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렛 미 인 (2008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렛 미 인》(2008)은 토마스 알프레드슨이 감독한 스웨덴 영화로, 외딴 마을로 이사 온 소녀 엘리와 학교 폭력을 당하는 소년 오스칼의 기묘한 우정을 그린다. 연쇄 살인 사건과 엘리의 정체를 둘러싼 미스터리를 통해 학교 폭력과 소외, 뱀파이어 신화를 재해석하며,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이 영화는 욘 아이비데 린드크비스트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2010년 맷 리브스에 의해 리메이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마스 알프레드손 감독 영화 -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영화)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는 2011년 개봉한 토마스 알프레드슨 감독의 영화로, 냉전 시대 영국 정보부 내 소련 이중 스파이를 색출하려는 전직 정보부 간부의 이야기를 다룬다.
  • 토마스 알프레드손 감독 영화 - 스노우맨 (영화)
    2017년 개봉한 영국 영화 스노우맨은 요 네스뵈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토마스 알프레드손이 감독하고 마이클 패스벤더, 레베카 퍼거슨, 샬롯 갱스부르 등이 출연하며 연쇄 살인범을 추적하는 형사의 이야기를 다루지만, 산만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줄거리로 혹평을 받았다.
  • 성소수자 영화 - 방콕 러브 스토리
    고독한 킬러와 그가 납치한 경찰 정보원 사이의 예기치 못한 사랑을 그린 태국 멜로 드라마 영화 《방콕 러브 스토리》는 태국 내 반발과 검열 문제에도 불구하고 개봉하여 인기를 얻었으며, LGBT 관련 웹사이트에서 호평을 받고 브뤼셀 국제 독립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하는 등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 성소수자 영화 - 내 발 아래
    영화 《내 발 아래》는 성공적인 삶을 사는 컨설턴트 롤라가 편집적 조현병을 앓는 언니를 숨기며 살아가던 중, 언니의 자살 시도와 직장, 업무 문제에 직면하며 겪는 심리적 갈등을 그린 영화이다.
  • 스웨덴의 공포 영화 - 마녀들
    마녀들(Häxan)은 1922년에 제작된 덴마크의 무성 영화로, 마녀와 마녀 사냥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고찰을 담아 벤자민 크리스텐센이 감독하고 출연했으며, 다큐멘터리와 극영화 형식을 혼합하여 중세 시대의 미신, 마녀 재판, 현대적 해석 등을 특수 효과와 독창적인 촬영 기법으로 묘사했다.
  • 스웨덴의 공포 영화 - 살인마 잭의 집
    《살인마 잭의 집》은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의 2018년 영화로, 연쇄 살인마 잭이 자신의 살인 행각을 고백하며 지옥으로 향하는 과정을 묘사하며, 잭의 뒤틀린 시각과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렛 미 인 (2008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개봉 포스터
연극 개봉 포스터
원제Låt den rätte komma in (《옳은 자가 들어오게 하라》)
감독토마스 알프레드손
각본욘 아이비데 린드크비스트
원작욘 아이비데 린드크비스트의 《Låt den rätte komma in》
제작칼 몰린더, 존 노들링
촬영호이터 판호이테마
편집토마스 알프레드손, 다니엘 욘세테르
음악요한 쇠데르크비스트
배급사샌드류 메트로놈
개봉일2008년 1월 26일 (예테보리 영화제)
상영 시간114분
제작 국가스웨덴
언어스웨덴어
제작비2900만 스웨덴 크로나 (450만 미국 달러)
흥행 수익1120만 달러
출연
주연카레 헤데브란트
리나 레안데르손
페르 라그나르
이카 노르
페테르 칼베리

2. 줄거리

1982년 스톡홀름 교외 블래케베리에 사는 12세 소년 오스카는 어머니와 단둘이 살고 있다. 학교에서는 급우들에게 지속적인 학교 폭력에 시달리며, 밤에는 복수를 상상하지만 현실에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그는 종종 오컬트나 범죄 관련 책을 읽으며 시간을 보내고, 혼자 있고 싶을 때는 눈 덮인 아파트 정원을 찾는다.

어느 추운 겨울날 밤, 오스카는 정원에서 옆집으로 이사 온 소녀 엘리를 만난다. 엘리는 오스카와 비슷한 나이로 보이며, 호칸이라는 나이 든 남자와 함께 살고 있다. 엘리는 처음에는 오스카에게 친구가 될 수 없다고 말하지만, 두 사람은 서로에게 이끌려 벽을 사이에 두고 모스 부호로 소통하며 점차 가까워진다. 엘리는 오스카가 학교 폭력에 시달린다는 사실을 알고 그에게 맞서 싸우라고 격려하고, 오스카는 방과 후 체력 단련 수업을 듣기 시작한다.

한편, 오스카가 사는 마을에서는 사람들이 거꾸로 매달려 피가 뽑힌 채 발견되는 끔찍한 연쇄 살인 사건이 발생한다. 이는 엘리의 생존을 위해 피를 구해오던 호칸의 소행이었다. 호칸은 길 가던 사람을 죽이려다 방해를 받기도 하고, 엘리 역시 직접 사냥에 나서 조케라는 남자를 유인해 살해하기도 한다. 호칸은 조케의 시체를 호수의 얼음 구멍 속에 숨긴다.

호칸은 엘리를 위해 또다시 피를 구하려다 실패하고, 자신의 신원을 감추기 위해 얼굴에 황산을 붓는다. 병원에 실려 간 호칸은 찾아온 엘리에게 자신의 목을 내어 피를 마시게 한 뒤 창밖으로 떨어져 목숨을 끊는다. 호칸이 죽은 날 밤, 엘리는 오스카의 집으로 찾아와 함께 밤을 보낸다. 그들은 사귀기로 하지만, 엘리는 "나는 소녀가 아니야"라고 말한다. 오스카가 관계를 맺자고 제안하며 자신의 손을 베자, 엘리는 그 피를 핥다가 뛰쳐나간다.

학교에서 불량배들에게 다시 괴롭힘을 당한 오스카는 엘리의 격려를 떠올리며 우두머리 코니의 머리를 쇠막대로 내리쳐 반격한다. 이후 오스카는 엘리가 뱀파이어이며, 생존을 위해 사람의 피를 마셔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오스카는 엘리가 살인을 해야만 하는 현실에 괴로워하지만, 엘리는 오스카 역시 복수를 갈망한다는 점에서 자신과 비슷하다며 "잠시만이라도 내가 되어봐"라고 말한다.

