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파엘 칼데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파엘 칼데라는 베네수엘라의 정치인으로, 1969년부터 1974년까지, 그리고 1994년부터 1999년까지 두 차례 베네수엘라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1916년 산펠리페에서 태어나 법학을 전공했으며, 1930년대부터 학생 운동과 노동 운동에 참여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46년 기독교 민주당인 COPEI를 창당하여 기독교 민주주의를 라틴 아메리카에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석유 산업 국유화, 사회 개혁, 외교 정책 변화 등을 추진했다. 퇴임 후에도 학문 및 국제 활동을 이어갔으며, 1993년 무소속으로 대통령에 당선되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그는 베네수엘라의 주요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하고, 저술 활동을 통해 정치 사상을 펼쳤으며, 2009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라쿠이주 출신 - 헨리 팔콘
    헨리 팔콘은 베네수엘라 정치인으로 바르키시메토 시장과 라라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우고 차베스 정부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강조한다.
  • 베네수엘라의 변호사 - 안토니오 블랑코
    안토니오 구스만 블랑코는 베네수엘라의 정치인으로 세 차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볼리바르 창설, 교육 및 공공 사업 추진 등 베네수엘라 발전에 기여하고 독재적 통치와 경제 및 법률 개혁을 추진했다.
  • 베네수엘라의 변호사 - 라몬 호세 벨라스케스
    베네수엘라의 정치인, 역사학자, 언론인인 라몬 호세 벨라스케스는 울티마스 노티시아스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하여 엘 나시오날 회장과 베네수엘라 국립 역사 아카데미 회장을 지냈으며, 1993년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아 1994년까지 재임했다.
라파엘 칼데라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라파엘 칼데라
원어 이름라파엘 안토니오 칼데라 로드리게스
로마자 표기Rafael Antonio Caldera Rodríguez
출생일1916년 1월 24일
출생지산펠리페, 베네수엘라
사망일2009년 12월 24일
사망지카라카스, 베네수엘라
직업변호사
서명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배우자알리시아 피에트리 몬테마요르
자녀미레야 칼데라
라파엘 토마스 칼데라
후안 호세 칼데라
알리시아 엘레나 칼데라
세실리아 칼데라
안드레스 칼데라
모교베네수엘라 중앙 대학교
안장지동부 묘지 (베네수엘라)
정치 경력
소속 정당COPEI (1946–1993)
국가 수렴 (1993–2009)
역대 직책
46대 및 51대베네수엘라 대통령
임기 시작1994년 2월 2일
임기 종료1999년 2월 2일
이전라몬 호세 벨라스케스 (대행)
다음우고 차베스
종신 상원의원 임기 시작1999년 2월 2일
종신 상원의원 임기 종료1999년 12월 20일
종신 상원의원 임기 시작1974년 3월 11일
종신 상원의원 임기 종료1994년 2월 2일
45대베네수엘라 대통령
임기 시작1969년 3월 11일
임기 종료1974년 3월 11일
이전라울 레오니
다음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
베네수엘라 국회 의장역임
임기 시작1959년
임기 종료1962년
다음마누엘 비센테 레데스마
베네수엘라 법무장관역임
임기 시작1945년 10월 26일
임기 종료1946년 4월 13일

2. 정치 입문 이전

라파엘 칼데라 로드리게스는 1916년 1월 24일 베네수엘라 산펠리페에서 라파엘 칼데라 이사기레와 로사 소피아 로드리게스 리베로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두 살 반에 어머니를 여의고 외삼촌 부부에게 양육되었다.[7] 칼데라는 고향에서 초등학교를, 카라카스에 있는 예수회 학교인 산 이그나시오 데 로욜라에서 중등 교육을 받았다. 15세에 중등 교육을 마친 후, 중앙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7]

1920년, 선원 복장을 한 어린 라파엘 칼데라


1935년, 19세의 칼데라


1931년 10월 16일, 카라카스 산 이그나시오 학교 졸업식 시상식에서의 라파엘 칼데라. (손글씨): "사랑하는 엄마와 아빠께, 제 학교 시절의 추억을 온 마음을 다해 드립니다."


19세에 안드레스 벨로의 삶과 업적을 분석한 책 ''안드레스 벨로''[8]를 출판하여 베네수엘라 국립어학원에서 상을 받았다. 이 책은 안드레스 벨로에 대한 중요한 연구 자료로 평가받는다.

엘레아사르 로페스 콘트라스 대통령은 20세의 칼데라가 쓴 노동 문제 칼럼을 보고 그를 국가 노동청 부국장으로 임명했다.[9] 칼데라는 베네수엘라 최초의 노동법 초안 작성에 참여했으며, 이 법은 1990년까지 시행되었다. 국제노동기구(ILO) 통신원으로 활동하며 윌프리드 젠크스와 협력했다.[9]

대학 시절 칼데라는 학생 운동에 참여했다. 후안 비센테 고메스에 맞선 학생 조직인 베네수엘라 학생 연맹(FEV)에 가입했지만, 지도부의 반교권 개혁 요구에 반대하여 탈퇴했다.[10] 1936년에는 국가 학생 연합(UNE)을 설립했다.[11]

1940년, 카라카스 미라시엘로스에서 알리시아와의 약혼식 당시 칼데라. 사진에는 그의 아버지 라파엘 칼데라 이사기레, 그의 누이 로사 엘레나, 그리고 그의 이모와 삼촌이자 양부모인 마리아 에바 로드리게스와 토마스 리스카노가 함께 있다.


