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는 스페인 라팔마섬에 위치한 국제 천문대로, 1969년 북반구 천문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다. 10년간의 부지 연구를 거쳐 여러 국가 간의 협약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1984년 아이작 뉴턴 망원경으로 가동을 시작했다. 이후 윌리엄 허셜 망원경, 북유럽 광학 망원경, 갈릴레오 국립 망원경,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 등 다양한 망원경이 추가되었고, 2018년에는 일본 연구진이 참여하는 체렌코프 망원경 어레이 대구경 망원경 1호기가 설치되었다. 주요 관측 시설로는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를 비롯하여 다양한 망원경이 있으며, 온난-여름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원경 - 능동 광학
    능동 광학은 대형 반사 망원경에서 바람, 중력, 온도 변화로 인한 거울의 변형을 보정하기 위해 거울 형태를 실시간으로 조정하는 기술로, 액추에이터, 영상 품질 검출기, 제어 컴퓨터로 구성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망원경 - 굴절 망원경
    굴절 망원경은 렌즈로 빛을 굴절시켜 상을 확대하는 광학 망원경으로,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천문 관측에 활용하며 유명해졌으나, 색수차 문제와 렌즈 처짐 현상 등으로 반사 망원경에 자리를 내주었으며, 갈릴레이식, 케플러식, 무색수차 굴절 망원경 등의 종류가 있다.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의 일부 망원경들
원어명langx: 'es'
value: Observatorio del Roque de los Muchachos
위치카나리아 군도 라 팔마
고도2,500m
관리 기관카나리아 천체물리 연구소(IAC)
주요 망원경
망원경 1 이름MAGIC 망원경
망원경 1 유형17 m 감마선 영상 체렌코프 망원경
망원경 2 이름카나리아 대망원경(Gran Telescopio Canarias)
망원경 2 유형10.4 m 반사 망원경, 건설 중
망원경 3 이름윌리엄 허셸 망원경
망원경 3 유형4.2 m 반사 망원경
망원경 4 이름갈릴레오 국제 망원경(Telescopio Nazionale Galileo)
망원경 4 유형3.5 m 반사 망원경
망원경 5 이름북구 광학 망원경(Nordic Optical Telescope)
망원경 5 유형2.56 m 반사 망원경
망원경 6 이름아이작 뉴튼 망원경
망원경 6 유형2.5 m 반사 망원경
망원경 7 이름리버풀 망원경
망원경 7 유형2.0 m 원격 반사 망원경
망원경 8 이름메르카토르 망원경
망원경 8 유형1.2 m 반사 망원경
망원경 9 이름스웨덴 태양 망원경
망원경 9 유형1.0 m 굴절 진공 태양 망원경
망원경 10 이름수퍼 와스프(SuperWASP)
망원경 10 유형5대의 0.11 m 광각 카메라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IAC 웹페이지

2. 역사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의 건립 구상은 북반구 천문대 프로젝트가 시작된 19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약 10년간의 부지 연구 끝에, 여러 국가가 참여하여 카나리아 제도라 팔마에 국제 천문대를 설립하기 위한 대규모 국제 협약이 체결되었다.

천문대는 1984년경 아이작 뉴턴 망원경이 가동되면서 운영을 시작했다. 이 망원경은 원래 영국 이스트 서섹스의 허스트몬소 성에 있는 로열 그리니치 천문대에 있었으나, 더 나은 관측 조건을 찾아 라 팔마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이 이전 과정은 순탄치 않았으며, 기존 망원경을 옮기는 비용보다 현지에 새로운 망원경을 건설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었을 것이라는 평가가 있다.

천문대 설립 초기에는 스페인, 스웨덴, 덴마크, 영국이 참여했으며, 이후 독일, 이탈리아, 노르웨이, 네덜란드, 핀란드, 아이슬란드, 미국 등 여러 국가가 추가로 참여하여 국제적인 협력 규모를 확대했다.

천문대는 1985년 6월 29일, 스페인 왕실과 유럽 6개국 정상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개관 이후 천문대는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1987년 4.2m 윌리엄 허셜 망원경, 1988년 북유럽 광학 망원경, 1998년 갈릴레오 국립 망원경, 2006년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 등 주요 관측 시설들이 차례로 들어섰다.

운영 과정에서 몇 차례 자연재해를 겪기도 했다. 1997년에는 산불로 인해 감마선 망원경 중 하나가 손상되었으며, 2005년 9월과 2009년 8월에도 화재가 발생했으나[2] 다행히 건물이나 주요 망원경에 심각한 피해는 없었다.

