렙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렙톤은 전자, 뮤온, 타우온의 세 가지 맛깔을 가진 기본 입자군이다. 각 맛깔은 전하를 띤 입자와 전하가 없는 중성미자로 구성되며, 약한 상호작용에 참여한다. 렙톤은 스핀이 1/2인 페르미온으로,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른다. 렙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전하이며, 전자기 상호작용의 세기를 결정한다. 렙톤 수는 일반적으로 보존되지만, 중성미자 진동 현상으로 인해 예외가 발생한다. 렙톤은 게이지 보존과의 결합이 맛깔에 무관한 렙톤 보편성을 가지며, "렙톤"이라는 이름은 "작고 가벼운"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7년 과학 - 전자
전자는 음전하를 띤 기본 입자로서 원자의 구성 요소이며 파동-입자 이중성을 가지고 양자역학으로 설명되며 전자기력, 약한 힘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 현미경, 자유전자레이저, 반도체 기술 등에 활용된다. - 1897년 과학 - 아스피린
아스피린은 아세틸살리실산으로, 해열, 진통, 항염 작용을 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이지만, 출혈 위험 증가와 같은 부작용이 있어 소아에게는 사용이 금기시되며, 다양한 제형으로 출시된다. - 렙톤 - 전자
전자는 음전하를 띤 기본 입자로서 원자의 구성 요소이며 파동-입자 이중성을 가지고 양자역학으로 설명되며 전자기력, 약한 힘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 현미경, 자유전자레이저, 반도체 기술 등에 활용된다. - 렙톤 - 양전자
양전자는 전자와 질량은 동일하지만 양전하를 띠는 반입자로, 디랙의 방정식으로 예측된 후 앤더슨에 의해 우주선 실험에서 관측되었으며, 베타 플러스 붕괴나 쌍생성을 통해 생성되고 전자와 쌍소멸하여 감마선을 방출하며, PET나 암흑물질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기본 입자 - 전자
전자는 음전하를 띤 기본 입자로서 원자의 구성 요소이며 파동-입자 이중성을 가지고 양자역학으로 설명되며 전자기력, 약한 힘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 현미경, 자유전자레이저, 반도체 기술 등에 활용된다. - 기본 입자 - 광자
광자는 전자기파의 기본 입자이자 빛의 입자적 성질을 나타내는 양자이며, 전하를 띠지 않고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며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된다.
렙톤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렙톤 |
분류 | 소립자 |
통계 | 페르미 입자 |
세대 | 1세대, 2세대, 3세대 |
상호 작용 | 전자기력, 중력, 약력 |
반입자 | 반렙톤 |
바리온 수 | 0 |
전하 | +1 e, 0 e, -1 e |
색전하 | 없음 |
스핀 | ħ |
레프톤 종류 | |
유형 수 | 6 (전자, 전자 중성미자, 뮤온, 뮤온 중성미자, 타우 입자, 타우 중성미자) |
역사 | |
초기 연구 | 리처드 래밍 |
전자 발견 | 조지프 존 톰슨 (1897) |
뮤온 발견 | 세스 네더마이어, 칼 앤더슨 (1937) |
중성미자 발견 | 클라이드 코원, 프레데릭 라이네스(1956) |
두 종류 중성미자 발견 | 댄비 (1962) |
타우 발견 | 마틴 펄(1975) |
타우 중성미자 직접 증거 발견 |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2000) |
타우 중성미자 발견 | 고다마 (2001) |
2. 역사
전자는 19세기 말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제안되었고, 1897년 조지프 존 톰슨과 그의 영국 물리학자 팀이 발견했다.[22][23][50] 1930년 볼프강 파울리는 베타 붕괴에서 에너지 보존, 운동량 보존, 각운동량 보존을 유지하기 위해 전자 중성미자의 존재를 예측했다.[24] 그는 발견되지 않은 입자가 초기 입자와 관측된 최종 입자의 에너지, 운동량, 각운동량 차이를 가져간다고 이론화했다. 당시에는 중성미자가 서로 다른 종류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전자 중성미자는 단순히 중성미자라고 불렸다. 전자 중성미자는 1956년 클라이드 코원과 프레더릭 라인스가 코완-라인스 중성미자 실험을 통해 처음 발견했다.[53][54]
렙톤은 전자, 뮤온, 타우온의 세 가지 맛깔로 나뉜다. 각 맛깔은 약한 아이소스핀이라는 입자쌍으로 표현되는데, 하나는 해당 맛깔과 같은 이름의 큰 전하를 띤 입자이고, 다른 하나는 거의 질량이 없는 중성 입자인 중성미자이다. 예를 들어 전자는 전하를 띤 '전자'와 질량이 거의 없는 '전자 중성미자'로 구성된다. 이 6가지 입자는 각각 반입자를 가진다. 모든 렙톤은 기본 전하를 가지며, 양성/음성은 입자/반입자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중성미자와 반중성미자는 전하를 띠지 않는다.
