\

  • 1&\text{if } x\not\in \mathbb{Z},

\end{cases}

:\lceil x \rceil + \lceil -x \rceil = \begin{cases}

0&\text{if } x\in \mathbb{Z}\\

1&\text{if } x\not\in \mathbb{Z}.

\end{cases}

인수를 부정하면 소수 부분이 보완된다.[11]

:\{ x \} + \{ -x \} = \begin{cases}

0&\text{if } x\in \mathbb{Z}\\

1&\text{if } x\not\in \mathbb{Z}.

\end{cases}

바닥, 천장 및 소수 부분 함수는 멱등성을 가진다.[11]

:

\begin{align}

\big\lfloor \lfloor x \rfloor \big\rfloor &= \lfloor x \rfloor, \\

\big\lceil \lceil x \rceil \big\rceil &= \lceil x \rceil, \\

\big\{ \{ x \} \big\} &= \{ x \}.

\end{align}



중첩된 바닥 함수 또는 천장 함수의 결과는 가장 안쪽의 함수이다.[11]

:

\begin{align}

\big\lfloor \lceil x \rceil \big\rfloor &= \lceil x \rceil, \\

\big\lceil \lfloor x \rfloor \big\rceil &= \lfloor x \rfloor

\end{align}



이는 정수의 항등 속성 때문이다.

다음 x는 임의의 실수로 한다.[11]

  • \lfloor x \rfloor정수
  • \lfloor x \rfloor \le x < \lfloor x \rfloor + 1

이지만, 상기 2개가 바닥 함수를 특징짓는다.

마찬가지로 천장 함수는[11]

  • \lceil x \rceil는 정수
  • \lceil x \rceil -1< x \le \lceil x \rceil

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의 관계는, x가 정수, 비정수인지에 따라 각각[11]

  • \lceil x \rceil - \lfloor x \rfloor는 0 또는 1

이 된다.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의 기본 부등식을 함께 사용하면

  • \lceil x \rceil - 1 \le \lfloor x\rfloor \le x \le \lceil x \rceil \le \lfloor x \rfloor + 1
  • 임의의 정수 n에 대해,
  • : \lfloor n+x \rfloor = n + \lfloor x\rfloor
  • : \lceil n+x \rceil = n + \lceil x\rceil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는 서로 상대방을 나타낼 수 있다.[11]

  • \lceil x \rceil = - \lfloor - x \rfloor
  • \lfloor x \rfloor = - \lceil - x \rceil
  • 바닥 함수・천장 함수는 멱등이다.
  • : \lfloor\lfloor x \rfloor\rfloor = \lfloor x \rfloor
  • : \lceil\lceil x \rceil\rceil = \lceil x \rceil
  • 임의의 정수 n에 대해,
  • : \left\lfloor \frac{n}{2} \right\rfloor + \left\lceil \frac{n}{2} \right\rceil = n.

3. 3. 합 공식

임의의 양의 정수 n과 실수 x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합 공식이 성립하며, 이를 '''에르미트 항등식'''이라고 한다.

:\lfloor nx\rfloor=\lfloor x\rfloor+\left\lfloor x+\frac 1n\right\rfloor+\cdots+\left\lfloor x+\frac{n-1}n\right\rfloor

:\lceil nx\rceil=\lceil x\rceil+\left\lceil x-\frac 1n\right\rceil+\cdots+\left\lceil x-\frac{n-1}n\right\rceil

특히, x=m/n (m은 정수)인 경우 다음과 같다.

:\begin{align}m

&=\biggl\lfloor\frac mn\biggr\rfloor+\left\lfloor\frac{m+1}n\right\rfloor+\cdots+\left\lfloor\frac{m+n-1}n\right\rfloor\\

&=\biggl\lceil\frac mn\biggr\rceil+\left\lceil\frac{m-1}n\right\rceil+\cdots+\left\lceil\frac{m-n+1}n\right\rceil\end{align}

특히, n=2인 경우 다음 항등식을 유도할 수 있다.