1939년 변호사 및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베네수엘라 중앙대학교 강당에서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라파엘 칼데라 로드리게스는 1916년 1월 24일 베네수엘라 산펠리페에서 라파엘 칼데라 이사기레와 로사 소피아 로드리게스 리베로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두 살 반에 어머니를 여의고 외삼촌 부부에게 양육되었다.[7] 칼데라는 고향에서 초등학교를, 카라카스에 있는 예수회 학교인 산 이그나시오 데 로욜라에서 중등 교육을 받았다. 15세에 중등 교육을 마친 후, 중앙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7]

19세에 안드레스 벨로의 삶과 업적을 분석한 책 ''안드레스 벨로''[8]를 출판하여 베네수엘라 국립어학원에서 상을 받았다. 이 책은 안드레스 벨로에 대한 중요한 연구 자료로 평가받는다.

엘레아사르 로페스 콘트라스 대통령은 20세의 칼데라가 쓴 노동 문제 칼럼을 보고 그를 국가 노동청 부국장으로 임명했다.[9] 칼데라는 베네수엘라 최초의 노동법 초안 작성에 참여했으며, 이 법은 1990년까지 시행되었다. 국제노동기구(ILO) 통신원으로 활동하며 윌프리드 젠크스와 협력했다.[9]

대학 시절 칼데라는 학생 운동에 참여했다. 후안 비센테 고메스에 맞선 학생 조직인 베네수엘라 학생 연맹(FEV)에 가입했지만, 지도부의 반교권 개혁 요구에 반대하여 탈퇴했다.[10] 1936년에는 국가 학생 연합(UNE)을 설립했다.[11]

2. 2. 초기 학문적 성과

라파엘 칼데라 로드리게스는 1916년 1월 24일 베네수엘라 산펠리페에서 라파엘 칼데라 이사기레와 로사 소피아 로드리게스 리베로의 아들로 태어났다.[7] 두 살 반 때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칼데라는 외삼촌 부부에게 양육되었다. 칼데라는 고향에서 초등학교를, 카라카스의 예수회 학교인 산 이그나시오 데 로욜라에서 중등 교육을 받았다.[7] 15세에 중등 교육을 마치고 다음 해 베네수엘라 중앙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7]

19세에 안드레스 벨로의 전집 26권을 연구하여 첫 저서 ''안드레스 벨로''[8]를 출판했다. 이 책은 베네수엘라 국립어학원에서 상을 받았고, 19세기 베네수엘라 주요 문필가에 대한 필독서가 되었다.

로페스 콘트라스 대통령은 20세의 칼데라가 쓴 노동 문제 신문 칼럼을 보고 그를 국가 노동청 부국장으로 임명했다.[9] 칼데라는 베네수엘라 최초의 노동법 초안 작성에 참여했고, 이 법은 1990년까지 시행되었다.[9] 국제노동기구(ILO) 전문가 윌프리드 젠크스가 이 법을 검토했고, 칼데라와 협력했다.[9] 젠크스는 이후 국제 노동법전에 베네수엘라 노동법 초안의 내용이 포함되었다고 밝혔다.[9]

칼데라는 학생 운동에도 참여했다. 28년 세대가 주도한 베네수엘라 학생 연맹(FEV)에 가입했지만, 지도부가 반교권 개혁을 요구하자 탈퇴했다.[10] 1936년, 칼데라는 국가 학생 연합(UNE)을 설립했다.[11]

3. 정치 활동

3. 1. 초기 정치 경력 (1939년 ~ 1969년)

대학 졸업 후, 칼데라는 정치 운동인 국민행동(National Action)을 창설하여 지방 선거에 참여했다.[10] 곧이어 그는 국민행동당(National Action Party)을 창당했고, 1941년에는 25세의 나이로 고향인 야라쿠이(Yaracuy) 주의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41년. 25세의 나이로 국회 최연소 의원으로 선출된 라파엘 칼데라.


하원의원으로서 그는 콜롬비아와의 1941년 국경 조약으로 이어진 법안에 강력히 반대했다.[10] 또한 1936년 헌법의 부분 개정 및 민법 개정에 대한 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진보적인 노동법 제정을 주도하는 목소리였다. 1945년 10월 27일, 칼데라는 이사이아스 메디나 안가리타(Isaías Medina Angarita) 대통령을 축출한 혁명 정부 군사위원회(Revolutionary Government Junta)의 수장인 로물로 베탕쿠르(Rómulo Betancourt)에 의해 법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946년 1월 13일, 칼데라는 베네수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정당으로 성장한 기독교 민주당인 ''Comité de Organización Política Electoral Independiente''(독립 정치 선거 조직 위원회, COPEI)를 공동 창립했다.[10] COPEI의 첫 번째 강령은 교황 회칙 사십주년(Quadragesimo Anno)(1931)의 사회적 가르침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민주주의, 다원주의 및 사회 개혁을 지지했다. 넉 달 후인 1946년 4월 13일, 칼데라는 새로 창당한 당원들이 정부 지지자들로부터 지속적인 폭력 공격을 받는 것에 항의하여 법무장관직에서 사퇴했다.

1946년, 그는 10월 혁명의 원칙에 따라 새로운 헌법을 초안 작성할 임무를 맡은 국민헌법회의(National Constituent Assembly) 대표로 선출되었다.[12] 국민헌법회의 의장인 안드레스 엘로이 블랑코(Andrés Eloy Blanco)가 입법 회의의 생방송을 허용해달라는 칼데라의 요청을 승낙함에 따라 베네수엘라 국민들은 칼데라의 연설을 들을 수 있었다. 칼데라는 이 회의에서 노동자의 사회적 권리, 사유재산의 사회적 기능, 토지 개혁, 종교의 자유, 종교 교육, 그리고 주지사의 직접 민주적 선거의 필요성에 관한 유명한 연설을 했다.

1947년 대통령 선거 유세 중인 라파엘 칼데라. 타치라주 산 크리스토발(San Cristóbal, Táchira) 도착.


1947년 선거에서 31세의 나이로 처음으로 대통령에 출마하여 전국을 돌며 새로 창당한 당의 이념을 전파했다.[12] 사회민주당 AD(민주행동)의 후보였던 저명한 베네수엘라 소설가 로물로 갈레고스(Rómulo Gallegos)가 이 선거에서 승리했다. 칼데라 또한 의회에 출마하여 1948년부터 1953년까지 하원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 1948년 11월 24일 갈레고스가 쿠데타로 축출된 후 의회 임기가 중단되었다.

