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빵은 인류가 신석기 시대부터 섭취해 온 가장 오래된 음식 중 하나이다. 곡물 가루에 물 등을 섞어 반죽을 만들고, 효모 등을 넣어 발효시켜 부풀린 후 굽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빵은 문화적, 종교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기독교의 성찬례, 유대교의 할라 빵 등 종교 의식에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빵은 식량 이상의 상징성을 가지며, 다양한 속담과 은유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톨릭 전례용품 - 포도주
    포도주는 신석기 시대부터 양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포도를 발효시켜 만든 알코올성 음료로서 고대 문명에서 소비되었고 중세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가 생산되고 있다.
  • 가톨릭 전례용품 -
    물은 산소 원자 하나와 수소 원자 두 개로 이루어진 무기 화합물로, 지구 표면의 약 70%를 차지하며 고체, 액체, 기체 상태로 존재하고 생명체의 필수 구성 요소이자 문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물 부족과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 주식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주식 - 곡물
    곡물은 벼과 식물의 씨앗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쌀, 밀, 옥수수 등이 주요 곡물로, 재배 환경에 따라 온대성 또는 냉대성 곡물로 분류되며, 유사 곡물, 맥류, 유지종자 등도 포함한다.
  • 빵에 관한 - 피자
    피자는 튀르키예 피데에서 유래하여 납작한 빵에 토핑을 얹어 구운 요리로,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토마토와 치즈를 사용하여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었으며 세계적인 음식으로 발전했다.
  • 빵에 관한 - 팬 피자
    팬 피자는 금속 팬에 구워 바삭한 크러스트와 부드러운 속을 가진 피자의 한 종류로, 이탈리아에서 기원하여 피자헛에 의해 미국에서 대중화되었으며, 다양한 토핑과 지역별 변형이 존재한다.
빵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구니에 담긴 빵
다양한 발효 빵
주요 재료밀가루, 물
다른 뜻빵 (동음이의)
재료
주재료밀가루, 물, 우유
부재료소금, 설탕, 버터, 효모
종류
종류제과 계열, 식사, 후식

2. 어원

고대 영어에서의 ''bread''는 게르만족의 언어에서 온 다양한 공통적인 형태를 띤 단어였다. 서부 프리지아어에서는 ''brea'', 네덜란드어에서는 ''brood'', 독일어에서는 ''Brot'', 스웨덴어에서는 ''bröd'', 노르웨이어덴마크어에서는 ''brød''로 불렸다. 그것은 '양조하는 것'(brewing)에서 기원하였다고 주장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깨다(break)'의 어원과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일찍이 '부러진 조각' 또는 '약간의 빵'에 사용되었다. 고대 튜튼어인 Braudz(조각)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라틴어로 ''crustum''는 12세기까지 포괄적인 빵의 명칭 ''hlaf'' (''hlaifs''에서의 고트어:현대 영어 ''loaf'')으로 쓰이지 않았고, 게르만 민족 특유의 가장 오래된 이름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고대 귀족들이 사용하던 독일어 ''hleib'' 및 현대 독일어 ''Laib'', 또는 핀란드어 ''leipä'', 에스토니아어 ''leib'', 및 러시아어 ''хлеб (khleb)''가 유사하다. 모두 고대 귀족들이 사용하던 독일어인 "loaf"에서 왔다.

일본어 ''パン''은 16세기 무렵 포르투갈어 ''pão''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국어 ''빵''도 일본을 통해 전래되었다.[139] 개화기 당시에는 중국어 표현인 ‘면포’라는 이름으로 부른 적이 있다.

로망스어군의 포르투갈어 pão 스페인어 pan, 프랑스어 Pain 은 그리스 어인 pa, 라틴어인 panis에서 기원하였다.

빵을 뜻하는 고대 영어 단어는 hlafang(hlaifsgot고트어: 현대 영어 ''loaf'')였으며, 이는 가장 오래된 게르만어 이름으로 보인다.[67] 고지 독일어 hleibgoh[1]와 현대 독일어 Laibde은 이 원시 게르만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일부 슬라브어 (chlébcs, bochen chlebapl, 러시아어: khlebru)와 핀어 (leipäfi, leibet)에도 차용되었다.

중세 영어현대 영어 단어 bread는 breafy, broodnl, Brotde, brödsv, 그리고 노르웨이어와 brødda과 같은 다른 게르만어에도 나타나며, 이는 ''brew'' 또는 아마도 "조각", "일부"를 의미하는 ''break''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2]

3. 역사

인류는 농경·농업을 시작하기 전 수렵 채집 시대부터 이미 야생 보리, , 귀리 등을 채취하여 부수어 빵을 구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르단에서는 약 1만 4400년 전의 화덕 자국에서 피타와 같은 빵 조각의 퇴적물이 발굴되었다.[107]

텔 아부 후레이라 유적에서 가장 오래된 밀과 호밀이 발견되었다. 밀은 겉껍질이 굳기 때문에 볶거나 돌로 갈아 가루로 만든 것에 물을 더해 끓여 처럼 먹기 시작했을 것으로 발굴물에서 추정된다. 또한, 차탈후유크 유적 후기에 빵밀(추위에 강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재배할 수 있고, 글루텐이 많아 부풀릴 수 있다)이 발견되었다. 빵밀의 부모가 두 알 밀(야생종끼리의 알알이 밀과 구구 밀의 자손)과 야생종 타르호 밀임을 발견한 것은 기하라 히토시이다.[108]

스위스 투안 유적의 하층(기원전 3830-3760)에서는 "인위적으로 발효시킨 죽"이 발견되었고, 중층(기원전 3700-3600)에서는 "잿더미 아래에서 구운 빵"과 "빵 굽는 가마 형태의 설비로 구운 빵"이 발견되었다.[109] 죽 상태의 것을 며칠 동안 방치하면 자연적인 출아 효모균이나 젖산균이 달라붙어 자연 발효를 시작하여 사워도우가 만들어진다. 처음에는 이것을 썩은 것으로 버렸지만, 버리지 않고 구운 것이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드러워진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현대에 이어지는 발효빵의 제법이 발견되었다고 생각된다.

빵은 처음에는 보리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점차 밀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빵이 활발하게 만들어졌으며, 급료와 세금도 빵으로 지불되었다. 발효빵이 탄생한 것도 이 시대의 이집트이다. 고대 로마 시대가 되면서 빵집과 과자빵도 출현했다. 폼페이에서 당시의 빵집이 발굴되었다. 이미 돌로 만든 대형 맷돌이 사용되었다. 폼페이에서 출토된 빵과 거의 동일한 제법·형태의 빵은 현대에도 인근 지방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이 시대부터 중세까지 빵의 제법 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유럽 중세 시대에는 밀빵이 최상급의 빵으로 여겨졌지만, 특히 농민이나 도시 하층 주민은 밀에 다른 것을 섞은 빵이나 호밀빵을 먹는 경우가 많았다. 기근 시에는 더욱 섞는 양이 많아졌다. 또한, 당시에는 큰 둥근 빵을 얇게 썬 것을 트랜처라고 칭하여 접시 대신 사용했고, 곡물 외의 영양원이 부족했기 때문에 15세기 프랑스 오베르뉴의 귀족은 1인당 연간 500kg의 빵을 소비했다.[110] 이 무렵에는 이미 도시에 빵집이 설립되었지만, 도시 당국은 주민들의 생활을 위해 빵의 가격을 일정하게 억제하도록 규제를 가했고, 이 때문에 밀 등 원료의 가격이 높아지면, 가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대신 빵의 무게가 가벼워지거나 섞는 것이 많아졌다.[111] 그러나, 도시 당국은 일반적으로 빵의 품질에 대해서도 엄격한 규제를 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빵은 사람들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것이었으며, 빵집의 길드는 정육점과 함께 반쯤 공적인 지위를 갖고 큰 힘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의 빵집은 스스로 가루를 반죽하여 빵을 굽는 것까지 일관되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시민이 반죽한 가루를 가져와서 품삯을 받고 빵을 굽는 것과는 명확한 격차가 있었다. 농촌에서는 영주가 설치한 빵 굽는 가마를 영민들이 이용해야 한다는 사용 강제권이 설정되었지만, 나중에는 농촌에서도 빵집에 의해 빵이 구워지게 되었다.[112]

18세기경부터 유럽에서는 서서히 시민들의 생활이 향상되었고, 또한 농법의 개선과 생산지의 확대로 인해 밀 생산이 확대됨과 동시에 밀이 식생활의 중심이 되어가면서, 양적인 면에서도 호밀 대신 밀이 중심이 되어갔다.[113] 그 후, 대형 오븐의 발명과 제분 기술의 발달로 대규모 빵 제조 업체가 출현했다. 19세기에 들어 미생물학의 발달로 효모의 존재가 밝혀지면서 이를 산업화하여 야생 출아 효모를 선별하여 제빵에 적합한 균주를 단일 배양한 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효모 대신 중탄산나트륨이나 베이킹파우더로 부풀린 빵도 만들어지게 되었고, 현대에는 일련의 냉동 → 해동 → 발효까지의 반죽의 발효 관리에 자동 온도 관리를 하는 발효실을 사용하는 등 발효 기술의 향상도 보인다.