:m=\biggl\lfloor\frac m2\biggr\rfloor+\biggl\lceil\frac m2\biggr\rceil

임의의 양의 정수 m,n과 실수 x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biggl\lfloor\frac xn\biggr\rfloor+\biggl\lfloor\frac {x+m}n\biggr\rfloor+\left\lfloor\frac{x+2m}n\right\rfloor+\cdots+\left\lfloor\frac{x+(n-1)m}n\right\rfloor=\biggl\lfloor\frac xm\biggr\rfloor+\biggl\lfloor\frac {x+n}m\biggr\rfloor+\left\lfloor\frac{x+2n}m\right\rfloor+\cdots+\left\lfloor\frac{x+(m-1)n}m\right\rfloor

즉, 이러한 합 공식은 m,n의 순서와 무관하다. 특히, x=0인 경우 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biggl\lfloor\frac mn\biggr\rfloor+\left\lfloor\frac{2m}n\right\rfloor+\cdots+\left\lfloor\frac{(n-2)m}n\right\rfloor=\frac{(m-1)(n-1)+\gcd\{m,n\}-1}2

특히, m,n이 서로소인 경우 (즉, \gcd\{m,n\}=1인 경우) 다음과 같다.

:\biggl\lfloor\frac mn\biggr\rfloor+\left\lfloor\frac{2m}n\right\rfloor+\cdots+\left\lfloor\frac{(n-2)m}n\right\rfloor=\frac{(m-1)(n-1)}2

다음 공식들은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를 포함하는 식을 단순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1]

:

\begin{alignat}{3}

\lfloor x \rfloor &= m \ \ &&\mbox{ if and only if } &m &\le x < m+1,\\

\lceil x \rceil &= n &&\mbox{ if and only if } &\ \ n -1 &< x \le n,\\

\lfloor x \rfloor &= m &&\mbox{ if and only if } &x-1 &< m \le x,\\

\lceil x \rceil &= n &&\mbox{ if and only if } &x &\le n < x+1.

\end{alignat}



순서론의 언어로 표현하면, 바닥 함수는 잔류 사상인데, 이는 정수를 실수에 포함시키는 함수의 상위 갈루아 연결의 일부이다.

:

\begin{align}

x
n
x\le n &\;\;\mbox{ if and only if } &\lceil x \rceil &\le n, \\

n\le x &\;\;\mbox{ if and only if } &n &\le \lfloor x \rfloor.

\end{align}



다음 공식들은 정수 n을 인수에 더하는 것이 함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

:

\begin{align}

\lfloor x+n \rfloor &= \lfloor x \rfloor+n,\\

\lceil x+n \rceil &= \lceil x \rceil+n,\\

\{ x+n \} &= \{ x \}.

\end{align}



만약 n이 양의 정수이면[12]

:\left\lfloor\frac{x+m}{n}\right\rfloor = \left\lfloor\frac{\lfloor x\rfloor +m}{n}\right\rfloor,



:\left\lceil\frac{x+m}{n}\right\rceil = \left\lceil\frac{\lceil x\rceil +m}{n}\right\rceil.



만약 m이 양수이면,[13] ( 에르미트 항등식 참조)

:n=\left\lceil\frac{n}{m}\right\rceil + \left\lceil\frac{n-1}{m}\right\rceil +\dots+\left\lceil\frac{n-m+1}{m}\right\rceil,



:n=\left\lfloor\frac{n}{m}\right\rfloor + \left\lfloor\frac{n+1}{m}\right\rfloor +\dots+\left\lfloor\frac{n+m-1}{m}\right\rfloor.



:\lceil mx \rceil =\left\lceil x\right\rceil + \left\lceil x-\frac{1}{m}\right\rceil +\dots+\left\lceil x-\frac{m-1}{m}\right\rceil,



:\lfloor mx \rfloor=\left\lfloor x\right\rfloor + \left\lfloor x+\frac{1}{m}\right\rfloor +\dots+\left\lfloor x+\frac{m-1}{m}\right\rfloor.



