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장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장조는 으뜸음이 D인 장조의 조이다. 바이올린을 비롯한 현악기에서 연주하기 용이하며, 특히 바이올린의 D현은 개방현으로 밝은 음색을 낸다. 바로크 시대에는 '영광의 조성'으로 여겨져 트럼펫과 팀파니를 사용한 축제적인 음악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낭만주의 시대까지 많은 작곡가들이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했다. 라장조로 작곡된 유명한 곡으로는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모차르트의 교향곡 31번, 베토벤의 교향곡 2번, 브람스의 교향곡 2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음계 - 가장조
가장조는 으뜸음이 A인 장음계로 A, B, C#, D, E, F#, G# 음으로 구성되며 교향곡, 실내악, 현악기 음악 등 다양한 작품에서 사용되고 작품의 분위기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 장음계 - 마장조
마장조는 으뜸음이 E인 장음계로 E, F♯, G♯, A, B, C♯, D♯ 음으로 구성되며, 바이올린의 최고 개방현인 E선을 으뜸음으로 하여 밝은 울림을 내고 바로크 시대 대위법 음악과 낭만주의 시대 다단조 작품의 느린 악장에 주로 사용되었다. - 조성 - 조 (음악)
조 (음악)는 특정 시대, 지역,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스타일이나 양식을 의미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고 한국 사회에서도 고유한 방식으로 수용되고 있다. - 조성 - 마단조
마단조는 마(E)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단음계로, 바이올린과 기타 연주에 용이하며 샤르팡티에 의해 "요염함과 슬픔"을 나타내는 조성으로 평가받았고 바흐, 베토벤, 쇼팽 등 여러 작곡가들의 작품에 사용되었다. - 라장조 작품 - 남아프리카의 외침
'남아프리카의 외침'은 아프리칸스어 노래로, 과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가였으나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상징으로 여겨졌고, 현재는 '주여, 아프리카를 구원하소서'와 함께 새로운 국가의 일부로 사용되며 화해와 갈등의 복잡한 역사를 상징한다. - 라장조 작품 - 엘살바도르의 국가
엘살바도르의 국가는 1879년 대통령의 주도로 작사 및 작곡되었으며, 쿠데타 시기를 제외하고 1953년 의회의 승인을 받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스페인어 가사의 곡이다.
라장조 | |
---|---|
조성 | |
이름 | 라장조 |
영어 이름 | D major |
독일어 이름 | D-dur |
프랑스어 이름 | Ré majeur |
이탈리아어 이름 | Re maggiore |
딸림조 | 가장조 |
버금딸림조 | 사장조 |
나란한조 | 나단조 |
같은 으뜸음조 | 라단조 |
구성음 | |
첫째 음 | D |
둘째 음 | E |
셋째 음 | F |
넷째 음 | G |
다섯째 음 | A |
여섯째 음 | B |
일곱째 음 | C |
관련 항목 | |
조표 | 올림표 2개 |
2. 음계의 화음 종류
라장조 음계에 나타나는 주요 화음은 다음과 같다.
2. 1. 으뜸화음 (Tonic)
'''으뜸화음''' - D 장화음2. 2. 웃으뜸화음 (Supertonic)
E 단화음2. 3. 가온화음 (Mediant)
F♯ 단화음2. 4. 버금딸림화음 (Subdominant)
G 장화음2. 5. 딸림화음 (Dominant)
A 장화음[1]2. 6. 버금가온화음 (Submediant)
B 단화음2. 7. 이끎화음 (Leading-tone)
C♯ 감화음3. 특징
라장조는 바이올린 음악에 적합하다. 악기의 구조상 개방현이 G, D, A, E로 조율되어 있기 때문이다. D 음은 개방현으로서 음색이 좋으며, 다른 모든 오케스트라 현악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이유로, 모차르트(2번, 1775년, 4번, 1775년), 베토벤(1806년), 파가니니(1번, 1817년), 브람스(1878년), 차이콥스키(1878년), 프로코피예프(1번, 1917년), 스트라빈스키(1931년), 코른골트(1945년) 등 많은 서양 고전 음악 작곡가들이 D장조로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했다.
