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싸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싸시는 티베트의 수도로, 야를룽창포강 하류에 위치하며 해발 3,700m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7세기 토번 왕조 시대부터 종교적, 정치적 중심지였으며, 조캉 사원, 포탈라 궁 등 유네스코 세계 유산을 보유한 관광 도시이다. 칭짱 철도, 라싸 공가 공항 등 교통망을 갖추고 있으며, 티베트족이 다수를 차지하는 다민족 도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싸시 - 남초호
    남초호는 티베트 자치구에 위치한 '하늘 호수'라는 뜻의 염호로, 티베트 3대 성호 중 하나이며 해발 4,718m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염호 중 하나로, 아름다운 경관과 유목민 생활을 볼 수 있어 순례자와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 티베트 자치구의 지급시 - 나취시
    티베트 자치구 북동부에 위치한 나취시는 구석기 시대부터 유구한 역사를 지닌 고대 샹슝 왕국의 일부였으며, 송나라 시대에는 '북방 사부족' 중 하나로 불리다 2017년 지급시로 승격된 탕굴라 산맥 남쪽의 교통 요충지이다.
  • 티베트 자치구의 지급시 - 산난시
    산난시는 티베트 자치구 남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야루창포 강 중상류에 자리하며 인도, 부탄과 국경을 접하고, 토번 왕조의 발상지로서 융불라칸 궁전과 삼예 사원 등 티베트 문화의 중심지이며 농업, 광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베이징시
    베이징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직할시로, 정치, 문화, 교육의 중심지이며, 3,000년의 역사를 지닌 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라싸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포탈라 궁에서 본 라싸의 모습
포탈라 궁에서 본 라싸의 모습
공식 명칭라싸시
현지 명칭중국어 간체: 拉萨市
티베트어: ལྷ་ས་གྲོང་ཁྱེར།
기타 명칭뤄셰 (로마자 표기법: Luoxie)
위치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행정 구역 종류지급시
정부 소재지청관 구
면적29,274 km²
도시 면적53 km²
고도4,150 m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8)
우편 번호850000
지역 번호891
차량 번호판 접두사藏A
ISO 3166-2CN-XZ-01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별칭일광성 (日光城)
인구 통계
인구 (2020년)867,900명
GDP총액: CN¥ 742억 ( US$ 115억)
1인당: CN¥ 85,000 ( US$ 13,100)
정치
CCP 서기푸르푸 톤춥
인민대표대회 주석다와
시장고 콕
CPPCC 주석위안 쉰왕
철도
개통티베트 철도가 중국에서 개통될 새로운 노선 중 하나

2. 역사

7세기 전반, 토번의 송첸 감포가 티베트의 수도로 정했다. 9세기 토번 붕괴 이후, 티베트의 정치적 중심은 권력자들의 소재지로 옮겨 다녔지만, 조캉 사원을 가진 라싸는 종교적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다. 17세기 간덴 포드랑 정권 시대(1642-1959)에 다시 티베트의 정치적 중추가 되었다. 간덴 포드랑, 포탈라 궁, 노블린카 궁 등은 이 정권 시대의 행정 기구 거점으로 건설되었다.

1951년 중화인민공화국은 인민해방군을 라싸에 진주시키고, 간덴 포드랑과 17개 조항 협정을 체결했으나, 간덴 포드랑의 통치는 지속되었다. 1959년 티베트 봉기가 라싸까지 확산되자, 달라이 라마와 간덴 포드랑은 티베트를 탈출했다. 중국 정부는 "구 서장 지방 정부(=간덴 포드랑)의 폐지"를 포고하고, 간덴 포드랑 관할 하의 티베트 시짱 지역 통치에 나섰다. 1960년, 고도 라싸와 인근 지방을 합쳐 "지급시" 라싸시를 설치했다.

1986년 이래 대외 개방되어, 텔레비전 타워도 세워지는 등 서부 대개발이 진행되어 관광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2. 1. 토번 왕조와 티베트 불교의 중심지

송첸캄포


7세기 전반 티베트를 통일한 토번 왕조 제33대 송첸감포는 라싸를 티베트의 수도로 정하고, 641년 당나라 황실의 문성공주를 티베트의 제2왕비로 맞이했다.[1] 네팔의 왕녀 브리쿠티 네비를 제1왕비로 맞이하고, 문성공주도 왕비로 맞아 두 왕비가 가져온 불상을 본존으로 봉인하기 위해 조캉 사원 등을 지었다.[1]