1952년, 칼데라는 국민헌법회의 대표로 선출되었다.[10] 군사위원회 수장인 마르코스 페레스 히메네스(Marcos Pérez Jiménez) 대령이 URD(민주공화연합) 당의 선거 승리를 무시하고 호비토 비야르바(Jóvito Villalba)와 이 당의 다른 지도자들을 추방하자, 칼데라와 COPEI의 다른 당선자들은 새로운 헌법회의에 참여하기를 거부했다.

페레스 히메네스 군사 독재(1952-1958) 기간 동안 칼데라는 베네수엘라 중앙대학교(Universidad Central de Venezuela)에서 추방당하고 여러 차례 체포되었다.[10] 1955년 8월 3일, 반대파를 사냥하고 악명 높은 강제 수용소를 운영했던 페드로 에스트라다(Pedro Estrada)가 이끄는 대규모 비밀 경찰인 국가안보국(National Security) 요원들이 칼데라의 집에 폭탄을 투척하여 당시 9개월 된 그의 막내아이의 목숨을 위협했다. 1957년 8월 20일, 그는 다시 한번 투옥되었는데, 이번에는 페레스 히메네스가 칼데라가 1957년 12월에 예정된 대통령 선거에서 모든 야당의 합의 후보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게 된 후 독방에 수감되었다. 칼데라가 투옥되자 페레스 히메네스는 선거를 위헌적인 국민투표("찬성" 또는 "반대" 국민투표)로 바꿔 그의 권력 유지를 결정했다.

1957년 12월 국민투표 이후, 칼데라는 1958년 1월 페레스 히메네스 독재 정권에 의해 뉴욕시(New York City)로 추방되었다.[10] 그는 그곳에서 로물로 베탕쿠르와 호비토 비야르바의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그의 망명은 며칠 만에 끝났는데, 마르코스 페레스 히메네스가 1958년 1월 23일 시민 봉기와 군사 쿠데타로 축출되었기 때문이다. 베네수엘라로 돌아온 후, 세 지도자는 칼데라의 거주지에서 체결된 계약의 이름을 따서 푼토피호 협정(Puntofijo Pact)에 서명했다. 이 협정에는 중요한 정치적 합의, 특히 모든 주요 정당이 민주적 제도와 법치주의를 구축하고, 보호하고, 강화한다는 약속이 담겨 있었다. 정치학자 다니엘 H. 레빈(Daniel H. Levine)에 따르면, 그 목적은 "민주주의를 지지하고, 정당성과 생존에 대한 도전에 저항하기 위해 연합하고, 선거를 존중하며, 일반적으로 정치를 제도화하여 민주적 수단과 영역 내에서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었다.

토크쇼 ''라 오라 나시오날(La Hora Nacional)''에서 칼데라와 마리아노 피콘 살라스(Mariano Picón Salas). RCTV, 1958년.


푼토피호 협정은 베네수엘라의 가장 긴 민간 민주주의 통치 기간(1958-1999)의 기초가 되었다.

합의 후보에 대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 푼토피호 협정에 서명한 3대 주요 정당(AD, URD, COPEI)은 각자의 후보와 강령으로 1958년 대통령 선거에 참여했다.[13] 라파엘 칼데라는 로물로 베탕쿠르(AD)와 볼프강 라라사발(Wolfgang Larrazábal)(URD)에게 패했고, 이들은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칼데라는 또한 의회에 출마하여 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이 자격으로 그는 새로운 헌법 초안 작성을 담당하는 양원 위원회를 공동으로 주재했다.

1961년 헌법은 베네수엘라에서 가장 성공적이고 오랫동안 지속된 헌법이었다.[14] 이 나라는 1811년부터 1961년까지 25개의 서로 다른 헌법을 채택했으며, 그중 10년 이상 지속된 것은 3개(1830년, 1854년, 1881년)뿐이었다. 독재와 독단적 통치 아래 오랜 역사를 거친 베네수엘라는 레빈 교수의 말처럼 "남미에서 가장 안정적인 대중 민주주의 국가"가 되었다. 그는 40년 동안 "베네수엘라인들은 높은 참여, 강력한 리더십, 제도적 연속성, 진정한 광범위한 경쟁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 시스템을 구축했다. 권력은 6번의 연속적인 전국 선거에서 평화적으로 이양되었다"고 설명한다.

칼데라는 집권당(AD)의 후보인 라울 레오니(Raúl Leoni)가 승리한 1963년 대선에서 2위를 차지했다.[1] 그 직후 그는 1964년부터 1968년까지 미주 기독교 민주주의 기구(Christian Democratic Organization of America)(ODCA) 회장으로, 그리고 1967년부터 1968년까지 세계 기독교 민주 연합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68년 12월 칼데라는 세 번째로 대통령에 출마했다.[15] 이번에는 AD 내 분열의 혜택을 받았다. 상원 의장인 루이스 벨트란 프리에토 피게로아(Luis Beltrán Prieto Figueroa)가 당내 경선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당의 원로들은 프리에토가 너무 좌익이라고 생각하여 곤살로 바리오스에게 지명권을 주었다. 프리에토와 그의 지지자들은 인민 선거 운동(People's Electoral Movement)을 결성했다. 결국 칼데라는 29.1%의 득표율(3만 2천 표 차이)로 바리오스를 물리쳤다. 프리에토는 4위를 차지했지만, 그의 71만 9천 표는 칼데라의 득표 차이를 훨씬 웃돌았다.