3. 1. 세계 빵의 역사

빵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음식들 중 하나이며, 신석기 시대로부터 만들어져 왔다. 최초의 빵은 아마도 곡식과 물로 밀가루 반죽을 만들어 요리했을 것이며, 우연히 또는 고의로 요리 실험을 하면서 발전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대 플리니우스는 갈리아족과 이베리아족이 술로 얇은 밀가루 층을 만들었던 것을 “가벼운 종류의 빵”이라고 보고했다. 빵은 재료에 따라 먹는 대상이 달랐는데 일반사람은 일반적으로 밀로 만든 빵을 먹었으며 보리로 만든 빵은 주로 군마(軍馬)가 먹었다.[140]

중세의 빵 직인


빵의 변천 과정은 아래 표와 같다.[140]



30,000년 전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된 증거는 식물을 빻는 데 사용된 돌에서 전분 잔류물을 보여주었다.[3][4] 이 시기에 부들, 고사리와 같은 식물의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을 평평한 돌에 펴서 불 위에 올려 원시적인 형태의 플랫브레드로 구웠을 가능성이 있다. 빵 제조의 가장 오래된 증거는 요르단 북동부 사막에 있는 14,500년 된 나투프 문화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5][6] 기원전 10,000년경, 신석기 시대가 시작되고 농업이 확산되면서 곡물이 빵을 만드는 주재료가 되었다. 효모 포자는 곡물 표면을 포함하여 어디에나 존재하므로 휴지 상태로 둔 반죽은 자연적으로 부풀어 오른다.[7]

''여인이 빵을 굽는 모습''(루브르 박물관)


초기 발효빵은 기원전 6000년경 수메르 문명의 요람인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 구워졌으며, 수메르인들은 기원전 3000년경 이 지식을 이집트인들에게 전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집트인들은 이 과정을 개선하여 밀가루효모를 첨가하기 시작했다. 수메르인들은 이미 구울 때 반죽을 보충하기 위해 잿더미를 사용했다.[8]

초기 빵을 부풀리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었다. 공기 중의 효모는 익히지 않은 반죽을 요리하기 전에 일정 시간 동안 공기에 노출시켜 활용할 수 있었다. 대 플리니우스는 골족과 이베리아인들이 맥주에서 거품을 걷어낸 바름을 사용하여 "다른 민족보다 더 가벼운 종류의 빵"을 생산했다고 보고했다. 맥주 대신 포도주를 마시는 고대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는 포도 주스와 밀가루로 구성된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발효를 시작하거나 포도주에 담근 밀기울을 효모의 원천으로 사용했다. 가장 흔한 부풀림 방법은 전날의 반죽 일부를 스타터 형태로 보관하는 것이었는데, 플리니우스도 그렇게 보고했다.[9][10]

고대 이집트인, 그리스인, 로마인들은 모두 제빵 기술의 정교함을 문명의 척도로 여겼다.[8]

초리우드 빵 제조법은 1961년에 개발되었으며, 반죽을 강하게 기계적으로 작업하여 발효 기간과 빵을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이 과정은 고에너지 혼합으로 단백질 함량이 낮은 곡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현재 전 세계 대규모 공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결과, 빵을 매우 빠르게, 그리고 제조업체와 소비자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영양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판도 있다.[11][12][13]

고대 이집트의 빵 굽는 노동자 조각상


인류는 농경·농업을 시작하기 전부터 수렵 채집 시대부터 이미 야생 보리, , 귀리 등을 채취하여 부수어 빵을 구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르단에서는 약 1만 4400년 전의 화덕 자국에서 피타와 같은 빵 조각의 퇴적물이 발굴되었다.[107]

텔 아부 후레이라 유적에서 가장 오래된 밀과 호밀이 발견되었다. 밀은 겉껍질이 굳기 때문에 볶거나 돌로 갈아 가루로 만든 것에 물을 더해 끓여 처럼 먹기 시작했을 것으로 발굴물에서 추정된다. 또한, 차탈후유크 유적 후기에 빵밀(추위에 강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재배할 수 있고, 글루텐이 많아 부풀릴 수 있다)이 발견되었다. 빵밀의 부모가 두 알 밀(야생종끼리의 알알이 밀과 구구 밀의 자손)과 야생종 타르호 밀임을 발견한 것은 기하라 히토시이다.[108]

투안 유적(스위스)의 하층(기원전 3830-3760)에서는 "인위적으로 발효시킨 죽"이 발견되었고, 중층(기원전 3700-3600)에서는 "잿더미 아래에서 구운 빵"과 "빵 굽는 가마 형태의 설비로 구운 빵"이 발견되었다.[109] 죽 상태의 것을 며칠 동안 방치하면 자연적인 출아 효모균이나 젖산균이 달라붙어 자연 발효를 시작하여 사워도우가 만들어진다. 처음에는 이것을 썩은 것으로 버렸지만, 버리지 않고 구운 것이 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드러워진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현대에 이어지는 발효빵의 제법이 발견되었다고 생각된다.

빵은 처음에는 보리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점차 밀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빵이 활발하게 만들어졌으며, 급료와 세금도 빵으로 지불되었다. 발효빵이 탄생한 것도 이 시대의 이집트이다. 고대 로마 시대가 되면서 빵집과 과자빵도 출현했다. 폼페이에서 당시의 빵집이 발굴되었다. 이미 돌로 만든 대형 맷돌이 사용되었다. 폼페이에서 출토된 빵과 거의 동일한 제법·형태의 빵은 현대에도 인근 지방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이 시대부터 중세까지 빵의 제법 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유럽 중세 시대에는 밀빵이 최상급의 빵으로 여겨졌지만, 특히 농민이나 도시 하층 주민은 밀에 다른 것을 섞은 빵이나 호밀빵을 먹는 경우가 많았다. 기근 시에는 더욱 섞는 양이 많아졌다. 또한, 당시에는 큰 둥근 빵을 얇게 썬 것을 트랜처라고 칭하여 접시 대신 사용했고, 곡물 외의 영양원이 부족했기 때문에 15세기 프랑스 오베르뉴의 귀족은 1인당 연간 500kg의 빵을 소비했다.[110] 이 무렵에는 이미 도시에 빵집이 설립되었지만, 도시 당국은 주민들의 생활을 위해 빵의 가격을 일정하게 억제하도록 규제를 가했고, 이 때문에 밀 등 원료의 가격이 높아지면, 가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대신 빵의 무게가 가벼워지거나 섞는 것이 많아졌다.[111] 그러나, 도시 당국은 일반적으로 빵의 품질에 대해서도 엄격한 규제를 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빵은 사람들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것이었으며, 빵집의 길드는 정육점과 함께 반쯤 공적인 지위를 갖고 큰 힘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의 빵집은 스스로 가루를 반죽하여 빵을 굽는 것까지 일관되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시민이 반죽한 가루를 가져와서 품삯을 받고 빵을 굽는 것과는 명확한 격차가 있었다. 농촌에서는 영주가 설치한 빵 굽는 가마를 영민들이 이용해야 한다는 사용 강제권이 설정되었지만, 나중에는 농촌에서도 빵집에 의해 빵이 구워지게 되었다.[112]

18세기경부터 유럽에서는 서서히 시민들의 생활이 향상되었고, 또한 농법의 개선과 생산지의 확대로 인해 밀 생산이 확대됨과 동시에 밀이 식생활의 중심이 되어가면서, 양적인 면에서도 호밀 대신 밀이 중심이 되어갔다.[113] 그 후, 대형 오븐의 발명과 제분 기술의 발달로 대규모 빵 제조 업체가 출현했다. 19세기에 들어 미생물학의 발달로 효모의 존재가 밝혀지면서 이를 산업화하여 야생 출아 효모를 선별하여 제빵에 적합한 균주를 단일 배양한 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효모 대신 중탄산나트륨이나 베이킹파우더로 부풀린 빵도 만들어지게 되었고, 현대에는 일련의 냉동 → 해동 → 발효까지의 반죽의 발효 관리에 자동 온도 관리를 하는 발효실을 사용하는 등 발효 기술의 향상도 보인다.