9세기 토번 왕조가 붕괴한 이후, 티베트의 정치적 중심은 권력자들의 소재지를 전전했지만, 라싸는 종교적 중심지로서의 부동의 지위를 누렸다.[1] 1414년 간덴 사원, 세라 사원, 드레펑 사원 등 라싸 3대 사원을 건립하여 겔룩빠의 본거지가 되었다.[1] 17세기 중기, 달라이 라마의 열렬한 신자인 오이라트 호쇼트 부족의 구시 칸(Güshi Khan)이 티베트를 대부분 정복하여 달라이 라마는 종파를 넘는 종교 최고 권위자로서의 지위가 확립되었고, 제종파에 대한 거루파의 우위, 특히 몽골에서의 거루파의 우세가 결정되었다.[1] 그 결과 라싸는 다시 티베트 전역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중추의 지위를 획득했을 뿐만 아니라, 티베트인, 몽골인, 만주인 등으로 구성되는 티베트 불교 문화권의 중심이 되었다.[1]

1642년 성립한 간덴포당 정권 초기, 당시의 달라이 라마 5세에 의해 포탈라궁 등 행정 기구의 거점이 건설되어 정치 중심지로서의 기능이 정비되었다.[1]

2. 2. 간덴포당 정권과 달라이 라마의 통치

7세기 전반, 토번 왕조 제33대 왕 송첸감포는 티베트를 통일하고 라싸를 수도로 정했다. 641년 당나라 황실의 문성공주를 두 번째 왕비로 맞이했는데, 이미 네팔의 왕녀 브리쿠티 네비를 첫 번째 왕비로 맞이한 상태였다. 송첸캄포는 두 왕비가 가져온 불상을 모시기 위해 조캉 사원 등을 지었다.[1]

9세기 토번 왕조가 붕괴된 후에도 라싸는 종교적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굳건히 지켰다. 1414년에는 간덴 사원, 세라 사원, 드레펑 사원 등 라싸 3대 사원이 건립되어 겔룩빠의 본거지가 되었다. 17세기 중기, 달라이 라마의 열렬한 신자인 오이라트 호쇼트 부족의 구시 칸(Güshi Khan)이 티베트 대부분을 정복하면서 달라이 라마는 종파를 초월한 종교 최고 권위자로 확립되었다. 이로써 라싸는 다시 티베트 전역의 정치, 경제, 문화적 중추이자 티베트 불교 문화권의 중심이 되었다.[1]

1642년 성립된 간덴포당 정권 초기, 당시 달라이 라마 5세는 포탈라 궁 등 행정 기구의 거점을 건설하여 라싸의 정치 중심지 기능을 정비했다. 1986년부터 대외에 개방되어 점차 관광도시로 발전하고 있다.[1]

2. 3.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642년 간덴 포당 정권 초기, 달라이 라마 5세에 의해 포탈라궁 등 행정 기구 거점이 건설되어 정치 중심지로서 기능이 정비되었다.[1] 1986년 이래 대외에 개방되어 점차 관광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1]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을 창립하고 국민당과 그 지도자 장제스에 맞서 중국 내전을 이끌었다.[1] 장제스는 이후 중국을 떠나 타이완으로 갔다.[1] 마오쩌둥은 1949년 10월 1일 베이징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선포했다.[1] 중화인민공화국의 티베트 합병은 텐진 갸초가 1959년 티베트 봉기가 끝나갈 무렵 생명의 위협을 느껴 인도 맥레오드 간지로 피신하여 맥마흔 라인 근처 다람살라에 도착하면서 이루어졌다.[1]

1956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설치한 시짱 자치구 준비위원회(티베트 자치구 준비위원회)는 이 시에 본거지를 두고, 1965년 발족한 시짱 자치구의 수부가 되었다.[1]

3. 지리

중앙아시아에서의 라싸의 위치 (노란색 선은 비단길을 나타낸다)


라싸는 고원 평지 지형으로 인해 온화한 기후를 보이며, 연 평균 기온은 8°C로 매우 춥거나 더운 날씨는 드물다. 연간 3,000시간 이상의 일조량을 기록하여 일부 티베트인들은 '햇볕 도시'라고 부르기도 한다.[15][16][17] 연 강수량은 426.4mm로 주로 7월, 8월, 9월에 비가 집중된다. 우기는 여행하기 가장 좋은 시기로 여겨지는데, 밤에만 비가 오고 낮에는 맑은 날씨가 이어지기 때문이다. 1월 강수량은 0.8mm이며, 8월 강수량은 120.6mm이다.[15][16][17]

이 지역의 암석에는 고생대중생대의 퇴적암이 포함되어 있으며, 백악기 동안 화강암이 관입했다. 암석은 변성되었고 깊이 침식되고 단층이 발생했다. 레팅짱포 협곡에서 노출된 암석의 연령은 4억 년에서 5천만 년까지 다양하다. 단층 작용의 결과 비교적 최근의 암석과 훨씬 오래된 암석이 종종 병치되기도 한다. 해저의 일부는 티베트 고원으로 밀려 올라가 대리석이나 슬레이트를 형성하기도 했다. 4억 년 전의 해양 화석이 강 협곡에서 발견되며, 집은 슬레이트로 지붕을 덮는 경우가 있다.