칼데라는 1969년 3월 11일에 취임했다.[16] 독립 국가로서 139년 역사상 처음으로 집권당에서 야당으로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권력 이양이 이루어졌다. 또한 이 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폭력에 의존하지 않고 권력을 잡은 정당이었다. 그러나 COPEI는 여전히 의회에서 소수당이었다.[17]

3. 2. 첫 번째 대통령 임기 (1969년 ~ 1974년)

라파엘 칼데라는 1968년 베네수엘라 대통령 선거에서 29.1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그의 첫 번째 임기(1969년 ~ 1974년) 동안, 칼데라는 무장 좌익 게릴라의 평화적 정치 참여를 허용하는 사면 정책을 통해 10년간 지속된 게릴라전을 종식시켰다.[2]

1969년 첫 번째 임기 중 라파엘 칼데라


칼데라는 외교 정책에서 전임자들과 차이를 보였다. 그는 베탄쿠르트 독트린을 폐기하고 소련 및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 그리고 아르헨티나, 파나마, 페루 등 군사 독재 정권 국가들과의 관계를 복원했다.[18]

미국 공식 방문 중 백악관에서 리처드 닉슨 대통령과의 회담. 1970년 6월 2일.


1970년 6월 3일, 미국 의회 합동회의에서 연설하는 칼데라


칼데라는 국제 석유 시장 변화를 이용하여 석유 생산세를 인상하고 가스 산업을 국유화했으며, 미국 석유 회사를 규제하는 법률을 제정했다.[19] 1971년에는 석유 이익세를 70%로 인상하고, 석유 회사 자산이 국가에 귀속되도록 하는 탄화수소 반환법을 통과시켰다.[20] 1970년 미국 방문에서 칼데라는 베네수엘라 석유의 미국 시장 점유율 증가 약속을 받아냈고,[22] 미국 의회 연설에서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미국의 경제 정책 변화를 촉구했다.[23][24]

국내 정책으로는 교육, 주택, 인프라 개발에 주력했다. 공립 중학교와 주립 대학, 기술학교 수를 늘리고, 시몬 볼리바르 대학교, 시몬 로드리게스 국립 실험 대학교 등을 설립했다. 1970년에는 학생 시위 진압을 위해 베네수엘라 중앙 대학교에 개입하기도 했다. 칼데라 정부는 291,233세대의 주택을 건설했으며,[25] 카라카스 폴리에드로, 교육부 건물, 현대 미술관, 리오스 레이나 극장, 여러 병원, 고속도로, 공항, 댐 등을 건설했다.

3. 3. 야당 정치인 및 국제 활동 (1974년 ~ 1993년)

토마스 윌리엄스 경(토마스 윌리엄스 경)이 라파엘 칼데라에게 세계국제의원연맹 의장직을 넘겨주는 모습. 1979년 9월 21일.


유엔총회에서 세계국제의원연맹 의장으로 연설하는 모습. 1980년 8월 27일.


중국 최고 지도자 덩샤오핑과의 회담, 베이징, 중국, 1981년 4월 6일.


세계국제의원연맹 의장으로서 인도의 인디라 간디 수상과의 만남, 1982년 4월 26일.


베네수엘라 대통령직을 떠난 후, 칼데라는 학문 및 정치 활동을 계속했다. 1961년 헌법에 따라 전직 대통령에게는 상원 의원직이 종신으로 보장되었기에, 그는 베네수엘라 상원 의원으로 활동했다.

1979년부터 1982년까지 세계국제의원연맹 의장을 역임했으며[26], 같은 해 로마에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주최로 열린 세계 토지개혁 및 농촌개발 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27] 1980년에는 평화를 위한 대학교 설립을 위한 국제 협정 준비를 담당하는 국제 위원회를 주재했으며, 이 협정은 같은 해 12월 5일 유엔 총회에서 승인되었다.[28] 1987년 3월에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초청으로 추기경단 앞에서 교황 회칙 인민들의 진보(Populorum Progressio) 발표 20주년 기념 연설을 했다.[29] 이 시기 칼데라는 대부분의 제3세계 국가들을 괴롭히는 부채 위기 해결책 모색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제3세계 국가의 빈곤층과 취약 계층에게 부채 상환의 부담을 지우는 불의를 규탄했다.

칼데라는 1961년 헌법의 '설계자'로서, 1976년[30]과 1986년[31]에 헌법 15주년 및 25주년 기념 연설을 국회 특별 합동회의에서 했다. 1985년에는 노동법 개정을 위한 양원 합동 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수년간의 협의를 거쳐 1990년 말 노동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시켰다.

1989년 6월에는 헌법 개정을 위한 양원 합동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어[32] 1992년 3월에 개혁안을 제출했으나, 주요 정당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이 개혁안에는 사법부 개편과 민주주의 시민 참여 강화 방안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1999년 이후 차베스 대통령의 구성 의회 소집을 통해 그 중요성이 드러났다.

상원 의원으로서 칼데라는 1989년 2월 "카라카소(Caracazo)" 직후와 1992년 2월 4일 우고 차베스의 실패한 군사 쿠데타 이후[33] 연설을 통해 위기의 근본 원인과 민주적 가치, 제도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 약화를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92년 2월 쿠데타 한 달 후, 베네수엘라 중앙대학교에서 군사 독재와 쿠데타를 비난하고, 학생들에게 민주주의 원칙과 메커니즘을 통해 위기에 대한 해답을 찾을 것을 촉구했다.[34]

1961년 헌법에 따라 10년이 지난 1983년 대선에 다시 출마했지만 하이메 루신치에게 패배했다. 1993년, 칼데라는 국민수렴이라는 새로운 정당과 17개의 소규모 정당 연합의 지지를 받아 무소속 후보로 대통령에 출마, 클라우디오 페르민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칼데라는 첫 번째 행정부와 마찬가지로 국회에서 야당 다수당과 함께 통치해야 했다.[5]

3. 4. 두 번째 대통령 임기 (1994년 ~ 1999년)