한편, 엘리에게 공격당했던 라케의 여자친구 버지니아는 자신이 뱀파이어로 변해가며 햇빛에 약해진 것을 깨닫고, 병원에서 스스로 블라인드를 열어 햇빛에 타 죽는다. 버지니아의 복수를 위해 라케는 엘리의 아파트를 찾아가 욕조에서 잠든 엘리를 죽이려 하지만, 오스카가 이를 막는다. 깨어난 엘리는 라케를 죽이고 그의 피를 마신다. 엘리는 오스카에게 고마움을 표하며 키스한다. 하지만 라케를 죽이는 과정에서 생긴 소음 때문에 이웃이 천장을 두드리자, 엘리는 더 이상 그곳에 머무는 것이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그날 밤 떠난다.

며칠 후, 오스카는 학교 수영장에서 불량배들에게 붙잡힌다. 불량배들은 감독 교사인 아빌라 씨를 밖으로 유인하기 위해 불을 지르고, 수영장에 있던 다른 아이들을 내보낸 뒤 오스카를 물속에 강제로 잠기게 한다. 바로 그때 엘리가 나타나 불량배들을 잔인하게 살해하고 오스카를 구한다. 단, 겁에 질려 벤치에 앉아 우는 한 명은 살려둔다.

마지막 장면에서 오스카는 큰 상자를 든 채 엘리와 함께 기차를 타고 어디론가 떠난다. 상자 안의 엘리는 오스카에게 모스 부호로 puss|퓌스swe(특히 입을 다문 채 짧게 하는 키스[3][4])라는 신호를 보내고, 오스카도 같은 신호로 답한다.

3. 등장인물

1982년 스웨덴 스톡홀름의 블래케베리 교외 지역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주인공 오스카르(코레 헤데브란트)는 학교 폭력에 시달리는 소년으로, 어머니와 단둘이 살며 외로운 나날을 보낸다. 그는 밤마다 자신을 괴롭히는 아이들에게 복수하는 상상을 하며 시간을 보낸다.

어느 날, 오스카르의 옆집으로 엘리(리나 레안데르손)라는 소녀와 호칸(페르 랑나르)이라는 나이 든 남자가 이사 온다. 엘리는 겉보기에는 오스카르와 비슷한 나이의 소녀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오랫동안 살아온 뱀파이어이다. 오스카르와 엘리는 서로에게 이끌려 우정을 쌓기 시작하고, 아파트 벽을 통해 모스 부호로 비밀스러운 대화를 나눈다. 엘리는 오스카르가 학교 폭력에 시달린다는 사실을 알고 그에게 스스로를 지키라고 격려한다.

엘리의 보호자 역할을 하는 호칸은 엘리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피를 구하기 위해 살인을 저지르지만, 점차 어려움을 겪게 되고 결국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다. 호칸이 사라진 후 엘리는 직접 사냥에 나서기도 하고, 오스카르에게 자신의 정체를 조금씩 드러낸다. 오스카르는 엘리가 생존을 위해 사람을 해쳐야 한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지만, 점차 그녀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된다. 엘리는 오스카르가 위험에 처했을 때 나타나 그를 구해주기도 한다.

주변 인물인 라케(페테르 칼베리)와 그의 여자친구 비르기니아(이카 노르드) 등은 엘리의 존재로 인해 예기치 못한 사건에 휘말리며 희생된다. 여러 사건을 겪으며 오스카르와 엘리의 관계는 더욱 깊어지고, 결국 오스카르는 엘리와 함께 새로운 곳으로 떠나는 것을 선택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오스카르는 기차 안 상자 속에 숨어있는 엘리와 모스 부호로 대화를 나누며 영화는 마무리된다.[3][4]

3. 1. 주요 등장인물

나이든 엘리: 수산네 루벤호칸페르 랑나르에릭헨리크 달이본느카린 베리크비스트라케페테르 칼베리버지니아이카 노르드요케미카엘 람괼스타칼 로베르트 린드그렌모건안데르스 T. 페두래리팔레 올로프손마지스터 아빌라카예타노 루이스코니파트리크 뤼드마르크안드레아스요한 쇠므네스마틴미카엘 에르하르드손지미라스무스 루탄데르에릭의 친구쇠렌 셸스티겐버지니아의 간호사베른트 외스트만오스카의 선생님카이사 린데르홀름


3. 2. 조연

wikitext

배역배우
호칸페르 랑나르
에리크헨리크 달
위본네카린 베리크비스트
라케페테르 칼베리
비르기니아이카 노르드
요케미카엘 람
예스타칼 로베르트 린드그렌
모르간안데르스 T. 페두
라뤼팔레 올로프손
마기스테르 아빌라카예타노 루이스
콘뉘파트리크 뤼드마르크
안드레아스요한 쇰네스
마르틴미카엘 에르하르손
임뮈라스무스 루탄데르
에리크의 친구쇠렌 셸스티겐
비르기니아의 간호사베른트 외스트만
오스카르의 선생님카이사 린데르홀름


4. 제작

스웨덴 작곡가 요한 쇠데르크비스트가 영화의 스코어를 작곡했으며, 슬로바키아 국립 교향악단이 연주했다.[33] 무비스코어 미디어는 2008년 11월 11일, 21곡이 담긴 영화 사운드트랙을 500장 한정판으로 발매했다.[34]

영화에는 페르 셰슬레가 작사, 작곡하고 부른 "Kvar i min bil"이라는 곡이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이 곡은 원래 셰슬레의 솔로 앨범 ''En händig man''의 미수록곡이었으나, 1980년대 인기 팝 그룹 옐레네 티데르의 분위기를 내기 위해 영화를 위해 특별히 제공되었다.[35] 셰슬레는 이 곡을 "멋진 기타 후크가 있는 블루스 곡"이라고 설명했다.[36] 영화에 삽입된 다른 곡으로는 1968년 아그네타 펠트스코그(훗날 아바의 멤버)가 작사하고 부른 "Försonade",[16] 팀 노렐과 비외른 호칸손이 작사하고 시크릿 서비스가 부른 1981년 곡 "Flash in the Night",[16] 그리고 펩스 블로스반드의 "Dags å välja sida" 등이 있다.