양바자인 지열 지대는 나이옌탕글라 산맥의 산록 단층대에 의해 발생한 반-그라벤 단층-함몰 분지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다. 지열 저수지는 기본적으로 대형 화강암 관입암체에 의해 밑받침된 제4기 분지이다. 이 분지는 북쪽에서 온 빙하 퇴적물과 남쪽에서 온 충적-강수 퇴적물로 채워졌다. 유체는 분지 주변의 단층을 통해 수평으로 저수지로 흘러 들어간다. 열수의 화학 분석 결과, 지열 지대 바로 아래에 얕은 곳에 위치한 마그마 활동이 있음을 나타낸다.

지난 2백만 년 동안의 빙하기 동안 티베트 고원과 히말라야 산맥은 확장된 극지방 빙상에 여러 번 덮였다. 얼음이 이동하면서 암석을 침식하여 강 협곡을 자갈로 채웠다. 일부 구간에서는 강이 자갈을 뚫고 암반 위로 빠르게 흐르며, 일부 지역에서는 큰 바위가 강으로 떨어져 급류를 형성하기도 한다.

3. 1. 위치 및 지형

라싸 계곡


티베트 중앙부, 야를룽창포 강 하류 지역에 위치하며, 해발 3,700m 지점에 있다. 라싸는 조캉 사원을 중심으로 한 환상 도로 「파르콜(八角街)」의 주변으로 펼쳐지는 구시가와 구시가의 서쪽으로 펼쳐지는 중국의 지배 하에서 건설된 신시가로 구성된다. 라싸 시는 고도 라싸와 그 교외 지역의 청관구와 그 주변의 7현으로 구성된다. 라싸의 동쪽에 위치하는 산난 지구와 함께, 중앙 티베트 동부의 우 지방을 구성한다. 티베트족이 87%를 차지한다.

라싸시는 히말라야산맥 북쪽에 위치한 티베트 남중부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지급시는 동서 방향으로 277km이며, 남북 방향으로는 202km이다. 면적은 29518km2에 달한다.

북쪽으로는 나취 시, 동쪽으로는 닝치 시, 남쪽으로는 산난 시/로카 시, 서쪽으로는 르카쩌 시와 접한다.

이 지급시는 대략적으로 티베트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인 라싸 강 유역에 해당한다. 청관구는 또한 티베트의 교통, 통신, 교육, 종교의 중심지이며, 포탈라 궁, 조캉 사원, 라모체 사원과 같은 주요 관광 명소와 함께 티베트에서 가장 발달된 지역이다.

3. 2. 라싸 강 유역

라싸시(拉薩市)는 대략 라싸강 유역과 일치하며, 얄룽장포강의 주요 지류이다. 예외적으로 담슝현 북부는 녠칭탕구라산맥의 분수계를 지나 남초 호수의 일부를 포함하며,[1] 녜모현은 얄룽장포강의 직접적인 지류인 니무마추강 유역을 포함한다.

강 유역은 남쪽의 고이칼라 리규 산맥과 얄룽장포강 계곡으로 분리되어 있다.

라싸강의 가장 큰 지류인 레팅창포강은 약 5500m의 고도에서 나취 지구의 첸탕굴라산맥에서 발원하여 레팅 사원을 지나 라싸로 남서쪽으로 흐른다.

라싸강은 32471km2 면적을 배수하며, 얄룽장포강 중류의 가장 큰 지류이다. 유역의 평균 고도는 약 4500m이다. 유역은 복잡한 지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지각 활동이 활발하다. 지진이 흔하게 발생한다. 수질은 좋으며, 하수 방출이 적고 화학 살충제와 비료 사용이 최소화되어 있다.

라싸강은 담슝현에서 흘러나오는 파크 추, 퐁돌라 추, 그리고 레팅 사원 너머에서 발원하는 레팅창포강의 세 작은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형성된다. 가장 높은 지류는 녠칭탕구라산맥의 남쪽 사면에서 약 5290m의 고도에서 발원한다. 상류에서 강은 깊은 계곡을 따라 남동쪽으로 흐른다. 하류로 내려갈수록 강 계곡은 더 평평해지고 방향을 남서쪽으로 바꾼다. 강의 폭은 150m 에서 200m로 확장된다. 하류의 주요 지류로는 펑보강과 두이롱강이 있다. 하구에서 라싸 계곡은 약 약 4.83km 폭이다.

물의 대부분은 7월에서 9월까지 내리는 여름 몬순 강우에 의해 공급된다. 여름에는 7월부터 9월까지 홍수가 발생하며, 연간 유출량의 약 17%가 9월에 흐른다. 겨울에는 강 수위가 낮아지고 때로는 얼어붙는다. 총 유량은 약 4km3이며, 평균 유량은 약 125m3/s이다. 강 유역의 총 수력 발전 잠재력은 2,560,000 kW이다. 마이조쿵가현의 지콩 수력 발전소는 100 MW를 공급한다. 린주현의 팡두오 수력 발전소는 총 설비 용량이 160MW이다.