3. 2. 한국 빵의 역사

빵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음식들 중 하나이며, 신석기 시대로부터 만들어져 왔다. 최초의 빵은 아마도 곡식과 물로 밀가루 반죽을 만들어 요리를 했을 것이며, 우연히 또는 고의로 요리 실험을 하면서 발전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곡식 표면에 포함된 흔한 효모 포자는 밀가루 반죽에 자연스럽게 반죽되었다. 이것은 초기의 빵에서 다양한 발효 소스 중 하나였다. 대 플리니우스는 갈리아족과 아베리아족이 술로 얇은 밀가루 층을 만들었던 것을 “가벼운 종류의 빵”이라고 보고했다. 빵은 재료에 따라 먹는 대상이 달랐는데 일반사람은 일반적으로 밀로 만든 빵을 먹었으며 보리로 만든 빵은 주로 군마(軍馬)가 먹었다.[140]

한국 빵의 변천 과정은 아래 표와 같다.[140]

시대 구분내용
근대align="left"|
현대align="left"|


4. 제조 방법

빵 반죽은 보통 구워 만들지만, 일부 요리에서는 찌거나 (예: 만터우), 튀기거나 (예: 푸리), 기름을 바르지 않은 프라이팬에 굽기도 한다(예: 토르티야). 팽창제를 사용하거나 무발효로 만들기도 한다(예: 마짜). 식염, 지방팽창제 (예: 효모 및 베이킹 소다)는 일반적인 재료이며, 이 외에도 우유, 달걀, 설탕, 향신료, 과일 (예: 건포도), 채소 (예: 양파), 견과류 (예: 호두) 또는 씨앗 (예: 양귀비 씨앗)과 같은 다른 재료가 포함될 수도 있다.[37]

동티모르에서 빵 굽기


반죽을 빵으로 만드는 방법에는 스트레이트 도우법, 사워도우법, 초리우드 제빵법 및 스펀지 앤 도우법이 있다. 발효는 더 가볍고, 더 쉽게 씹히는 빵을 만들기 위해 굽기 전이나 굽는 동안 반죽에 가스를 첨가하는 과정이다. 서양에서 먹는 빵의 대부분은 발효된다.[47] 빵을 부풀리는 간단한 기술은 가스를 생성하는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소금 발효 빵은 효모를 사용하지 않고,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에 의해 발효된다.[56][57] 탄산빵은 반죽에 압력을 가해 이산화 탄소를 주입하여 부풀린 빵으로,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영국에서 다소 인기를 끌었다. 탄산빵 회사(Aerated Bread Company)에서 제조하여 시내의 차 전문점에서 판매했으며, 1862년에 설립되어 1955년에 독립적인 운영을 중단했다.[58] 압력-진공 믹서는 이후 초롤리우드 빵 공정을 위해 제분 및 제빵 연구 협회에서 개발되었다. 이 믹서는 헤드스페이스에 가스를 가하여 반죽 내 기포의 크기와 선택적으로 가스 조성을 조작한다.[59]

4. 1. 재료

빵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는 크게 주재료와 부재료로 나눌 수 있다. 주재료는 빵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고, 부재료는 맛, 향, 질감 등을 더하는 역할을 한다.

빵 반죽

주재료

  • '''밀가루''': 빵의 주재료로, 을 빻아 만든다. 호밀, 보리, 옥수수, 등 다른 곡물 가루도 빵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밀가루 속 글루텐은 빵 반죽에 끈기를 주고, 효모와 만나 발효되면서 빵을 부풀게 한다.[85] 빵의 종류에 따라 글루텐 함량이 다른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 등을 사용한다.
  • '''물''': 밀가루와 함께 반죽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우유, 주스, 맥주 등을 물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레시피에 따라 필요한 물의 양은 달라지며, 효모가 들어간 빵은 물과 밀가루의 비율이 3:5, 효모가 아닌 팽창제로 팽창되는 빵은 1:1 정도가 적당하다.
  • '''효모''': 빵 반죽을 부풀게 하는 미생물(균류)이다. 당밀[79] 등으로 배양한 것을 사용하며, 빵은 알코올 발효를 한다. 빵종은 곡물이나 과실 등에 붙어 있는 효모 외 여러 미생물을 이용해 만든 액상 또는 반죽 상태의 것이다.[80] 빵종에는 유산균[81]이나 누룩[80] 같은 미생물이 들어 있는데, 유산균이 젖산 발효를 하면 빵에 신맛이 더해진다.[81]
  • '''소금''': 빵 반죽의 맛을 조절하고, 효모의 활동을 늦추며,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글루텐을 강화한다.[45]

부재료빵의 맛과 질감, 영양 등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부재료가 사용된다.

  • 설탕, 꿀 등: 단맛을 내고 효모의 먹이가 된다.
  • 달걀, 우유, 버터, 올리브 오일, 라드, 쇼트닝 등: 빵을 부드럽게 하고 풍미를 더한다.
  • 견과류, 말린 과일, , 치즈, 생크림, , 채소 등: 빵에 다양한 맛과 식감을 더한다.
  • 향신료: 빵에 독특한 향을 더한다.
  • 제빵 개량제, 반죽 개량제: 빵을 만들 때 발효 시간을 줄이고, 질감과 부피를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44]


호박씨해바라기씨를 넣은 수제 빵

4. 1. 1. 화학적 팽창

빵을 부풀리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가스를 생성하는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베이킹파우더나 베이킹파우더가 섞인 셀프 라이징 밀가루를 사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버터밀크와 같은 산성 성분을 넣고 베이킹 소다를 첨가하는 것이다. 산과 소다의 반응으로 가스가 생성된다.[47] 화학적으로 부풀린 빵은 퀵 브레드와 소다 브레드라고 불린다. 이 방법은 머핀, 팬케이크, 미국식 비스킷, 바나나 브레드와 같은 퀵 브레드를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된다.

4. 1. 2. 효모

압축 신선 효모


빵을 부풀게 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효모이다. 빵을 부풀리는 데 사용되는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에( ''Saccharomyces cerevisiae'')라는 종인데, 이는 알코올 음료를 만들 때 사용되는 것과 같은 종류이다. 이 효모는 당의 일부를 발효시켜 이산화 탄소를 만들어 낸다. 상업적으로 빵을 만드는 사람들은 종종 상업적으로 생산된 제빵용 효모를 사용하는데, 이는 순수 배양에서 얻기 때문에 균일하고, 빠르며, 믿을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7] 많은 장인 제빵사들은 직접 배양한 효모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만든 효모는 적절한 조건에서 보관하면 오랫동안 빵을 부풀리는 데 사용할 수 있다.[48]

제빵용 효모와 사워도우 방식은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 먼저 물을 밀가루, 소금, 그리고 빵을 부풀게 하는 재료와 섞는다. 향신료, 허브, 지방, 씨앗, 과일 같은 다른 재료들은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빵을 만들 때 종종 사용된다. 이렇게 섞은 반죽은 한 번 이상 2차 발효를 거치는데, 발효 시간이 길수록 빵의 풍미가 더 좋아진다. 그래서 제빵사들은 종종 반죽을 "펀칭"하고 다시 부풀게 한다. 반죽이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어지면 (선택적으로 마지막 발효를 거친 후) 오븐에서 굽는다.[47]