라파엘 칼데라는 1993년 베네수엘라 대통령 선거에서 30.46%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두 번째 대통령 임기를 시작했다.[35] 그의 두 번째 정부는 급격한 유가 하락, 1993년 경기 침체와 높은 인플레이션, 그리고 심각한 은행 위기라는 세 가지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36] 재정 적자에 대응하기 위해 칼데라 정부는 1994년 연방 예산의 10% 삭감을 포함한 강력한 긴축 계획을 시행하고, 재정 입법 개혁과 새로운 세금 징수 기관인 SENIAT을 설립했다.[36]

1994년 1월, 칼데라 취임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베네수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은행인 Banco Latino가 파산하여 정부가 인수했고, 10월까지 10개 이상의 파산 은행을 압류했다.[36] 정부의 금융 부문 구제는 예금자들에게 약 60억 달러를 보장했는데, 이는 연간 국가 예산의 약 75%에 해당하고 국내총생산(GDP)의 13%에 달하는 수치였다.[36]

칼데라 대통령은 국제통화기금 (IMF)과의 합의에 따라 1996년에 ''Agenda Venezuelaes''라는 새로운 경제 계획을 시행했다. 이 계획에는 국내 연료 가격 인상, 금리 자유화, 임시 변동 환율제 아래 환율 체제 통합, 현재 및 자본 거래에 대한 통제 폐지, 가격 통제 폐지(의약품 제외), 사회 안전망 강화 등이 포함되었다.[37] 1997년 GDP는 5% 이상 증가했고 인플레이션율은 절반으로 줄었지만,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유가가 급격히 하락하여 정부는 대규모 예산 삭감을 단행해야 했다.

이 정부의 주목할 만한 성과로는 노동 조합, 민간 부문, 국가 간의 10년간 지지부진했던 협상 끝에 체결된 노동 혜택, 사회 보장, 연금 기금에 대한 3자 협약이 있다. 칼데라는 부패와의 싸움을 임기의 중심 과제로 삼았다. 1996년 3월, 미주기구 (OAS) 회원들은 미주 반부패 협약을 채택했는데, 이 협약은 칼데라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칼데라 협약이라고도 불린다.[6] 칼데라 대통령은 1997년 베네수엘라에서 개최된 제7차 이베로아메리카 정상회의에서 부패를 중심 주제로 삼았다.[38]

두 번째 임기 중인 칼데라, 1994년


연방 예산 제약에도 불구하고 칼데라 정부는 과야나의 마카과 II(Macagua II)와 카라카스의 타구아사(Taguaza) 두 개의 댐, 발렌시아의 지역 중앙 급수관, 메리다-엘 비히아(Mérida-El Vigía) 고속도로, 그리고 중서부(Centro-Occidental), 호세 안토니오 파에스(José Antonio Páez), 로물로 베탕쿠르(Rómulo Betancourt) 고속도로 일부를 포함한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를 개발했다.[39] 또한 카라카스 지하철 3호선, 자코보 보르헤스 (Jacobo Borges) 박물관과 크루스-디에스 박물관을 완공했고, 카라카스-쿠아 (Cúa) 철도와 야캄부-키보르(Yacambú-Quíbor) 수문 복합 단지를 거의 완공했다.[39]

칼데라 대통령은 두 번째 임기 초에 1992년 2월 4일과 11월 27일의 쿠데타 미수습에 책임이 있는 군 장교들을 사면했는데, 이는 반란 군대를 진압하기 위한 정책이었다.[36] 이 결정으로 우고 차베스 (Hugo Chávez)는 인기를 얻어 1998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36]

4. 정치 사상

라파엘 칼데라는 기독교 민주주의를 라틴 아메리카에 도입하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46] 그는 기독교 민주주의자들이 기독교 철학의 관점에서 민주주의를 이해하고, 기독교를 살아있는 민주적 표현으로 이해한다고 설명했다. 칼데라는 기독교 민주주의가 자유방임주의 자본주의와 마르크스주의 사회주의에 대한 특정한 정치적 대안이라고 보았다. 그는 변증법적 유물론과 계급 투쟁이라는 마르크스주의적 사상을 거부했지만, 사회적 안전장치 없는 자본주의는 극도로 불공평한 사회를 만들어낸다는 점에도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칼데라는 기독교 민주주의 이상에 관한 여러 권의 책과 수많은 소책자 및 연설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이데아리오: 라틴 아메리카의 기독교 민주주의》(1970),[46] 《국제 사회 정의와 라틴 아메리카 민족주의》(1973), 《보편적 공동선과 국제 사회 정의》(1976), 《라비다의 성찰》(1976) 등이 포함된다. 그의 저서 《기독교 민주주의의 특수성》(1972)은 기독교 민주주의 원칙과 프로그램적 사상에 대한 안내서로,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에서 칼데라는 개인주의적, 다원주의적, 공동체주의적, 참여적, 유기적 차원을 통합하는 민주주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칼데라는 이러한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는 기독교 철학의 기본 원칙, 즉 영적인 것의 확인, 윤리적 규범에 대한 정치의 종속, 인간 존엄성, 공동선의 우선성, 시민 사회의 완전성에 기반한다고 설명한다. 칼데라는 통합적 인간 개발의 개념, 노동의 근본적 가치, 재산의 사회적 기능과 형태, 사회 생활에서 국가의 역할, 보조성 원칙, 사회 집단의 권리 옹호, 국제 사회 정의의 개념 등을 설명한다. 그는 이러한 원칙들을 사회 정의에 전념하고 가톨릭 사회 교리에서 영감을 받은 일련의 정치적 사상으로 보았다.[47]

"국제 사회 정의" 개념은 칼데라가 기독교 민주주의 사상에 기여한 가장 독창적이고 독특한 부분으로, 1970년 미국 의회 합동회의 연설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각자에게 그가 가진 것을 돌려주는 것"이 정의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격언을 언급하며, "그가 가진 것"은 각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에 속한 "공동선"도 포함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제적 영역에서 "사회"는 그 구성원에게 서로 다른 유형의 관계를 부과할 권리가 있으며, "국제 사회"는 다양한 국가들이 각자의 능력에 비례하여 참여하여 "모두"가 인간적인 삶을 영위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48]

칼데라의 국제 사회 정의 개념은 요한 23세의 회칙 마테르 에트 마기스트라(Mater et Magistra)를 시작으로 가톨릭 교회의 사회 교리에 점진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바오로 6세는 "교회는 어떤 수용 가능한 해결책이라도 국제 사회 정의와 인간 연대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고 썼다.[49]

교황령 인민의 발전(Populorum Progressio) 20주년 기념 라파엘 칼데라의 연설. 바티칸 시국, 1987년 3월 24일.