4. 1. 기획 및 각본

영화에 등장하는 블랙에베리의 특징적인 지하철역


이 영화 프로젝트는 2004년 말, 제작사 EFTI의 프로듀서 존 노들링이 존 아이비데 린드크비스트의 소설 ''렛 미 인''의 영화 판권을 확보하기 위해 출판사 오르드프론트에 연락하면서 시작되었다. 노들링은 당시 판권 문의를 한 48번째 인물이었으나, 린드크비스트와 직접 통화하여 영화 제작 방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5] 한 친구가 토마스 알프레드손 감독에게 이 소설을 추천했다.[6] 알프레드손은 평소 타인의 추천으로 책을 읽는 것을 선호하지 않았지만,[7] 소설 속 괴롭힘 묘사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는 자신의 학창 시절 경험을 떠올리며 "매우 어렵고 현실적이며, 감상적이지 않은" 묘사에 충격을 받았다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8] 린드크비스트는 이미 알프레드손의 전작들을 알고 있었고, 두 사람은 서로 잘 통한다고 느꼈다.[7][6]

EFTI 외에 스베리스 텔레비전(SVT)과 지역 제작 센터인 필름풀 노르드가 공동 제작사로 참여했다. 총 제작비는 2900만스웨덴 크로나가 투입되었으며, 스웨덴 영화 협회, 노르디스크 필름, WAG, Canal+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9][10]

원작자인 린드크비스트는 직접 각본 집필을 고집했다. 흡혈귀나 공포 장르에 익숙하지 않았던 알프레드손 감독은[11] 처음에는 원작자가 직접 각색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이었지만, 완성된 각본에는 매우 만족했다.[7] 각색 과정에서 소설의 여러 부수적인 인물과 사건들이 생략되고, 두 주인공 오스카와 엘리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12][13][14] 특히, 하칸의 소아성애적 측면은 상당히 완화되었고 엘리와의 관계는 해석의 여지를 남겨두었다. 알프레드손 감독은 영화라는 매체에서 소아성애와 같은 민감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기 어렵고, 자칫 아이들의 관계라는 핵심 이야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14] 그럼에도 영화는 하칸이 "잘못된 이유로 아이들을 좋아한다"는 식의 암시를 포함하고 있다.

소설의 핵심 장면 중 하나는 흡혈귀가 초대받지 않은 공간에 들어갔을 때 발생하는 현상을 상세히 묘사하는 부분인데, 이는 전통적인 흡혈귀 전설에서는 금기시되는 설정이다.[15] 알프레드손 감독은 원래 이 장면을 영화에서 제외하려 했으나, 린드크비스트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4] 알프레드손은 처음에는 이 장면에 대해 불안감을 느꼈고, 후반 작업에서 추가된 음향 효과와 음악이 과장되어 보인다고 판단하여 이를 제거했다.[16] 그 결과, 엘리가 눈, 귀, 피부 모공 등 온몸에서 천천히 피를 흘리는 모습으로 연출되었고, 이는 많은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7][18][19] 가디언지의 피터 브래드쇼는 이를 "거부의 혈우병"이라고 묘사했다.[15]

소설에서 엘리는 수 세기 전 잔인한 귀족에게 거세당한 양성성을 지닌 소년으로 그려진다. 영화는 엘리의 성 정체성을 소설보다 더 모호하게 다룬다. 엘리가 드레스를 입는 짧은 장면에서 암시적인 흉터가 보이지만 명확한 설명은 없다.[14] 오스카가 엘리에게 여자친구가 되어달라고 요청했을 때, 엘리는 "나는 소녀가 아니야"라고 답한다. 엘리 역은 배우 리나 렌데르손이 연기했지만, 목소리가 너무 높다고 판단되어 성우 엘리프 세일란이 더빙했다. 감독 인터뷰에 따르면, 원래는 회상 장면을 통해 엘리의 과거를 더 자세히 설명하려 했으나 최종 편집 과정에서 삭제되었다.[20] 소설에서 묘사된 엘리의 흡혈귀로서의 특징, 예를 들어 손발톱 변형 능력이나 비행 능력 등은 영화에 반영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린드크비스트는 영화 각색에 만족감을 표했다. 알프레드손 감독이 처음 8분 분량의 편집본을 보여주었을 때 "너무 아름다워서 울기 시작했다"고 말했으며,[21] 이후 영화를 "걸작"이라고 평가했다.[21] 그는 "알프레드손 감독이 모든 면에서 내가 원했던 방식대로 만들지 않았다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그는 분명 그렇게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영화는 그의 창작 과정이다"라며 감독의 각색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다.[14]

영화에는 약 50개의 컴퓨터 생성 이미지(CGI) 샷이 사용되었으며, 알프레드손 감독은 이것이 매우 미묘하고 눈에 띄지 않기를 원했다.[20] 버지니아가 여러 마리의 고양이에게 공격당하는 장면은 촬영하기 가장 복잡한 장면 중 하나로, 몇 주에 걸쳐 계획하고 준비해야 했다. 제작진은 실제 고양이, 봉제 인형, CGI를 조합하여 이 장면을 완성했다.[16]

음향 효과는 아날로그 방식만을 사용했다.[23] 수석 음향 디자이너 페르 순스트룀은 "좋은 음향 효과의 핵심은 자연스럽고 실제적인 소리를 사용하는 것"이라며, "이러한 아날로그 소리는 필요에 따라 디지털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지만, 근원은 자연스러워야 한다"고 설명했다.[31] 그는 배우들의 심장 박동, 호흡, 침 삼키는 소리까지 들릴 정도로 가까운 사운드스케이프를 설계했다. 후반 작업에서는 배우 리나 렌데르손의 목소리를 덜 여성적인 목소리로 더빙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엘리가 겉보기엔 12살이지만 실제로는 200살이 넘었다는 배경 설정을 강조하고 위협적인 느낌을 더하기 위함이었다.[29][31] 40세까지의 남녀 배우들을 대상으로 오디션을 진행한 끝에 엘리프 세일란이 엘리의 목소리 연기자로 최종 선정되었다.[30] 엘리가 희생자를 물어뜯고 피를 마시는 소리는 세일란이 멜론이나 소시지 등을 먹는 소리와 다양한 동물 소리를 결합하여 만들어졌다.[23][31] 음향 팀은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스웨덴 영화 협회가 수여하는 굴드바게상 최고 업적상을 수상했다.[32]

4. 2. 촬영 및 캐스팅

천장이 없어 다양한 오버헤드 조명 기법이 가능했다.


캐스팅 과정은 거의 1년이 걸렸으며,[22][23] 스웨덴 전역에서 공개 오디션이 열렸다. 코레 헤데브란트(Kåre Hedebrant|코레 헤데브란트sv)는 학교에서 진행된 예비 심사를 거쳐 오스카 역 오디션에 참여했고, 최종적으로 배역을 얻었다.[24] 리나 레안데르손(Lina Leandersson|리나 레안데르손sv)은 "달리기를 잘하는" 12세 소년 또는 소녀를 찾는다는 온라인 광고를 보고 지원했다.[25] 그녀는 세 번의 오디션 끝에 엘리 역으로 발탁되었다.[24]

