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롤프 네반린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롤프 네반린나는 핀란드의 수학자로, 1895년에 태어나 1980년에 사망했다. 그는 복소해석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메로모르픽 함수의 값 분포 이론인 네반린나 이론을 개발했다. 헬싱키 대학교 교수, 취리히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국제 수학 연맹 회장과 국제 수학자 회의 회장을 지냈다. 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전후에도 수학적 업적과 국제 교류는 지속되었다. 국제 수학 연맹은 그의 이름을 딴 롤프 네반린나 상을 제정했으나, 그의 친나치 행적 때문에 2022년 IMU 아바쿠스 메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나치 부역자 - 한스 칼름
    한스 칼름은 핀란드 내전과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에 참전한 군인이자, 이후 미국에서 의사로 활동하며 대체의학을 연구하고 포로 수용소 지휘관을 지냈으며, 핀란드로 돌아와 동종요법 의사로 활동하다 면허가 취소된 인물이다.
  • 핀란드의 나치 부역자 - 마르티 피흐칼라
    마르티 피흐칼라는 핀란드의 교육자, 우생학 지지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핀란드 내전과 라푸아 운동에 참여하고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과의 관계 유지를 주장했다.
  • 핀란드의 수학자 - 라르스 알포르스
    핀란드의 수학자 라르스 알포르스는 복소해석학에 크게 기여한 공로로 제시 더글러스와 함께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복소해석학 분야의 표준 교재인 《복소해석학》을 저술했다.
  • 핀란드의 수학자 - 카를 F. 순드만
    카를 F. 순드만은 3체 문제 연구로 퐁테쿨랑 상을 수상하고 핀란드 학술원 회원이기도 했던 핀란드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로, 달의 순드만 분화구와 소행성 순드마니아의 이름이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 요엔수 출신 - 피아 파카리넨
    피아 파카리넨은 2011년 미스 핀란드 우승 후 사임하고 피아 람베르크라는 이름으로 로스앤젤레스에서 모델 겸 배우로 활동하며 코로나, 나이키, 아디다스 모델과 SAF3를 비롯한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에 출연했다.
  • 요엔수 출신 - 헤이키 사볼라이넨
롤프 네반린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 이름로프 헤르만 네오비우스
출생일1895년 10월 22일
출생지요엔수, 핀란드 대공국, 러시아 제국
사망일1980년 5월 28일
사망지헬싱키, 핀란드
국적핀란드
분야수학
모교헬싱키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제목주어진 점에서 주어진 값을 취하는 제한된 함수에 대하여 (Über beschränkte Funktionen die in gegebenen Punkten vorgeschriebene Werte annehmen)
박사 학위 논문 년도1919년
박사 지도 교수에른스트 레오나르트 린델뢰프
주요 업적네반린나 이론
수상(정보 없음)
학문적 계보
박사 제자라르스 발레리안 아흘포르스
카리 카루넨
레오 사리오
구스타프 엘프빙
올리 레흐토
쿠르트 스트레벨
올리 로키
나짐 테르지오을루

2. 가계 및 배경

롤프 네반린나는 원래 롤프 헤르만 네오비우스(Rolf Herman Neovius)라는 이름이었으나, 1906년 아버지가 성을 네반린나로 바꾸면서 개명했다.

네오비우스-네반린나 가문은 여러 수학자를 배출한 집안이었다. 롤프의 할아버지 에드바르드 엥겔베르트 네오비우스는 육군 사관학교에서 수학과 지형학을 가르쳤다. 삼촌 에드바르드 루돌프 네오비우스는 1883년부터 1900년까지 헬싱키 대학교의 수학 교수를 지냈고, 또 다른 삼촌 라르스 테오도르 네오비우스-네반린나는 수학 교과서를 집필했다. 롤프의 아버지 오토 빌헬름 네오비우스-네반린나는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 수학자였다.