다음은 바닥 함수를 천장 함수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m''은 양수).[15]

:\left\lceil \frac{n}{m} \right\rceil = \left\lfloor \frac{n+m-1}{m} \right\rfloor = \left\lfloor \frac{n - 1}{m} \right\rfloor + 1,

:\left\lfloor \frac{n}{m} \right\rfloor = \left\lceil \frac{n-m+1}{m} \right\rceil = \left\lceil \frac{n + 1}{m} \right\rceil - 1,

모든 mn에 대해 엄밀히 양의 정수이면:[16]

:\sum_{k = 1}^{n - 1} \left\lfloor \frac{k m}{n} \right\rfloor = \frac{(m - 1)(n - 1)+\gcd(m,n)-1}2,

이는 양수이고 상호소수 mn에 대해 다음으로 축소된다.

:\sum_{k=1}^{n-1} \left\lfloor \frac{km}{n} \right\rfloor = \tfrac{1}{2}(m - 1)(n - 1) ,

그리고 천장 함수와 소수 부분 함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여전히 양수이고 상호소수 mn에 대해),

:\sum_{k=1}^{n-1} \left\lceil \frac{km}{n} \right\rceil = \tfrac{1}{2}(m + 1)(n - 1),

:\sum_{k=1}^{n-1} \left\{ \frac{km}{n} \right\} = \tfrac{1}{2}(n - 1).

일반적인 경우의 우변이 mn에 대해 대칭이므로,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

:\left\lfloor \frac{m}{n} \right \rfloor + \left\lfloor \frac{2m}{n} \right \rfloor + \dots + \left\lfloor \frac{(n-1)m}{n} \right \rfloor =

\left\lfloor \frac{n}{m} \right \rfloor + \left\lfloor \frac{2n}{m} \right \rfloor + \dots + \left\lfloor \frac{(m-1)n}{m} \right \rfloor.



더 일반적으로, mn이 양수이면,

:\begin{align}

&\left\lfloor \frac{x}{n} \right \rfloor +

\left\lfloor \frac{m+x}{n} \right \rfloor +

\left\lfloor \frac{2m+x}{n} \right \rfloor +

\dots +

\left\lfloor \frac{(n-1)m+x}{n} \right \rfloor\\[5mu]

=

&\left\lfloor \frac{x}{m} \right \rfloor +

\left\lfloor \frac{n+x}{m} \right \rfloor +

\left\lfloor \frac{2n+x}{m} \right \rfloor +

\cdots +

\left\lfloor \frac{(m-1)n+x}{m} \right \rfloor.

\end{align}



이것은 때때로 상호 법칙이라고 불린다.[17]

서로소인 양의 정수 m, n에 대해, 다음 식이 성립한다.[61]

:\textstyle\sum\limits_{i=1}^{n-1} \left\lfloor \dfrac{im}{n} \right\rfloor = \dfrac{(m-1)(n-1)}{2}.

3. 4. 푸리에 급수

소수 부분 함수는 주기 함수이며, 그 푸리에 급수는 다음과 같다.[19]

:\{x\}=\frac 12-\frac 1\pi\sum_{n=1}^\infty\frac{\sin(2n\pi x)}n\qquad x\not\in\mathbb Z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는 주기 함수가 아니므로, 이들의 푸리에 급수는 균등 수렴하지 않는다. x가 정수가 아닌 경우, 바닥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푸리에 급수로 전개할 수 있다.[19]

:\lfloor x\rfloor = x - \frac{1}{2} + \frac{1}{\pi} \sum_{k=1}^\infty \frac{\sin(2 \pi k x)}{k}

4. 응용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는 수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모듈로 연산: 정수 $x$를 양의 정수 $y$로 나눈 나머지는 $x \bmod y = x-y\left\lfloor \frac{x}{y}\right\rfloor$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7 \bmod 5 = 17 - 5\left\lfloor \frac{17}{5}\right\rfloor = 17 - 5 \cdot 3 = 2$이다.