3. 3. 기후

라싸는 고원 평지 지형으로 인해 온화한 기후를 가지며, 연 평균 기온은 8°C로 매우 춥거나 더운 날씨는 드물다. 연간 3,000시간 이상의 일조량을 기록하여 일부 티베트인들은 '햇볕 도시'라고 부르기도 한다.[15][16][17]

연 강수량은 426.4mm이며, 주로 7월, 8월, 9월에 비가 집중된다. 우기는 여행하기 가장 좋은 시기로 여겨지는데, 밤에만 비가 오고 낮에는 맑은 날씨가 이어지기 때문이다. 1월 강수량은 0.8mm이며, 8월 강수량은 120.6mm이다.[15][16][17]

둔데첸 구의 초원


라싸 계곡은 미국 남부와 비슷한 위도에 위치하지만, 해발 3610m 이상에 있어 기온이 더 낮다. 티베트 중앙 강 유역은 여름에 따뜻하며, 가장 추운 겨울에도 햇볕이 잘 드는 날에는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지 않는다. 기후는 반건조 몬순 기후로, 평균 기온은 1.2°C에서 7.5°C로 낮다. 연평균 강수량은 466.3mm이며, 6월에서 9월 사이에 85%가 내린다. 일반적으로 연간 3,000시간의 일조량이 있다. 북부 지역은 더 시원하고, 남부 지역은 더 따뜻하다.

구역지역평균 기온무상일수강수량
°C°Fmmin
청관 구중앙8°C110500mm
두이룽더칭 구중앙7°C120310mm
다쯔 구중앙7.5°C130500mm
당슝 현북부1.3°C62481mm
린저우 현중앙2.9°C ~ 5.8°C120310mm
모주궁카 현중앙5.1°C ~ 9.1°C90515.9mm
니무 현남부6.7°C100324.2mm
취수이 현남부style="text-align:center"|style="text-align:center"|150441.9mm



1979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온과 강수량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기온 상승으로 인해 저지대에서는 눈이 없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그러나 고지대에서는 강수량이 증가하여 온난화에도 불구하고 눈이 없는 기간이 짧아지고 있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온대 하우 기후(Cwb)와 스텝 기후(BSk)의 경계에 해당한다.

4. 행정 구역

티베트어 병음인구 (2010년)면적 (km2)인구 밀도 (/km2)시 관할 구역청관 구城关区Chéngguān Qūཁྲིན་ཀོན་ཆུས།khrin kon chus
Chingoin Qü279,074525531.56교외 지역둬룽데칭 구堆龙德庆区Duīlóngdéqìng Qūསྟོད་ལུང་བདེ་ཆེན་ཆུས།stod lung bde chen chus
Dölungdêqên Qü52,2492,67219.55다저 구达孜区Dázī Qūསྟག་རྩེ་ཆུས།stag rtse chus
Dagzê Qü26,7081,36119.62농촌 지역담슝 현当雄县Dāngxióng Xiànའདམ་གཞུང་རྫོང་།dam gzhung rdzong
Damxung Zong46,46310,2344.54룬주 현林周县Línzhōu Xiànལྷུན་གྲུབ་རྫོང་།lhun grub rdzong
Lhünzhub Zong50,2464,10012.25마이조쿵가 현墨竹工卡县Mòzhúgōngkǎ Xiànམལ་གྲོ་གུང་དཀར་རྫོང་།mal gro gung dkar rdzong
Maizhokunggar Zong44,6745,4928.13녜모 현尼木县Nímù Xiànསྙེ་མོ་རྫོང་།snye mo rdzong
Nyêmo Zong28,1493,2668.61취쉬 현曲水县Qūshuǐ Xiànཆུ་ཤུར་རྫོང་།chu shur rdzong
Qüxü Zong31,8601,62419.61


5. 인구

라싸시의 인구 통계는 행정 구역 설정 방식과 통계 수집 방식 때문에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싸시의 인구는 약 867,891명이며, 이 중 약 16.9%가 한족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티베트족이다.[5] 많은 수가 시와 읍에 거주하며, 대부분 청관구 또는 그 인근에 살고 있으며 나머지는 농촌 지역에 거주한다.

2000년 인구 조사는 전체 현급시의 인구를 가도(街道), 진(镇), 향(乡)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제공한다.

총 인구한족 인구티베트족 인구
가도(街道)171,71962,226104,203
진(镇)60,1173,08356,614
향(乡)242,66315,275226,307
총계474,49980,584387,124



라싸시의 광역 행정 구역은 도시 지역 대부분과 4개의 농촌 읍을 포함한다. 현(縣)에는 도시가 포함되어 있으며, 라싸시에는 9개의 도시가 있다. 2000년 공식 인구 조사 수치는 다음과 같다.