기타 음악에도 적합하며, 드롭 D 튜닝을 하면 두 개의 D를 개방현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조옮김 악기 중 내림나 관악기에서는 마장조로 조옮김되기 때문에 일부 초보 관악기 연주자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초보일 경우, 일반적으로 올림표가 세 개 이상 있는 조성을 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 클라리넷은 D장조 음악에 자주 사용되며, 이는 이 악기에 가장 실용적인 샵이 많은 조일 것이다.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3번과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의 4악장처럼, D단조 곡을 쓸 때 B 클라리넷을 사용하는 작곡가 중에는 음악이 D장조로 바뀌면 A 클라리넷으로 바꾸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틴 휘슬은 D조로 되어 있는데, 이는 종종 피들 음악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는 펍 세션 연주에 흔한 조이다.
"D"라는 문자가 신(deus)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숭고한 정신을 표현하고 싶을 때 선호된다는 의견도 있다.
바로크 시대부터 초기 낭만주의 시대에 걸쳐 현악기의 울림이 가장 좋고 트럼펫과 팀파니를 사용할 수 있는 조로 중요시되었으며, 축제적인 행사를 위해 많이 작곡되었다. 샤르팡티에는 이 조에 대해 "기쁨과 웅장함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마테존은 "다소 날카롭고 고집스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소란스럽고 즐거운 것, 호전적인 것, 고무적인 것에 가장 적합하다"고 말했다.
바이올린의 현의 소리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바이올린으로 연주하기 쉽고 기능 화성상의 으뜸음, 딸림음, 버금딸림음의 5도가 개방현이기 때문에 배음의 울림이 풍부한 조이며 예로부터 화려하고 밝은 울림을 얻을 수 있는 조로 여겨진다. 따라서, 바이올린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곡에는 이 조의 곡이 많다. 베토벤, 브람스, 차이콥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들이 각각 라장조인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덧붙여 더블베이스는 19세기 초까지 지역에 따라 바이올린의 울림이 좋은 라장조에 맞추기 위해 위에서부터 A-F#-D-AA-FF(곡에 따라 EE, EbEb, DD)로 조현되었다. 이것을 빈식 조현이라고도 한다.
트럼펫은 현재 B♭관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초기 낭만주의 시대까지는 관현악의 주역을 담당했던 바이올린에 맞춰 D관이 많이 사용되었다. D관은 B♭관보다 관이 짧기 때문에 저항이 적고, 이 때문에 밝고 가벼운 음색을 내기 쉽다고 여겨진다. 또한, D관에 국한되지 않고, 많은 금관악기의 기초가 되는 B♭관에서도 관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비교적 낮은 배음(제5배음)에 D음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역시 밝은 소리를 내기 쉽다.
18세기 중기부터 19세기 초까지의 팀파니는 가죽의 조임 정도에 따라 라조, 다조, 내림마조의 세 종류가 많이 조율되었다(덧붙여 내림나조는 가죽이 헐렁해지기 쉬워 둔한 울림이 되고, 바조에서는 팽팽하고 날카로운 울림이 되기 때문에 거의 조율되지 않았다). 라조일 때는 으뜸음인 라음과 딸림음인 4도 아래의 라음의 두 개의 팀파니가 사용되어 가장 좋은 울림을 냈다. 따라서 트럼펫과 팀파니에 어울리는 곡이 눈에 띈다.