  • 이차 상호 법칙: 가우스의 이차 상호 법칙 증명에는 바닥 함수가 사용된다.[20][21] 홀수인 소수 $p$에 대한 작은 수들의 이차적 성질을 표현하는 공식에도 바닥 함수가 사용된다.[22]

:\begin{align}

\left(\frac{2}{p}\right) &= (-1)^{\left\lfloor\frac{p+1}{4}\right\rfloor}, \\[5mu]

\left(\frac{3}{p}\right) &= (-1)^{\left\lfloor\frac{p+1}{6}\right\rfloor}.

\end{align}

  • 반올림: 실수 $x$를 양의 무한대 방향으로 묶음 풀기하여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는 것은 $\left\lfloor x+\tfrac{1}{2}\right\rfloor$로 나타낼 수 있다.

  • 양자화: 실수 $x$를 가장 가까운 정수 값으로 반올림하는 것은 기본적인 양자화기를 형성한다. 일반적인 균일 양자화기는 $Q(x) = \Delta \cdot \left\lfloor \frac{x}{\Delta} + \frac{1}{2} \right\rfloor$로 표현할 수 있다. ($\Delta$는 양자화 단계 크기)

  • 자릿수: 양의 정수 $k$를 $b$로 나타낼 때 자릿수는 $\lfloor \log_{b}{k} \rfloor + 1$이다. 예를 들어, $100$은 $10$진법으로 $3$자리 수이고, $\lfloor \log_{10}{100} \rfloor + 1 = 2 + 1 = 3$이다.

  • 르장드르 공식: 양의 정수 $n$과 양의 소수 $p$가 주어졌을 때, $n!$을 나누는 $p$의 최고 거듭제곱의 지수는 르장드르 공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24]

:\left\lfloor\frac{n}{p}\right\rfloor + \left\lfloor\frac{n}{p^2}\right\rfloor + \left\lfloor\frac{n}{p^3}\right\rfloor + \dots

예를 들어, $10!$을 나누는 $2$의 최고 거듭제곱 지수는 $\left\lfloor\frac{10}{2}\right\rfloor + \left\lfloor\frac{10}{4}\right\rfloor + \left\lfloor\frac{10}{8}\right\rfloor = 5 + 2 + 1 = 8$이다.

4. 1. 정수 부분·소수 부분

실수 x의 정수 부분은 \lfloor x\rfloor이며, 소수 부분은 \{x\}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lfloor 2.34\rfloor=2, \{2.34\}=0.34이다.

컴퓨터 과학에서는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을 다르게 정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함수를 사용한다.

:\operatorname{ip}(x):=\sgn(x)\lfloor|x|\rfloor=

\begin{cases}\lfloor x\rfloor&x\ge 0\\\lceil x\rceil&x<0\end{cases}

:\operatorname{fp}(x):=x-\operatorname{ip}(x)=\sgn(x)(|x|-\lfloor|x|\rfloor)=

\begin{cases}x-\lfloor x\rfloor&x\ge 0\\x-\lceil x\rceil&x<0\end{cases}

바닥 함수의 정의에 따라 실수 x에 대해 \lfloor x \rfloor를 정수 부분, x - \lfloor x \rfloor를 소수 부분이라고 부른다. 정수 부분은 정수이고, 소수 부분은 0 이상 1 미만의 값을 가진다. 소수 부분은 x \bmod 1\{x\}으로도 표기한다.

예를 들어, 입력값이 0 이상 또는 정수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lfloor n \rfloor = n,\;\{ n \}=0 (n은 임의의 정수)
  • \lfloor 1.7 \rfloor = 1,\;\{ 1.7 \} = 0.7
  • \left\lfloor \frac{4}{3} \right\rfloor = 1,\;\left\{ \frac{4}{3} \right\} = \frac{1}{3}
  • \lfloor \sqrt{3} \rfloor = \lfloor 1.732\cdots \rfloor = 1,\;\{ \sqrt{3} \} = \sqrt{3} -1 = 0.732\cdots
  • \lfloor \pi \rfloor = \lfloor 3.14\cdots \rfloor = 3,\;\{ \pi \} = \pi -3 = 0.14\cdots
  • \lfloor e \rfloor = \lfloor 2.71\cdots \rfloor = 2,\;\{e\} = e-2 = 0.71\cdots (\pi원주율, e는 자연 상수)


입력값이 음의 정수가 아닌 경우에는,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이 소수점 이하 부분과 일치하지 않는다.