감독 토마스 알프레드손(Tomas Alfredson|토마스 알프레드손sv)은 캐스팅 과정을 영화 제작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꼽았다.[22] 그는 특히 두 주연 배우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우려했으며,[8] 원작 소설을 읽은 사람들이 캐릭터 외모에 대해 가질 선입견도 걱정했다.[26] 알프레드손은 배우들이 순수해 보이고 카메라 앞에서 서로 소통할 수 있기를 원했다. 그들은 "서로의 거울상"이어야 했다. "그녀(엘리)는 그(오스카)가 아닌 모든 것이다. 어둡고, 강하고, 용감하고, 여자다. (...) 마치 같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14] 그는 또한 "캐스팅은 일의 70%를 차지한다. 단순히 배역에 적합한 사람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코드, B와 A 마이너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고 함께 연주되는지를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13] 결과적으로 알프레드손은 캐스팅 결과에 만족감을 표하며, 헤데브란트와 레안데르손이 "매우 지적"이고,[23]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현명"하며,[26] "전례 없이 환상적"이라고 칭찬했다.[23]

영화의 배경은 스톡홀름 교외인 블랙케베리(Blackeberg|블랙케베리sv)이지만, 충분한 눈과 추운 날씨를 확보하기 위해 주된 촬영은 스웨덴 북부의 룰레오(Luleå|룰레오sv)에서 진행되었다. 룰레오는 블랙케베리와 비슷한 시기에 지어졌고 유사한 건축 양식을 가지고 있었다.[12] 하지만 일부 장면은 실제 블랙케베리 지역에서 촬영되었다. 예를 들어, 엘리가 나무에서 버지니아에게 뛰어내리는 장면은 블랙케베리 타운 광장에서 촬영되었다.[16] 엘리가 지하도에서 요케를 공격하는 또 다른 장면은 인근 교외인 로크스타(Råcksta|로크스타sv)에서 촬영되었다.[12] 원작자 욘 아이비데 린드크비스트(John Ajvide Lindqvist|욘 아이비데 린드크비스트sv)가 구상했던 원래 블랙케베리의 지하도는 화면 구성에 비해 너무 높다고 판단되었다.[16] 일부 야외 클로즈업 장면은 매우 추운 스튜디오 환경에서 제작되었다.[27] 오스카와 엘리가 자주 만나는 정글짐은 영화를 위해 특별히 제작되었다.[20] 이 정글짐은 일반적인 형태보다 시네마스코프 화면 비율에 더 적합하도록 높이를 낮춰 디자인되었다.[20]

촬영은 대부분 단일의 고정된 Arriflex 535B 카메라를 사용했으며, 핸드헬드 카메라 기법이나 잦은 컷 전환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움직이는 장면(트래킹 샷)은 스테디캠 대신 트랙 위에 설치된 카메라 돌리를 사용하여 차분하고 예측 가능한 카메라 움직임을 만들어냈다.[28] 제작진은 조명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촬영 감독 호이터 판호이테마(Hoyte van Hoytema|호이터 판호이테마nl)와 알프레드손 감독은 "스프레이 라이트"라는 기법을 개발했다. 판호이테마는 인터뷰에서 "만약 흐릿한 전기 빛을 캔에 담아 헤어스프레이처럼 엘리의 아파트에 뿌릴 수 있다면, 우리가 만든 것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스카와 엘리 사이의 감정적인 장면에서는 일관되게 소프트 라이트 조명이 사용되었다.[28]

4. 3. 후반 작업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후반 작업'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5. 영화 음악

스웨덴 작곡가 요한 쇠데르크비스트가 스코어를 작곡했으며, 슬로바키아 국립 교향악단이 연주했다.[33] 무비스코어 미디어는 2008년 11월 11일에 21곡이 수록된 영화 사운드트랙을 500개 한정판으로 발매했다.[34]

페르 셰슬레가 작사, 작곡, 연주한 "Kvar i min bil"이라는 곡은 영화 전체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이 곡은 원래 셰슬레의 솔로 앨범 ''En händig man''의 아웃테이크였으나, 1980년대 인기 팝 그룹 옐레네 티데르의 사운드를 연상시키도록 영화를 위해 특별히 제공되었다.[35] 셰슬레는 이 곡을 "멋진 기타 후크가 있는 블루스 곡"이라고 설명했다.[36]

영화에 사용된 다른 곡들로는 미래의 아바 멤버가 되는 아그네타 펠트스코그가 1968년에 작사하고 연주한 "Försonade",[16] 팀 노렐과 비외른 호칸손이 작사하고 시크릿 서비스가 연주한 1981년 곡 "Flash in the Night",[16] 그리고 펩스 블로스반드의 "Dags å välja sida" 등이 있다.

6. 평가

이 영화는 평론가들로부터 2008년 최고의 영화 중 하나라는 극찬을 받았다.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93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98%의 신선도와 평균 8.3/10점을 기록했으며,[50] 메타크리틱에서는 3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82/100점을 받았다.[51] 한국의 네이버 영화에서도 전문가 평점 8.75/10점을 기록하는 등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트라이베카 영화제 최우수 장편 영화상,[39]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감독상 및 관객상,[89] 시체스 영화제 유럽 최우수 작품상,[94] 새턴 어워즈 최우수 국제영화상[92] 등 국내외 유수의 영화제에서 다수의 상을 받으며 작품성을 널리 인정받았다.

6. 1. 비평

평론가들은 이 작품을 2008년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극찬하였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193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98%의 신선도와 평균 8.3/10점을 받았으며, 비평가들은 "''렛 미 인''은 공포와 지적인 스토리텔링을 효과적으로 섞어 지쳐 보이는 뱀파이어 장르에 활력을 불어넣었다"고 총평했다.[50] 메타크리틱에서는 3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82/100점을 기록했다.[51] 한국의 네이버 영화에서는 전문가 평점 8.75/10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주요 한국 평론가들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스웨덴 평론가들 역시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스웨덴 리뷰 집계 사이트 Kritiker.se에 등록된 26개 리뷰에서 평균 4.1/5점을 기록했다.[52] 유력 일간지 ''스벤스카 다그블라데트''는 6점 만점에 5점을 주며, 감독 토마스 알프레드슨이 "차가운 얼음으로 변한 마음을 가진 사회, 모두가 혼자 남겨진 사회에 대해, 그리고 녹아내리는 하얀 눈 위의 피처럼 따뜻하고 붉은 사랑에 대해 단어 대신 그림으로 이야기"하는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53] 공영 방송 SVT의 고란 에버달은 5점 만점에 4점을 주며 영화를 "키친 싱크 판타지"로 묘사하고, "오랫동안 잃어버렸던 무언가, 즉 우리를 진정으로 두렵게 만드는 능력을 뱀파이어 이야기에 되돌려주었다"고 평했다.[54] 반면, ''익스프레센''과 ''예테보리 포스텐''은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하며 다소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익스프레센''은 뱀파이어 장르에 익숙하지 않은 관객에게는 매력이 덜할 수 있다고 지적했고, ''예테보리 포스텐''은 조연 캐릭터들이 원작 소설만큼의 감정적 깊이를 보여주지 못했다고 평가했다.[55][56]