많은 빵이 모든 재료를 한 번에 섞어 발효시킨 후 굽는 "스트레이트 도우" 방식으로 만들어진다.[47] 하지만 어떤 빵들은 부풀림제를 밀가루와 물의 일부와 섞어 빵을 굽기 하루 전에 미리 발효시키는 "사전 발효"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빵을 굽는 날에는 나머지 재료를 넣고, 스트레이트 도우 방식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하면 빵의 풍미와 질감이 더 좋아진다. 많은 제빵사들은 스타터 방식을 제빵용 효모의 안정적인 결과와 더 긴 발효에서 오는 풍미와 복잡성 사이의 좋은 절충점으로 생각한다. 또한, 이 방식을 사용하면 처음 사용 가능했을 때 귀하고 비쌌던 제빵용 효모를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효모 사전 발효는 "풀리쉬" (밀가루와 물의 양이 거의 같은, 무게 기준, 느슨한 질감의 혼합물), "비가" (밀가루 비율이 더 높은 뻑뻑한 혼합물), "파테 페르멘테" (이전 반죽에서 남겨둔 반죽의 일부) 중 하나에 속한다.[49][50]

출아 효모(이스트)는 밀로 만든 발효 빵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재료이다. 빵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효모는 크게 공장에서 생산된 효모와 직접 채취한 효모(천연 효모)로 나뉜다. 공장에서 생산된 이스트는 생이스트, 드라이 이스트, 인스턴트 드라이 이스트의 세 종류가 있다. 생이스트는 사용 기한이 일주일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건조시켜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드라이 이스트가 만들어졌다.[89] 또한, 별도의 발효 과정 없이 바로 가루에 섞어 쓸 수 있는 인스턴트 드라이 이스트도 개발되었다. 호밀의 경우에는 젖산균과 효모를 중심으로 여러 미생물을 함께 배양한 전통적인 빵 반죽인 사워도(사워도우)가 사용된다. 이 외에도 팥빵 등에 사용되는 누룩으로 만드는 술종, 종, 요구르트종, 건포도종, 맥주빵에 사용되는 맥주 효모 등 다양한 효모종이 있다.[90] 빵 반죽의 발효 과정에서 환경에 존재하는(인위적으로 넣지 않은) 젖산균은 빵 맛을 좋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91][92]

예비 발효
발효 후
후에Proofing



팽창제로는 효모 외에도 베이킹파우더 같은 화학적 팽창제를 사용해 발효시키는 속성 빵, 사워도를 사용하는 사워도 빵, 자연 발효에 가까운 무발효 빵(플랫 브레드 등)이 있다.

빵 반죽을 만들 때는 밀가루나 호밀가루 같은 '''곡물 가루'''에 물 등을 섞는다. 그 후, 효모나 빵종을 빵 반죽에 섞어 반죽을 발효시킨다. 발효 과정에서 생기는 이산화탄소 때문에 빵 반죽이 부풀어 오르는데, 이것을 가열하면 빵이 된다.

'''효모'''는 미생물(균류)의 한 종류로, 빵을 만들 때는 당밀[79] 등으로 배양한 효모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빵은 알코올 발효를 하게 된다. '''빵종'''은 곡물이나 과일 등에 붙어 있는 효모와 여러 미생물을 이용해 만든 액체나 반죽 상태의 것이다.[80] 빵종에는 유산균[81]이나 누룩[80] 같은 미생물이 들어 있는데, 유산균이 젖산 발효를 하면 빵에 신맛이 더해진다.[81]

4. 1. 3. 사워도

사워도는 자연적으로 생성된 효모와 젖산균을 사용하여 반죽을 오랫동안 발효시켜 생산하는 빵의 종류이다. 인공적으로 재배한 효모로 만든 빵과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젖산균에 의한 혐기성 호흡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젖산 때문에 약간 시큼한 맛을 낸다.[141][142] 더 오래 발효된 사워도에는 식초의 주요 비수성 성분인 아세트산도 함유될 수 있다.

사워도 빵은 천연발효종으로 만들어진다. (\빵 효모로 만든 효모발효종과 다르다.) 발효종(스타터)은 신선한 밀가루에 이미 존재하는 미생물을 활용, 밀가루와 물의 혼합물에 효모와 젖산균을 배양한다. 이 방식은 어떤 추가 효모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발효종은 밀가루와 물을 정기적으로 추가함으로 무기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제빵사는 몇 세대로 오래된 발효종을 이용하여, 아주 독특한 풍미를 가지고 있다.[141] 빵을 새로 시작할 때 기존 발효종 배양액에서 얻을 수 있다.

옛날의 모든 발효빵은 사워도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발효 과정은 효모가 처음 확인된 19세기까지 이해되지 않았다. 그 이후 맥주효모균 균주를 교배하게 되면서 "빵 효모"로 판매되었다. 빵 효모는 제빵 과정이 간단하며, 사워도 발효종의 긴 발효 시간에 비해 발효가 빠르고 제빵 과정이 단순화하면서 인기를 얻었다. 최근에는 일부 장인들의 빵집에서 사워도를 이용하여 반죽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143]

4. 1. 4. 기타 재료

빵 반죽에는 효모, 베이킹 소다, 베이킹파우더와 같은 여러 가지 팽창제가 들어가며, 우유, 달걀, 설탕, 향신료, 과일, 채소, 견과류, 씨앗 등 다른 재료가 들어가기도 한다.[37] 지방버터, 식물성 기름, 라드, 또는 달걀에 포함될 수 있다. 소금은 풍미 증강 및 효모 활성 제한 외에, 전체적인 질감을 안정화 시키고 글루텐을 강화시킨다.[146]

빵 푸딩


빵 반죽 이외에 견과류, 말린 과일, , 육류, 치즈, 생크림, 류, 채소류, 각종 조미료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주로 빵에 토핑하거나 속 재료로 넣어 사용한다.

이 외의 재료는 빵 만들기에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빵의 맛이나 완성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부재료로 자주 사용된다. 설탕, 달걀, 우유, 버터, 올리브 오일, 라드, 쇼트닝 등이 주로 사용되는 부재료이다.

5. 종류

빵은 -밀가루 반죽으로 만들어지며, 중동, 중앙아시아, 북아프리카, 유럽아메리카, 호주, 남아프리카 등 유럽 문화권에서 주식으로 섭취된다. 빵은 보통 효모로 발효시켜 오븐에 굽는다.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은 빵에 공기 주머니를 만든다.[14] 빵 제조에는 주로 글루텐 함량이 높은 일반 밀 또는 빵 밀이 사용된다.[15]

빵은 스펠트, 에머, 이잉코른, 카무트 등 다른 밀 품종으로도 만들 수 있다.[16] 호밀, 보리, 옥수수, 귀리, 수수, , 등도 사용되지만, 이들은 글루텐 함량이 낮아 밀가루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17]

글루텐 프리 빵은 아몬드, 쌀, 수수, 옥수수, 콩류, 카사바 등 다양한 재료의 가루로 만들어진다. 글루텐이 없어 반죽이 모양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잔탄 검, 구아 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 옥수수 전분, 달걀 등의 첨가물이 사용된다.[18][19][20][21]

빵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식빵


팥빵


바게트


샌드위치


햄버거


덴마크의 페이스트리


카레빵

5. 1. 발효 방식에 따른 분류

빵은 발효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주재료 4종(곡물 가루, 효모, 물, 식염)만으로 만들어진 빵은 "린" 빵이라고 불리며, 잡미가 적어 곡물 본래의 맛을 살릴 수 있어 주로 식사용 빵으로 사용된다. 설탕, 계란, 우유, 버터, 올리브 오일, 라드, 쇼트닝 등의 부재료를 많이 배합한 빵은 "리치" 빵이라고 불리며, 달콤하고 폭신하게 완성되기 때문에 빵, 과자 등에 많이 사용된다.

다음은 발효 방식에 따라 분류된 빵의 종류이다.

