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켓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켓붐은 2004년 시작된 미니 뉴스캐스트 형식의 일일 웹캐스트로, 2000년대 중반 인터넷 비디오의 초기 성공 사례 중 하나이다. 입소문과 광고를 통해 성장했으며, 애플 아이팟에 팟캐스트 기능이 추가되면서 주목받았다. 2006년에는 CSI: 과학수사대 에피소드에 등장하며 인지도를 높였으나, 시청자 수와 통계 조작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2008년 소니 픽처스 텔레비전과 계약을 맺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서비스되었지만, 2011년 직원 감소와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팟캐스트 - 웰컴 투 나이트베일
《웰컴 투 나이트 베일》은 조셉 핑크와 제프리 크라노가 제작한 초자연적이고 기괴한 사건이 만연한 가상의 사막 마을 나이트 베일을 배경으로 한 팟캐스트 형식의 미국 라디오 드라마로, 지역 라디오 방송의 수석 앵커 세실 팔머가 진행하며 마을의 숨겨진 비밀, 정부의 음모, 초자연적인 위협 등을 다룬다. - 비디오 팟캐스트 - 경제잇수다
《경제잇수다》는 2013년부터 2014년까지 JTBC에서 방영된 경제 토크쇼로, 민세진, 정소영, 이서유 등이 출연하여 다양한 경제 이슈를 다루고 김어준, 주진우, 김용민 등 시사평론가들이 사회, 경제적 문제에 대한 분석을 제공했으며 홈쇼핑 보험, 결혼과 부동산, 재래시장 활성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시즌 1과 시즌 2로 나뉘어 방영되었다. - 정치 팟캐스트 - 나는 꼽사리다
나는 꼽사리다는 김미화, 선대인, 우석훈, 김용민이 진행한 시사 팟캐스트로, 여러 분야 게스트를 초청하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이슈를 논의했으며, 특히 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는 유력 후보들을 초청하여 정책 토크를 진행했다. - 정치 팟캐스트 - 김어준의 Papa is
김어준의 Papa is는 김어준이 진행한 인터넷 방송으로, 국정원, 서울시 공무원 간첩증거조작 사건, 세월호 침몰 사고 등 사회적 이슈를 심층적으로 다루며 정부 발표에 대한 의혹 제기 및 다양한 시각을 제시했다.
로켓붐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정치 |
URL | 로켓붐 공식 웹사이트 |
처음 방송 | 2004년 10월 26일 |
마지막 방송 | 2013년 11월 6일 |
진행자 | |
현재 진행자 (2012년 4월 23일부터) | 키건 허스트 |
이전 진행자 | 미미몰리 (2009년 7월 6일 – 2011년 8월 25일) 케이틀린 힐 (2009년 4월) 조앤 콜런 (2006년 7월 12일 – 2009년 4월 17일) 아만다 콩던 (2004년 10월 26일 – 2006년 7월 5일) |
2. 역사
로켓붐은 2004년 10월, 짧은 뉴스 형식의 일일 웹캐스트로 시작하여 인터넷 비디오 초창기에 주목받는 브이로그로 빠르게 성장했다.[11] 초기에는 주로 입소문을 통해 알려졌으며, CBS 저녁 뉴스,[12] 비즈니스위크[14] 등 주요 언론의 관심을 받으며 시청자 수를 늘려갔다.