많은 평론가들이 아름다운 촬영 기법과 폭력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조용하고 절제된 접근 방식을 취한 점을 언급했다.[57] ''필름 쓰렛''의 KJ 도턴은 특히 결말 장면이 신선하고 독창적이어서 오랫동안 회자될 것이라고 평했다.[58] 저명한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4점 만점에 3.5점을 주며 이 영화가 뱀파이어를 진지하게 다룬 작품이라고 평가하고, 고전인 ''노스페라투'' 및 ''노스페라투 - 밤의 괴물''과 비교했다. 그는 영화를 "감정 없이 어두운 행동을 할 수 있는 두 명의 외롭고 절망적인 아이들"의 이야기로 보았으며, 배우들의 "힘 있는" 연기를 칭찬했다.[59] 이버트는 이후 이 영화를 "최고의 현대 뱀파이어 영화"라고 부르기도 했다.[60] 반면,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오웬 글레이버만은 "C" 등급을 주며 "스웨덴의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이라 평하고 "몇몇 소름 끼치는 이미지는 있지만, 그것들을 연결하는 것은 거의 없다"고 비판했다.[61]

블러디 디스거스팅은 '10년간의 공포 영화 Top 20' 목록에서 이 영화를 1위로 선정하며 "공포 영화가 좋은 영화가 되는 것은 매우 드물다. 진정한 예술 작품으로 기능하는 경우는 더욱 드물다. ''렛 미 인''은 그런 영화 중 하나이다. 최고의 예술 작품처럼 천천히 모습을 드러내는, 간결하고 아름다운 창조물이다"라고 극찬했다.[62] 영화 잡지 ''엠파이어''는 2010년 "세계 영화 최고의 영화 100편" 목록에서 15위에 올리며, 두 주인공 사이의 "이상한 중심적 우정"이 영화를 "매우 두렵고 매력적으로" 만들었다고 평가했다.[63] 2010년대 초반 ''타임 아웃''이 여러 전문가들과 함께 선정한 최고의 공포 영화 목록에서는 28위를 차지했다.[64] 또한 BBC가 실시한 국제 평론가 투표에서는 2000년 이후 최고의 영화 94위로 선정되었다.[65]

감독 토마스 알프레드슨은 이 영화로 많은 상을 받거나 후보에 올랐다.


감독 토마스 알프레드슨은 "뱀파이어 영화를 우정과 소외에 대한 진정으로 독창적이고 감동적이며 재미있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이야기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는 평을 받으며 예테보리 영화제에서 노르딕 영화상을 수상했다.[38] 이 영화는 스웨덴의 가장 권위 있는 영화상인 굴드바게상에서 최우수 감독상, 각본상, 촬영상 등 5개 부문을 수상했다.[66] 또한 트라이베카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최우수 내러티브 장편 영화 창립자상"을 수상했으며, 심사위원단은 "뱀파이어 신화를 숙련되게 재검토하여 고독과 소외를 매혹적으로 탐구하는 작품"이라고 평했다.[39] 유럽 판타스틱 영화제 연맹에서는 "최우수 유럽 판타스틱 장편 영화"에게 주어지는 메리에스 도르 (황금 메리에스)를 수상했다.[67] 에든버러 영화제에서는 최초의 로튼 토마토 비평가 만장일치 상을 받기도 했다.[68]

이러한 국제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렛 미 인》은 스웨덴의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출품작으로 선정되지 못했다. 이는 출품 자격 요건과 관련된 혼란 때문이었다.[69] 영화는 2008년 10월 24일에 정식 개봉하여 제82회 아카데미상 출품 자격이 있었지만, 제작사는 제81회 아카데미상 기준에 맞추기 위해 9월 24일부터 7일간 룰레오에서 제한적으로 상영하기로 결정했다.[69] 그러나 9월 16일 스웨덴 영화 협회가 얀 트로엘 감독의 《영원한 순간들》을 출품작으로 선정하면서 룰레오 상영 계획은 취소되었다. 스웨덴 영화 협회는 한 영화가 두 번의 아카데미상 후보로 고려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렛 미 인》은 제82회 아카데미상 출품 자격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 대상에서 제외되었다.[69]

=== 수상 및 후보 ===

시상식 날짜부문수상자결과참고
암스테르담 판타스틱 영화제2009년 4월 16일 – 25일실버 스크림상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70]
암스테르담 판타스틱 영화제2009년 4월 16일 – 25일블랙 튤립상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70]
오스틴 판타스틱 페스트2009년최우수 호러 장편 영화수상[71]
오스틴 영화 비평가 협회2008년 12월 16일최우수 외국어 영화수상[72]
오스트레일리아 영화 비평가 협회2009년최우수 외국어 영화수상[73]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8년 12월 14일외국어 영화수상[74]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010년 2월 21일영국어가 아닌 최우수 영화후보[75]
영국 독립 영화상2009년 12월 6일최우수 외국 영화수상[76]
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9년 1월 8일최우수 외국어 영화후보[77]
캘거리 국제 영화제2008년최우수 국제 장편 영화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78]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8년 12월 18일가장 유망한 영화 제작자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79]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8년 12월 18일가장 유망한 연기자리나 레안데르손후보[79]
에든버러 국제 영화제2008년로튼 토마토 비평가 만장일치 상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68]
엠파이어상2010년 3월 28일최우수 호러 영화수상[80]
판타지아 국제 영화제2008년최우수 유럽/북 - 남아메리카 영화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81]
판타지아 국제 영화제2008년최우수 감독상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81]
판타지아 국제 영화제2008년최우수 영화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81]
판타지아 국제 영화제2008년최우수 촬영상호이테 반 호이테마수상[81]
플로리다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8년 3월 18일최우수 외국어 영화수상[82]
예테보리 영화제2008년노르딕 영화상수상[38]
예테보리 영화제2008년노르딕 비전상호이테 반 호이테마수상[38]
고야상2010년 2월 24일최우수 유럽 영화후보[83]
굴드바게상2009년 1월 12일최우수 공로 (Bästa prestation)에바 노렌수상[32]
굴드바게상2009년 1월 12일최우수 공로 (Bästa prestation)페르 순스트룀, 요나스 얀손, 파트리크 스트룀달수상[32]
굴드바게상2009년 1월 12일최우수 촬영상 (Bästa foto)호이테 반 호이테마수상[32]
굴드바게상2009년 1월 12일최우수 감독상 (Bästa regi)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32]
굴드바게상2009년 1월 12일최우수 각본상 (Bästa manuskript)존 아이비데 린드크비스트수상[32]
굴드바게상2009년 1월 12일최우수 작품상 (Bästa film)존 노르들링, 칼 몰린더후보[32]
굴드바게상2009년 1월 12일최우수 남우조연상 (Bästa manliga biroll)페르 라그나르후보[32]
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8년 12월 17일최우수 외국어 영화후보[84]
아일랜드 영화 & 텔레비전상2010년 2월 20일국제 영화후보[85]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2010년 2월 18일올해의 외국어 영화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86]
멜리에스 국제 영화제 연맹2008년 10월 9일메리에스 도르수상[67]
나트필름 영화제2008년비평가상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87]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9년 1월 19일최우수 외국어 영화수상[88]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9년 1월 19일최우수 각색상존 아이비데 린드크비스트수상[88]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9년 1월 19일신인 영화 제작자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88]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9년 1월 19일신인 연기상리나 레안데르손수상[88]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9년 1월 19일신인 연기상코레 헤데브란트후보[88]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2009년최우수 감독상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89]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2009년시민 초이스상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89]
샌디에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8년 12월 15일최우수 외국어 영화수상[90]
샌프란시스코 영화 비평가 협회2008년 12월 15일최우수 외국어 영화수상[91]
새턴상2009년 6월 25일최우수 국제 영화수상[92][93]
새턴상2009년 6월 25일최우수 신인 연기상리나 레안데르손후보[92][93]
새턴상2009년 6월 25일최우수 각본상존 아이비데 린드크비스트후보[92][93]
시체스 영화제2008년황금 환타지 영화 그랑프리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94]
토론토 애프터 다크 영화제2008년최우수 장편 영화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95]
토론토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8년 12월 17일최우수 외국어 영화수상[96]
트라이베카 영화제2008년최우수 내러티브 장편 영화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39]
워싱턴 D.C. 지역 영화 비평가 협회상2008년 12월 8일최우수 외국어 영화수상[97]
우드스톡 영화제2008년최우수 내러티브 장편 영화토마스 알프레드슨수상[98]