  • 전밀빵
  • 호밀빵
  • 우유식빵
  • 건포도 식빵
  • 옥수수 식빵
  • 풀먼 브레드
  • 보리 식빵
  • 더블소프트 식빵
  • 버터톱 식빵
  • 생크림 식빵
  • 버터롤
  • 소프트 롤
  • 밤 식빵

5. 2. 가열 방식에 따른 분류

빵은 가열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굽기: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오븐이나 화덕에서 굽는다. 식빵, 바게트, 피자 등이 있다.
  • 찌기: 찜기나 솥에서 증기로 찐다. 찐빵, 꽃빵 등이 있다.
  • 튀기기: 뜨거운 기름에 튀긴다. 도넛, 고로케, 꽈배기 등이 있다.
  • 지지기: 얇게 반죽하여 기름을 두른 팬이나 솥뚜껑에 지진다. 호떡, 전병 등이 있다.
  • 데치기: 뜨거운 물에 살짝 데친 후 굽는 방식이다. 베이글이 대표적이다.

5. 3. 지역별 빵

만터우


중국에서는 만터우라는 전통 빵이 있다. 만터우는 밀가루 반죽을 찌거나 튀겨서 만든다. 중국 북부와 중북부에서는 쌀 대신 주식으로 먹는다. 만터우는 서양 빵과 비슷하지만 굽지 않고 쪄서 만들기 때문에 겉이 갈색으로 변하지 않는다. 차사오바오처럼 속에 고기나 야채를 넣은 것은 바오쯔라고 부른다. 푸저우에는 점토 오븐에서 구운 광빙(光餅)이라는 빵도 있다.

아랍식 피타


남아시아(인도, 파키스탄, 중동 포함)에서는 차파티 또는 로티를 먹는다. 이것은 보통 통밀가루나 정제된 밀가루로 만든 반죽에 누룩을 넣지 않은 납작빵이며, 타바(tava)라는 뜨거운 철판에 굽는다. 로티와 은 보통 커리와 함께 먹는다. 마키 디 로티(Makki di roti)는 옥수수 가루를 사용한 변형이다. 푸리(puri)는 기름에 튀긴 얇은 빵이고, 파라타(Paratha)도 로티의 변형이다. (발효된 통밀빵)은 탄두르 또는 점토 오븐에 굽는다.

필리핀에서는 판데살(pandesal, pan de sal , 소금 빵이라는 뜻)이라는 둥근 빵을 아침에 주로 먹는다.[150][151] Pinoy Tasty라는 저렴한 흰 빵도 생산한다.

프랑스 빵


유럽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빵을 생산한다. 독일은 1300여개의 빵, , 페스트리를 생산하며, 1인당 빵 소비량이 칠레 다음으로 높다.[152][153][154][155] 빵과 소금은 중부 및 동부 유럽에서 환대의 상징으로 사용된다.[156]

프랑스에서는 바게트 소비가 크게 감소했다. 1970년대 프랑스 사람들은 하루 평균 빵 한 덩어리를 소비했지만, 오늘날에는 하루 반 덩어리로 줄었다. 2013년, 제빵사들은 "저기요, 당신 빵을 가져갔나요?(Coucou, tu as pris le pain?)"라는 문구를 사용한 캠페인을 벌였다.[157]

영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직사각형 통 모양으로 빵을 굽는다. 노스이스트잉글랜드에서는 둥근 빵인 스토티드 케이크(Stottie cake)를 생산한다. 코티지 로프는 2개의 큰 빵 사이에 작은 빵을 올리는 전통 빵이다. 콜리우드 가공법(Chorleywood process)은 1960년대 영국에서 개발되어 전 세계로 퍼졌다. 그러나 Wonderloaf나 Mother's Pride같은 대량 생산된 흰 빵은 영양 가치가 낮고 맛과 질감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는다.[158]

스페인에서는 빵을 panes이라고 부른다. 전통적인 스페인식 빵은 바게트와 유사한 넓고 긴 빵이다. 보카디요는 작은 빵으로, 히스패닉 요리의 상징 중 하나이다. 바르셀로나의 베이커 길드는 1200년에 설립되었다.[159] 사모라 주에는 '티에라 델 팬(Tierra del Pan, "빵의 땅")'이라는 지역이 있다.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2000년에 터키는 1인당 199.6kg의 빵을 소비하여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135kg, 불가리아는 133.1kg를 소비했다.[160]

멕시코에서는 토르티야가 주된 빵이지만, 다양한 종류의 롤 빵도 판매된다. 볼리요와 판 둘세가 널리 소비된다. 판 둘세는 “달콤한 빵”을 의미하며, 주로 저녁에 핫초코와 함께 먹는다.

페루에서는 페루 요리에 따라 다양한 빵이 있다. 판 데 피소(pan de piso)와 판 세라노(pan serrano)가 흔히 먹는 빵이다. 감자를 이용한 빵도 있으며, 안데스에서 인기가 높다. 비스코초스(Bizcochos)는 버터와 핫 초콜릿을 곁들여 먹는 달콤한 빵이다.

동북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서는 은저라라는 빵을 테프라는 곡물로 만든다.[161] 은저라는 넓고 평평한 원형 빵으로, 여러 음식을 올려놓는 데 사용된다.

모로코에서는 rghifa라는 빵이 주식이다. 여러 겹으로 싸서 약하게 익힌 빵이다.

이집트에서는 빵을 아이시(aysh)라 부르며, 아이시 메라라, 아이시 발라디 등의 유형이 있다. “아이시 없는 인생은 인생이 아니다.”라는 속담이 있다.[162][163]

콘브레드


미국의 전통적인 빵으로는 콘브레드 등의 퀵 브레드비스킷이 있다. 롤빵도 저녁 식사로 먹는다.

콘브레드는 옥수수 가루로 만들며 지역마다 맛과 질감이 다르다. 남부에서는 흰색 옥수수 가루를 사용하고, 주철 프라이팬에 구워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다. 북부에서는 노란색 옥수수 가루를 사용하며, 밀가루, 설탕, 꿀, 메이플 시럽을 곁들여 남부식보다 부드럽고 달다.

스푼 브레드는 옥수수 가루에 우유, 달걀, 쇼트닝을 섞고 발효하여 만든다. 베이킹 접시에서 스푼과 함께 제공된다.

사워도 비스킷은 서부에서 “카우보이 음식”으로,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에서는 껍질이 딱딱한 사워도로 알려져 있다.

미국에서는 20세기까지 옥수수 가루 이외의 가루는 고급으로 여겨졌다. 상업적으로 인기 있는 빵은 얇은 껍질에 부드러운 질감의 빵으로, 우유를 섞어 달콤하게 만들고 얇게 잘라 판매된다. 애프터눈 티에는 핑거 샌드위치 형식으로 제공된다. 원더 브레드를 포함한 소프티스트 브레드(softest bread)는 "벌룬 브레드(balloon bread)"로 불린다.

흰색 샌드위치 빵 외에도 아슈케나짐계 유대인의 베이글, 프랑스계 바게트, 뉴잉글랜드의 스칼리 브레드(Scali bread), 유대인 호밀빵, 아메리카 원주민의 튀김 빵 등 다양한 빵이 있다.

6. 문화적 의미

빵은 서구권, 근동 및 중동 지역의 여러 문화에서 단순한 음식을 넘어선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영어 단어 '컴패니언(companion)'은 라틴어 'com-'(함께)과 'panis'(빵)에서 유래한 것으로, '빵을 함께 먹는 사람' 즉, 동반자를 의미한다.[148]

빵은 기본적인 필수품과 생활 조건을 나타내는 은유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가계를 책임지는 사람"은 가정의 주요 경제 기여자를 의미하며, "밥상에 빵을 올린다"라는 표현도 이와 관련이 있다. 로마 시인 유베날리스는 "빵과 서커스"만 원하는 대중을 풍자하기도 했다.[62] 러시아에서는 1917년 볼셰비키가 "평화, 토지, 빵"을 약속했다.[63][64] 인도에서는 삶의 필수품을 "로티, 카프라 아우르 마칸"(빵, 옷, 집)이라고 부른다.[66]

북유럽, 중앙 유럽, 남유럽동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빵과 소금을 손님에게 환영의 표시로 제공한다.[65]

빵과 소금으로 환영하는 우크라이나 여성


"반죽"과 "빵"은 영어권 국가에서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67] 또한, "슬라이스 빵 이후 최고의 것"은 혁신적인 발명을, "누군가와 빵을 나누다"는 "식사를 함께하다"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쓰인다.[68][69]

빵은 그리스펀자브 지방 등 일부 언어에서는 일반 식품을 나타내는 제유법으로 사용된다. 베이글, 바게트, 피자 등 다양한 종류의 빵이 세계 각지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6. 1. 종교적 의미

기독교에서 빵은 포도주와 함께 성찬(또는 성체성사)의 요소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제병)[147] 유대인의 축제 중 하나인 유월절에서는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인 무교병을 먹는데, 이는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을 청산한 것을 기념하는 것이다. 당시 이스라엘 백성은 빵을 부풀릴 충분한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무교병을 먹었다.[164]

성체성사(또는 성찬식, 성만찬)는 대부분의 기독교 교단에서 성찬과 조례 등을 동등하게 행한다.