  • \lfloor -1.7 \rfloor = -2,\;\{ -1.7 \} = 0.3
  • \left\lfloor -\frac{4}{3} \right\rfloor = -2,\;\left\{ -\frac{4}{3} \right\} = \frac{2}{3}
  • \lfloor -\sqrt{3} \rfloor = \lfloor -1.732\cdots \rfloor = -2,\;\{ -\sqrt{3} \} = 2- \sqrt{3} = 0.267\cdots
  • \lfloor -\pi \rfloor = \lfloor -3.14\cdots \rfloor = -4,\;\{ -\pi \} = 4- \pi = 0.85\cdots


-1.2의 정수 부분을 -1로 정의하는 방법(「0으로의 반올림」)도 있지만 일반적이지 않다.

양의 유리수의 대분수 표시는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진분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4. 2. 내림·올림

실수 x를 정수로 '''내림'''한 값은 \lfloor x\rfloor이며, 정수로 '''올림'''한 값은 \lceil x\rceil이다. 컴퓨터 과학에서는 변형된 내림·올림이 쓰이기도 한다. 즉, 실수 x를 정수로 내림(올림)한 값을 \operatorname{ip}(x)로 정의한다.

실수 x \ge 0제한을 두면,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버림 및 올림이다. 이것을 이용하여, 위치 기수법 표기에서의 임의의 자리에서 버림이나 반올림을 바닥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 실수 x \ge 0의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한 값은 \lfloor x+0.5 \rfloor이다.
  • 실수 x \le 0의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한 값은 \lceil x-0.5 \rceil이다.


이하 십진법 표기라고 한다. 실수 x \ge 0에 대해,

  • 10^n의 자리에서 버림은 10^{n+1} \left\lfloor \frac{x}{10^{n+1}} \right\rfloor이다.
  • 소수점 n번째 자리에서 버림은 \frac{1}{10^{n-1}} \lfloor 10^{n-1} x \rfloor이다.
  • 10^n의 자리에서 반올림은 10^{n+1} \left\lfloor \frac{x}{10^{n+1}} +0.5 \right\rfloor이다.
  • 소수점 n번째 자리에서 반올림은 \frac{1}{10^{n-1}} \lfloor 10^{n-1} x +0.5 \rfloor이다.

4. 3. 반올림

실수 x를 정수로 반올림한 값은 \lfloor x+0.5\rfloor이다. 예를 들어, \lfloor 2.34+0.5\rfloor=2, \lfloor 7.5+0.5\rfloor=8이다.

컴퓨터 과학에서는 반올림의 여러 가지 변형이 사용되는데, 이들은 반정수의 경우를 달리 정의하며, 그 밖의 경우는 원래의 반올림과 일치한다. 원래의 반올림은 반정수를 비교적 큰 정수로 근사한다. 반정수를 비교적 작은 정수로 근사하는 반올림은 x\mapsto\lceil x-0.5\rceil이며, 반정수를 절댓값이 비교적 큰 정수로 근사하는 반올림은 x\mapsto\sgn(x)\lfloor|x|+0.5\rfloor이며, 반정수를 절댓값이 비교적 작은 정수로 근사하는 반올림은 x\mapsto\sgn(x)\lceil|x|-0.5\rceil이다. 또한, '''최근 정수 함수'''(nearest integer function영어)라고 불리는 함수는 반정수를 짝수로 근사하는 반올림 함수이다.

:\operatorname{nint}(x)=\lfloor x\rceil:=

\lfloor x-0.5\rfloor-\left\lfloor\frac{x-0.5}2\right\rfloor-\left\lfloor-\frac{x-0.5}2\right\rfloor=

\begin{cases}\lfloor x+0.5\rfloor&x\not\in 2\mathbb Z+0.5\\\lfloor x-0.5\rfloor&x\in 2\mathbb Z+0.5\end{cases}

임의의 실수 x에 대해, 양의 무한대 방향으로 묶음 풀기를 하여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는 것은 \text{rpi}(x)=\left\lfloor x+\tfrac{1}{2}\right\rfloor = \left\lceil \tfrac12\lfloor 2x \rfloor \right\rceil로 표시되며, 음의 무한대 방향으로의 반올림은 \text{rni}(x)=\left\lceil x-\tfrac{1}{2}\right\rceil = \left\lfloor \tfrac12 \lceil 2x \rceil \right\rfloor로 표시된다.

