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스크는 빵을 두 번 구워 만든 과자로, 단맛, 짠맛 등 다양한 맛을 낸다. 식빵, 프랑스 빵 외에도 멜론빵, 카스테라 등 다양한 빵을 재료로 사용하며, 캐러멜, 마늘, 베이컨 맛 등 다양한 맛으로도 개발된다. 아르헨티나, 덴마크, 프랑스, 독일, 핀란드 등 여러 국가에서 각기 다른 이름과 형태로 러스크가 존재하며, 각국의 식문화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섭취된다. 또한, 영국에서는 소시지 제조 시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기도 하며, 노르웨이에서는 부서진 러스크가 프리카델러나 디저트에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리 - 피시 앤드 칩스
피시 앤드 칩스는 튀긴 생선과 두꺼운 감자튀김으로 이루어진 영국의 대표 음식으로, 19세기 후반 영국 노동계급의 주요 음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는 세계적으로 인기 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리 - 스테이크
스테이크는 굽거나 튀겨서 조리하는 두꺼운 고기 조각을 의미하며,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생선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조리 방식과 굽기 정도에 따라 맛과 식감이 달라지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요리이다. - 비스킷 - 앤잭 비스킷
앤잭 비스킷은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유래되어 귀리, 코코넛, 버터 등을 주재료로 하며, 1차 세계대전 당시 군인 식량으로 사용된 것과 안작 데이 연관성으로 현재까지 소비 및 생산되고 "안작 비스킷" 명칭과 레시피는 법적으로 보호받는다. - 비스킷 - 쇼트브레드
쇼트브레드는 스코틀랜드에서 유래한 부서지기 쉬운 식감의 과자로, 밀가루, 버터, 설탕을 3:2:1 비율로 섞어 만들며, 크리스마스나 호그마니 같은 특별한 날에 즐겨 먹고 페티코트 테일과 같은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 네덜란드 요리 - 땅콩 소스
땅콩 소스는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요리에서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사용되며 딥, 소스, 드레싱 등으로 활용되는 소스이다. - 네덜란드 요리 - 사과 파이
사과 파이는 14세기 영국에서 유래되어 사과, 향신료, 건포도 등으로 만들며 각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미국에서는 국민 음식으로 여겨질 정도로 대중적인 디저트이다.
러스크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종류 | 비스킷 |
기본 정보 | |
종류 | 비스킷 |
어원 | |
어원 정보 | 영어의 'rusk'는 고대 프랑스어 'rusche'에서 유래, '되돌아가다' 의미 |
정의 및 용도 | |
정의 | 단단하고 건조한 비스킷 |
용도 | 유아용 식품 치아가 없는 노인을 위한 식품 |
언어별 명칭 | |
영어 | Rusk |
독일어 | Zwieback (츠비백) |
역사 및 문화 | |
기원 | 독일 |
독일 내 인지도 | 인기 있는 선물 |
2. 종류
러스크는 사용하는 빵의 종류나 첨가되는 재료, 맛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뉜다. 기본적인 특징으로는 굳어진 빵을 두 번 구워 만들기 때문에 수분 함량이 적고 보존성이 높으며, 독특하고 바삭한 식감을 가진다는 점을 들 수 있다.[19] 이러한 기본적인 특징 외에, 단맛이나 짠맛 등 맛의 계열, 식빵, 프랑스 빵 등 사용하는 빵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2. 1. 기본 재료 및 맛
굳어진 빵을 먹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두 번 구워 수분 함량이 적어 보존성이 높다.[19] 독특한 바삭한 식감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는 쉽게 씹을 수 있지만, 견빵처럼 단단하게 구운 것도 있어 유아의 이 닦이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맛은 다양하여 설탕이나 초콜릿을 뿌린 단맛 계열, "캐러멜 맛"이나 "꿀 맛" 등이 있다. "소금 맛"이나 갈릭 맛, "베이컨 맛" 등 짠맛 계열의 러스크도 찾아볼 수 있다.