기독교의 의식인 성체성사에서는 그리스도의 몸을 상징하는 빵을 성사의 하나로 먹는다. 가톨릭전례에서는 그리스도의 몸이 실제로 나타난다고 믿는다.[165] 빵의 구성을 포함하여 성사의 형식은 교단에 따라 다르다. 이는 성체성사의 근거인 최후의 만찬에 대한 서로 다른 설명과 성사에 대한 묘사에서 비롯된 것이다.[166] 공관복음서에서는 최후의 만찬을 유월절 식사로 묘사하고,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이라고 제시한다. 그러나 요한의 복음서에서는 최후의 만찬이 유월절 '전 날'의 사건이라고 하여 누룩을 넣은 빵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의견 차이에도 불구하고, 가톨릭 교회의 피렌체 공의회는 누룩을 넣지 않거나 누룩을 넣은 빵 모두 그리스도의 몸으로 진정으로 발현될 수 있으며, 사제는 어느 것이든 그리스도의 몸으로 발현해야 한다고 동의하였다.[167]

위카현대 이교의 일부 전통에서는 종교 의식의 한 부분으로 빵을 먹으며, 행위에 대한 다양한 상징을 부여한다.[168]

6. 2. 정치적 의미

19세기 영국에서는 곡물법으로 인해 빵 가격이 급증하여 정치적, 사회적 분열을 야기하고, 보호 무역과 자유 무역간의 논쟁의 중심이 되었다.[148] 13세기에는 빵과 에일의 순회재판이라 하여 빵의 무게와 가격을 속인 제빵사에 무거운 처벌을 내려 중세 시대 빵의 중요성을 입증하였고, 빵에 대한 내용은 반 세기 이전의 마그나카르타에서도 나타났다.

많은 문화에서 빵은 기본적인 필수품과 일반적인 생활 조건을 나타내는 은유이다. 예를 들어, "가계를 책임지는 사람"은 가정의 주요 경제 기여자를 의미하며 실제 빵 제공과는 거의 관련이 없다. 이는 "밥상에 빵을 올린다"라는 표현에서도 볼 수 있다. 로마 시인 유베날리스는 피상적인 정치인들과 "빵과 서커스"만 신경 쓰는 대중을 풍자했다.[62]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1917년에 볼셰비키가 "평화, 토지, 빵"을 약속했다.[63][64] 인도에서는 삶의 기본적인 필수품을 종종 "로티, 카프라 아우르 마칸"(빵, 옷, 집)이라고 부른다.[66]

6. 3. 기타

빵은 서구권과 근동 및 중동 지역의 여러 문화에서 단순한 식량을 넘어 문화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기독교에서 빵은 포도주와 함께 성찬의 요소 중 하나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제병)[147] 영어단어 중 동반자를 뜻하는 컴패니언(companion영어)은 '…와 함께'를 뜻하는 전치사 with의 라틴어 "com-"과 '빵(bread)'을 뜻하는 라틴어 "panis"를 합친 것에서 유래되었다.[148]

빵은 정치적 의미 또한 중요하다. 19세기 영국에서는 곡물법으로 인해 빵 가격이 급증하여 정치적, 사회적 분열을 야기하고, 보호 무역과 자유 무역간의 논쟁의 중심이 되었다. 13세기에는 빵과 에일의 순회재판(Assize of Bread and Ale)이라하여 빵의 무게와 가격을 속인 제빵사에 무거운 처벌을 내려 중세 시대 빵의 중요성을 입증하였고, 빵에 대한 내용은 반 세기 이전의 마그나카르타에서도 나타났다.

간단하고 저렴한 음식의 특성으로, 빵은 그리스펀자브 지방 같은 일부 언어 및 방언에서, 일반 식품에 대한 제유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빵은 전 세계로 퍼지면서 기본 조리법에서 많은 변화가 있는데, 베이글, 바게트, 비스킷, 보카디요, 브리오슈, 차파티, 라바시, , 피타, 피자, 브레첼, 푸리, 토르티야 등이 있다. 그리고 브라질, 콜롬비아, 이탈리아, 러시아 등 여러 나라에서 전통 “치즈빵”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빵은 탄수화물과 마그네슘, 철, 셀레늄, 비타민 B군과 같은 미량 영양소의 좋은 공급원이다. 통곡물 빵은 식이 섬유의 좋은 공급원이며, 모든 빵은 식단에서 흔한 단백질 공급원이지만 풍부한 공급원은 아니다.[33][34]

빵은 역사와 현대적 중요성 때문에 많은 문화권에서 단순한 영양을 넘어선 의미를 지닌다. 빵은 또한 성찬례의 요소(포도주와 함께) 중 하나로서 기독교에서[60], 그리고 이교주의를 포함한 다른 종교에서도 중요하다.[61]

많은 문화에서 빵은 기본적인 필수품과 일반적인 생활 조건을 나타내는 은유이다. 예를 들어, "가계를 책임지는 사람"은 가정의 주요 경제 기여자를 의미하며 실제 빵 제공과는 거의 관련이 없다. 이는 "밥상에 빵을 올린다"라는 표현에서도 볼 수 있다. 로마 시인 유베날리스는 피상적인 정치인들과 "빵과 서커스"만 신경 쓰는 대중을 풍자했다.[62]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1917년에 볼셰비키가 "평화, 토지, 빵"을 약속했다.[63][64] "곡창 지대"라는 용어는 농업 생산성이 높은 지역을 나타낸다. 북유럽, 중앙 유럽, 남유럽동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는 빵과 소금을 손님에게 환영의 표시로 제공한다.[65] 인도에서는 삶의 기본적인 필수품을 종종 "로티, 카프라 아우르 마칸"(빵, 옷, 집)이라고 부른다.[66]

"반죽"과 "빵" 자체를 포함한 빵에 대한 단어는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동의어로 사용된다.[67] 놀랍거나 혁신적인 혁신은 "슬라이스 빵" 이후 최고의 것이라고 불릴 수 있다.[68] "누군가와 빵을 나누다"라는 표현은 "누군가와 식사를 함께하다"를 의미한다.[69] 영어 단어 "lord"는 앵글로색슨어 ''hlāfweard''에서 유래되었으며, "빵 지키는 자"를 의미한다.[70]

빵은 때때로 "생명의 양식"이라고 불리지만, 이 용어는 다른 문화권에서 다른 주식 품목을 지칭할 수 있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이를 "빵(또는 유사한 주식)"으로 정의한다.[71][72] 이것은 때때로 성경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되지만, 가장 유사한 표현은 레위기 26장에 "내가 너희의 빵 지팡이를 꺾을 때"이다.[73] 이 용어는 제빵 회사의 이름에 채택되었다.[74]