2016년에는 카나리아 천체물리 연구소가 체렌코프 망원경 배열(CTA) 북반구 사이트를 유치하기로 하였고, 같은 해 하와이 마우나케아산의 30미터 망원경(TMT) 건설이 어려워질 경우를 대비한 두 번째 후보지로 선정되기도 하였다.[3] 2018년 10월에는 일본도쿄 대학 우주선 연구소 등이 참여하는 CTA 대구경 망원경 1호기(직경 23m)의 설치 기념식이 열렸다.

소행성 (2946) 무차초스는 이 천문대가 위치한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봉우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1. 설립 배경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의 건립은 북반구 천문대 프로젝트가 시작된 19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0년간의 부지 연구 끝에 여러 국가 간의 협력을 통해 라 팔마에 국제 천문대를 설립하기 위한 대규모 국제 협약이 체결되었다.

천문대는 1984년경 아이작 뉴턴 망원경의 가동으로 운영을 시작했다. 이 망원경은 원래 영국 이스트 서섹스의 허스트몬소 성에 있는 로열 그리니치 천문대에 있었으나, 시야 조건 등의 문제로 라 팔마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이 이전 과정은 순탄치 않았으며, 기존 망원경을 옮기는 비용보다 현지에 새로운 망원경을 건설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었을 것이라는 평가가 있다.

천문대는 초기에 스페인, 스웨덴, 덴마크, 영국 4개국의 협력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독일, 이탈리아, 노르웨이, 네덜란드, 핀란드, 아이슬란드, 미국 등 여러 국가가 추가로 참여하여 국제적인 천문 연구 시설로 발전했다.

천문대는 1985년 6월 29일, 스페인 왕실과 유럽 6개국의 국가 원수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적으로 개관하였다. 당시 귀빈들의 편의를 위해 천문대 부지 내에 4개의 헬기 착륙장이 건설되기도 했다.

2. 2. 초기 운영 및 확장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의 건립은 북반구 천문대 프로젝트가 시작된 19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약 10년간의 부지 연구 끝에, 여러 국가가 참여하여 라 팔마에 국제 천문대를 설립하기 위한 대규모 국제 협약이 체결되었다.

천문대는 1984년경 아이작 뉴턴 망원경이 가동되면서 운영을 시작했다. 이 망원경은 원래 영국 이스트 서섹스의 허스트몬소 성에 있는 로열 그리니치 천문대에 있었으나 라 팔마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이 이전 과정은 순탄치 않았으며, 기존 망원경을 옮기는 것보다 현지에 새로운 망원경을 건설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었을 것이라는 평가가 있다.

천문대 설립 초기에는 스페인, 스웨덴, 덴마크, 영국이 참여했다. 이후 독일, 이탈리아, 노르웨이, 네덜란드, 핀란드, 아이슬란드, 미국 등 다른 국가들도 참여하여 국제적인 협력 규모가 확대되었다.

천문대는 1985년 6월 29일, 스페인 왕실과 유럽 6개국 정상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귀빈들의 방문 편의를 위해 천문대 부지 내에 4개의 헬기 착륙장이 건설되기도 했다.

개관 이후 천문대는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주요 망원경 설치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987년: 4.2m 윌리엄 허셜 망원경 개관
  • 1988년: 북유럽 광학 망원경 및 여러 소형 태양 망원경 또는 특수 목적 망원경 개관
  • 1998년: 갈릴레오 국립 망원경 개관
  • 2006년: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 개관 (2009년 완전 가동 시작)


몇 차례 자연재해를 겪기도 했다. 1997년에는 산불로 인해 감마선 망원경 중 하나가 손상되었다. 2005년 9월과 2009년 8월에도 화재가 발생했으나[2], 다행히 건물이나 주요 망원경에 심각한 피해는 없었다.

2016년, 카나리아 천체물리 연구소는 체렌코프 망원경 배열(Cherenkov Telescope Array, CTA) 천문대와 협약을 맺고,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에 CTA 북반구 배열을 유치하기로 결정했다. 같은 해, 하와이의 마우나케아산 부지 선정이 어려워질 경우를 대비하여,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가 30미터 망원경(Thirty Meter Telescope, TMT)의 두 번째 후보지로 발표되었다.[3]

2018년 10월 10일에는 일본의 도쿄 대학 우주선 연구소 등이 참여하는 체렌코프 망원경 배열(CTA) 대구경 망원경 1호기(직경 23m)의 설치 기념식이 열렸다. CTA는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등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감마선지구 대기권과 상호작용할 때 발생하는 미약한 체렌코프 복사를 포착하여 우주의 극한 현상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3. 최근 현황

1997년 산불로 인해 감마선 망원경 중 하나가 손상되었으나, 2005년 9월과 2009년 8월에 발생한 화재[2]에서는 건물이나 망원경에 심각한 피해는 없었다.