원재료가 되는 빵 역시 식빵이나 프랑스 빵 외에 멜론빵, 카스테라, 크루아상, 통밀 빵, 호밀 빵 등 다양하다. 최근에는 별미로 바움쿠헨이나 치즈 케이크로 만든 러스크도 있다.
2. 2. 사용되는 빵의 종류
러스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빵은 식빵이나 프랑스 빵 외에도 멜론빵, 카스테라, 크루아상, 통밀빵, 호밀빵 등 다양하다. 최근에는 별미로 바움쿠헨이나 치즈 케이크를 이용해 만든 러스크도 있다.3. 세계 각국의 러스크
러스크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찾아볼 수 있는 빵의 한 종류로, 각 지역의 문화와 식습관에 따라 고유한 이름과 특징을 지닌다. 빵을 두 번 구워 수분을 제거하여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기본적인 형태이지만, 만드는 방식, 재료, 맛, 먹는 방법 등은 나라마다 매우 다양하다. 아침 식사, 간식, 차나 커피와 함께 곁들이는 음식, 심지어 요리 재료로도 활용되는 등 그 쓰임새 또한 폭넓다.
3. 1.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에서는 러스크를 토스타다스 데 메사|토스타다스 데 메사spa(직역하면 '테이블 토스트')라고 부른다. 이는 보통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두 번 구운 빵 조각으로, 일반적인 맛과 단맛이 나는 종류가 있다. 케이크 러스크는 '베이 비스킷'이라고 불리며, 재료는 계란, 설탕, 기름, 베이킹 파우더가 든 밀가루, 바닐라이다.

3. 2. 아제르바이잔
러스크는 아제르바이잔어로 sukhary|수하르aze라고 불리는데, 이는 러시아어에서 페르시아어를 거쳐 차용된 단어이다. 주로 오래된 빵을 이용하여 만든다. 바쿠의 일부 빵집에서는 팔고 남은 빵을 활용하여 러스크를 만들어 판매하기도 한다. 이 경우, 남은 빵을 낭비하지 않기 위한 목적이므로 가격이 저렴한 편이다.3. 3. 방글라데시
러스크는 흔히 토스트 비스킷이라고 불린다. 토스트 비스킷은 기 토스트, 마늘 토스트, 설탕 토스트 등 다양한 맛으로 제공되며, 보통 차와 함께 곁들여 먹는다. 케이크 러스크는 흔히 드라이 케이크로 알려져 있다.3. 4. 영국
부처 러스크는 입자 크기별로 분류되어 정육점 등에서 소시지 제조 시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건조 비스킷 입자이다.[3][4] 원래는 오래된 빵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빵 러스크라고 불리지만, 이제는 단순히 러스크라고 불리는 효모가 없는 종류가 더 흔히 사용된다.다양한 러스크 입자 크기가 식품 산업에서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5][6]
영국에서, 파일리스(Farley's) 러스크는 1880년대부터 생산된 마른 이앓이 비스킷으로, 1994년부터 하인즈(Heinz)에서 제조하고 있다. 아기들에게 우유에 적셔 으깨거나, 이앓이 보조제로 딱딱한 형태로 제공된다.
3. 5. 쿠바
쿠바에서는 스펀지 러스크를 esponru|에스폰루spa라고 부른다. 이는 비스코티와 비슷하지만, 두 번 구운 옐로우 케이크 반죽으로 만든다는 차이가 있다. 먼저 옐로우 케이크 반죽을 납작한 직사각형 케이크 팬에 구운 뒤 식힌다. 그 다음, 이것을 길쭉한 모양으로 잘라 다시 굽거나 토스트하여 만든다. 주로 카페 쿠바노(쿠바 에스프레소)와 함께 먹거나 아이스크림, 커스터드 같은 다른 디저트 요리에 곁들여 먹는다.3. 6. 덴마크
덴마크에서는 러스크를 Tvebak|트베바크da라고 부른다. 이는 네덜란드어 tweebak|트웨바크nl(문자 그대로 '두 번 굽기')에서 유래한 말로, 비스킷의 옛말 또는 동의어이다.3. 7. 프랑스
프랑스에는 biscotte|비스코트fra라고 불리는 러스크의 한 종류가 있다. 이 비스코트는 슈퍼마켓에서 포장된 상태로 판매된다.3. 8. 핀란드

핀란드식 러스크는 일반적으로 빵을 말린 것으로, 시나몬이나 설탕으로 맛을 낸 ''korppu''라고 불린다. Korppufi는 흔히 커피와 함께 먹는 빵으로, 보통 커피에 찍어 먹는다. hapankorppufi라고 불리는 신맛이 나는 러스크는 호밀 가루와 소금으로 만든 납작한 러스크로, 크리스프브레드처럼 먹을 수 있다.