뮤온은 1936년 칼 데이비드 앤더슨이 발견했다.[25] 발견 당시 뮤온은 그 질량 때문에 중간자로 잘못 분류되었다. 그러나 뮤온이 강한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자와 더 유사하다는 사실이 밝혀져 렙톤으로 재분류되었다. 1947년에 전자와 같이 행동하는 입자들을 '렙톤'이라고 이름 붙였다.[53] "렙톤"이라는 명칭은 1948년에 처음 사용되었다.[52] 1962년 레온 레더만,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는 뮤온 중성미자의 상호작용을 처음 발견하면서, 전자 중성미자 이외에 또 다른 종류의 중성미자가 존재함을 증명했다.[26][55] 이들은 이 공로로 198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타우온은 1974년과 1977년 사이에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와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에서 연구한 마틴 루이스 펄과 그의 동료들이 발견했다.[27][56] 전자, 뮤온과 마찬가지로 타우온도 자신만의 중성미자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예측되었다. 타우 중성미자의 첫 증거는 타우온 붕괴 현상에서 붕괴 이전과 이후의 에너지 및 운동량이 보존되지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타우 중성미자는 2000년 7월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 연구한 DONUT Collaboration이 발견했다고 발표했다.[28][57][58]
일부 입자 물리학자들은 4세대 렙톤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만약 발견된다면 4세대 전하를 띠는 렙톤의 질량은 정도가 한계이며,[29] 4세대 중성미자의 질량은 가 한계라고 예측하고 있다.[30]
3. 렙톤의 종류와 성질
입자 상호작용 시, 같은 맛깔(전자와 전자 중성미자, 뮤온과 뮤온 중성미자, 타우온과 타우 중성미자)의 렙톤 수는 보존된다. 이를 렙톤 수 보존 법칙이라고 한다. 그러나 다른 맛깔의 렙톤 수는 때때로 보존되지 않는데, 중성미자 진동이 그 예이다.하전 입자 / 반입자 중성미자 / 반중성미자 이름 기호 전하 질량 (MeV) 이름 기호 전하 질량 (MeV) 전자 / 양전자 −1 / +1 0.511 전자 중성미자 / 전자 반중성미자 0 <0.000003 뮤온 / 반뮤온 −1 / +1 105.6 뮤온 중성미자 / 뮤온 반중성미자 0 <0.19 타우온 / 반타우온 −1 / +1 1777 타우온 중성미자 / 타우온 반중성미자 0 <18.2
렙톤은 스핀-통계 정리에 따라 스핀이 1/2인 페르미온이며,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른다. 즉, 같은 종류의 렙톤 두 개는 동시에 같은 상태에 있을 수 없다.
"렙톤"이라는 이름은 "미세한, 작은, 가는"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λεπτός|leptósel에서 유래했다.[14][15] 이 용어는 1948년 물리학자 레옹 로젠펠트가 처음 사용했다.[17]
3. 1. 전자기 상호작용
렙톤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 중 하나는 전하이다. 전하는 렙톤의 전자기 상호작용 세기를 결정한다. 이는 입자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장의 세기(쿨롱의 법칙 참조)와 외부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대한 입자의 반응 세기(로렌츠 힘 참조)를 결정한다.[31] 각 세대에는 -1e영어의 전하를 갖는 렙톤 하나와 전하가 0인 렙톤 하나가 있다. 전하를 띤 렙톤은 일반적으로 '전하 렙톤'이라고 하며, 중성 렙톤은 '중성미자'라고 한다. 예를 들어, 1세대는 음전하를 띤 전자와 전기적으로 중성인 전자 중성미자로 구성된다.