아버지 오토는 헬싱키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풀코보 천문대에서 독일 천문학자 헤르만 롬베르크 밑에서 연구했다. 1892년에는 헤르만 롬베르크의 딸인 마르가레테 헨리에테 루이즈 롬베르크와 결혼했다. 이후 오토와 마르가레테는 요엔수로 이주하여 오토는 그곳에서 물리학을 가르쳤다. 부부는 네 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프리티오프(1894년생, 수학자), 롤프(1895년생), 안나(1896년생), 에리크(1901년생)가 그들이다.[3]

3. 유년기 및 교육

롤프 네반린나는 1906년 아버지의 결정에 따라 성씨를 네오비우스(Neovius)에서 네반린나(Nevanlinna)로 바꾸었다. 그의 가문인 네오비우스-네반린나 가문은 할아버지 에드바르드 엥겔베르트 네오비우스, 삼촌 에드바르드 루돌프 네오비우스와 라르스 테오도르 네오비우스-네반린나, 아버지 오토 빌헬름 네오비우스-네반린나 등 여러 수학자를 배출한 집안이었다. 아버지 오토는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고 독일 천문학자 헤르만 롬베르크의 딸 마르가레테 헨리에테 루이즈 롬베르크와 1892년 결혼했다. 부부는 핀란드 대공국 요엔수에 정착했고, 그곳에서 프리티오프(1894년생, 수학자), 롤프(1895년생), 안나(1896년생), 에리크(1901년생) 네 자녀를 두었다.[3]

롤프는 7세에 정규 교육을 시작했으나, 이미 부모에게 읽고 쓰는 법을 배운 상태여서 바로 2학년으로 월반했다. 하지만 학교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등교를 거부하여 한동안 가정 교육을 받았다. 1903년, 아버지가 헬싱키 고등학교 교사로 부임하면서 가족은 헬싱키로 이사했고, 롤프는 문법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다. 그는 학교에서 이미 구사하던 핀란드어스웨덴어 외에 프랑스어독일어도 배웠다.

어머니 마르가레테는 훌륭한 피아니스트였고, 그녀의 격려로 롤프는 오케스트라 학교에 다니며 음악에 대한 애정을 키웠다. 형 프리티오프는 첼로를, 롤프는 바이올린을 연주하며 뛰어난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오케스트라 학교의 무료 티켓 덕분에 그들은 바흐, 베토벤, 브람스, 슈베르트, 슈만, 쇼팽, 리스트와 같은 위대한 작곡가들의 음악과 시벨리우스의 초기 교향곡들을 접하고 사랑하게 되었다. 롤프가 처음 접한 시벨리우스 음악은 1907년에 들은 교향곡 3번이었다. 그는 훗날 힐베르트, 아인슈타인, 토마스 만 같은 유명 인사들을 만났지만, 시벨리우스만큼 자신에게 강한 영향을 준 사람은 없었다고 회고했다. 형제는 어머니와 함께 트리오 연주를 즐겼으며, 특히 실내악에 대한 애정은 평생 이어졌다.[4][21]

이후 헬싱키 고등학교에 진학한 네반린나는 주로 고전수학에 관심을 보였다. 여러 교사에게 배웠지만, 특히 물리학과 수학을 가르쳐 준 아버지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1913년, 그는 우수한 성적으로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나 수석은 아니었다. 그해 여름, 학교 과정을 넘어 에른스트 레오나르트 린델뢰프가 쓴 Introduction to Higher Analysis|인트러덕션 투 하이어 어낼리시스영어을 읽고 수학적 분석에 대한 깊은 열정을 갖게 되었다. 린델뢰프는 네반린나 아버지의 사촌이기도 했다.[3][20]

1913년 헬싱키 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을 공부했고, 1917년 수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교수였던 린델뢰프는 그에게 계속해서 큰 영향을 주었다. 대학 재학 중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네반린나는 제27 예거 대대 입대를 원했으나, 부모님의 설득으로 학업을 계속했다. 그러나 이후 발발한 핀란드 내전에서는 백위대에 합류했지만, 실제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았다.[5][22]