3. 9. 독일
독일의 러스크 형태는 Zwieback|쯔비백de이라고 불린다. 이 이름은 문자 그대로 '두 번 구운'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덴마크어나 프랑스어 단어처럼, 이 이름은 두 번 굽거나 조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3. 10. 그리스
파시마디(παξιμάδι|파시마디el)는 다양한 형태의 그리스식 러스크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보리나 병아리콩 가루로 만들며, 먹기 전에 와인, 물, 또는 기름에 적셔 부드럽게 만든다. 파시마디는 크레타 지역의 간식인 다코스(ντάκος|다코스el)를 만드는 데 기본 재료로 사용된다.3. 11. 인도

인도에서 러스크는 전통적인 건조 빵 또는 케이크로, 종종 '토스트 비스킷'이라고 불린다. 힌두어-우르두어, 펀자브어에서는 파페이, 라탄, khasta|카스타hin (खस्ताhin), russ|러스hin 등으로 불리며, 타밀어로는 porai|포라이tam (பொறைtam), 벵골어로는 kathi biskut|카티 비스쿳ben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러스크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우유 차에 담가 먹는다.
[https://nowdelish.com/nankhatai-recipe/ 달콤한 "케이크 러스크" 버전][7]은 밀가루, 설탕, 지방, 팽창제, 그리고 선택적으로 계란을 넣어 만든 케이크를 기반으로 한다.[8][9][10] 인기 있는 변형 중 하나는 카다멈으로 맛을 낸 것이다.
3. 12.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요리에서 두 번 구운 빵을 bagelen|바겔렌id이라고 부른다. 이는 중앙 자바의 한 마을인 바겔렌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바겔렌은 두 번째로 굽기 전에 빵 표면에 설탕과 버터크림을 발라 만드는 것이 특징이며, 주로 간식으로 먹는다.3. 13. 이란
이란에서는 러스크를 نان سوخاری|nān-e sokhārifa라고 부른다. 주요 재료로는 밀가루, 설탕, 탈지 분유, 식물성 기름, 글루텐, 맥아 추출물, 콩가루, 소금, 효모, 물 등이 사용된다. 주로 페르시아 차이(차)와 함께 곁들여 먹는 비스킷과 비슷한 형태로 소비된다. 이란에서 가장 흔한 نان سوخاری|nān-e sokhārifa 브랜드 중 하나는 비타나(Vitana)이다.3. 14.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는 러스크를 fette biscottateita(두 번 구운 슬라이스)라고 부른다. 이는 biscottiita(달콤한 쿠키 또는 비스킷)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3. 15. 일본
일본에서 러스크는 종종 바게트, 케이크 또는 크루아상으로 만드는 별미로 여겨진다. 주로 단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11]
설탕이나 초콜릿을 뿌린 기본적인 단맛 외에도 캐러멜 맛이나 꿀 맛 같은 다양한 단맛 계열의 러스크가 있다. 이와 더불어 소금 맛, 갈릭 맛, 베이컨 맛 등 짠맛 계열의 러스크도 찾아볼 수 있다.
러스크의 재료가 되는 빵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식빵이나 프랑스 빵 외에도 멜론빵, 카스테라, 크루아상, 통밀 빵, 호밀 빵 등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바움쿠헨이나 치즈 케이크를 이용해 만든 이색적인 러스크도 등장하고 있다.
