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톨두스 로타링기아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톨두스 로타링기아는 889년 바이에른에서 태어났으며 동프랑크 왕 아르눌프의 서자이다. 896년 이탈리아의 분봉왕으로 임명되었으나, 영향력은 밀라노 인근 지역에 한정되었다. 929년에 사망했으며, 아들은 에베르스부르크 백작 아달베르토 5세이다. 그의 가족 관계는 아르눌프의 서자이며, 형제로는 츠벤티볼트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89년 출생 - 이변 (남당)
이변은 오대십국시대 남당의 초대 황제로, 오나라 섭정에서 양보의 선양을 통해 황제가 되었고, 국호를 제에서 당으로 변경하였으며, 재위 기간 동안 민생 안정과 법률 정비, 주변국과의 평화적인 관계를 추구했다. - 889년 출생 - 미나모토노 긴타다
미나모토노 긴타다는 10세기 헤이안 시대의 귀족으로, 관직을 역임하며 스자쿠 천황 시대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난에 기여했고, 우타아와세 참여와 와카를 남기는 등 문화 활동을 했으며 꿩고기 미각 감별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 - 황자 -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알렉산드르 3세의 아들이다. - 황자 - 게오르기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게오르기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3세의 셋째 아들로, 결핵으로 인해 요양 생활을 하다 28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929년 사망 - 박언창
박언창은 신라 경명왕의 아들로 사벌주 자사로 부임하여 후사벌을 건국하고 왕을 칭했으나, 후백제의 공격으로 나라가 멸망하고 전사했으며, 그의 아들 박욱은 고려 개국 공신이 되고 후손들은 상주 박씨의 시조가 되었다. - 929년 사망 - 교황 레오 6세
암흑시대 혼란기에 마로치아의 영향으로 선출된 교황 레오 6세는 스플리트 시노드 결정 승인과 달마티아 교회 조사 마무리 후 929년 2월 사망하여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되었다.
라톨두스 로타링기아이 | |
---|---|
기본 정보 | |
출생 | 889년경 |
사망 | 896년 1월 |
매장 | 파비아 |
칭호 | 이탈리아의 왕 |
통치 기간 | 896년 |
선임자 | 람베르토 |
후임자 | 베렌가리오 1세 |
아버지 | 아르눌프 |
어머니 | 불명 |
2. 생애
라톨두스는 동프랑크 왕국의 왕 아르눌프의 서자이다. 896년 아버지에 의해 이탈리아 분봉왕으로 임명되었으나, 람베르토 2세에게 패하여 동프랑크 왕국으로 돌아왔다. 929년에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라톨드는 889년 바이에른에서 태어났다. 그는 동프랑크 왕국의 왕 아르눌프의 서자였으며, 츠벤티볼트와는 같은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형제로 추정된다. 작센족 역사가가 쓴 풀다의 연대기에 따르면 츠벤티볼트와 라톨드 모두 서자로 기록되어 있으나, 생모가 누구인지는 기록되지 않았다.889년 아버지 아르눌프는 정식 왕비에게서 아들이 태어나지 않을 경우, 츠벤티볼트와 라톨드를 자신의 후계자로 인정하도록 동프랑크 왕국 귀족들을 설득하려 했다. 하지만 귀족들은 이에 별다른 호응을 보이지 않았다. 다른 설에 따르면, 아르눌프는 동프랑크 왕국 본토 대신 츠벤티볼트에게는 로타링기아를, 라톨드에게는 이탈리아를 물려줄 계획이었다고도 한다.
894년 아버지 아르눌프는 교황의 요청으로 군대를 이끌고 로마로 진격하여 파비아에서 스폴레토 공국 세력을 물리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관과 이탈리아 왕관을 얻었다. 이후 아르눌프는 알프스산맥을 넘어 동프랑크 왕국으로 돌아갔다. 896년 라톨드는 아버지로부터 이탈리아의 분봉왕으로 임명되어 프리울리 변경백 베렌가리오 1세와 함께 밀라노에 머물렀다. 그러나 그의 실제 영향력은 밀라노 서부와 알프스산맥 인근 지역에 한정되었다. 한편, 이탈리아의 롬바르디아족들은 그의 이름이 형제 츠벤티볼트처럼 슬라브족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 아닌지 의심하기도 했다. 같은 해 람베르토 2세가 다시 이탈리아를 장악하자, 라톨드는 그의 군대에 패배하여 동프랑크 왕국으로 돌아와야 했다.
2. 2. 이탈리아 분봉왕
894년 아버지 아르눌프가 교황의 요청으로 군사를 일으켜 로마로 진군했다. 그는 파비아에서 스폴레토 공작가를 물리치고 제관과 이탈리아 왕관을 얻었다.이후 아버지 아르눌프는 알프스산맥을 넘어 동프랑크로 돌아갔다. 896년 라톨드는 아버지로부터 이탈리아의 분봉왕으로 임명되어, 프리울리 후작 베렌가르와 함께 밀라노에 머물렀다. 그러나 그의 실제 영향력은 밀라노 서쪽 지역과 알프스산맥 인근에 한정되었다. 당시 롬바르디아인들은 그의 이름이 형 츠벤티볼트처럼 슬라브족에서 유래한 것이 아닌지 의심하기도 했다. 같은 해 람베르토 2세가 다시 이탈리아를 장악했고, 라톨드는 그의 군대에 패배하여 동프랑크로 돌아가야 했다.
2. 3. 사망
929년에 사망했다. 아들은 에베르스부르크 백작 아달베르토 5세(Adalbert V van Ebersberg)였고, 그의 직계는 손자 울리히의 대에 단절된다.3. 가족 관계
- 아버지 : 아르눌프(Arnulf, 850년 - 899년)
- * 형 또는 이복 형 : 츠벤티볼트(Zwentivold, 870년 - 900년)
- ** 조카 : 고드프리(Godfrey), 팔라틴 백작
- * 누이 : 글리스무트(Glismut) 또는 글리스모트
- * 매부 : 프랑켄 공 콘라트(Conrad von Franken)
- ** 외조카 : 콘라두스 1세(Conrad I, 890년 - 918년)
- * 이복 동생 : 루트비히 유아왕(Louis IV the Child, 893년 - 911년)
- 부인 : 안더흐의 힐린가르트(Helingarde De Andechs, 880년 - ?), 안더흐의 시기하르트(Sigihard de andechs)의 딸
- * 아들 : 에베르스부르크 백작 아달베르토 5세(Adalbert V van Ebersberg, 907년 - 970년 9월 11일)
- * 며느리 : 리트가르트(Luigarde)
- ** 손녀딸 : 에베르스부르크의 하데무트(Hadamut van Ebersberg, 945/950 - 1013)
- ** 손자 : 케른텐 공작 울리히 1세(Ulrich I van Karinthië, 935년 - 1029년 3월 11일)
- ** 손녀딸 : 리우트가르트(Luitgard, ? - 970년)
- ** 손녀딸 : 게르투르디스(Gertrudis, ?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