2006년에는 공동 진행자였던 어맨다 콩돈이 하차하고 조앤 콜란이 새로 합류하는 등 진행자 변화를 겪었다. 이후 소니 픽처스 텔레비전과의 유통 및 광고 계약[25]을 체결하며 Crackle, PS3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콘텐츠를 확장하기도 했다. 2010년에는 유튜브의 라이브 스트리밍 테스트에 참여하는[26] 등 새로운 시도를 이어갔으나, 2011년경에는 직원 이탈 및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27]
2. 1. 설립 초기 (2004년 ~ 2006년)
로켓붐은 2004년 10월 미니 뉴스캐스트 형식의 일일 웹캐스트로 시작했다. 같은 해 12월까지 하루 다운로드 25,000건을 기록하며 성장했으며, 주로 입소문을 통해 알려졌다. 수익은 방송 말미의 광고 판매를 통해 얻었다.[11]서비스 시작 후 첫 10개월 동안 시청자 수는 초기 700명에서 70,000명으로 증가했다. 2005년 여름에는 ''CBS 저녁 뉴스'',[12] ''와이어드 뉴스''[13] 등 여러 언론 매체가 로켓붐의 성공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특히 2005년 9월 비즈니스위크는 로켓붐을 "인터넷에서 비슷한 종류 중 가장 인기 있는 사이트"라고 평가했다.[14]
2005년 10월, 애플의 스티브 잡스는 새로운 5세대 아이팟의 비디오 팟캐스트 기능을 소개하면서 로켓붐을 포함한 비디오 팟캐스트 재생 목록을 시연했다.[15][16][17]

2006년 1월 9일자 ''뉴스위크''는 로켓붐의 일일 시청자 수가 약 13만 명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로켓붐 관계자는 하루 최소 25만 명이 접속하여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며, 인기 있는 에피소드의 경우 다운로드 수가 백만 건에 이른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2006년 2월 2일, 로켓붐은 미국 드라마 ''CSI: 과학수사대''의 한 에피소드에 등장했다. 해당 에피소드에는 범인이 자신의 범죄에 대한 로켓붐 해설을 시청하는 가상의 장면이 포함되었다.[19] 이 에피소드 방영 후 한 달 만에 로켓붐 시청자 수는 20만 명으로 급증했다. 뉴욕 타임스의 댄 미첼은 2006년 3월 11일자 기사 "블로그가 TV의 부고를 작성하다"[20]에서 이 시청자 수가 소규모 케이블 채널 프로그램의 시청자 규모와 비슷하다고 지적하며 인터넷이 기존 미디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언급했다.
2006년 4월과 5월, 로켓붐은 첫 광고를 시작했다. 첫 광고 후원사는 TRM과 Earthlink였으며, 각각 5편의 광고 시리즈가 해당 주에 매일 하나씩 방송되었다.[21]
2006년 9월 iTV(아이티비) 소개 행사에서 팟캐스트에 대해 논의할 때 진행자 조앤 콜란이 등장하기도 했다.[18]
그러나 2006년 가을, 로켓붐이 주장하는 시청자 수와 자체 발표 통계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다우 존스와의 인터뷰에서 앤드루 배런은 "하루 400,000명의 시청자"를 확보했으며 "일부 인기 에피소드는 100만 건 이상의 완전한 다운로드를 기록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비즈니스위크는 자체 분석[22]을 통해 2006년 10월 1일부터 26일까지 약 한 달간 로켓붐 서버에서 파일이 다운로드된 횟수는 총 2,982,612번이며, 이는 하루 평균 114,715건, 에피소드당 평균 156,980건에 해당한다고 보도했다. 비즈니스위크는 로켓붐이 통계 수치를 과장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로켓붐 측이 제3자를 통한 통계 검증을 거부했다고 덧붙였다.[23]
2. 2. 어맨다 콩돈의 하차와 논란 (2006년)
2006년 7월 5일, 한창 인기가 상승하던 로켓붐은 여성 앵커 어맨다 콩돈의 하차로 위기를 맞았다. 콩돈은 자신이 제작한 "Un-boomed"라는 비디오를 통해 제작자 앤드루 배런 때문에 떠나야 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로켓붐 측은 콩돈이 로스앤젤레스에서 새로운 기회를 잡기 위해 떠났다고 밝혔다.콩돈의 하차 이후 로켓붐은 잠시 영상 업로드를 중단했으나, 새로운 여성 앵커 조안 콜란을 영입하며 다시 정상화되었다. 이 사건은 당시 비디오 블로거들 사이에서 많은 소문과 논란을 낳았으며, 여러 패러디 영상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2. 3. 조앤 콜란 영입과 회복 (2006년 ~ 2009년)
2006년 7월 5일, 로켓붐은 공동 진행자이자 앵커였던 어맨다 콩돈의 갑작스러운 하차로 큰 변화를 맞이했다. 콩돈은 자신이 제작자 앤드루 배런과의 의견 차이로 인해 떠나야 했다고 주장하는 비디오("Un-boomed")를 공개했다. 반면 로켓붐 측은 콩돈이 로스앤젤레스에서의 새로운 기회를 위해 떠났다고 발표했다. 이 사건은 당시 비디오 블로깅 커뮤니티에서 많은 논란과 추측, 심지어 패러디 영상까지 만들어내는 등 큰 파장을 일으켰다.콩돈의 하차 이후 로켓붐은 잠시 방송을 중단했으나, 새로운 여성 앵커로 조안 콜란을 영입하면서 방송을 재개하고 점차 안정을 되찾았다.