라파엘 칼데라가 자크 마리탱의 묘소에 조의를 표하는 모습. 프랑스 알자스 콜브샤임, 1981년 7월 1일.


1995년 5월 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칼데라 대통령에게 시몬 볼리바르의 "크기와 부보다는 자유와 영광 때문에 위대한 국가를 건설하려는 꿈"을 언급하며, 각 베네수엘라 국민을 섬기고 그들의 기본적인 욕구, 기대, 열망을 충족시키는 것과 "인간 국가를 증진"하기 위한 정책, 즉 극심한 빈곤을 근절하고, 일자리 창출과 공정한 부의 분배를 통해 실업과 사회적 소외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을 초안하고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50]

5. 학문 및 저술 활동

라파엘 칼데라는 베네수엘라 대통령 중 가장 원칙적이고 법률적인 사고를 가진 인물로 오랫동안 여겨져 왔으며,[51] 학식이 풍부한 인물, 뛰어난 수필가이자 연설가였다. 베네수엘라를 벗어나 한 달 이상 머물렀던 적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에 능통했고, 독일어와 포르투갈어에도 능숙했다.

1981년 12월 6일, 안드레스 벨로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는 스페인 왕립 아카데미의 공식 행사에서 라파엘 칼데라


베네수엘라 중앙대학교(Central University of Venezuela)와 안드레스 벨로 가톨릭 대학교(Andrés Bello Catholic University)에서 노동법과 법학 사회학 교수로 재직하며 1943년부터 1968년까지 거의 중단 없이 강의를 했다. 칼데라는 평생 동안 베네수엘라의 여러 대학교와 학회에서, 그리고 전 세계 30개 이상의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 학위, 교수직을 수여받았다. 여기에는 루뱅 대학교(1979, 벨기에(Belgium)), 페루자 대학교(1973, 이탈리아(Italy)),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1981, 이스라엘(Israel)), 노터데임 대학교(1964)와 미국 가톨릭 대학교(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1980, 미국(United States)), 인민 대학교(1993, 중국(China)), 소르본 대학교(1998, 프랑스(France)) 등이 포함된다.

1998년 3월 22일 파리 소르본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는 라파엘 칼데라


1953년 칼데라는 베네수엘라 국립 정치사회과학 아카데미에 선출되었다. 그의 취임 연설 제목은 "베네수엘라 사회학의 개념(Idea de una sociología venezolana)"[52]이었으며, 이는 베네수엘라에서 사회학 연구 발전을 위한 핵심 요소들을 제시한 것이었다. 1967년 그는 베네수엘라 국립 언어 아카데미에 선출되었다. 그의 취임 연설 "사회적 유대 관계로서의 언어와 라틴 아메리카 통합(El lenguaje como vínculo social y la integración latinoamericana)"은 라틴 아메리카 통합을 위한 사회적 유대 관계로서의 언어에 관한 것이었다.[53]

칼데라는 평생 동안 베네수엘라 문인 안드레스 벨로(Andrés Bello)에 대한 열정을 유지했다. 그의 초기 저서인 ''안드레스 벨로(Andrés Bello)''(1935)에 이어 그는 "안드레스 벨로의 법적, 사회적 사상(El pensamiento jurídico y social de Andrés Bello)"(1988)[54], "안드레스 벨로: 탄생 200주년(Andrés Bello: Bicentenario de su nacimiento)"(1981)[55], "카라카스, 런던, 산티아고 데 칠레: 벨로의 삶의 세 단계(Caracas, Londres, Santiago de Chile: Las tres etapas de la vida de Bello)"(1981)[56] 등 수많은 수필, 서문, 책의 장을 추가했다.

인문주의자 안드레스 벨로에 관한 그의 전기 영어판 출판 발표 당시 런던에서의 칼데라(1977).


칼데라는 베네수엘라 역사의 주요 인물과 사건에 대해서도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그의 책 ''볼리바르는 영원하다(Bolivar siempre)''[57]는 시몬 볼리바르(Simon Bolivar)의 정치적 이상의 시대적 적절성에 관한 수필 모음집이다. 이러한 장르에는 "보병 장군 파에스(El general Páez de a pie)"(1940)[58], "안토니오 호세 데 수크레: 너무나 많은 영광에 너무 어린(Antonio José de Sucre: Demasiado joven para tanta gloria)"(1980)[59], "엘레아사르 로페스 콘트레라스, 두 시대 사이의 경계와 다리(Eleazar López Contreras, lindero y puente entre dos épocas)"(1973), "안드레스 엘로이 블랑코, 헌법 제정 의회의 완충제(Andrés Eloy Blanco, el amortiguador de la Constituyente)"(1958) 등의 글이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칼데라가 베네수엘라 민주주의 건설에 있어 로물로 베탕쿠르(Romulo Betancourt)의 기초적인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헌정한 논문 "로물로 베탕쿠르의 삶의 비유(La parábola vital de Rómulo Betancourt)"(1988)이다.[60]