참조

[1] 서적 The Paths of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The Etymology of the Word 'Bread' http://www.bonappeti[...] 2016-09-30
[3] 뉴스 Prehistoric man ate flatbread 30,000 years ago: study http://www.physorg.c[...] Science X 2010-10-19
[4] 뉴스 Indigenous Australians know we're the oldest living culture – it's in our Dreamtime https://www.theguard[...] 2020-02-08
[5] 웹사이트 Prehistoric bake-off: Scientists discover oldest evidence of bread https://www.bbc.co.u[...] 2018-07-17
[6] 웹사이트 Archaeobotanical evidence reveals the origins of bread 14,400 years ago in northeastern Jordan http://www.pnas.org/[...] 2018-10-19
[7] 서적 On food and cooking Scribner
[8] 간행물 Emmer (Triticum turgidum spp. dicoccum) flour and breads Academic Press
[9] 서적 Food in History Stein and Day
[10] 서적 Natural History http://www.loebclass[...] Loeb Classics 1938
[11] 웹사이트 Chorleywood Industrial Bread Making Process https://web.archive.[...]
[12] 뉴스 bbc.com: "Chorleywood: The bread that changed Britain" https://www.bbc.com/[...] 2018-06-13
[13] 웹사이트 fob.co.uk: "History of bread – 20th century" https://www.fob.uk.c[...] 2018-05-14
[14] 논문 Impact of Leavening Agent and Wheat Variety on Bread Organoleptic and Nutritional Quality 2022-07
[15] 웹사이트 Wheat for bread and other foods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10-01
[16] 웹사이트 Wheat http://www.glnc.org.[...] Grains & Legumes Nutrition Council 2016-10-01
[17] 서적 Technology of Breadmak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
[18] 논문 Cereal-based gluten-free food: how to reconcile nutritional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of wheat proteins with safety for celiac disease patients
[19] 논문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a work-in-progress entity in the spectrum of wheat-related disorders 2015-06
[20] 논문 Gluten-free diet in gluten-related disorders 2013
[21] 논문 Review article: safe amounts of gluten for patients with wheat allergy or coeliac disease 2006-03-01
[22] 논문 Effect of wheat variety, farming site, and bread-baking on total phenolics
[23] 논문 Changes in dietary fibre, phenolic acids and activity of endogenous enzymes during rye bread-making
[24] 논문 Phenolic glucosides in bread containing flaxseed
[25] 논문 Chemistry of gluten proteins 2007-04
[26] 서적 On Food and Cooking: The Science and Lore of the Kitchen Scribner
[27] 논문 Effects of Asparagine, Fructose, and Baking Conditions on Acrylamide Content in Yeast-Leavened Wheat Bread 2004-04
[28] 웹사이트 Lange Teigführung ? Besser verträgliches Brot https://www.deutsche[...] 2016-09-06
[29] 간행물 Wheat and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 FODMAP levels of modern and ancient species and their retention during bread making https://linkinghub.e[...] 2022-06-16
[30] 뉴스 Bread and Butter Etiquette http://www.huffingto[...] 2011-06-21
[31] 웹사이트 Sandwich Recipes http://www.simpltrec[...] 2016-10-02
[32] 뉴스 Our 10 best bread recipes https://www.theguard[...] 2014-09-06
[33] 웹사이트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10 http://www.health.go[...] 2022-10-09
[34] 논문 The contribution of wheat to human diet and health 2015-10
[35] 서적 The Longevity List: Myth Busting the Top Ways to Live a Long and Healthy Life
[36] 웹사이트 Discovery Health "Is eating bread crust really good for you?" http://health.howstu[...] Health.howstuffworks.com 2009-07-29
[37] 웹사이트 Bread recipes (45 results found) https://www.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6-10-02
[38] 서적 Protein quality and the effects of processing https://books.google[...] M. Dekker
[39] 서적 Bread: a baker's book of techniques and recipes John Wiley
[40] 서적 Professional Chef: Level 2 Diploma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EMEA
[41] Webarchive Hydration ratio for breads http://food.laurieas[...] Food.laurieashton.com 2013-01-14
[42] 웹사이트 Yeast & Baking Lessongs. Liquids http://redstaryeast.[...] Red Star Yeast 2016-10-02
[43] 서적 Technology of Breadmak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44] 웹사이트 Dough and Bread Conditioners http://www.foodingre[...] 1999
[45] 서적 Breads From The La Brea Bakery Villard
[46] 서적 The Bread Baker's Apprentice: Mastering the Art of Extraordinary Bread Ten Speed Press
[47] 웹사이트 The Bread Leavening Process http://becomingachef[...] 2016-08-15
[48] 서적 Technology of Breadmak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49] 웹사이트 Artisan bread baking tips: Poolish & biga https://www.weekendb[...] 2016-10-02
[50] 웹사이트 Preferments King Arthur Flour
[5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Handbook on Sourdough Biotechnology Springer 2012
[53] 간행물 Factors Affecting Organic Acid Production by Sourdough (San Francisco) Bacteria 1972-06
[54] 뉴스 Supermarkets cash in on sourdough bread craze as popularity surges https://www.independ[...] 2016-01-30
[55] 서적 The science of bakery products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2-12-08
[56] 웹사이트 Susan R. Brown's Salt Rising Bread Project http://home.comcast.[...] Home.comcast.net 2010-06-03
[57] 간행물 Microbiology of salt rising bread https://pubmed.ncbi.[...] 2008
[58] 문서 'On the Healthy Manufacture of Bread: A Memoir on the System of Dr. Dauglish' https://books.google[...] Baillière, Tindall, & Cox
[59] 서적 Texture in food https://books.google[...] Woodhead
[60] 웹사이트 Eucharist (Christianity) –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6-02
[61] 서적 Exploring Wicca: The Beliefs, Rites, and Rituals of the Wiccan Religion https://books.google[...] Career Press
[62] 문서 Juvenal's literary and cultural influence (Book IV: Satire 10.81)
[63] 백과사전 Russia https://www.britanni[...] 2010-06-03
[64] 웹사이트 Vladimir Lenin: From March to October. SparkNotes http://www.sparknote[...] Sparknotes.com 2010-06-03
[65] 서적 Loaf Story https://books.google[...] Hardie Grant Publishing 2020
[66] 서적 The Foundation Pillars for Change https://books.google[...] Partridge
[67] 문서 bread
[68] 잡지 How the Phrase 'The Best Thing Since Sliced Bread' Originated https://www.theatlan[...] 2012-02-08
[69] 웹사이트 Break bread with http://idioms.thefre[...] The Free Dictionary 2017-01-01
[70] 백과사전 Lord https://www.merriam-[...] 2017-01-01
[71] 웹사이트 The staff of life https://dictionary.c[...] 2018-04-20
[72] 서적 Staff OED
[73] 웹사이트 Leviticus 26:26 https://www.biblestu[...] Bible Study Tools 2018-04-20
[74] 웹사이트 Home page https://web.archive.[...] Staff of Life Bakery 2018-04-20