7. 주제와 해석

이 영화는 1982년 스웨덴 스톡홀름 교외 블래케베리를 배경으로, 학교 폭력에 시달리는 12세 소년 오스카와 옆집으로 이사 온 신비로운 소녀 엘리의 관계를 다룬다.[3][4] 학교와 가정에서 소외된 오스카는 외로움 속에서 복수를 꿈꾸고,[3][4] 엘리 역시 비밀을 간직한 채 고독하게 살아간다.[4]

두 사람은 서로의 외로움 속에서 벽을 사이에 두고 모스 부호로 소통하며 점차 가까워지고[3][4], 단순한 우정이나 첫사랑을 넘어 서로에게 유일한 이해자이자 구원자가 되어가는 과정을 그린다. 엘리는 오스카에게 용기를 주며[3][4], 오스카는 엘리가 뱀파이어라는 비밀과 생존을 위한 살인의 필요성을 알게 된 후에도 그녀를 받아들이려 한다.[3]

《렛 미 인》은 전통적인 뱀파이어 신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뱀파이어를 공포의 대상이 아닌, 영생과 인간적 관계 사이에서 고뇌하는 복합적인 존재로 묘사한다. 엘리의 복합적인 면모를 통해 단순한 선악 구도를 넘어선 질문을 던지며[3], 소외, 폭력, 사랑, 그리고 인간 조건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탐구한다.

7. 1. 학교 폭력과 소외

12세 소년 오스카는 스톡홀름 교외 블래케베리에서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 그는 학교에서 급우들에게 지속적인 학교 폭력에 시달리며[3], 이로 인해 오컬트나 엽기 사건에 관심을 가지며 범죄 관련 책을 읽고, 밤에는 복수를 상상하는 등 소외된 나날을 보낸다.[4] 알코올 의존증인 아버지는 집을 나갔고, 오스카는 제대로 기댈 곳 없이 외로움을 느낀다.[4]

어느 날 밤, 오스카는 옆집으로 이사 온 소녀 엘리를 만난다. 엘리 역시 학교에 다니지 않고 고독한 시간을 보내는 외톨이이다.[4] 두 사람은 외로움 속에서 자연스럽게 서로에게 이끌린다.[4] 엘리는 오스카가 괴롭힘당하는 사실을 알게 되고, 스스로를 지키라고, 되갚아주라고 격려한다.[3][4] 엘리의 격려에 힘입어 오스카는 자신을 단련하기 위해 방과 후 훈련을 받기 시작한다.[3][4]

괴롭힘은 계속되었고, 오스카는 결국 자신을 괴롭히는 무리의 리더인 코니의 머리를 기둥으로 내리치는 방식으로 저항한다.[3] 또한 스케이트 특별 활동 시간에는 얼어붙은 호수에 들어가라는 강요를 받자 괴롭히던 학생에게 복수하기도 한다.[4] 이러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괴롭힘은 멈추지 않았고, 오스카는 수영장에서 불량배들에게 다시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된다. 이때 엘리가 나타나 오스카를 괴롭히던 학생들을 잔혹하게 살해하며 그를 구출한다.[3]

7. 2. 뱀파이어 신화의 재해석

이 영화는 뱀파이어를 단순히 공포의 대상이나 초자연적인 괴물로 그리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현대 사회의 사회적 약자이자 소수자의 은유로 재해석한다. 주인공 엘리는 영원히 12살의 모습으로 살아가야 하는 뱀파이어로서, 생존을 위해 타인의 피를 필요로 하지만 동시에 인간적인 관계를 갈망하는 복합적인 존재로 그려진다.

학교 폭력에 시달리는 외로운 소년 오스카와 엘리의 만남은 서로의 고독을 이해하고 위로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엘리는 오스카에게 자신을 방어하도록 격려하고, 오스카는 엘리의 비밀(뱀파이어 정체와 살인의 필요성)을 알게 된 후에도 그녀를 받아들이려 노력한다. 이는 사회적으로 소외된 두 존재가 서로에게 유일한 안식처가 되어주는 모습으로, 기존 뱀파이어 서사에서는 보기 힘든 관계 설정이다.[3][4]

엘리가 생존을 위해 살인을 저지르는 모습은 끔찍하지만, 영화는 이를 통해 생존 자체가 투쟁인 소수자의 고통을 암시한다. 특히 엘리가 오스카에게 "잠시만이라도 내가 되어봐"라고 말하는 장면은, 그녀의 행동 이면에 있는 절박함과 고립감을 드러내며 단순한 악마화(惡魔化)를 거부한다. 또한 엘리가 자신의 성별 정체성에 대해 "나는 소녀가 아니야"라고 모호하게 언급하는 부분은, 뱀파이어라는 존재 자체를 성별 규범을 포함한 사회적 분류 체계에서 벗어난 소수자로 해석할 여지를 남긴다.