2016년, 카나리아 천체물리 연구소와 체렌코프 망원경 배열(CTA) 천문대는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ORM)에 CTA 북반구 배열을 유치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하와이의 마우나케아 부지가 실행 불가능할 경우를 대비하여, 이 천문대가 30미터 망원경(TMT)의 두 번째 후보지로 발표되었다.[3]

2018년 10월 10일에는 도쿄 대학 우주선 연구소 등 일본 연구진이 참여하는 체렌코프 망원경 배열(CTA) 대구경 망원경 1호기(직경 23m)의 설치 기념식이 열렸다. CTA는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등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감마선지구 대기권과 상호작용할 때 발생하는 미약한 체렌코프 복사를 포착하여 우주를 관측하는 데 사용된다.

소행성 (2946) 무차초스는 이 천문대가 위치한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봉우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주요 관측 시설

라 팔마 섬에 위치한 이 천문대는 하와이 제도의 마우나 케아 천문대군과 더불어 북반구의 주요 천문 관측 시설이 모여 있는 곳이다. 시잉 조건이 매우 양호하여 광학적외선 천문학 연구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유럽 대륙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시차가 적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곳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단일 구경 망원경인 10.4m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GTC)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첨단 관측 장비들이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GTC는 2007년부터 관측을 시작하여 천문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여러 국가의 연구 기관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크기와 목적의 망원경들을 운영하고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대형 망원경

이곳은 시잉 조건이 양호하여 광학적외선 관측에 적합하며, 태평양하와이섬 마우나 케아 산 (마우나 케아 천문대군) 다음으로 북반구의 주요 관측 시설이 모여 있는 곳이다. 유럽에서의 접근성이 좋고 시차가 적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10.4m 구경의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GTC)는 세계에서 단일 구경으로는 가장 큰 망원경으로, 2007년부터 관측을 시작했다. 또한, 능동 광학 기술을 채용한 스웨덴 태양 망원경(SST)은 태양 관측용 망원경 중 최고의 분해능을 자랑한다.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에 설치되어 운영 중이거나 계획 중인 주요 망원경은 다음과 같다.

이름구경비고
MAGIC17m감마선 관측용 공기 샤워 망원경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 (GTC)10.4m2007년 가동 시작, 세계 최대 단일 구경 망원경
윌리엄 허셜 망원경 (WHT)4.2m
유럽 태양 망원경 (EST)4m프로젝트 진행 중
갈릴레오 국립 망원경 (TNG)3.6m
북유럽 광학 망원경 (NOT)2.6m
아이작 뉴턴 망원경 (INT)2.5m
리버풀 망원경2m2003년 가동 시작[9]
메르카토르 망원경1.2m
스웨덴 태양 망원경 (SST)1m능동 광학 채용, 고분해능 태양 관측
야코부스 카프테인 망원경 (JKT)1m현재 다른 곳으로 이전됨
네덜란드 오픈 망원경 (DOT)45cm태양 관측용
칼스버그 메리디안 망원경 (CMT) / 자동 자오선 환 (ATC)18cm1984–2013 운영
제1 G-APD 체렌코프 망원경 (FACT)2011년 가동 시작[7], 체렌코프 망원경
중력파 광학 과도 현상 관측기(GOTO-N)[8]
HEGRA감마선우주선 관측 시설 (현재는 MAGIC으로 대체됨)
MASCARA외계 행성 탐색용
행성 광역 탐사(SuperWASP)초광시야 카메라, 외계 행성 탐색용


3. 2. 기타 망원경 및 관측 장비

이곳은 하와이 제도를 제외한 북반구의 주요 망원경 및 천문대가 자리 잡은 곳 중 하나이다. 시잉이 양호하여 광학적외선 관측에 적합하며, 유럽에서 가깝고 시차가 적다.