3. 16. 레반트 지역
레반트 지역에서는 이 형태를 이라크와 시리아에서는 بقصم|boksumara이라고 부르며, 요르단에서는 قرشلة|qurshallaara라고 부른다. 밀가루, 달걀, 기름 또는 버터, 설탕, 효모 또는 베이킹 파우더로 만들며, 때로는 소량의 카다멈을 넣기도 한다. 구운 참깨, 검은 캐러웨이, 또는 아니스를 토핑하며, 특히 허브차와 함께 찍어 먹는 비스킷으로 먹는다.[12]3. 17. 네덜란드 및 벨기에 (플랑드르)

Beschuitnl는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 먹는 가볍고 둥글며 다소 부스러지기 쉬운 러스크로, "더치 크리스프베이크"라고도 불린다. 네덜란드에서 아기가 태어나면 ''beschuit met muisjes''(작은 쥐라는 뜻으로, 신생아의 성별에 따라 흰색과 분홍색 또는 파란색 설탕으로 덮인 아니스 씨앗을 의미함)를 제공하는 것이 관례이다. Beschuitennl는 또한 초콜릿( chocoladehagelnl 또는 chocoladevlokkennl), 과일( vruchtenhagelnl), 잼 또는 치즈와 같은 다양한 토핑과 함께 아침 식사로도 먹는다. 네덜란드에서 오랫동안 사랑받는 음식은 beschuitnl에 딸기를 올려 설탕이나 휘핑 크림을 뿌려 먹는 것이다.
Beschuitennl는 먼저 평평한 둥근 빵( beschuitbolnl)을 굽고, 반으로 자른 다음 각 반쪽을 다시 굽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보통 더 낮은 열로 굽는다. 거의 항상 롤 형태로 판매되며, 롤에는 일반적으로 13개의 러스크( 베이커스 더즌)가 들어있다. 이는 17세기에 scheepsbeschuitnl로 인기를 얻었는데, 이는 긴 항해 기간 동안 보존이 잘 되는 음식이었기 때문이다. 어원적으로 ''biscotto''(16세기 이탈리아어), biscuit(19세기, 16세기 ''bisket''에서 유래) 및 beschuitnl는 라틴어 구절 (panis) bis-coctusla, '(빵), 두 번 구운'에서 유래했다.
3. 18. 노르웨이
노르웨이에서는 러스크를 카브링nor이라고 부르며, 이는 스웨덴의 스코르포르swe와 유사하다. 스트뢰카브링nor이라고 불리는 잘게 부순 카브링은 ''쾨트카케르'' (미트볼의 일종)를 만들 때나 전통 디저트인 ''틸슬뢰르테 본데피케르''에 사용된다. 카브링은 또한 부수어서 일반 우유, 사워 밀크 또는 배양유와 함께 먹기도 한다.3. 19. 파키스탄
파키스탄에서는 러스크를 통속적으로 russur(رسur)라고 부른다. 둥근 빵과 비슷한 모양이나, 직사각형 조각으로 판매된다. 인기 있는 아침 식사이며, 현지에서 doodh chaiur라고 불리는 밀크티에 찍어 부드럽게 만들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펀자브어에서는 papaypa(پاپےpa)라고 부른다.3. 20. 필리핀
필리핀식 러스크는 ''비스코초''라고 불린다. 케이크 러스크는 ''마몬 토스타도''라고 불린다.3. 21. 포르투갈
포르투갈식 러스크는 tostapor라고 불린다. Tostapor는 딱딱하고 거친 질감의 빵 조각으로, 달콤할 수도 있지만 대개는 짭짤하며, 다양한 모양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종종 갈아서 빵가루로 사용한다.3. 22. 러시아
러시아에서는 러스크를 sukhar'|rus (키릴 문자: сухарь|수하르rus)라고 부르는데, 이는 '건조한'을 의미하는 러시아어 сухой|수호이rus에서 유래한 이름이다.수하르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하나는 달콤한 할라와 유사한 빵을 비스코티처럼 썰어 두 번 구워 만드는 방식이다. 이렇게 만든 수하르는 쿠키와 비슷하여 우유, 케피어, 차, 커피 또는 카카오와 함께 먹는다. 다른 하나는 남은 묵은 빵을 작은 큐브 모양으로 잘라 공기 중에서 말리거나 매우 낮은 온도에서 구워 만드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남은 빵을 버리지 않고 활용하는 러시아 요리의 전통과 관련이 깊다. 이렇게 만든 수하르는 주로 수프나 맑은 수프 등에 넣어 액체를 흡수시켜 부드럽게 만들어 먹거나, 빵 대신 곁들여 먹는다.