총 인구도시/읍
인구
비농업
등록 인구
농업
등록 인구
청관 구223,001171,719133,60386,395
두이룽더칭 구40,54317,1973,83636,608
다쯔 현24,9067,3821,46423,431
담슝 현39,1698,5302,02336,975
린주 현50,8958,1112,25448,362
묵죽공가 현38,9205,4091,52637,384
니무 현27,3756,0821,19025,981
취수 현29,6907,4061,56428,057
라싸시 전체474,499231,836147,460323,193



인구 조사 수치는 같은 기간의 티베트 통계 연감과 상당히 다른데, 연감에는 등록된 인구만 포함되며 거주지가 아닌 출생지를 기준으로 인구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1990년 인구 조사는 연감과 유사한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숫자가 오해의 소지가 있지만, 2000년 인구 조사는 라싸에 6개월 이상 실제로 거주한 사람들을 계산하려고 시도했다. 인구 조사는 "농업" 등록과 "비농업" 등록을 구분하지만, 이는 사람들의 실제 직업을 반영하지 않는다. "농업"으로 등록된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도시나 읍에서 일할 수 있다.

또한 인구 조사는 건설과 같은 계절 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한족 노동자들이 티베트에 없는 11월에 실시되었으며, 군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5. 1. 민족 구성

중국 정부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라싸의 인구는 52만 1500 명이다. 이 중 각 시의 구 인구는 25만 7400 명이다. 라싸는 티베트족, 한족, 후이족 등 31개 민족이 거주하며 티베트족이 시 인구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이주자들의 인구가 포함된 것이나 주둔한 군사 수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티베트 망명 집단은 과거 몇 년간 중국의 다른 지역에서의 이주민(특히 한족과 후이족)의 유입으로 티베트족은 소수라고 주장한다. 많은 외국 언론인들의 보도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라싸 시의 민족 구성 (2000)
총 인구티베트족한족기타
라싸 시474,499387,12481.6%80,58417.0%6,7911.4%
청관 구223,001140,38763.0%76,58134.3%6,0332.7%
린저우 현50,89550,33598.9%4190.8%1410.3%
당슝 현39,16938,68998.8%3470.9%1330.3%
니무 현27,37527,13899.1%1910.7%460.2%
취수이 현29,69028,89197.3%7462.5%530.2%
두이룽더칭 현40,54338,45594.8%1,8684.6%2200.5%
다쯔 현24,90624,66299.0%2120.9%320.1%
모주궁카 현38,92038,56799.1%2200.6%1330.3%



라싸 거리에서 마니차를 돌리는 티베트 여성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첸관 구(城关区)에는 다른 곳에 등록된 105,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있다. 그들 대부분은 농업 등록을 가진 한족이다. 첸관 구 밖에서는 두이룽더칭 현취수 현의 한 곳을 제외하고, 라싸의 대도시 지역 근처에 있는 거의 모든 농촌 향의 한족 인구는 2.85% 미만이었다. 양바자이를 제외한 도시 진의 한족 인구는 2.86%에서 11.25% 사이였다. 대도시 지역 내에서는 한족 인구가 남부 농촌 향에서는 11.26%에서 11.25% 사이였고, 도시 가도 사무소에서는 46.56%에서 47.46% 사이였다.

한족 이주민들은 인구의 20%를 차지했지만, 더 높은 지위의 사무직 및 서비스 부문 직업에서 훨씬 더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한족은 또한 건설, 광업, 무역을 지배했다.

라싸 버터 시장


라싸 과자 시장, 1993


1993년 추르푸 곰파 위의 유목민 캠프


2000년 11월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싸 현급시의 민족 분포는 다음과 같았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른 라싸 현급시의 주요 민족별 분포
총계티베트족한족기타
첸관 구223,001140,38763.0%76,58134.3%6,0332.7%
두이룽데첸 구40,54338,45594.8%1,8684.6%2200.5%
다저 구24,90624,66299.0%2120.9%320.1%
담슝 현39,16938,68998.8%3470.9%1330.3%
룬주 현50,89550,33598.9%4190.8%1410.3%
마이저쿵가르 현38,92038,56799.1%2200.6%1330.3%
니무 현27,37527,13899.1%1910.7%460.2%
취쉬 현29,69028,89197.3%7462.5%530.2%
총계474,499387,12481.6%80,58417.0%6,7911.4%


6. 교통

라싸 공가 공항은 시 남쪽에서 98km 떨어진 곳에 있다.