묶음 풀기가 0에서 멀어지는 방향일 경우, 반올림 함수는 \text{ri}(x) = \sgn(x)\left\lfloor|x|+\tfrac{1}{2}\right\rfloor이며 (sign function 참조), 짝수로 반올림은 \lfloor x\rceil=\left\lfloor x+\tfrac{1}{2}\right\rfloor+\bigl\lceil\tfrac14(2x-1)\bigr\rceil-\bigl\lfloor\tfrac14(2x-1)\bigr\rfloor-1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는 양의 무한대 방향으로의 반올림 \text{rpi}(x)에 대한 식에서 \tfrac14(2x-1)의 정수성 지표를 뺀 것이다.

실수 x를 가장 가까운 정수 값으로 반올림하는 것은 매우 기본적인 유형의 양자화기 – ''균일''한 양자화기를 형성한다. 어떤 값 \Delta와 같은 양자화 ''단계 크기''를 갖는 일반적인 (''mid-tread'') 균일 양자화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Q(x) = \Delta \cdot \left\lfloor \frac{x}{\Delta} + \frac{1}{2} \right\rfloor

실수 x \ge 0에 제한을 두면,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는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버림 및 올림이다. 이것을 이용하여, 위치 기수법 표기에서의 임의의 자리에서 버림이나 반올림을 바닥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 실수 x \ge 0의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한 값은 \lfloor x+0.5 \rfloor이다.
  • 실수 x \le 0의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한 값은 \lceil x-0.5 \rceil이다.


이하 십진법 표기라고 한다. 실수 x \ge 0에 대해,

  • 10^{n}의 자리에서 버림은 10^{n+1} \left\lfloor \frac{x}{10^{n+1}} \right\rfloor이다.
  • 소수점 n번째 자리에서 버림은 \frac{1}{10^{n-1}} \lfloor 10^{n-1} x \rfloor이다.
  • 10^{n}의 자리에서 반올림은 10^{n+1} \left\lfloor \frac{x}{10^{n+1}} +0.5 \right\rfloor이다.
  • 소수점 n번째 자리에서 반올림은 \frac{1}{10^{n-1}} \lfloor 10^{n-1} x +0.5 \rfloor이다.

4. 4. 나머지 있는 나눗셈

두 정수 m,n\in\mathbb Z (n\ne 0)의 나머지 있는 나눗셈의 결과를 바닥 함수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몫은

:\biggl\lfloor\frac mn\biggr\rfloor

이며, 나머지는

:m-\biggl\lfloor\frac mn\biggr\rfloor n

이다.

만약 ''m''과 ''n''이 정수이고, ''n'' ≠ 0 이면,

:0 \le \left\{ \frac{m}{n} \right\} \le 1-\frac{1}

.

정수 ''x''와 양의 정수 ''y''에 대해, 모듈로 연산은 ''x'' mod ''y''로 표기하며, ''x''를 ''y''로 나눈 나머지를 값으로 한다. 이 정의는 실수 ''x''와 ''y'', ''y'' ≠ 0으로 다음 공식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x \bmod y = x-y\left\lfloor \frac{x}{y}\right\rfloor.

바닥 함수의 정의에 따라 이 확장된 연산은 많은 자연스러운 속성을 만족한다. 특히, ''x'' mod ''y''는 항상 0과 ''y'' 사이에 있다. 즉,

  • ''y''가 양수이면,

:0 \le x \bmod y

  • ''y''가 음수이면,

:0 \ge x \bmod y >y.

4. 5. 자릿수

b영어진법에서 정수 n영어의 자릿수는 다음과 같다.