그러나 2006년 가을, 로켓붐의 인기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다우 존스와의 인터뷰에서 배런은 로켓붐의 하루 시청자 수가 40만 명에 달하며, 일부 인기 에피소드는 100만 건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비즈니스위크''는 자체 분석을 통해 로켓붐이 제공한 통계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하며, 실제 하루 다운로드 수를 약 78,500건으로 추정했다. 또한 ''비즈니스위크''는 로켓붐이 제3자를 통한 통계 검증을 거부했다고 보도했다.[22][23]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로켓붐은 성장을 지속했다. 2008년 3월, 웹사이트 분석 업체인 컴피트닷컴은 로켓붐을 인터넷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비디오 스타트업 중 하나로 선정했다.[24] 같은 해 8월에는 소니 픽처스 텔레비전과 1년간의 유통 및 광고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계약은 7자리 수의 금액을 보장하고 향후 발생할 수익을 공유하는 조건이었으며, 이를 통해 로켓붐은 Crackle을 비롯한 소니의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PS3, PSP, 브라비아 인터넷 비디오 링크 TV 등)으로 콘텐츠를 유통할 수 있게 되었다.[25] 이 외에도 로켓붐은 TiVo, 아이튠즈, Miro, 애플 TV, Pando 등 다양한 플랫폼과 유튜브, 메타카페, 블립.tv, Vuze와 같은 웹 비디오 포털을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었다.[25]
2. 4. 전성기와 쇠퇴 (2009년 ~ 2013년)
2008년 3월, 컴피트닷컴은 로켓붐을 인터넷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비디오 스타트업 중 하나로 선정하며[24] 그 성장세를 주목받았다. 같은 해 8월에는 소니 픽처스 텔레비전과 1년간의 유통 및 광고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은 7자리 숫자의 보장된 금액과 향후 수익 분배를 포함하는 조건이었으며, 로켓붐 콘텐츠를 Crackle, PS3, PSP, 브라비아 인터넷 비디오 링크 TV 등 소니의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으로 유통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25] 이 시기는 로켓붐의 전성기로 평가받는다. 로켓붐은 이미 TiVo, 아이튠즈, Miro, 애플 TV, Pando, TVTonic 및 유튜브, 메타카페, 블립.tv, Vuze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시청 가능했다.[25]2010년 9월 13일, 로켓붐은 유튜브의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테스트에 참여한 최초의 채널 중 하나가 되어[26] 새로운 미디어 환경 변화에 발맞추려는 시도를 보였다.
그러나 2011년, 온라인 보고서를 통해 로켓붐이 직원 이탈과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27] 점차 하락세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는 로켓붐의 쇠퇴가 시작되었음을 시사하는 사건이었다.