플루트는, 초기 낭만주의 시대까지는 트럼펫과 마찬가지로 관현악의 주역을 담당했던 바이올린에 맞춰 D관이었지만, 음역 확장을 위해 발부관이 덧붙여져 C관이 되었다. 또한, 플루트 속의 피콜로에는 발부관이 덧붙여지지 않아 현대에도 D관으로 남아있다. 오보에에 이르러도 관장으로 본 조성은 B♭관 (18세기는 C관)이지만 발부관을 제거하면 D관이 된다. 이처럼 관현악에서는 밝은 울림을 얻을 수 있는 조이며, 초기 낭만주의까지 오페라의 서곡, 교향곡, 협주곡, 디베르티멘토, 현악 사중주 등으로 많이 작곡되었다. 모차르트도 이 조를 좋아하여 많은 곡을 이 조로 작곡했다.
한편, 쇼팽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조이다.
기타에서는 라장조의 곡을 연주할 때 6현의 조현을 통상의 E에서 D로 낮춰 (드롭 D 튜닝)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주요 3화음의 근음이 모두 개방현으로 울리게 되어 연주가 쉬워진다.
4. 역사
바로크 시대에는 라장조가 '영광의 조성'으로 여겨져[3] 트럼펫 협주곡이나 소나타에 많이 사용되었다. 헨델의 "메시아", 바흐의 마니피카트 등 종교 음악에서도 중요한 조성으로 사용되었다.
고전주의 시대에는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등 많은 작곡가들이 라장조로 교향곡, 협주곡, 실내악곡 등을 작곡했다. 특히 모차르트는 라장조를 선호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다.
라장조는 바이올린 음악에 잘 어울리는데, 악기 구조상 G, D, A, E로 조율되는 개방현이 D현과 공명하여 밝은 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낭만주의 시대에도 베토벤, 브람스, 차이콥스키 등 많은 작곡가들이 라장조로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했다. 낭만주의 시대에는 베토벤의 교향곡 9번, 로베르트 슈만의 교향곡 4번, 세자르 프랑크의 교향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교향곡 1번, 펠릭스 멘델스존의 교향곡 5번을 포함한 여러 라단조 교향곡의 마지막 악장에 사용되었다.
라장조로 작곡된 유명한 교향곡으로는 모차르트의 31번 (파리), 35번 (하프너), 38번 (프라하), 베토벤의 2번, 브람스의 2번, 시벨리우스의 2번, 프로코피예프의 1번 (고전) 등이 있다.
"D"라는 문자가 신(deus)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숭고한 정신을 표현하고 싶을 때 라장조가 선호되기도 한다. 샤르팡티에는 이 조에 대해 "기쁨과 웅장함을 나타낸다"고 말했으며, 마테존은 "다소 날카롭고 고집스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소란스럽고 즐거운 것, 호전적인 것, 고무적인 것에 가장 적합하다"고 말했다.
18세기 중기부터 19세기 초까지의 팀파니는 가죽의 조임 정도에 따라 라조, 다조, 내림마조의 세 종류가 많이 조율되었다. 라조일 때는 으뜸음인 라음과 딸림음인 4도 아래의 라음의 두 개의 팀파니가 사용되어 가장 좋은 울림을 냈다. 따라서 트럼펫과 팀파니에 어울리는 곡이 눈에 띈다.
기타에서는 라장조의 곡을 연주할 때 6현의 조현을 통상의 E에서 D로 낮춰 (드롭 D 튜닝)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주요 3화음의 근음이 모두 개방현으로 울리게 되어 연주가 쉬워진다.