칼데라의 주요 저서로는 ''안드레스 벨로 (Andrés Bello)''(1935), ''노동법 (Derecho del trabajo)''(1939), ''라틴 아메리카 블록 (El Bloque Latinoamericano)''(1961), ''모루를 위한 주형 (Moldes para la fragua)''(1962), ''기독교 민주주의와 발전 (Democracia Cristiana y Desarrollo)''(1964), ''이념: 라틴 아메리카의 기독교 민주주의 (Ideario. La democracia cristiana en América Latina)''(1970), ''기독교 민주주의의 특수성 (Especificidad de la democracia cristiana)''(1972), ''베네수엘라 사회학 주제 (Temas de sociología venezolana)''(1973), ''국제 사회 정의와 라틴 아메리카 민족주의 (Justicia social internacional y Nacionalismo latinoamericano)''(1973), ''석유의 국유화 (La nacionalización del petróleo)''(1975), ''라 랍이다의 성찰 (Reflexiones de la Rábida)''(1976), ''세계 의회: 라틴 아메리카의 목소리 (Parlamento mundial: una voz latinoamericana)''(1984), ''볼리바르는 영원하다 (Bolívar siempre)''(1987), ''상속인들: 카라보보에서 푼토피호까지 (Los causahabientes, de Carabobo a Puntofijo)''(1999) 등이 있다.

6. 퇴임 이후 및 사망

라파엘 칼데라는 대통령직을 마친 후 자신의 집으로 돌아왔다. 그는 검소한 생활을 하며 부패가 만연한 나라에서도 존경받는 공직자로 알려져 있었다.[62] 1999년, 우고 차베스 대통령이 국민투표를 제안했을 때, 칼데라는 1961년 헌법 위반에 항의했다. 베네수엘라 법학자인 앨런 브루어-카리아스(Allan Brewer-Carías)는 이 헌법 제정 기구가 민주적 제도와 가치를 점진적으로 해체하기 위한 도구였다고 설명한다.[63]

라파엘 칼데라


1999년, 칼데라는 ''De Carabobo a Puntofijo: Los Causahabientes'' (카라보보에서 푼토피호까지: 원인 제공자들)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1830년부터 1958년까지 베네수엘라의 정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이 책에는 1958년부터 1999년까지 베네수엘라의 민주주의 경험에 대한 평가와 볼리바르 정부에 대한 비판이 후기에 포함되어 있다.[64]

파킨슨병으로 심각하게 고통받던 칼데라는 점차 대중의 시야에서 사라졌고, 2009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자신의 집에서 사망했다.[65]

그는 가정적인 사람이자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으며, 1941년 8월 6일 알리시아 피에트리 몬테마요르(Alicia Pietri Montemayor)와 결혼했다.

7. 유산

라파엘 칼데라는 안드레스 벨로(1935), 노동법(1939) 등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그는 또한 "해방자" 훈장(목걸이),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 훈장(브릴리언트) 등을 수여받았다. 아르헨티나의 산마르틴 해방군 훈장(Order of the Liberator General San Martín) 대십자장, 볼리비아의 안데스 콘도르 훈장(Order of the Condor of the Andes) 대십자장, 브라질의 남십자 훈장(Order of the Southern Cross) 대십자장 등 여러 국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66] 바티칸 시국의 교황 비오 9세 훈장(Order of Pope Pius IX) 대십자훈장, 네덜란드의 네덜란드 사자 훈장(Order of the Netherlands Lion), 스페인의 이사벨라 가톨릭 훈장(Order of Isabella the Catholic, "Isabel La Católica") 목걸이 훈장 등도 수여받았다.[66][67]

8.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47년 선거베네수엘라의 대통령44대사회기독당22.40%262,204표2위낙선
1958년 선거베네수엘라의 대통령48대사회기독당16.21%423,262표3위낙선
1963년 선거베네수엘라의 대통령49대사회기독당20.19%589,177표2위낙선
1968년 선거베네수엘라의 대통령50대사회기독당29.13%1,083,712표1위
25px
1983년 선거베네수엘라의 대통령53대사회기독당34.54%2,298,176표2위낙선
1993년 선거베네수엘라의 대통령55대국민 단결30.46%1,710,772표1위25px