3. 주요 제작진
로켓붐은 제작자 앤드류 베이런을 중심으로 한 핵심 제작팀과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앵커, 그리고 미국, 유럽, 케냐 등 전 세계 각지의 통신원들이 참여하여 제작되었다.[5][6] 각 역할별 주요 인물 및 변동 사항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앵커
2006년 7월 5일, 로켓붐은 당시 인기를 끌던 앵커 어맨다 콩돈이 떠나면서 변화를 맞았다. 콩돈은 자신이 제작한 "Un-boomed" 비디오를 통해 제작자 앤드류 베이런 때문에 떠나야 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로켓붐 측은 콩돈이 로스앤젤레스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해 떠났다고 밝혔다.[11][4] 이 일로 잠시 프로그램 업로드가 중단되었으나, 새로운 앵커 조앤 콜란을 영입하면서 다시 정상화되었다.[2] 이 사건은 당시 비디오 블로거들 사이에서 많은 이야기와 논란, 패러디를 만들어냈다.앵커 | 활동 기간 |
---|---|
어맨다 콩돈 | 2004년 10월 26일 ~ 2006년 7월 5일[11][4] |
조앤 콜란 | 2006년 7월 12일 ~ 2009년 4월 17일[2] |
케이트린 힐 | 2009년 4월[3] |
메메몰리 | 2009년 7월 ~ 2011년 8월 25일[7][8][9] |
키건 허스트(Keghan Hurst) | 2012년 4월 23일 ~ 2013년 11월 6일 |
2009년 6월, 로켓붐은 당시 진행자였던 케이트린 힐과의 계약 연장에 합의하지 못하자, 새로운 앵커 두 명을 찾는다고 발표했다. 뉴욕과 로스앤젤레스 데스크를 위한 채용 공고가 나갔고, 기본 급여 8만달러에 계약금 1만달러, 그리고 광고 수익의 3%를 지급하는 조건을 내걸어 공개 오디션을 진행했다. 이는 당시 웹 텔레비전 분야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대우로 평가받았다.[10]
3. 2. 기타 제작진
로켓붐 제작팀은 프로듀서이자 작가, 감독인 앤드루 배런(Andrew Baron)을 중심으로 여러 멤버로 구성되었다. 케냐타 치즈(Kenyatta Cheese)는 프로듀서 역할 외에도 화면에 직접 출연했으며, 로켓붐의 스핀오프인 Know Your Meme을 제작하기도 했다.[5][6]직책 | 이름 | 비고 |
---|---|---|
프로듀서 / 작가 / 감독 | 앤드루 배런(Andrew Baron) | |
호스트 | 밈몰리(Mememolly) | |
프로듀서 | 케냐타 치즈(Kenyatta Cheese) | Know Your Meme 제작 참여 |
제작팀 | 리아 D에밀리오(Leah DEmilio) | |
캐스터 | 아만다 콩던(Amanda Congdon) | 2006년 7월 23일 퇴사 |
캐스터 | 조앤 콜란(Joanne Colan) | 아만다 콩던 후임 |
3. 3. 통신원
로켓붐과 로켓붐 휴먼 와이어 월드 비디오 리포트는 미국, 유럽, 케냐 등 다양한 지역의 통신원이 제작한 웹캐스트를 제공했다.이름 | 지역 |
---|---|
애니 차이 | 로스앤젤레스 |
앤디 카빈 | 워싱턴 D.C. |
자디 디아즈 | 로스앤젤레스 |
엘라 모튼 | 뉴욕 |
루드 엘멘도르프 | 나이로비 |
스티브 가필드 | 보스턴 |
밀트 리 | 사우스다코타 |
척 올슨 | 미니애폴리스 |
브레 페티스 | 시애틀 |
타이슨 루트 | 휴스턴 |
슈테판 M. 자이델 | 스위스/독일/오스트리아 |
그레이엄 워커 | 프라하 |
- 프로듀서: 앤드류 베이런(Andrew Baron)
- 캐스터: 아만다 콩던(Amanda Congdon) (2006년 7월 23일 퇴사)
- 캐스터: 조앤 콜란(Joanne Colan)
4. 수상 및 후보
- 스트리미상 최고 뉴스 또는 정치 웹 시리즈 (2009) (후보)
5. 논란 및 비판
2006년 7월 5일, 인기가 상승하던 로켓붐은 여성 앵커 어맨다 콩돈이 떠나면서 논란에 직면했다. 어맨다 콩돈은 자신이 만든 "Un-boomed" 비디오를 통해 제작자 바론에 의해 하차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로켓붐 측은 그녀가 로스앤젤레스에서 새로운 기회를 잡기 위해 떠났다고 밝혔다. 이 사건 이후 로켓붐은 잠시 업로드를 중단했으나, 새로운 여성 앵커 조안 콜란을 영입하며 다시 정상화되었다. 이 과정은 당시 비디오 블로거들 사이에서 많은 소문과 논란을 일으켰고, 여러 패러디 영상이 만들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ocketboom Welcomes Aboard Keghan Hurst
http://blog.rocketbo[...]