1919년, 네반린나는 린델뢰프의 지도를 받아 Über beschränkte Funktionen die in gegebenen Punkten vorgeschriebene Werte annehmen|위버 베슈렝크테 풍크치오넨 디 인 게게베넨 풍크텐 포어게슈리베네 베르테 안네멘de("주어진 점에서 지정된 값을 갖는 유계 함수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복소해석학 논문을 제출했다. 이 논문은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아 1919년 6월 2일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네반린나와 피아노 앞에 앉은 친구 에리크 타바스체르나(1962년)

4. 학술적 경력

1919년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지만 당시 대학에는 공석이 없어 학교 교사로 일했다. 그의 형 프리치오프 네반린나 역시 1918년 박사 학위를 받았으나 대학 자리를 얻지 못하고 보험 회사에서 보험계리사로 일하고 있었다. 프리티오프는 롤프를 같은 회사에 추천했고, 네반린나는 보험 회사와 학교 교사 일을 병행했다. 1922년 헬싱키 대학교 수학 강사로 임명되면서 보험 회사를 그만두었다. 이 시기 에드문트 란다우로부터 괴팅겐 대학교 교수직 제안을 받았으나, 독일로 이주해야 한다는 조건 때문에 거절했다. 1926년 헬싱키 대학교 정교수가 되기 전까지는 학교 교사직을 유지했다.[3]

강사 시절인 1922년부터 1925년 사이, 그는 훗날 네반린나 이론으로 알려지게 될 메로모르픽 함수의 값 분포 이론을 개발했다. 이 이론은 1879년 에밀 피카르가 발표한 피카르의 정리를 확장한 것으로, 상수 함수가 아닌 정함수가 기껏해야 하나의 값을 제외하고 모든 복소수 값을 가진다는 정리를 메로모르픽 함수까지 확장한 것이다. 네반린나 이론은 두 개의 주요 정리로 구성된다. 제1주요 정리는 어떤 값이 평균보다 덜 자주 나타난다면, 함수는 그 값에 평균보다 더 자주 근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주요 정리는 함수가 평균보다 덜 자주 나타나는 값의 개수는 비교적 적다는 것을 설명한다.[3]

네반린나는 이 이론의 핵심 내용을 담은 논문 Zur Theorie der meromorphen Funktionendeu를 1925년 학술지 Acta Mathematica에 발표했다.[6] 헤르만 바일은 이 논문을 "20세기의 몇 안 되는 위대한 수학적 사건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7] 그는 이후 두 권의 책, Le théoreme de Picard – Borel et la théorie des fonctions méromorphesfra (1929)과 Eindeutige analytische Funktionendeu (1936)에서 이론을 더 자세히 설명했다.[8] 네반린나 이론은 "제한된 유형"의 함수 클래스인 네반린나 클래스에도 적용된다.

롤프 네반린나의 생가 기념 동판, Koulu­katu 25, Joensuu, 핀란드. "학자 롤프 네반린나(1895–1980)의 생가는 이곳에 위치한 집에 있었다."


1939년 겨울 전쟁이 발발하자, 네반린나는 핀란드 육군의 탄도 사무실에 초빙되어 포병 사격표 개선 작업에 참여했다. 기존 사격표는 빌호 페테르 네노넨 장군이 개발한 계산법을 기반으로 했는데, 네반린나는 이를 더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했다. 이 공로로 그는 자유 십자 훈장 2등급을 받았으며, 평생 이 훈장을 소중히 여겼다.

1947년부터는 취리히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1948년 새로 설립된 핀란드 학술원의 12명의 유급 회원 중 한 명으로 임명된 후에는 파트타임으로 근무했다.