양자장 이론의 언어로, 전하 렙톤의 전자기 상호작용은 입자가 전자기장의 양자, 즉 광자와 상호작용한다는 사실로 표현된다. 전자-광자 상호작용의 파인만 다이어그램은 오른쪽에 나와 있다.
렙톤은 스핀이라는 고유한 회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하 렙톤은 자기장을 생성한다. 자기 쌍극자 모멘트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m은 렙톤의 질량이고 g는 렙톤의 소위 g 인자이다. 1차 양자역학 근사는 모든 렙톤에 대해 g 인자가 2라고 예측한다. 그러나 파인만 다이어그램의 루프에 의해 발생하는 고차 양자 효과는 이 값에 대한 보정을 도입한다. '비정상 자기 쌍극자 모멘트'라고 하는 이러한 보정은 양자장 이론 모델의 세부 사항에 매우 민감하므로 표준 모형에 대한 정밀 검정의 기회를 제공한다. ''전자''의 비정상 자기 쌍극자 모멘트에 대한 이론적 값과 측정 값은 8자리 유효숫자 내에서 일치한다.[31] 그러나 ''뮤온''의 결과는 문제가 있다. 표준 모형과 실험 사이의 작고 지속적인 불일치를 시사한다.
3. 2. 약한 상호작용
렙톤은 약한 상호작용에 참여하며, W 보손 및 Z 보손과 상호작용한다. 표준 모형의 약한 상호작용은 왼손잡이 페르미온과 오른손잡이 페르미온을 다르게 다루는데, 왼손잡이 렙톤(그리고 오른손잡이 반렙톤)만이 약한 상호작용에 참여한다. 이것은 모형에 명시적으로 작성된 패리티 위반의 한 예이다.[46]
표준 모형에서 왼손잡이 하전 렙톤과 왼손잡이 중성미자는 약한 아이소스핀 SU(2) 게이지 대칭의 스피너 표현(T=1/2)으로 변환되는 이중항( (νeL, e-L))으로 배열된다. 오른손잡이 하전 렙톤은 약한 아이소스핀 스칼라(T=0)로 변환되어 약한 상호작용에 참여하지 않으며, 오른손잡이 중성미자의 존재 증거는 전혀 없다.
힉스 메커니즘은 약한 아이소스핀 SU(2)와 약한 초전하 U(1) 대칭의 게이지장을 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세 개의 질량이 있는 벡터 보손 (, , )과 전자기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하나의 질량이 없는 벡터 보손인 광자(γ)로 재결합한다. 렙톤이 질량이 있는 약한 상호작용 벡터 보손과 상호 작용하는 모습은 아래와 같다.
1세대 렙톤의 약한 상호작용 |
3. 3. 질량
표준 모형에서 각 렙톤은 본래 질량이 없다. 전하를 띤 렙톤(즉, 전자, 뮤온, 타우 입자)은 힉스 장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유효 질량을 얻지만, 중성미자는 질량이 없는 상태로 남아 있다.[32] 그러나 중성미자 진동 관측[33] 등 간접적인 실험을 통해 중성미자는 0이 아닌 질량을 가져야 하며, 아마도 매우 작을 것이라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43] 이는 표준 모형을 넘어서는 물리학의 존재를 의미한다.슈퍼카미오칸데의 실험에 의해 뉴트리노도 질량을 가진다는 것이 거의 확실해졌지만, 측정 한계 이하이다. 입자의 질량은 힉스 장의 대칭성 깨짐으로 얻어진다고 여겨지며, 힉스 입자의 분석과 뉴트리노의 질량 측정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3. 4. 렙톤 수 보존
일반적으로 렙톤 수는 보존되는 양으로 여겨진다. 렙톤 수 보존은 입자가 상호 작용할 때 같은 종류의 렙톤 수가 동일하게 유지됨을 의미한다. 이는 렙톤과 반렙톤이 단일 세대의 쌍으로 생성되어야 함을 의미한다.[34] 예를 들어, 다음 과정은 렙톤 수 보존 하에서 허용된다.하지만 다음은 허용되지 않는다.