4. 1. 바로크 시대의 라장조
바로크 시대에 라장조는 '영광의 조성'[3]으로 여겨졌다. 요한 프리드리히 파슈, 그로스, 몰터 (2번), 레오폴트 모차르트, 텔레만 (2번), 주세페 토렐리 등 많은 작곡가들이 라장조로 트럼펫 협주곡을 작곡했다.[1] 아르칸젤로 코렐리, 페트로니오 프란체스키니, 퍼셀, 토렐리 등은 라장조로 트럼펫 소나타를 작곡했다. 헨델의 메시아 중 "트럼펫이 울려 퍼지리라"와 "할렐루야" 합창, 그리고 그의 대관식 찬가 사독 신부도 라장조이다.4. 2. 고전주의 시대의 라장조
하이든의 104개 교향곡 중 23개는 라장조로, 그의 교향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주요 조성이다.[3] 모차르트의 번호 없는 교향곡 대다수는 라장조인데, K. 66c, 81/73, 97/73m, 95/73n, 120/111a, 161/163/141a가 이에 해당한다.[4] 교향곡은 서곡에서 발전했으며, "라장조는 18세기 후반 서곡에서 가장 흔한 조성이었다."[2]4. 3. 낭만주의 시대의 라장조
바이올린의 현 소리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연주하기 쉽고, 기능 화성상의 으뜸음, 딸림음, 버금딸림음의 5도가 개방현이기 때문에 배음의 울림이 풍부하다. 예로부터 화려하고 밝은 울림을 얻을 수 있는 조로 여겨져 바이올린 협주곡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대표적으로 베토벤, 브람스, 차이콥스키의 곡들이 라장조이다.[3]5. 유명 작품
다음은 라장조로 작곡된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작곡가 | 작품명 |
---|---|
안토니오 비발디 | 글로리아 RV 589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BWV 1050 |
무반주 첼로 모음곡 6번, BWV 1012 | |
관현악 모음곡 3번, BWV 1068 | |
관현악 모음곡 4번, BWV 1069 | |
마니피카트, BWV 243 | |
파르티타 4번, BWV 828 | |
요한 파헬벨 | 캐논 D장조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왕궁의 불꽃놀이, HWV 351 |
요제프 하이든 | 첼로 협주곡 2번, 작품 101, Hob. VIIb/2 |
현악 사중주 41번, Hob.III:49 ("개구리") | |
현악 사중주 53번, Hob.III:63 ("종달새") | |
현악 사중주 64번, Hob.III:79 ("라르고") | |
교향곡 86번, Hob.I:86 | |
교향곡 96번, Hob.I:96 ("기적") | |
교향곡 101번, Hob.I:101 ("시계") | |
교향곡 104번, Hob.I:104 ("런던") |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교향곡 8번, KV 48 |
교향곡 20번, KV 133 | |
교향곡 30번, KV 202 | |
교향곡 31번, KV 297 ("파리") | |
교향곡 35번, KV 385 ("하프너") | |
교향곡 38번, KV 504 ("프라하") | |
피아노 협주곡 5번, KV 175 | |
피아노 협주곡 16번, KV 451 | |
피아노 협주곡 26번, KV 537 ("대관식") | |
현악 사중주 20번, KV 499 ("호프마이스터") | |
현악 사중주 21번, KV 575 | |
현악 오중주 5번, KV 593 | |
피아노 소나타 6번, KV 284 ("뒤른니츠") |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피아노 소나타 9번, KV 311 |
피아노 소나타 18번, KV 576 | |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KV 448 |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선제후 소나타 3번 WoO 47/3 |
피아노 포 핸즈 소나타, 작품 6 | |
현악 삼중주 2번, 작품 8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편곡, 작품 42) | |
현악 삼중주 4번, 작품 9/2 | |
현악 사중주 3번, 작품 18, 3번 | |
플루트, 바이올린, 비올라를 위한 세레나데 작품 25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편곡, 작품 41) | |
바이올린 소나타 1번 작품 12/1 | |
피아노 소나타 7번, 작품 10/3 | |
피아노 소나타 15번, 작품 28 ("전원") | |
교향곡 2번, 작품 36 | |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 61 |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피아노 삼중주 5번, 작품 70, 1번 ("유령") |
터키 행진곡에 의한 변주곡 작품 76 | |
첼로 소나타 5번, 작품 102/2 | |
프란츠 슈베르트 | 교향곡 1번, D. 82 |
교향곡 3번, D. 200 | |