후기에는 리만 곡면 이론과 함수 해석학에 관심을 가졌다. 리만 곡면 이론에 관한 단행본 Uniformisierungdeu (1953)과 형 프리티오프와 공저한 함수 해석학 저서 Absolute analysiseng (1959)를 출판했다. 또한 핀란드어로 기하학 기초와 상대성 이론에 대한 대중 해설서를 집필했으며, 베이코 파테로와 함께 쓴 핀란드어 복소 해석 교과서 Funktioteoriafin (1963)는 독일어, 영어, 러시아어로 번역되었다.

롤프 네반린나는 최소 28명의 박사 과정 학생을 지도했다. 그의 첫 번째이자 가장 유명한 제자는 라르스 알포르스로, 제1회 필즈상 수상자 중 한 명이다. 알포르스가 필즈상을 받은 연구(현재 Denjoy–Carleman–Ahlfors 정리로 알려진 Denjoy 추측 증명)는 네반린나의 연구에 크게 기반했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여러 대학에서 명예 학위를 수여받는 것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런던 수학회와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 등 여러 학술 단체의 명예 회원이었다. 소행성 1679 네반린나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5. 행정 활동

네반린나와 그의 초상화.


1954년부터 핀란드 최초의 컴퓨터 프로젝트를 시작한 위원회의 의장을 맡았다.

1959년부터 1963년까지 국제 수학 연맹(IMU)의 회장을 지냈고, 1962년에는 국제 수학자 회의(ICM)의 회장을 역임했다.[9]

1964년에는 당시 핀란드 대통령이었던 우르호 케코넨과의 관계를 통해 핀란드 학술원의 전면적인 개편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0]

1965년부터 1970년까지 투르쿠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11]

6. 정치 활동 및 논란

롤프 네반린나는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우익 애국 인민 운동에 동조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부분적으로는 독일계 혈통의 영향으로 나치 독일에도 우호적인 입장을 보였다. 1930년대 나치 독일뉘른베르크법 시행으로 많은 유대인 수학 교수들이 해고되자, 나치 정책에 동조하는 학자들이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네반린나는 1936년 괴팅겐 대학교 교수직 제안을 수락했다.[12] 하지만 나치에 대한 동정심 때문에 핀란드가 1944년 소비에트 연방과 평화 조약을 맺은 후 헬싱키 대학교 총장직에서 해임되기도 했다.[13]

1941년 봄, 핀란드는 소비에트 연방과의 전쟁에서 나치 독일과 협력하며 무장친위대에 핀란드 의용 대대를 파견했다. 1942년, 독일 지휘관과 의용 대대 간의 관계가 긴장되자 이를 관리하기 위한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독일에서 존경받으면서도 핀란드에 충성하는 인물로 여겨졌던 네반린나가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10][14] 그는 훗날 자서전에서 "의무감" 때문에 이 역할을 수락했다고 밝혔다.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과의 관계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치적 활동이 전후 국제 수학계와의 교류에 큰 장애가 되지는 않았다. 전쟁 후 소비에트 연방 수학계는 서방 세계와 단절되었는데, 네반린나가 주도하여 1957년 헬싱키에서 열린 함수론 국제 콜로키움은 소련 수학자들이 서방 학자들과 직접 만날 수 있었던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15] 1965년에는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열린 함수론 학술회의에 명예 손님으로 초청받기도 했다.[10]

7. 롤프 네반린나 상 (IMU 아바쿠스 메달)

1981년 국제수학연맹(IMU)은 이론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필즈상과 유사한 위상을 갖는 상을 제정하기로 결정했다. 핀란드로부터 상금 기금을 지원받아, IMU는 롤프 네반린나의 이름을 따 롤프 네반린나 상으로 명명했다.[9][26] 이 상은 매 4년마다 국제수학자대회(ICM)에서 수여되었다.[9]