중성미자 진동은 개별 렙톤 수(전자 수, 뮤온 수, 타우 수) 보존을 위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 세대의 약한 아이소스핀 이중항 구성원에는 보존되는 렙톤 수가 할당된다.[34] 예를 들어 전자와 전자 중성미자는 Le = 1의 ''전자 수''를 가지며, 뮤온과 뮤온 중성미자는 Lμ = 1의 ''뮤온 수''를 가지며, 타우 입자와 타우 중성미자는 Lτ = 1의 ''타우 수''를 가진다. 이러한 위반은 표준 모형을 넘어서는 물리학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로 간주된다. 훨씬 강력한 보존 법칙은 렙톤의 총 수 보존(L)이며, 중성미자 진동의 경우에도 보존되지만, 카이랄 이상에 의해 아주 작은 양만큼 여전히 위반된다.
4. 렙톤의 보편성
렙톤의 결합은 게이지 보존의 모든 종류에 대해 맛깔에 무관하다. 즉, 렙톤과 게이지 보존 사이의 상호작용은 렙톤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측정된다.[34] 이러한 성질을 '''렙톤 보편성'''이라고 한다.
렙톤 보편성은 뮤온과 타우의 수명 및 스탠퍼드 선형 충돌기(SLC)와 대형 전자-양전자 충돌기(LEP) 실험에서 Z 보존의 부분 붕괴 너비 측정을 통해 검증되었다.[35][36]
뮤온의 붕괴율()은 다음 식으로 표현 가능하다.[34]
:
여기서 K2는 어떤 상수이고, GF는 페르미 결합 상수이다. 타우 입자의 붕괴율도 동일한 형태의 식으로 표현 가능하다.[34]
:
여기서 K3는 또 다른 상수이다. 뮤온-타우온 보편성은 K2 ≈ K3을 의미한다.
타우 붕괴의 전자 모드(17.82%)와 뮤온 모드(17.39%)의 분기 비율은 최종 상태 렙톤의 질량 차이 때문에 같지 않다.[21]
렙톤( = μ 또는 τ)의 수명 는 붕괴율과 관련이 있다.[34]
:
따라서 타우와 뮤온 수명의 비율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34]
:
B 중간자 붕괴에서 렙톤 보편성에 대한 최근 시험은 LHCb, BaBar, 및 Belle 실험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표준 모형 예측에서 약간 벗어나는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새로운 물리학의 발견으로 이어지기에는 아직 이르다.[37]
2021년 ATLAS 협력 연구에서는 W 붕괴를 통한 렙톤 맛깔 보편성 검증 결과, 으로 표준 모형 예측과 일치했다.[38][39][40] 2024년 ATLAS 협력 연구에서는 의 새로운 값을 발표했다.[41][42]
5. 어원
"렙톤"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λεπτός|렙토스el에서 유래했으며, 1948년 물리학자 레옹 로장펠드가 명명하였다.[71] 렙톤은 "작고 가벼운" 것을 의미한다.
이 이름은 전자, 중성미자, 뮤온이 핵자에 비해 가벼워서 지어졌다. 핵자는 중(重)입자에 속한다. 그러나 1970년대에 핵자의 두 배나 무거운 타우온이 발견되면서, 모든 렙톤이 가벼운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다.[14][15]
참조
[1]
백과사전
Lepton (physics)
https://www.britanni[...]
2010-09-29
[2]
웹사이트
Leptons
http://hyperphysics.[...]
Georgia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s and Astronomy
2010-09-29
[3]
학술지
Richard Laming and the Coal-Gas Industry, with His Views on the Structure of Matter
[4]
서적
Representing Electrons: A Biographical Approach to Theoretical Entit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서적
Histories of the Electron: The Birth of Microphysics
https://books.google[...]
MIT Press
[6]
학술지
Cathode Rays
http://web.lemoyne.e[...]
[7]
harvnb
[8]
학술지
The Reines-Cowan Experiments: Detecting the Poltergeist
http://library.lanl.[...]
2010-02-10
[9]
학술지
The Neutrino
[10]
학술지
Observation of high-energy neutrino reactions and the existence of two kinds of neutrinos
http://inspirehep.ne[...]
[11]
harvnb
[12]
보도자료
Physicists find first direct evidence for tau neutrino at Fermilab
http://www.fnal.gov/[...]
Fermilab
2000-07-20
[13]
harvnb
[14]
웹사이트
lepton
http://www.etymonlin[...]
[15]
LSJ
[16]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re-po-to
https://web.archive.[...]
Palaeolexicon. Word study tool of ancient languages
2014-03-22
[17]
harvnb
[18]
웹사이트
Particle listings—Electron
http://pdg.lbl.gov/2[...]