중국 국도 318선 (미라산)


중국 국도 318선은 미라산에서 동쪽으로 라싸시에 진입하며, 해발 5000m에 이른다.[12] 이 도로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마이저쿵가현을 통과한다.[13] 라싸강의 남쪽 강변을 따라 다게현을 통과한 다음, 첸관구에서 강 북쪽으로 건너 도시 중심부를 통과한다. 도로는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도이룽데첸구를 지나며, 여기서 109번 국도와 합류하여 라싸강 서쪽을 따라 취수현을 통과하고, 녜모현을 거쳐 야를룽장포강 북쪽을 따라 서쪽으로 이어진다.[14]

라싸 공항 고속도로의 갈라산 터널


중국 국도 109선 (칭하이-티베트 고속도로)은 담슝현을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통과한 다음, 양바자이에서 남동쪽으로 방향을 튼다.[14] 두이룽강 계곡을 따라 도이룽데첸구를 지나 라싸 바로 서쪽에서 중국 국도 318선과 합류한다.[15] 라싸에서 르카 (산난 지구)의 라싸 쿵가 공항까지 이어지는 라싸 공항 고속도로는 티베트 자치구 최초의 고속도로이다.[16] 건설은 2009년 4월에 시작되었으며, 길이는 37.8km인 4차선 도로이다.[17]

6. 1. 철도

칭짱열차 개통으로 부동산 거래가 늘고 물가가 상승했다. 매일 다섯 편의 열차가 라싸 기차역을 오가며, 베이징 서역까지는 T27 열차가 47시간 28분 소요된다. 청두, 충칭, 란저우, 광저우, 상하이 등에서도 열차가 출발하며, 처음 가는 사람들은 고산병에 대비해 산소마스크나 상비약을 준비해야 한다.

칭하이-티베트 철도는 담슝현과 두이룽데첸구를 지나 칭하이-티베트 고속도로 옆의 라싸시를 통과한다.[8] 뉴 신구(류우향)에 있는 라싸역은 칭하이-티베트 노선의 종착역으로, 해발 3600m 이상에 위치한 가장 큰 여객 수송 역이다. 이 역에는 산소 치료 시설을 갖춘 진료소가 있으며, 난방을 위해 태양 에너지를 사용한다.[9] 류우교는 라싸 강 남쪽 강변에 있는 라싸 중심부와 라싸역, 그리고 새로 개발된 두이룽데첸구의 뉴 신구를 연결한다.[10]

2030년에는 현재 건설 중인 쓰촨-티베트 철도가 청두와 라싸를 연결할 예정이며,[8] 이 노선은 길이가 1629km이고,[9][10] 청두에서 라싸까지의 이동 시간을 48시간에서 13시간으로 단축할 것이다.[11]

칭하이-티베트 철도 라싸역

6. 2. 항공

라싸 공가 공항은 라싸 시내 중심부에서 차로 30분 정도 거리, 시 남쪽으로 98km 떨어진 곳에 있다. 라싸 공가 공항의 소재 자치구는 산난 시이다.

6. 3. 도로

중국 국도 318호선은 미라산에서 동쪽으로 라싸시에 진입하며, 해발 5000m에 이른다. 이 고속도로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마이저쿵가현을 통과한다. 이 도로는 라싸강의 남쪽 강변을 따라 다게현을 통과한 다음, 첸관구에서 강 북쪽으로 건너 도시 중심부를 통과한다. 도로는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도이룽데첸구를 지나며, 여기서 109번 국도와 합류하여 라싸강 서쪽을 따라 취수현을 통과하고, 녜모현을 거쳐 야를룽장포강 북쪽을 따라 서쪽으로 이어진다.

중국 국도 109호선 (칭하이-티베트 고속도로)은 담슝현을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통과한 다음, 양바자이에서 남동쪽으로 방향을 튼다. 이 도로는 두이룽강 계곡을 따라 도이룽데첸구를 지나 라싸 바로 서쪽에서 중국 국도 318호선과 합류한다. 라싸에서 르카 (산난 지구)의 라싸 쿵가 공항까지 이어지는 라싸 공항 고속도로는 티베트 자치구 최초의 고속도로이다. 건설은 2009년 4월에 시작되었다. 고속도로의 길이는 37.8km이며 4차선이다.

7. 교육

라싸에는 티베트 대학교와 티베트 티베트 의과대학 2개의 대학교와 라싸 사범대학, 티베트 경찰대학, 티베트 직업 기술 대학 3개의 특수 전문대학이 있다.[6]

티베트 대학교(티베트어: བོད་ལྗོངས་སློབ་གྲྭ་ཆེན་མོ་)는 티베트 자치구의 주요 대학교이다. 캠퍼스는 라싸 시내 동쪽에 위치한 청관구에 있다. 1952년에 전신이 설립되었으며, 1985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정식으로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약 8,000명의 학생들이 이 대학에 재학 중이다. 티베트 대학교는 티베트 자치구에서 가장 높은 학문적 수준을 가진 종합 대학교이다. 권위 있는 211 공정의 회원이며, 쌍일류 학과(Double First Class Disciplines) 계획의 지원을 받는다.[7]

농촌 지역에는 일반적으로 마을 단위의 많은 초등학교가 있으며, 출석률이 높고, 최소 1개의 중등학교가 있다.