빵은 슬라브 민족의 삶과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와 관련된 많은 민속 신앙이 전해진다. 특히 호밀빵으로 만든 수하르는 러시아의 전통 발효 음료인 크바스를 만드는 데 주요 재료로 사용된다.
3. 23.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러스크는 beskuit|비스킷afr이라고 불리며, 전통적인 아프리카너의 아침 식사 또는 간식으로 여겨진다. 이 음식은 1690년대 후반부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빵을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해 건조시킨 것에서 유래했다. 특히 냉장 시설 없이 장거리를 이동해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대이동 시기와 보어 전쟁[13]을 거치면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러스크는 보통 커피나 차에 담가 먹는다.[14]
러스크는 기본적으로 두 번 구운 빵 반죽으로 만들어진다. 둥근 반죽 덩어리를 팬에 촘촘히 넣고 빵처럼 구운 다음, 길게 자르거나 덩어리로 부수어 건조한 질감이 될 때까지 낮은 온도에서 천천히 다시 굽는다. 오늘날에는 여러 종류의 러스크가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그중 가장 유명한 브랜드는 오우마 러스크이다. 많은 빵집, 델리, 가정식 업체에서도 직접 만든 러스크를 판매하는데, 때로는 전통적인 사워도우 대신 베이킹 파우더와 같은 다른 재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맛의 종류도 다양해서, 기본적인 플레인 맛이나 버터밀크 맛 외에도 아니스, 통밀, 연유, 뮤즐리, 레몬 양귀비 씨앗 맛 등이 있다.
3. 24. 스웨덴

''Skorpor''(복수형, 단수형 skorpasv)는 스웨덴식 러스크의 일종이다. 보통 특별한 맛이 없거나 카다멈으로 향을 내지만, 아니스와 같은 허브, 말린 과일, 견과류 또는 향신료로 맛을 내기도 한다. 스웨덴 제빵 회사인 Pågen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러스크 브랜드인 Krisprolls를 생산한다.[15] 전통적인 스웨덴식 먹는 방법은 커피, 우유 또는 주스와 같은 음료에 찍어 먹는 것이다. 그 위에 버터와 치즈, 마멀레이드 또는 잼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음료나 과일 수프와 함께 먹을 수도 있다.
러스크는 16세기부터 스웨덴에서 알려져 왔다. 러스크는 군대와 배의 비상식량으로 사용되었다. 당시에는 망치로 부수어 부스러기를 svagdrickasv, 맥주 및 수프에 넣기도 했다.[16]
3. 25. 튀르키예
튀르키예어에서 러스크는 Peksimet|페크시메트tur라고 부른다. Pek|페크tur는 튀르키예어로 '단단한, 팽팽한, 튼튼한'을 의미하고, simet/simit|시메트/시미트tur는 '빵' 또는 '밀가루'를 뜻하는 아랍어 단어(سميدara)에서 유래했다. 다른 이름으로는 카탈루냐어에서 유래한 galeta|갈레타tur가 있다.[17]3. 26. 미국
미국에서는 흔히 구할 수 있는 러스크 종류로 멜바 토스트와 크루통이 있다. 이들은 식료품점에서 포장된 형태로 판매되며, 비스코티는 식료품점과 커피 전문점에서 모두 찾아볼 수 있다.4. 기타 용도
부처 러스크는 입자 크기별로 분류되어 정육점 등에서 소시지 제조 시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건조 비스킷 입자이다.[3][4] 원래는 오래된 빵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빵 러스크라고 불리지만, 이제는 단순히 러스크라고 불리는 효모가 없는 종류가 더 흔히 사용된다.