결국 영화는 엘리라는 뱀파이어 캐릭터를 통해, 사회의 주류에서 벗어난 존재들이 겪는 차별과 혐오, 그리고 생존을 위한 몸부림을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오스카를 구하기 위해 학교 폭력 가해자들을 잔혹하게 살해하는 마지막 장면은, 사회적 약자들이 폭력적인 현실에 맞서는 방식에 대한 복잡한 질문을 던지며, 단순한 권선징악 구도를 넘어선 해석을 유도한다.

8. 리메이크

맷 리브스가 감독하고 코디 스밋-맥피와 클로이 그레이스 모레츠가 주연을 맡아, 원작 영화와 소설 『모스 -모르스-』를 바탕으로 영어로 리메이크된 영화 렛 미 인은 2010년 10월 1일에 개봉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at den ratte komma in – Let the Right One In (15) https://bbfc.co.uk/A[...] 2009-01-16
[2]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2008) https://www.boxoffic[...] 2009-04-30
[3] 웹사이트 In 2008, Let the Right One In Depicted Teenage Love as Bloodlust https://consequence.[...] 2017-05-09
[4] 뉴스 Swedish word of the day: puss https://www.thelocal[...] 2019-02-14
[5] 뉴스 Allt fler böcker blir film http://www.dn.se/kul[...] 2007-07-08
[6] 뉴스 Tomas Alfredson om nya filmen: "Skildringen är oerhört kärv" http://www.bt.se/noj[...] 2008-11-07
[7] 웹사이트 "'Shock Till You Drop' Exclusive: Tomas Alfredson ''Lets the Right One In''" http://www.shocktill[...] 2008-10-19
[8] 뉴스 Taking a deep look at horror https://www.latimes.[...] 2008-10-19
[9] 웹사이트 Låt den rätte komma in – Bolag http://www.sfi.se/sv[...] Swedish Film Institute
[10] 뉴스 Utan Ipred slutar vi göra film http://www.svd.se/ny[...] 2008-11-26
[11]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https://www.smh.com.[...] 2009-03-18
[12] 웹사이트 The Northlander Sits Down With The Writer Of 'Let the Right One In'! https://www.aintitco[...] 2008-10-23
[13]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New Vampire Film with a 'Beat' https://www.huffingt[...] 2008-12-03
[14] 웹사이트 Tomas — Den rätte http://sfi.se/PageFi[...] Swedish Film Institute 2008
[15] 웹사이트 Film Review: Let the Right One In https://www.theguard[...] 2009-04-10
[16] AV media notes Låt den rätte komma in Sandrew Metronome 2009
[17]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http://movies.sky.co[...] 2008
[18] 웹사이트 The Pale Light of Morning http://www.reversesh[...] 2008-10-23
[19] 간행물 Let The Right One In http://www.forteanti[...] 2009-03
[20] 웹사이트 Moriarty Sits Down With Tomas Alfredson, Director Of 'Let the Right One In'! https://www.aintitco[...] 2008-10-26
[21] 뉴스 Där vill jag vara. Bland tentaklerna. http://www.aftonblad[...] 2008-09-26
[22] 웹사이트 Jag var nära att explodera http://www.aftonblad[...] 2008-12-21
[23] 웹사이트 NIFFF 2008 – 'Let the Right One In' Interview http://twitchfilm.ne[...] 2008-07-24
[24] 웹사이트 Lina Leandersson and Kare Hedebrant http://www.littlewhi[...] 2009-04-09
[25] 웹사이트 Världens hetaste vampyr http://www.dalademok[...] 2009-07-11
[26] 웹사이트 Intervju med regissören Thomas Alfredsson http://www.alltomfil[...] Allt om film 2008-10-24
[27] 웹사이트 Frost Bite: Director Tomas Alfredson on "Let the Right One In" https://www.filmthre[...] Film Threat 2008-10-22
[28] 웹사이트 An Unusual Romance http://www.ascmag.co[...] American Society of Cinematographers 2008-12
[29] 웹사이트 Interview: Tomas Alfredson on 'Let the Right One In' http://www.ifc.com/f[...] Independent Film Channel 2008-10-29
[30] 웹사이트 Guldbaggar för otäckt ljud i 'Låt den rätte komma in' http://www.filmnyhet[...] 2009-01-12
[31] 웹사이트 Låt det rätta komma ut http://www.magasinet[...] Magasinet Filter 2008-09-17
[32] 웹사이트 2008 Guldbagge Award Winners http://www.sfi.se/en[...] Swedish Film Institute 2009-12-01
[33] 웹사이트 ScoreKeeper's Top 10 Best Scores Of 2008 List!! https://www.aintitco[...] 2009-01-05
[34]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Johan Söderqvist) http://moviescoremed[...] MovieScore Media
[35] 웹사이트 Vi var flera som ville filma Ajvides bok http://stockholm.cit[...] 2008-10-23
[36] 뉴스 Hemlighetsfull Gessle har jobbat i det tysta http://blt.se/noje_o[...] 2009-02-28
[37] 웹사이트 Låt den rätte komma in https://festival.gif[...] Götebor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1-03-05
[38] 웹사이트 Award ceremony at Göteborg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closing party http://www.filmfesti[...] Götebor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1-03-05
[39] 웹사이트 Award Winners 2008 http://www.tribecafi[...] Tribeca Film Festival 2009-03-08
[40]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Låt den Rätte Komma In) http://www.edfilmfes[...] Edinburgh Film Festival
[41] 웹사이트 Neuchâtel International Fantastic Film Festival 2008 http://www.nifff.ch/[...] Neuchâtel International Fantastic Film Festival 2011-03-05
[42] 웹사이트 Låt den rätte komma in till hösten http://www.bio.nu/20[...] Bio.nu 2009-07-27
[43] 웹사이트 Förhandsvisning inställd http://www.nsd.se/no[...] 2009-09-16
[44] 웹사이트 "Right One" let into in Swedish, Norwegian and US cinemas http://cineuropa.org[...] Cineuropa 2009-07-27
[45]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Film) http://www.filmink.c[...] 2009-04-20
[46]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Official Film Site http://lettherighton[...] Momentum Pictures 2009-04-20
[47] 웹사이트 Fright: Let The Wrong Subtitles In To 'Let the Right On In'?! http://iconsoffright[...] Iconsoffright.com 2011-03-05
[48] 웹사이트 US Distributor Of 'Let The Right One In' Says They'll Fix Subtitles, But No Exchanges http://consumerist.c[...] 2011-03-05
[49] 웹사이트 Det är helt sinnessjukt http://www.aftonblad[...] 2009-05-15
[50]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2008) https://www.rottento[...] 2020-08-25
[51]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reviews https://www.metacrit[...] 2017-06-02
[52] 웹사이트 Låt Den Rätte Komma In (2008) http://kritiker.se/f[...] 2009-03-10