라싸 외부 지역에서는 대부분의 티베트인들이 중국어를 이해하지 못하므로, 티베트어가 기본적인 교육에 자연스러운 언어이다. 그러나 이는 교사의 가용성과 지역 행정부의 선호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2003년 기준으로 예전의 이중 언어 교육 방식은 라싸 인근 일부 현에서 중국어로 교육을 제공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수학 및 물리학과 같은 과목의 시험 결과는 이미 좋지 않았는데, 변경 후 점수가 더 떨어졌다.

8. 문화

티베트 불교는 사람들의 삶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송첸 감포 왕(649년 사망)에 의해 티베트의 공식 종교로 채택된 불교는 이후 티베트에 정착했고, 현재는 종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최초의 사원인 ''삼예 사원''은 트리송 데첸에 의해 창건되었다. 건물들은 비하르에 있는 오단타푸리 사원을 따라 만다라 형태로 배치되었다. 3층짜리 사원은 766년에 완공되어 767년에 봉헌되었다. 7명의 티베트인들이 승려 서약을 하여 오랜 티베트 수도 불교 전통의 시작을 알렸다.

예르파 유적 (1993년)


라싸시의 대부분의 사찰은 문화 대혁명 (1966–76) 전후에 피해를 입었고, 많은 사찰이 파괴되었다. 조캉 사원은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군대 막사 및 도살장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중국 관리들을 위한 호텔로 사용되었다. 많은 조각상들이 빼앗기거나, 손상되거나 파괴되었으며, 현재 조각상의 대부분은 최근에 복제된 것이다. 라모체 사원은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스위스의 지원을 받아 복원되었다. 니탕 돌마 사원은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큰 피해를 입지 않았으며, 방글라데시 정부의 요청에 따라 저우언라이 총리의 개입으로 인해 대부분의 귀중한 유물을 보존할 수 있었다.

레팅 사원은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홍위병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부분적으로만 복원되었다. 추르푸 사원은 잔해로 변했지만, 거대한 사찰과 염불당이 재건되었다. 드리궁 사원은 문화 대혁명 (1966–76) 전후에, 승려들이 숨길 수 있었던 몇 개의 작은 조각상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조각상, , 탱화, 필사본 및 기타 물품을 약탈당했다. 건물들은 심각하게 손상되었다. 1983년에 재건이 시작되었으며, 15개의 사찰 중 7개가 재건되었다. 양파첸 사원은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파괴되었지만, 나중에 재건되었다.

간덴 사원은 1959년 반란 동안 완전히 파괴되었다. 1966년에는 홍위병 포병의 심한 포격을 받았고, 승려들은 잔해를 해체해야 했다. 건물들은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다이너마이트를 사용하여 잔해로 만들었다. 1980년대부터 재건이 계속되었다. 네충 사원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지만, 대부분 복원되었다. 2층에는 구루 린포체 (파드마삼바바)의 거대한 새 조각상이 있다.

1985년에 라싸 계곡의 9개 유적지가 티베트 자치구 문화 유물 당국에 의해 "지역 보호 건물"로 지정되었다. 이 유적지에는 구시가지의 창궁 수녀원, 메루 사원 및 대 카슈미르 모스크, 그리고 과거 관할 구역의 카르마샤르 사원, 메루 닝바 사원 및 북, 남, 동, 서 릭숨 사원이 포함되었다.

라싸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에 의해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8. 1. 세계 유산

1994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포탈라궁이 「라싸의 포탈라 궁 역사 유적군」으로 등재되었고,[1] 2000년에는 조캉 사원이,[1] 2001년에는 노브림카가 추가로 등재되었다.[1] 현재 연간 40만 명에서 5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다.[1]

조캉 사원, 현재 세계 문화 유산

8. 2. 주요 사찰



다그제 현에 있는 간덴 사원의 승려들


7세기 전반 티베트를 통일한 토번 왕조 제33대 왕 송첸감포641년 당나라 황실의 문성공주를 제2왕비로 맞이했다. 이미 네팔의 왕녀 브리쿠티 네비를 제1왕비로 맞이한 그는 두 왕비가 가져온 불상을 모시기 위해 조캉 사원 등을 지었다.[1] 9세기 토번 왕조가 붕괴된 후에도 라싸는 종교적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굳건히 지켰다.[1]