다양한 러스크 입자 크기가 식품 산업에서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5][6]
노르웨이에서 러스크는 kavring|카브링no이라고 불리며, 스웨덴의 skorpor|스코르포르sv와 유사하다. strøkavring|스트뢰카브링no이라고 불리는 부서진 kavring|카브링no은 ''쾨트카케르''(kjøttkakerno)를 만들 때, 그리고 전통적인 디저트인 ''틸슬뢰르테 본데피케르''(tilslørte bondepikerno)에 사용된다. kavring|카브링no은 또한 부서져서 일반 우유, 사워 밀크 또는 배양유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포르투갈식 러스크는 tosta|토스타pt라고 불린다. tosta|토스타pt는 딱딱하고 거친 질감의 빵 조각으로, 달콤할 수도 있지만 대개는 짭짤하며, 다양한 모양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종종 갈아서 빵가루로 사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To Make Your Own Rusks
https://www.thespruc[...]
2018-10-28
[2]
웹사이트
10 FOODS FOR YOUR 1 YEAR OLD CHILD
https://www.superbab[...]
Bellamy's Organic
2018-10-28
[3]
뉴스
What's in the great British banger?
http://news.bbc.co.u[...]
BBC News
2002-09-27
[4]
웹사이트
Labelling and Composition of Meat Products
http://www.food.gov.[...]
Food Standards Agency
2004-04-22
[5]
웹사이트
Rusk
http://www.rsf.co.uk[...]
Ripon Select Foods Limited
2009-05-23
[6]
웹사이트
Cereal Binders and Stuffings
http://www.lucas-ing[...]
Lucas Products
2005-02-04
[7]
웹사이트
Now Delish
https://nowdelish.co[...]
2023-10-08
[8]
웹사이트
Indian Cake Rusk (Eggless)
https://aromaticesse[...]
2018-06-25
[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Humble Indian Rusk: The Perfect Chai Snack
https://edtimes.in/t[...]
2018-05-15
[10]
웹사이트
Cake Rusk
https://ikneadtoeat.[...]
2018-11-22
[11]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Japanese cooking, culture, and recipes
http://www.japanesec[...]
2011-04-06
[12]
웹사이트
Food Stories: Cake rusk
https://www.dawn.com[...]
2015-05-26
[13]
웹사이트
Campaign Pictures of the War in South Africa (1899–1900)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08-11-09
[14]
웹사이트
What is Beskuit (Rusks)?
http://www.rainbowco[...]
Rainbow Cooking
2008-11-09
[15]
웹사이트
Krisprolls
https://www.pagen.co[...]
2020-11-02
[16]
웹사이트
Från skeppsskorpa till biscotti – en torr historia
https://hembakningsr[...]
2021-10-21
[17]
웹사이트
Bodrum Double Baked Bread
https://www.fondazio[...]
Slow Food Foundation for Biodiversity
2018-10-28
[18]
서적
チョコだけじゃない!ドイツブランド人気お土産5選!まとめ買いにもお勧め!
https://www.travel.c[...]
LINEトラベルjp
2016-08-10
[19]
웹사이트
ラスク特集vol1.〜ドイツ発祥のパン〜
https://camelia.co.j[...]
株式会社カメリヤ
2022-01-26
[20]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Etymology
Chambers
[21]
웹사이트
ラスクとは
https://kotobank.jp/[...]
2022-01-26
[22]
웹사이트
サクサクッ手が止まらない♪「ラスク」の作り方とアレンジレシピ
https://kinarino.jp/[...]
キナリノ
2016-06-13
[23]
간행물
NHKエデュケーショナル『みんなの今日の料理【ラスク】』
http://www.kyounory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