[75] 웹사이트 A kicsi dió https://www.nepmese.[...] 2024-04-21
[76] 서적 Truth and Tales: Cultural Mobility and Medieval Media Th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2015
[77] 뉴스 Looking for fraud in wheat flour https://www.foodmanu[...] foodmanufacture.co.uk 2024-05-19
[78] 문서 "ˈpɐ̃w̃、'''パン'''ウン"
[79] 웹사이트 イーストの作り方 https://www.oyc.co.j[...] オリエンタル酵母工業株式会社 2018-08-08
[80] 웹사이트 伝統的パン種のおいしさと微生物の関わりについて https://www.sbj.or.j[...] 公益社団法人日本生物工学会 2018-08-08
[81] 웹사이트 発酵種の利用と生成する有機酸の特性 http://www.aichi-ins[...] あいち産業科学技術総合センター 2018-08-08
[82] 웹사이트 マントウ http://www.kokumotsu[...] 穀物屋(穀物のセレクトショップ) 2018-08-08
[83] 웹사이트 Boston Brown Bread https://www.simplyre[...] Simply Recipes 2018-08-08
[84] 문서 酵母による発酵の代わりに炭酸ガスを溶かしこんだ水を用いて生地を膨張させたイギリスのパン。一種の無醗酵パンである。
[85] 서적 パンの文化史 講談社学術文庫 2013-12-10
[86] 서적 パンの文化史 講談社学術文庫 2013-12-10
[87] 서적 パンの文化史 講談社学術文庫 2013-12-10
[88] 서적 図説:世界史を変えた50の植物 原書房 2012
[89] 웹사이트 ドライイーストって何? https://tomiz.com/co[...] TOMIZ 2020-03-09
[90] 서적 パンシェルジュ検定3級公式テキスト 実業之日本社 2009-08-20
[91] 논문 パン生地発酵と乳酸菌[前編] https://doi.org/10.4[...] 1998-1999
[92] 논문 パン生地発酵と乳酸菌[後編] https://doi.org/10.4[...] 1998-1999
[93] PDF 天然酵母表示問題に関する見解 http://www.jibt.com/[...] 日本パン技術研究所
[94] 간행물 レーズンから分離した天然酵母のパン酵母としての特性 2005-12-20
[95] 웹사이트 オリエンタル ドライイースト http://www.oyc.co.jp[...] オリエンタル酵母工業株式会社
[96] 웹사이트 白神こだま酵母について http://www.sala1.jp/[...] 株式会社サラ秋田白神
[97] 서적 パンシェルジュ検定3級公式テキスト 実業之日本社 2009-08-20
[98] 웹사이트 こむぎ粉くらぶ パンを焼こう https://www.nisshin.[...] 日清製粉グループ 2018-08-08
[99] 웹사이트 ベンチタイム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8-08
[100] 서적 料理と食シリーズ8 パン・パン料理・パン菓子 旭屋出版 1994-05-25
[101] 서적 西洋料理指南 http://dl.ndl.go.jp/[...] 東京書林雁金屋 1872
[102] 사전 日本国語大辞典 JapanKnowledge 2015-05-25
[103] 사전 羅和辞典 研究社
[104] 서적 フランス 食の事典(普及版) 株式会社白水社 2007
[105] 간행물 県立図書館司書がお勧めする一冊: 恥ずかしい和製英語 秋田県 2005-12
[106] 웹사이트 福利麺包 https://www.travel.t[...] 2018-07-19
[107] 논문 Archaeobotanical evidence reveals the origins of bread 14,400 years ago in northeastern Jordan http://www.pnas.org/[...] PNAS 2018-07-16
[108] 서적 遥かなる野菜の起源を訪ねて〜イネ・ムギ・野菜 日本への道〜 ナショナル出版
[109] 서적 パンの文化史 朝日新聞社
[110] 서적 中世ヨーロッパ 食の生活史 原書房 2003-10-04
[111] 서적 中世ヨーロッパ 食の生活史 原書房 2003-10-04
[112] 서적 中世を旅する人びと 平凡社 1978-06-14
[113] 서적 商業史 有斐閣 1980-11-20
[114] 웹사이트 山梨のパンの歴史館 https://www.chuokai-[...] 山梨県パン協同組合 2004-04-26
[115] 서적 和漢三才図会 下之巻 https://dl.ndl.go.jp[...] 中近堂 2023-04-26
[116] 웹사이트 東北大学附属図書館企画展 展示資料 https://www.library.[...] 2023-04-26
[117] 웹사이트 日本古典籍データセット http://codh.rois.ac.[...]
[118] 뉴스 パン発祥地PR 全国・市組合 日本大通に石碑 伝統の逸品 写真も 神奈川新聞社 2016-11-09
[119] 웹사이트 近代のパン発祥の地 記念碑の設置 http://www.sougoupan[...] 横浜市綜合パン・米飯協同組合
[120] 웹사이트 稲作の展開 ―明治の礎・北海道開拓 ―水土の礎 https://suido-ishizu[...]
[121] 서적 明治文化史生活編 開国百年記念文化事業会
[122] 간행물 第三編 明治時代後期 http://www.panstory.[...] パンの明治百年史刊行会 1970
[123] 서적 環境史年表 明治・大正編(1868-1926) 河出書房新社刊 2003-11-30
[124] 뉴스 好きな店で買える 1947-08-03
[125] 서적 料理と食シリーズ8 パン・パン料理・パン菓子 旭屋出版 1994-05-25
[126] 통계 平成16年家計調査 近畿第1位 年間57.8kg 関東は47.9kg、東北・沖縄は33kg台 県庁所在地別では、1位 大津66.0kg、2位 神戸62.5kg、3位 奈良58.8kg(総務省統計局)
[127] 웹사이트 法事でも…日本一パン好き岡山の事情 https://www.sankei.c[...] 2021-06-19
[128] 서적 パンの事典 成美堂出版 2006-10-20
[129] pdf パン・その他小麦粉製品の生産量の推移 http://www.j-margari[...] 日本マーガリン工業会 2013-01-19
[130] 뉴스 パンの購入金額初めて米を上回る 総務省家計調査・JC総研の「米の消費行動に関する調査」 http://www.nca.or.jp[...] 2012-08-17
[131] 웹사이트 miche https://kotobank.jp/[...] 2023-03-12
[132] 웹사이트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Miche & Baguette Breads? (eHow) https://www.ehow.com[...]
[133] 웹사이트 https://www.ambassad[...]
[134] 웹사이트 http://recipeofhealt[...]
[135] 학술지 英米の俗信(5) 愛知教育大学 2016
[136] 문서 消しゴムは紙を傷めるため、美術デッサンでもパンを使用することがある。
[137] 웹사이트 영국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http://www.answers.c[...]
[138] 웹인용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web.archive.[...] 2011-04-22
[139]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 빵의 역사 (1) - 서양떡으로 전래되어, 일본식 빵으로 확산되다 (한국의 생활사, 주영하)' https://terms.naver.[...]
[140] 문서 고등학교 제과제빵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42] 서적 Handbook on Sourdough Biotechnology Springer 2012
[143] 뉴스 Supermarkets cash in on sourdough bread craze as popularity surges https://www.independ[...] 2016-01-30
[144] 서적 The science of bakery products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145] 웹인용 Susan R. Brown’s Salt Rising Bread Project http://home.comcast.[...] Home.comcast.net
[146] 서적 Breads From The La Brea Bakery Villard 1996
[147] 서적 Exploring Wicca: The Beliefs, Rites, and Rituals of the Wiccan Religion https://books.google[...] Career Press
[148] 웹인용 companion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149] 웹사이트 Flour related traditions and quotes http://www.fabflour.[...] 2017-02-01
[150] 웹인용 Pinoy Tasty arrives http://www.abs-cbnne[...] 2010-10-06
[151] 웹인용 Pinoy Tasty, generic bread, debuts at P36 per loaf http://www.gmanews.t[...] 2010-10-05
[152] 웹인용 Bread, which is loved, by our neighbors http://grazione.ru/e[...] grazione.ru 2013-08-19
[153] 웹인용 El Tamiz: Bread, cheesecake and a bit of variety http://foodychile.co[...] foodychile.com 2012-02-14
[154] 웹인용 Bread Makes the World Go Round http://www.sixservin[...] sixservings.org 2010-10-15
[155] 웹인용 Chilean Bread http://fundi2.com/20[...] fundi2.com 2016-10-01
[156] 웹인용 Bread and Salt Ceremony in Europe http://www.cookateas[...] 2016-10-01
[157] 뉴스 Mon dieu! New campaign urges French to eat more bread TODAY.com 2013-08-06
[158] 웹사이트 Chorleywood, the Bread that Changed Britain http://www.bbc.co.uk[...] 2011-06-07
[159] 웹사이트 La histopa del pan https://web.archive.[...] Juntadeandalucia.es
[160] 웹인용 Largest bread consumption per capita http://www.guinnessw[...] 2000-01-01
[161] 웹사이트 Ethiopian Injera Recipe | Exploratorium http://www.explorato[...] Exploratorium.edu
[162] 웹인용 Egyptian Pita / Aish Baladi https://breakurfast.[...] 2016-02-11
[163] 웹인용 Egyptian Bread - 'Eesh baladi' - Egyptian Local Bread http://www.ahmedhamd[...] 2016-02-11
[164] 웹사이트 Thought For Food: An Overview of the Seder http://www.askmoses.[...] Farbrengen Magazine 2020-05-21
[165] 웹사이트 Eucharist (Christianity) – Encyclope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166] 서적 Inside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Lorenz Educational Press 2002-09-01
[167] 저널 Depicting the Bread of the Last Supper http://moses.creight[...] 2016-10-01
[168] 저널 Depicting the Bread of the Last Supper http://moses.creight[...] 2016-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