다양한 종류의 망원경과 관측 장비가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특히 구경 10.4m의 카나리아 대형 망원경(GTC)은 2007년부터 관측을 시작했으며, 단일 구경 망원경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크다. 또한, 능동 광학을 채용한 스웨덴 태양 망원경(SST)은 태양 관측에서 최고의 분해능을 자랑한다.

주요 망원경 및 관측 장비는 다음과 같다.

망원경 이름구경비고
카나리아 대형 망원경 (GTC)10.4m2007년 운영 시작
윌리엄 허셜 망원경 (WHT)4.2m
국립 갈릴레오 망원경 (TNG)3.6m
북유럽 광학 망원경 (NOT)2.6m
아이작 뉴턴 망원경 (INT)2.5m
리버풀 망원경2m2003년 운영 시작[9]
메르카토르 망원경 (Mercator Telescope)1.2m
스웨덴 태양 망원경 (SST)1m능동 광학 채용
네덜란드 오픈 망원경 (DOT)45cm
MAGIC17m공기 샤워 관측용
자동 자오선 환 (ATC)18cm
칼스버그 메리디안 망원경 (CMT)1984–2013 운영
제1 G-APD 체렌코프 망원경 (FACT)2011년 운영 시작[7]
중력파 광학 과도 현상 관측기 (GOTO-N)[8]
HEGRA
야코부스 카프테인 망원경 (JKT)
MASCARA
SuperWASP초광시야 카메라
유럽 태양 망원경 (EST)프로젝트 진행 중


3. 3. 과거 운영되었던 망원경


  • 칼스버그 메리디안 망원경 (1984–2013)

4. 기후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는 온난-여름 지중해성 기후(쾨펜: ''Csb''; 트레와르타: ''Dobk'')를 보인다. 이는 해안 지역의 건조한 기후와는 다르다. 해발 2223m의 바람을 받는 경사면에 위치하여 강수량이 해안 지역보다 훨씬 많다. 일년 내내 비교적 따뜻하며 여름에는 극심한 더위가 없지만, 겨울에는 영하의 기온이 더 흔하고 12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서리가 자주 내린다.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의 기후 자료 (해발: 2223m, 평년값: 2019년–2024년, 극한값: 2019년–현재)[4][5][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합계
역대 최고 기온 (°C)19.220.521.421.424.525.529.329.726.223.819.419.029.7
평균 최고 기온 (°C)9.49.212.113.316.318.524.323.718.716.813.511.015.6
일평균 기온 (°C)6.26.08.39.212.114.420.319.815.113.910.38.011.9
평균 최저 기온 (°C)2.92.74.65.17.910.416.215.911.310.37.04.88.2
역대 최저 기온 (°C)-4.1-3.7-3.1-3.4-1.33.79.48.14.60.9-1.3-0.9-4.1
평균 강수량 (mm)111.078.669.439.25.943.50.04.519.019.174.174.6538.5
평균 강수일수 (≥ 0.1 mm)6.677.676.254.752.753.250.001.254.503.756.008.6055.43
평균 상대 습도 (%)54583745323321264539465240
월평균 일조율 (%)73758185868688878082766981



시잉이 양호하여 광학적외선 관측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참조

[1] 뉴스 New telescope is world's largest ... for now http://www.nbcnews.c[...] Discovery 2009-07-24
[2] 웹사이트 Fires rage across Canary island http://news.bbc.co.u[...] 2013-07-12
[3] 웹사이트 Statement Regarding Selection of Alternate Site for TMT http://www.tmt.org/n[...] Thirty Meter Telescope 2016-11-01
[4] 웹사이트 Weather station data https://opendata.aem[...] AEMET OpenData 2024-11-13
[5] 웹사이트 Acceso General https://opendata.aem[...] AEMET OpenData 2024-11-28
[6] 웹사이트 AEMET OpeenData https://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ia 2024-11-13
[7] 서적 2011 IEEE Nuclear Science Symposium Conference Record 2011-10
[8] 웹사이트 The Gravitational-wave Optical Transient Observer (GOTO) https://www.iac.es/e[...] 2024-01-31
[9] 서적 Observatories and Telescopes of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10] 간행물 "チェレンコフ・テレスコープ・アレイ(CTA)大口径望遠鏡1号基 完成記念式典を開催後、試験運転を開始」" http://www.icrr.u-to[...] 東京大学宇宙線研究所 2018-10-11
[11] 웹사이트 (2946) Muchachos = 1941 UV = 1958 DY = 1968 UJ1 = 1972 XH2 https://minorplanetc[...] MPC 2021-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