[19]
웹사이트
Particle listings—Muon
http://pdg.lbl.gov/2[...]
[20]
웹사이트
Particle listings—Proton
http://pdg.lbl.gov/2[...]
[21]
웹사이트
Particle listings—Tau
http://pdg.lbl.gov/2[...]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25]
harvnb
[26]
harvnb
[27]
harvnb
[28]
harvnb
[29]
웹사이트
Heavy Charged Leptons Searches
http://pdg.lbl.gov/2[...]
[30]
웹사이트
Searches for Heavy Neutral Leptons
http://pdg.lbl.gov/2[...]
[31]
harvnb
[32]
harvnb
[33]
harvnb
[34]
harvnb
[35]
서적
Physics in Collision
Atlantica Séguier Frontières
[36]
서적
The Particle Century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8-01-01
[37]
논문
A challenge to lepton universality in B meson decays
2017
[38]
논문
Test of the universality of τ and μ lepton couplings in W-boson decays with the ATLAS detector
https://www.nature.c[...]
2021-07-05
[39]
논문
ATLAS measurement supports lepton universality
https://physicstoday[...]
2021-07-09
[40]
웹사이트
New ATLAS result addresses long-standing tension in the Standard Model
https://atlas.cern/u[...]
2021-07-12
[41]
arXiv
Precise test of lepton flavour universality in W-boson decays into muons and electrons in pp collisions at √s = 13 TeV with the ATLAS detector
2024-03-04
[42]
웹사이트
The delicate balance of lepton flavours
https://home.cern/ne[...]
2024-09-20
[43]
웹사이트
Particle listings — Neutrino properties
http://pdg.lbl.gov/2[...]
2008
[44]
웹사이트
Laboratory measurements and limits for neutrino properties
http://cupp.oulu.fi/[...]
2008-11-07
[45]
웹사이트
Lepton (physics)
http://www.britannic[...]
2010-09-29
[46]
웹사이트
Leptons
http://hyperphysics.[...]
Georgia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s and Astronomy
2010-09-29
[47]
논문
Richard Laming and the Coal-Gas Industry, with His Views on the Structure of Matter
1969
[48]
서적
Representing Electrons: A Biographical Approach to Theoretical Entit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6
[49]
서적
Histories of the Electron: The Birth of Microphysics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01
[50]
논문
Cathode Rays
http://web.lemoyne.e[...]
1897
[51]
논문
Note on the Nature of Cosmic-Ray Particles
1937
[52]
웹사이트
Lepton: Etymology
http://www.museumstu[...]
[53]
논문
The Reines-Cowan Experiments: Detecting the Poltergeist
http://library.lanl.[...]
2010-02-10
[54]
논문
The Neutrino
1956
[55]
논문
Observation of high-energy neutrino reactions and the existence of two kinds of neutrinos
http://www.slac.stan[...]
1962
[56]
논문
Evidence for Anomalous Lepton Production in e+e− Annihilation
http://prola.aps.org[...]
1975
[57]
언론보도
Physicists Find First Direct Evidence for Tau Neutrino at Fermilab
http://www.fnal.gov/[...]
Fermilab
2000-07-20
[58]
논문
Observation of tau neutrino interactions
2001
[59]
웹사이트
Particle listings – e-
http://pdg.lbl.gov/2[...]
2008
[60]
웹사이트
Particle listings – μ-
http://pdg.lbl.gov/2[...]
2008
[61]
웹사이트
Particle listings – τ-
http://pdg.lbl.gov/2[...]
2008
[62]
웹사이트
Particle listings – Neutrino properties
http://pdg.lbl.gov/2[...]
2008
[63]
문서
(Title not specified)
2005
[64]
웹사이트
Lepton (physics)
2010-09-29
[65]
웹사이트
Leptons
Georgia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s and Astronomy
2010-09-29
[66]
논문
Richard Laming and the Coal-Gas Industry, with His Views on the Structure of Matter
1969
[67]
서적
Representing Electrons: A Biographical Approach to Theoretical Enti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6
[68]
서적
Histories of the Electron: The Birth of Microphysics
MIT Press
2001
[69]
논문
Cathode Rays
1897
[70]
논문
Note on the Nature of Cosmic-Ray Particles
1937
[71]
서적
Nuclear Forces
Interscience Publishers
194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