교향곡 10번, D 936A | |
현악 사중주 6번, D. 74 | |
현악 사중주 7번, D. 94 | |
피아노 소나타 17번, D 850 "가스타이너" | |
펠릭스 멘델스존 |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곡 2번과 8번 |
고요한 바다와 즐거운 항해, 작품 27 | |
현악 사중주 3번, 작품 44, 1번 | |
첼로 소나타 2번, 작품 58 | |
오르간 소나타 5번, 작품 65, 5번 | |
펠릭스 멘델스존 | 피아노 육중주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2대, 첼로, 더블베이스), 유작 110 |
프레데리크 쇼팽 | 마주르카, 작품 33, 2번 |
전주곡 5번, 작품 28 | |
요하네스 브람스 | 헝가리 무곡 6번, WoO 21 |
세레나데 1번, 작품 11 | |
교향곡 2번, 작품 73 | |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 77 | |
피아노 독주를 위한 발라드 2번, 작품 10/2 | |
피아노 독주를 위한 두 세트의 변주곡, 작품 21 | |
알렉산드르 보로딘 | 현악 사중주 2번 |
에밀 발트토이펠 | 에스투디안티나 왈츠, 작품 191 |
표트르 차이콥스키 | 현악 사중주 1번, 작품 11 |
교향곡 3번, 작품 29 ("폴란드") | |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 35 | |
안토닌 드보르자크 | 현악 사중주 3번, B. 18 |
피아노 사중주 1번, B. 53, 작품 23 | |
교향곡 6번, B 112 작품 60 | |
라장조 미사, B 153/175, 작품 86 | |
체코 모음곡, B 39 작품 39 | |
슬라브 무곡 6번, B 83 작품 46 | |
구스타프 말러 | 교향곡 1번 "거인" |
교향곡 9번 (내림 라장조로 끝남) | |
장 시벨리우스 | 교향곡 2번, 작품 43 |
바다의 요정, 작품 73 | |
랄프 본 윌리엄스 | 교향곡 5번 라장조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작품 19 |
교향곡 1번, 작품 25 ("고전") | |
플루트 소나타 작품 94 (그리고 바이올린 소나타 2번 작품 94bis로 편곡) |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현악 사중주 4번, 작품 83 |
전주곡 5번, 작품 87, 5번 | |
에이토르 빌라로부스 | 기타를 위한 에튀드 3번 |
5. 1. 기악곡
다음은 라장조(D Major)로 작곡된 기악곡 목록이다.작곡가 | 작품명 |
---|---|
안토니오 비발디 | 글로리아 RV 589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5번, BWV 1050 |
무반주 첼로 모음곡 6번, BWV 1012 | |
관현악 모음곡 3번, BWV 1068 | |
관현악 모음곡 4번, BWV 1069 | |
마니피카트, BWV 243 | |
파르티타 4번, BWV 828 | |
요한 파헬벨 | 캐논 D장조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왕궁의 불꽃놀이, HWV 351 |
요제프 하이든 | 첼로 협주곡 2번, 작품 101, Hob. VIIb/2 |
현악 사중주 41번, Hob.III:49 ("개구리") | |
현악 사중주 53번, Hob.III:63 ("종달새") | |
현악 사중주 64번, Hob.III:79 ("라르고") | |
교향곡 86번, Hob.I:86 | |
교향곡 96번, Hob.I:96 ("기적") | |
교향곡 101번, Hob.I:101 ("시계") | |
교향곡 104번, Hob.I:104 ("런던") |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교향곡 8번, KV 48 |
교향곡 20번, KV 133 | |
교향곡 30번, KV 202 | |
교향곡 31번, KV 297 ("파리") | |
교향곡 35번, KV 385 ("하프너") | |
교향곡 38번, KV 504 ("프라하") | |
피아노 협주곡 5번, KV 175 | |
피아노 협주곡 16번, KV 451 | |
피아노 협주곡 26번, KV 537 ("대관식") | |
현악 사중주 20번, KV 499 ("호프마이스터") | |
현악 사중주 21번, KV 575 | |
현악 오중주 5번, KV 593 | |
피아노 소나타 6번, KV 284 ("뒤른니츠") | |
피아노 소나타 9번, KV 311 |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피아노 소나타 18번, KV 576 |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KV 448 | |
아베 베룸 코르푸스, KV 618 |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선제후 소나타 3번 WoO 47/3 |
피아노 포 핸즈 소나타, 작품 6 | |
현악 삼중주 2번, 작품 8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편곡, 작품 42) | |