:\lfloor\log_b|n|\rfloor+1=\lceil\log_b(|n|+1)\rceil

양의 정수 ''k''를 b영어로 나타낼 때 자릿수는 다음과 같다.

:\lfloor \log_{b}{k} \rfloor + 1 = \lceil \log_{b}{(k+1)} \rceil .

4. 6. 계승의 소인수 분해

르장드르 공식에 따르면, 양의 정수 ''n''과 양의 소수 ''p''가 주어졌을 때, ''n''!을 나누는 ''p''의 최고 거듭제곱의 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24]

:\left\lfloor\frac{n}{p}\right\rfloor + \left\lfloor\frac{n}{p^2}\right\rfloor + \left\lfloor\frac{n}{p^3}\right\rfloor + \dots = \frac{n-\sum_{k}a_k}{p-1}

여기서 n = \sum_{k}a_kp^k는 ''n''을 ''p''진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합은 유한한데, ''p''''k'' > ''n''일 때 바닥 함수가 0이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자연수 ''n''의 계승이 소수 ''p''로 나누어 떨어지는 횟수를 구하는 공식과 같다.[61]

:\textstyle\sum\limits_{i=1}^{\lfloor \log_p n \rfloor} \left\lfloor \dfrac{n}{p^i} \right\rfloor

5. 역사

1808년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이차 상호 법칙의 세 번째 증명에서 기호 [x]를 사용하여 바닥 함수를 정의하였다.[62] 이 기호는 1962년에 케네스 아이버슨이 《프로그래밍 언어》(''A Programming Language'')라는 책에서 바닥 함수와 천장 함수라는 용어를 정의하고 기호로 각각 \lfloor x\rfloor \lceil x \rceil 로 나타낼 때까지 표준 형태였다.[63][64] 지금은 두 사람의 기호가 모두 쓰이고 있다. 수의 ''정수 부분''은 1798년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가 르장드르 공식 증명에서 처음 정의했다.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2차 상호 법칙의 세 번째 증명(1808)에서 대괄호 표기 [''x'']를 도입했다.[3] 이는 케네스 E. 아이버슨이 1962년 저서 ''A Programming Language''에서 "floor"와 "ceiling"이라는 이름과 해당 표기 ⌊''x''⌋⌈''x''⌉를 도입할 때까지 수학에서 표준으로 남아있었다.[5][6]

바닥 함수는 \lfloor x \rfloor, 천장 함수는 \lceil x \rceil로 위아래가 잘린 꺾쇠 괄호로 표기한다. 이는 에서 `\lfloor`, `\rfloor`, `\lceil`, `\rceil`로 표기한다. 유니코드영어에서는 U+2308부터 U+230B에 할당되어 있다.

기호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이름
U+2308-&#8968;LEFT CEILING
U+2309-&#8969;RIGHT CEILING
U+230A-&#8970;LEFT FLOOR
U+230B-&#8971;RIGHT FLOOR