참조

[1] 웹사이트 Sepultados restos del ex presidente Rafael Caldera en cementerio de Caracas https://www.aporrea.[...] 2009-12-26
[2] 백과사전 Britannica
[3] 웹사이트 Rafael Caldera – Cognitio http://www.cognitiob[...]
[4] 서적 Latin America, Its Problems and Its Promise Westview Press
[5] 뉴스 Rafael Caldera: President of Venezuela who helped forge an era of democracy and political stability in his country – Independent https://www.independ[...]
[6] 웹사이트 02 Feb 1994 – 02 Feb 1999 – Rafael Caldera Rodríguez – Global Security https://www.globalse[...]
[7] 뉴스 Two-time Venezuelan president Caldera dies at 93 https://www.reuters.[...] Reuters 2009-12-24
[8] 서적 Andrés Bello Parra León Hnos.
[9] 웹사이트 Address by His Excellency Mr. Rafael Caldera,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Venezuela −9 June 1998 – ILO http://www.ilo.org/p[...]
[10] 논문 Venezuela: Conservative representation without conservative parties https://kellogg.nd.e[...] 1999-06
[11] 서적 COPEI: En el principio fue la UNE Ediciones Nueva Política y Fracción Parlamentaria de COPEI
[12] 서적 COPEI en el Trienio Populista 1945–48, La tentación totalitaria de Acción Democrática Hijos de E. Minuesa, S.L.
[13] 서적 Democracy in Developing Countries – Latin America Lynne Rienner Publishers
[14] 서적 25 Años de legislación democrática https://books.google[...]
[15] 서적 Politics, media, and modern democracy: an international study of innovations in electoral campaigning and their consequenc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16] Youtube Guillermo Aveledo Coll: Christians in Politics – YouTube https://www.youtube.[...]
[17] 웹사이트 Político y estadista venezolano del Siglo XX. Ex-Presidente de la República. Biografía. Selección de discursos políticos. Himno Nacional de la República Bolivariana de Venezuela http://www.fundacion[...] Fundacionjoseguillermocarrillo.com 2010-12-27
[18] 웹사이트 2 Feb 1994 – 2 Feb 1999 – Rafael Caldera Rodríguez – Global Security https://www.globalse[...]
[19] 웹사이트 Rafael Caldera Rodríguez Facts – Your Dictionary http://biography.you[...]
[20] 서적 Resource Nationalism in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1] 뉴스 Falleció el exministro Luis Enrique Oberto González https://www.elnacion[...] El Nacional 2022-08-09
[22] 웹사이트 President Nixon welcomes President Rafael Caldera of Venezuela on this day in 1970 – Richard Nixon Foundation https://www.nixonfou[...]
[23] 웹사이트 Visits By Foreign Leaders of Venezuela – Office of the Historian / Department of State https://history.stat[...]
[24] 뉴스 Congress Hears Caldera Chide U.S. Over Trade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1970-06-04
[25] 웹사이트 Cinco años de Cambio, pacificación y desarrollo en el gobierno de Rafael Caldera (1969–1974) http://rafaelcaldera[...] Oficina Central de Información
[26] 웹사이트 Past IPU Presidents – Inter-Parliamentary Union https://www.ipu.org/[...]
[27] 웹사이트 Declaration of principles. The World Conference on Agrarian Reform and Rural Development – FAO http://www.fao.org/d[...]
[28] 웹사이트 Establishm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the ECPD – ECPD.org http://www.ecpd.org.[...]
[29] 웹사이트 Discorso di Giovanni Paolo II alla solenne commemorazione del XX anniversario della «Populorum Porgressio» – Vatican.va https://w2.vatican.v[...]
[30] 웹사이트 A 15 años de la constitución venezolana – rafaelcaldera.com http://rafaelcaldera[...]
[31] 웹사이트 Defensa de la Democracia (1986) – rafaelcaldera.com http://rafaelcaldera[...]
[32] 웹사이트 La reforma a la constitución: una salida democrática (1992) – rafaelcaldera.com http://rafaelcaldera[...]
[33] 웹사이트 Caldera: dos discursos (1989/1992) – rafaelcaldera.com http://rafaelcaldera[...]
[34] Youtube Palabras de Rafael Caldera en el Aula Magna UCV (1992) – YouTube https://www.youtube.[...]
[35]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6-06-17
[36] 웹사이트 Volume 57 / Social Sciences. Government and Politics: Venezuela – René Salgado http://lcweb2.loc.go[...]
[37] 뉴스 Rafael Caldera obituary https://www.theguard[...]
[38] 웹사이트 The Venezuelan Story: Revisiting the Conventional Wisdom https://carnegieendo[...] 2001-03-22
[39] 간행물 Compromiso solidario: Selección de discursos del quinto año de gobierno Presidencia de la República 1999
[40] 웹사이트 Rómulo Betancourt Foundation http://www.c3ig.com/[...]
[41] 서적 Biography of Raúl Leoni https://books.google[...] El Nacional /Bancaribe 2005
[42] 웹사이트 Jóvito Villalba, el hombre que no quiso ser presidente http://historico.pro[...]
[43] 뉴스 La pantalla reivindica a Carlos Andrés Pérez https://elpais.com/c[...] 2017-01-01
[44] 서적 El Llanero Solidario: Verdades ignoradas sobre Luis Herrera Campíns y su tiempo Libros Marcados 2012
[45] 웹사이트 Arístides Calvani y la Fundación Konrad Adenauer http://dialogopoliti[...]
[46] 웹사이트 Ideario: La Democracia Cristiana en América Latina http://rafaelcaldera[...] 1970
[47] 서적 Christian Democracy Ifedec 1982
[48] 간행물 House Congressional Record https://www.gpo.gov/[...]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1970-06-03
[49] 논문 The Universal Common Good and International Social Justice 1976-01
[50] 웹사이트 Address of his holiness John Paul II to the President of Venezuela, H.E. Mr. Rafael Caldera https://w2.vatican.v[...] 1995-05-05
[51] 뉴스 Two-time Venezuelan president Caldera dies at 93 https://www.reuters.[...]
[52] 웹사이트 Idea de una sociología venezolana http://rafaelcaldera[...] 1953
[53] 웹사이트 Discurso de incorporación de Rafael Caldera a la Academia Venezolana de la Lengua http://rafaelcaldera[...] 1967
[54] 서적 El Pensamiento Jurídico y Social de Andrés Bello La Casa de Bello 1988
[55] 간행물 Andrés Bello: bicentenario de su nacimiento Fundación Casa Andrés Bello 1981
[56] 서적 Caracas, Londres, Santiago De Chile: Las Tres Etapas de la Vida de Bello Ediciones de La Casa de Bello, Cromotip 1981
[57] 서적 Bolívar siempre National Academy of History 1987
[58] 웹사이트 El general Páez de a pie http://rafaelcaldera[...]
[59] 웹사이트 Antonio José de Sucre: Demasiado joven para tanta gloria http://rafaelcaldera[...]
[60] 웹사이트 La parábola vital de Rómulo Betancourt http://rafaelcaldera[...]
[61] 웹사이트 Un mensaje de fe http://rafaelcaldera[...] 1971
[62] 뉴스 Rafael Caldera dies; president led Venezuela to democracy https://www.washingt[...] 2009-12-24
[63] 서적 Dismantling Democracy in Venezuel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64] 서적 Los causahabientes. De Carabobo a Puntofijo Panapo de Venezuela 1999
[65] 웹사이트 Two-time Venezuelan president Caldera dies at 93 https://www.reuters.[...] 2009-12-24
[66] 웹사이트 Resolución N° 1068/995 https://www.impo.com[...] 2020-11-26
[67] 웹사이트 Lithuanian Presidency website http://www.lrp.lt/l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