2012-04-24
[2]
웹사이트
Wednesday July 12, 2006 : daily
http://www.rocketboo[...]
2006-07-12
[3]
웹사이트
"Caitlin and Planet X" Rocketboom Episode, April 20, 2009
http://www.rocketboo[...]
Rocketboom.com
2009-04-20
[4]
웹사이트
October 26, 2004 : daily
http://www.rocketboo[...]
2004-10-26
[5]
웹사이트
Rocketboom to Expand Video Blogging Portfolio
http://www.centernet[...]
2008-10-14
[6]
웹사이트
Rocketboom - about
http://www.rocketboo[...]
[7]
뉴스
'Rocketboom' Premieres New NYC Host 'mememolly'
http://news.tubefilt[...]
Tubefilter
2009-07-06
[8]
뉴스
The Va Va Voom Behind RocketBoom
http://www.cbsnews.c[...]
CBS News
2009-11-10
[9]
뉴스
Meme Molly, Cats, Halloween
http://www.indymogul[...]
Reel Good Show
2009-10-29
[10]
뉴스
Is 'Rocketboom' Gig The Highest Paid Job In Web TV?
http://news.tubefilt[...]
2009-06-04
[11]
뉴스
'Rocketboom' May Be Future of TV News
https://abcnews.go.c[...]
2005-05-06
[12]
웹사이트
FutureMedia News, Reviews, Interviews, Analysis, Expos, Press Events, Parties
http://futuremediatv[...]
[13]
뉴스
The Vlog World's Greatest Hits
https://www.wired.co[...]
2005-07-13
[14]
뉴스
Rocketboom's Powerful Lift-Off
http://www.businessw[...]
2005-09-05
[15]
뉴스
TV Stardom on $20 a Day
https://www.nytimes.[...]
2005-12-11
[16]
간행물
The Rise of the Video Blog
https://www.rollings[...]
2006-04-12
[17]
Youtube
Apple Special Event October 2005
http://stream.qtv.ap[...]
Apple
2005-10
[18]
웹사이트
Live from the Steve Jobs Keynote -- "It's Showtime"
https://www.engadget[...]
2006-09-12
[19]
웹사이트
CSI: Crime Scene Investigation
http://55broad.video[...]
[20]
뉴스
A Blog Writes the Obituary of TV
https://www.nytimes.[...]
2006-03-11
[21]
뉴스
Rocketboom Takes Off: Earthlink and TRM are First Advertisers
http://www.brandweek[...]
2006-02-17
[22]
뉴스
Why Ze Frank is Right and Wrong About Rocketboom
http://www.businessw[...]
2006-10-27
[23]
뉴스
The Continuing Saga of Rocketboom Numbers and Yanking Our Estimate
http://www.businessw[...]
2006-10-27
[24]
뉴스
February Online Video: Politics Offsets the Writer's Strike, GodTube.com Racks Up Impressive Year/Year Growth
http://blog.compete.[...]
2006-10-27
[25]
웹사이트
Schonfeld, Erick. "Rocketboom Inks Seven-Figure Distribution Deal With Sony," TechCrunch, August 5, 2008
https://techcrunch.c[...]
Techcrunch.com
2008-08-05
[26]
웹사이트
YouTube Adds Live Streaming, Rocketboom Goes Live
http://news.tubefilt[...]
[27]
웹사이트
Can Rocketboom Survive Its Talent Drain & Money Troubles?
https://gigaom.com/2[...]
gigaom
2011-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