[53] 뉴스 Låt den rätte komma in - Bitvis hårresande otäckt http://www.svd.se/ku[...] 2009-04-04
[54] 뉴스 Låt Den Rätte Komma In 2008-10-23
[55] 웹사이트 Blodigt för redan bitna http://www.expressen[...] 2009-04-04
[56] 웹사이트 Låt Den Rätte Komma In http://www.gp.se/gp/[...] 2009-04-04
[57] 웹사이트 Terror Incognita http://www.edfilmfes[...] Edinburgh Film Festival 2008-05-29
[58] 웹사이트 Revenge of the SIFF: 2008 Seattl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econd Week Wrap-Up https://filmthreat.c[...] 2011-03-05
[59] 뉴스 I've been 12 for a very long time https://www.rogerebe[...] 2009-04-27
[60] 뉴스 Thirst http://rogerebert.su[...] 2009-12-29
[61] 간행물 Movie Review :: Let the Right One In https://www.ew.com/e[...] 2009-04-27
[62] 웹사이트 "00's Retrospect: Bloody Disgusting's Top 20 Films of the Decade...Part 4" https://www.bloody-d[...] 2010-01-03
[63] 웹사이트 The 100 Best Films Of World Cinema https://www.empireon[...] 2014-04-13
[64] 웹사이트 The 100 best horror films https://www.timeout.[...] 2014-04-13
[65] 웹사이트 BBC's 100 Greatest Films of the 21st Century http://www.bbc.com/c[...] BBC 2017-01-26
[66] 웹사이트 2008 Guldbagge Award Winners http://www.sfi.se/en[...] Swedish Film Institute 2009-04-04
[67] 웹사이트 Press Release Méliès d'Or 2008 http://www.melies.or[...] Swiss Neuchâtel International Fantastic Film Festival 2009-03-08
[68] 웹사이트 Rotten Tomatoes: Rotten Tomatoes Critical Consensus Award 2008 Presented http://uk.rottentoma[...] 2011-03-05
[69] 웹사이트 Därför var "Låt den rätte" inte valbar http://www.filmnyhet[...] Swedish Film Institute 2010-06-07
[70] 웹사이트 Imagine Film Festival: Jury's and Awards http://imaginefilmfe[...] Imagine Film Festival 2011-03-05
[71] 웹사이트 Fantastic Fest Award Winners Announced https://www.austinch[...] 2008-09-23
[72] 웹사이트 2008 Awards http://www.austinfil[...] Austin Film Critics Association 2009-04-27
[73] 웹사이트 Awards Archive http://fcca.com.au/a[...] Australian Film Critics Association 2009-04-27
[74] 웹사이트 Boston Society of Film Critics Awards 2008 Winners http://www.thebsfc.o[...] Boston Society of Film Critics 2009-04-27
[75] 웹사이트 2010 BAFTA Film Awards Winners http://www.bafta.org[...]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 2010-01-21
[76] 웹사이트 Winners announced for the 12th British Independent Film Awards Sunday 6 December at The Brewery, Chiswell Street http://www.bifa.org.[...] British Independent Film Awards 2009-12-06
[77] 웹사이트 "The BFCA Critics' Choice Awards :: 2008" http://www.bfca.org/[...] Broadcast Film Critics Association 2009-04-27
[78] 웹사이트 The Calgary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nounces 2008 award winners http://2008.calgaryf[...] Calgary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08-10-07
[79] 웹사이트 Chicago Film Critics Awards – 2008 http://www.chicagofi[...] Chicago Film Critics Association 2008-12-18
[80] 간행물 Best Horror https://www.empireon[...] 2010-03-28
[81] 웹사이트 Feature film competition http://www.fantasiaf[...] Fantasia Festival 2008-07-22
[82] 웹사이트 Florida Film Critics Awards 2008 http://www.altfg.com[...] Alternative Film Guide 2008-12-18
[83] 웹사이트 "Slumdog Millionaire", Goya a la mejor película europea http://noticias.terr[...] Terra Networks 2010-02-15
[84] 웹사이트 2008 Official Awards Ballot http://www.houstonfi[...] Houston Film Critics Society 2019-04-30
[85] 웹사이트 Irish Film and Television Academy | IFTA http://www.ifta.ie/i[...] Ifta.ie 1997-02-26
[86] 뉴스 Fish Tank hooks four prizes from Critics' Circle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2-19
[87] 뉴스 NatFilm Festivalen siger go' nat http://www.arbejdere[...] 2008-04-09
[88] 웹사이트 "WALL-E" Named Best Picture in Online Film Critics Society Awards http://ofcs.rottento[...] Online Film Critics Society 2009-01-19
[89] 웹사이트 Setting out for a record number of awards http://www.fujifilm.[...] Fujifilm 2009-01-19
[90] 웹사이트 San Diego Film Critics Choose Best of 2008 http://sdfcs.org/?p=[...] San Diego Film Critics Society 2008-12-15
[91] 웹사이트 2008 San Francisco film critics circle awards http://sffcc.org/200[...] San Francisco Film Critics Circle 2008-12-15
[92] 간행물 'Dark Knight' wins big at Saturns https://variety.com/[...] 2009-06-24
[93] 웹사이트 Nominations for the 35th Annual Saturn Awards http://www.saturnawa[...] Academy of Science Fiction, Fantasy & Horror Films 2009-03-10
[94] 웹사이트 MÉLIÈS D'OR WINNER IN 2008 http://www.melies.or[...] European Fantastic Film Festivals Federation 2009-04-27
[95] 웹사이트 Award Winners 2008 http://torontoafterd[...] Toronto After Dark Film Festival 2009-04-27
[96] 웹사이트 TFCA Awards 2008 http://torontofilmcr[...] Toronto Film Critics Association 2008-12-17
[97] 웹사이트 WAFCA: Awards – 2008 http://www.dcfilmcri[...] Washington D.C. Area Film Critics Association 2009-04-27
[98] 웹사이트 2008 Awards info http://www.woodstock[...] Woodstock Film Festival 2009-04-27
[99] 웹사이트 Kodi Smit-McPhee, Chloe Moretz and Richard Jenkins Will Let Me In http://movieweb.com/[...] 2009-01-10
[100] 웹사이트 Matt Reeves bites into 'Right One' https://variety.com/[...] 2008-09-24
[101] 웹사이트 Tråkigt med nyinspelning http://www.aftonblad[...] 2009-03-09
[102]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Director Slams Remake https://bloody-disgu[...] 2008-09-30
[103] 웹사이트 Tomas Alfredson: New Wave Vampires Interviews – Total Sci-Fi http://totalscifionl[...] Totalscifionline.com 2009-04-09
[104] 웹사이트 Hammer Films CEO Simon Oakes Interview Let Me In; Plus Info on The Woman in Black and Handling the Undead https://collider.com[...] 2010-08-04
[105] 웹사이트 Let the Right One In (2008)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0-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