현악 삼중주 4번, 작품 9/2 | |
현악 사중주 3번, 작품 18, 3번 | |
플루트, 바이올린, 비올라를 위한 세레나데 작품 25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편곡, 작품 41) | |
바이올린 소나타 1번 작품 12/1 | |
피아노 소나타 7번, 작품 10/3 | |
피아노 소나타 15번, 작품 28 ("전원") | |
교향곡 2번, 작품 36 | |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 61 |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
피아노 삼중주 5번, 작품 70, 1번 ("유령") | |
터키 행진곡에 의한 변주곡 작품 76 | |
첼로 소나타 5번, 작품 102/2 |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장엄 미사, 작품 123 |
프란츠 슈베르트 | 교향곡 1번, D. 82 |
교향곡 3번, D. 200 | |
교향곡 10번, D 936A | |
현악 사중주 6번, D. 74 | |
현악 사중주 7번, D. 94 | |
피아노 소나타 17번, D 850 "가스타이너" | |
펠릭스 멘델스존 |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향곡 2번과 8번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연주회용 변주곡, Op. 17 | |
고요한 바다와 즐거운 항해, 작품 27 | |
현악 사중주 3번, 작품 44, 1번 | |
첼로 소나타 2번, 작품 58 | |
오르간 소나타 5번, 작품 65, 5번 | |
펠릭스 멘델스존 | 피아노 육중주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2대, 첼로, 더블베이스), 유작 110 |
프레데리크 쇼팽 | 마주르카, 작품 33, 2번 |
전주곡 5번, 작품 28 | |
요하네스 브람스 | 헝가리 무곡 6번, WoO 21 |
세레나데 1번, 작품 11 | |
교향곡 2번, 작품 73 | |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 77 | |
피아노 독주를 위한 발라드 2번, 작품 10/2 | |
피아노 독주를 위한 두 세트의 변주곡, 작품 21 | |
알렉산드르 보로딘 | 현악 사중주 2번 |
에밀 발트토이펠 | 에스투디안티나 왈츠, 작품 191 |
표트르 차이콥스키 | 현악 사중주 1번, 작품 11 |
교향곡 3번, 작품 29 ("폴란드") | |
바이올린 협주곡, 작품 35 | |
안토닌 드보르자크 | 현악 사중주 3번, B. 18 |
피아노 사중주 1번, B. 53, 작품 23 | |
교향곡 6번, B 112 작품 60 | |
라장조 미사, B 153/175, 작품 86 | |
체코 모음곡, B 39 작품 39 | |
슬라브 무곡 6번, B 83 작품 46 | |
구스타프 말러 | 교향곡 1번 "거인" |
교향곡 9번 (내림 라장조로 끝남) | |
장 시벨리우스 | 교향곡 2번, 작품 43 |
바다의 요정, 작품 73 | |
랄프 본 윌리엄스 | 교향곡 5번 라장조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작품 19 |
교향곡 1번, 작품 25 ("고전") | |
플루트 소나타 작품 94 (그리고 바이올린 소나타 2번 작품 94bis로 편곡) |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현악 사중주 4번, 작품 83 |
전주곡 5번, 작품 87, 5번 | |
에이토르 빌라로부스 | 기타를 위한 에튀드 3번 |
5. 2. 성악곡
- 안토니오 비발디
- * 글로리아 RV 589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 마니피카트 BWV 243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 메시아 중 "할렐루야"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 아베 베룸 코르푸스 KV 618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Key Characteristics in th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1996
[2]
서적
Antonio Salieri & Viennese Oper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
서적
A History of Key Characteristics in th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ies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1996
[4]
서적
Antonio Salieri & Viennese Oper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