1414년에는 간덴 사원, 세라 사원, 드레펑 사원 등 라싸 3대 사원이 건립되어 겔룩빠의 본거지가 되었다.[1] 1642년에 성립한 간덴포당 정권 초기, 달라이 라마 5세에 의해 포탈라궁 등 행정 기구의 거점이 건설되어 정치 중심지로서의 기능이 정비되었다.[2]

1994년 유네스코포탈라궁을 세계 유산으로 지정했고, 2000년에는 조캉 사원을, 2001년에는 노브림카를 추가로 등재했다.[3]

불교는 송첸 감포 왕(649년 사망)에 의해 티베트의 공식 종교로 채택되었다. 최초의 사원인 ''삼예 사원''은 트리송 데첸에 의해 창건되었다. 조캉 사원은 청관 구에 위치하며, 7세기에 송첸 감포가 수도를 라싸로 옮기면서 네팔 왕비 트리춘이 가져온 부처상을 모시기 위해 지어졌다. 조캉 사원 북쪽에 있는 라모체 사원은 조캉 사원 다음으로 라싸에서 가장 중요한 사원으로 여겨진다.

무루 닝바 사원은 랑다르마 치하의 불교 박해 때 파괴되었지만 아티샤(980–1054)에 의해 재건되었다. 니에탕 드롤마 사원(Nyethang Drolma Temple)은 취쉬 현 니에탕에 위치해 있으며, 일부 자료에 따르면 아티샤(980–1054)가 이 수도원을 지었으며, 그의 사후 제자 드롬톤(1004–64)에 의해 확장되었다고 한다.

도룽데첸 구에 있는 추르푸 수도원(Tsurphu Monastery)은 1189년에 제1대 카르마파 라마 두숨 켄파(Düsum Khyenpa, 1st Karmapa Lama)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카르마 카규(Karma Kagyu) 종파의 주요 사찰이다. 드릭궁 수도원(Drigung Monastery)은 카규(Kagyu) 종파에 속하며, 1179년 마이조쿵가르 현에 세워졌다. 양파첸 수도원(Yangpachen Monastery)은 담슝 현 양바자잉에 위치해 있으며, 역사적으로 카르마 카규(Karma Kagyu)의 샤마르파(Shamarpa)의 거점이었다.

간덴 사원은 겔룩 종파의 창시자인 쫑카파의 주도로 1409년 이후에 건설되었으며, 이 종파에서 가장 중요한 사원이다. 드레풍 사원은 첸관 구에 위치하며, 쫑카파의 주요 제자 중 한 명인 자미양 초제 타시 팔덴(1397–1449)에 의해 1416년에 창건되었다. 라싸에서 북쪽으로 약 약 3.22km 떨어진 세라 사원은 쫑카파의 가까운 제자인 잠첸 초제 샤캬 예셰(1354–1435)에 의해 1419년에 창건되었다. 간덴, 드레풍, 세라는 겔룩파 학파의 위대한 "세 개의 배움의 자리"라고 불린다.

네충 사원은 네충 신탁의 이전 거처였으며, 두이룽데칭 현의 나이춍 읍에 위치해 있다.

9. 국제 관계

라싸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국제 관계를 맺고 있다.

국가도시
-- 네팔카트만두
-- 미국볼더
-- 러시아엘리스타
-- 이스라엘베이트셰메시
-- 볼리비아포토시


9. 1. 자매 도시

wikitext

10.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拉萨人口 https://web.archive.[...] 2017-07-27
[2] 웹사이트 拉萨市2019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www.tjcn.org/[...] 2021-03-12
[3] 간행물 Lhasa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Tibet railway among new lines to open in China https://www.railjour[...] 2021-06-28
[5] 웹사이트 How Much Does Beijing Control the Ethnic Makeup of Tibet? https://www.chinafil[...] 2023-05-08
[6] 웹사이트 全国高等学校名单 -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政府门户网站 http://www.moe.gov.c[...] 2022-06-18
[7] 웹사이트 教育部 财政部 国家发展改革委关于公布世界一流大学和一流学科建设高校及建设学科名单的通知 -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政府门户网站 http://www.moe.gov.c[...]
[8] 웹사이트 China Approves New Railway for Tibet https://web.archive.[...] CRI 2014-11-09
[9] 웹사이트 西藏拉林铁路开工建设 http://politics.peop[...] 2014-12-19
[10] 웹사이트 四川藏区加速构建立体交通网 https://web.archive.[...] 2021-08-24
[11] 웹사이트 China starts work on central section of Sichuan-Tibet Railway https://www.railjour[...] 2021-02-13
[12] 문서 ལྷའུ་ ས lha'i sa、注:[[無声音]]のため、ヘーサと聞こえる
[13] 문서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中華人民共和国民政部
[14] 문서 西藏自治区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15]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0-04-15
[16] 웹인용 CMA台站气候标准值(1991-2020)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4-11
[17] 웹인용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年) https://web.archive.[...] 중국기상국 2010-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