그러나 네반린나가 과거 친나치 성향을 보였다는 점[31]이 문제시되면서, 2018년 IMU 총회에서는 상의 명칭에서 그의 이름을 삭제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16][31] 이에 따라 2022년부터 이 상은 IMU 아바쿠스 메달(Abacus Medal|아바쿠스 메달eng)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7][32]

참조

[1] 웹사이트 The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 Rolf Nevanlinna http://genealogy.mat[...]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Mathematics 2017-08-27
[2] 웹사이트 The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 Nazım Terzioğlu http://genealogy.mat[...]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Mathematics 2017-08-27
[3] 웹사이트 Nevanlinna Biography http://www-history.m[...]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2012-01
[4] 서적 Rolf Nevanlinna 1982
[5] 웹사이트 Rolf Nevanlinna: Brief scientific biography http://www.icmihisto[...] International Commission on Mathematical Instruction 2013
[6] 간행물 Zur Theorie der Meromorphen Funktionen 1925
[7] 서적 Meromorphic functions and analytic curv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Review: ''Eindeutige analytische Funktionen'', by R. Nevanlinna http://www.ams.org/j[...]
[9] 문서 Mathematics Without Borders: A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Springer 1998
[10] 서적 Korkeat maailmat: Rolf Nevanlinnan elämä Otava
[11] 웹사이트 Chancellors of the University of Turku https://www.utu.fi/e[...] 2019-10-22
[12] 문서 IFIP WG9.7 First Working Conference on the History of Nordic Computing (HiNC1), June 16–18, 2003, Trondheim, Norway Springer
[13] 간행물 Nevanlinna, Rolf http://urn.fi/urn:nb[...]
[14] 문서 British documents on foreign affairs: Reports and papers from the Foreign Office confidential print: Kenneth. Bourne. From 1940 through 1945. Series A: The Soviet Union and Finland, Part 3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15] 문서
[16] 문서 Resolutions of the IMU General Assembly 2018: Resolution 7 https://www.mathunio[...] 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17] 웹사이트 IMU Abacus Medal https://www.mathunio[...] 2022-07-05
[18] 웹사이트 The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 Rolf Nevanlinna http://genealogy.mat[...]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Mathematics 2017-08-27
[19] 웹사이트 The Mathematics Genealogy Project – Nazım Terzioğlu http://genealogy.mat[...]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Mathematics 2017-08-27
[20] 웹사이트 Nevanlinna Biography http://mathshistory.[...]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2020-04-29
[21] 서적 Rolf Nevanlinna 1982
[22] 웹사이트 Rolf Nevanlinna: Brief scientific biography https://www.icmihis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Mathematical Instruction 2020-04-29
[23] 서적 Meromorphic functions and analytic curv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간행물 Review: ''Eindeutige analytische Funktionen'', by R. Nevanlinna http://www.ams.org/j[...]
[25] 웹사이트 "(1679) Nevanlinna = 1930 FH = 1941 FR = 1952 DB3 = 1953 ND = 1953 OK = 1959 RT = 1963 FH = 1965 UB2 = 1974 DD2" https://minorplanetc[...] MPC 2021-09-08
[26] 문서 Mathematics Without Borders: A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Springer 1998
[27] 서적 Korkeat maailmat: Rolf Nevanlinnan elämä Otava
[28] 웹사이트 Chancellors of the University of Turku https://www.utu.fi/e[...] null 2019-10-22
[29] 문서 IFIP WG9.7 First Working Conference on the History of Nordic Computing (HiNC1), June 16–18, 2003, Trondheim, Norway Springer
[30] 문서 British documents on foreign affairs: Reports and papers from the Foreign Office confidential print: Kenneth. Bourne. From 1940 through 1945. Series A: The Soviet Union and Finland, Part 3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31] 문서 Resolutions of the IMU General Assembly 2018: Resolution 7 https://www.mathunio[...] 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32] 웹사이트 IMU Abacus Medal https://scilogs.spek[...] Heidelberg Laureate Forum 2020-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