참조

[1] 서적 Graham, Knuth, & Patashnik, Ch. 3.1
[2] 서적 1998
[3] 서적 Lemmermeyer
[4] 서적 "Cassels, Hardy & Wright, and Ribenboim use Gauss's notation. Graham, Knuth & Patashnik, and Crandall & Pomerance use Iverson's."
[5] 서적 Iverson
[6] 서적 Higham
[7] 웹사이트 Mathwords: Floor Function http://www.mathwords[...]
[8] 웹사이트 Mathwords: Ceiling Function http://www.mathwords[...]
[9] 서적 Graham, Knuth, & Patashnik
[10] 웹사이트 LaTeX News, Issue 28 https://www.latex-pr[...] The LaTeX Project 2024-07-27
[11] 서적 Graham, Knuth, & Patashink, Ch. 3
[12] 서적 Graham, Knuth, & Patashnik
[13] 서적 Graham, Knuth, & Patashnik
[14] 서적 Graham, Knuth, & Patashnik
[15] 서적 Graham, Knuth, & Patashnik, Ex. 3.12
[16] 서적 Graham, Knuth, & Patashnik
[17] 서적 Graham, Knuth, & Patashnik
[18] 서적 Graham, Knuth, & Patashnik
[19] 서적 Titchmarsh
[20] 서적 Lemmermeyer
[21] 서적 Hardy & Wright
[22] 서적 Lemmermeyer
[23] OEIS Total number of arrangements of a set with n elements: a(n) = Sum_{k=0..n} n!/k!.
[24] 서적 Hardy & Wright, Th. 416
[25] 서적 Graham, Knuth, & Patashnik
[26] 위키백과 These formulas are from the Wikipedia article Euler–Mascheroni constant, which has many more.
[27] 서적 Titchmarsh
[28] 서적 Titchmarsh
[29] 서적 Crandall & Pomerance
[30] 서적 Crandall & Pomerance, Ex. 1.3, p. 46. The infinite upper limit of the sum can be replaced with ''n''. An equivalent condition is ''n'' > 1 is prime if and only if \sum_{m=1}^{\lfloor \sqrt n \rfloor} \bigl(\bigl\lfloor\frac{n}{m}\bigr\rfloor-\bigl\lfloor\frac{n-1}{m}\bigr\rfloor\bigr) = 1 .
[31] 서적 Hardy & Wright
[32] 서적 Ribenboim
[33] 서적 Ribenboim
[34] 서적 Crandall & Pomerance, Ex. 1.4, p. 46
[35] 서적 Ribenboim, p. 180 says that "Despite the nil practical value of the formulas ... [they] may have some relevance to logicians who wish to understand clearly how various parts of arithmetic may be deduced from different axiomatzations ... "
[36] 서적 "Any one of these formulas (or any similar one) would attain a different status if the exact value of the number α ... could be expressed independently of the primes. There seems no likelihood of this, but it cannot be ruled out as entirely impossible."
[37] 간행물 Papers
[38] 논문 On some generalizations to floor function identities of Ramanujan http://math.colgate.[...]
[39] 서적
[40] 논문 On the fractional parts of the powers of a rational number II 1957
[41] 웹사이트 C++ reference of floor function http://en.cppreferen[...] 2010-12-05
[42] 웹사이트 C++ reference of ceil function http://en.cppreferen[...] 2010-12-05
[43] 웹사이트 Math.Floor Method (System) https://docs.microso[...] 2019-11-28
[44] 웹사이트 Math.Ceiling Method (System) https://docs.microso[...] 2019-11-28
[45] 웹사이트 Math (Java SE 9 & JDK 9 ) https://docs.oracle.[...] 2018-11-20
[46] 웹사이트 Math (Java SE 9 & JDK 9 ) https://docs.oracle.[...] 2018-11-20
[47] 웹사이트 Math (Julia v1.10) https://docs.juliala[...] 2024-09-04
[48] 웹사이트 PHP manual for ceil function http://php.net/manua[...] 2013-07-18
[49] 웹사이트 PHP manual for floor function http://php.net/manua[...] 2013-07-18
[50] 웹사이트 R: Rounding of Numbers https://stat.ethz.ch[...]
[51] 웹사이트 Python manual for math module https://docs.python.[...] 2013-07-18
[52] 문서
[53] 웹사이트 Vocabulary http://www.jsoftware[...] 2011-09-06
[54] 웹사이트 INT function https://support.micr[...] 2021-10-29
[55] 웹사이트 FLOOR function https://support.micr[...] 2021-10-29
[56] 웹사이트 Documentation/How Tos/Calc: INT function https://wiki.openoff[...] 2021-10-29
[57] 웹사이트 Documentation/How Tos/Calc: FLOOR function https://wiki.openoff[...] 2021-10-29
[58] 서적 1962
[59] 서적 2012
[60] 서적 1808
[61] 문서 整数問題としての{{Nowiki|[ガウス記号]}} (2) (2015.8.25) https://inupri.web.f[...]
[62] 서적 Reciprocity Laws: from Euler to Eisenstein Springer, Berlin 2000
[63] 서적 A Programming Language Wiley 1962
[64] 서적 Handbook of writing for the mathematical sciences SI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