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도비쿠스 3세 카에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도비쿠스 3세 카에쿠스는 프로방스 왕이자 이탈리아의 왕,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다. 880년경 보소와 이르밍가르트의 아들로 태어나, 887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프로방스 왕위를 계승했다. 900년 이탈리아의 왕으로 선출되어 이듬해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했으나, 902년과 905년 이탈리아 원정 실패로 실명당하고 프로방스로 돌아갔다. 928년 아를에서 사망했다. 그는 동로마 제국 황제의 딸 안나와 부르고뉴의 아델라이드를 아내로 두었으며, 샤를 콘스탄틴을 아들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소 왕조 - 로타리오 2세
로타리오 2세는 프로방스의 위그와 프랑코니아 출신 알다의 아들로 947년부터 950년까지 이탈리아 왕국의 왕이었으나, 실권은 이브레아의 베렌가리오에게 있었고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베렌가리오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 보소 왕조 - 라둘푸스 1세
라둘푸스 1세는 923년부터 936년까지 서프랑크 왕국을 통치한 국왕으로, 위그 르 그랑의 지지를 받아 왕위에 올랐으며, 재위 기간 동안 바이킹, 마자르족의 침략, 독일 왕 오토 1세와의 영토 분쟁, 베르망두아 백작 헤르베르트 2세와의 권력 다툼 등 여러 도전에 직면했다. - 928년 사망 - 교황 요한 10세
교황 요한 10세는 914년부터 928년까지 재임하며 테오도라와 마로치아와의 권력 투쟁, 이탈리아 방어, 베렌가리오 1세 황제 즉위, 동서유럽 교회 문제 관여 등 정치적 활동을 펼쳤으나 폐위 후 옥사했다. - 928년 사망 - 고계흥
고계흥은 오대 십국 시대에 형남 절도사로 활동하며 후량, 후당, 오나라에 복종하며 세력을 유지했고, 형남의 발전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후당과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928년에 사망했다. - 10세기 신성 로마 황제 - 오토 3세
오토 3세는 980년 출생하여 1002년 사망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어린 나이에 독일 왕으로 즉위하여 섭정을 받으며 성장, 친정 후에는 로마 제국 부흥을 꿈꿨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10세기 신성 로마 황제 - 오토 1세
오토 1세는 작센 왕조 출신으로 동프랑크 왕국의 왕이었으며, 강력한 왕권 구축, 마자르족 격퇴, 제국 교회 체제 확립 등의 업적을 통해 신성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어 중세 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루도비쿠스 3세 카에쿠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루이 3세 |
다른 이름 | 루트비히 3세 |
로마자 표기 | Ludwig III |
별칭 | 장님왕 루이 |
출생지 | 프로방스 |
사망 | 928년 6월 5일 |
사망지 | 비엔, 프로방스 |
구글 지도 검색어 | 비엔 프랑스 |
지위 | |
작위 | 프로방스 왕 이탈리아 왕 로마 황제 |
왕조 | 비비니드 가문 |
통치 | |
프로방스 왕 재위 기간 | 887년–928년 |
이전 통치자 | 보소 |
다음 통치자 | 위그 |
이탈리아 왕 재위 기간 | 900년–905년 |
이전 통치자 | 아르눌프 |
다음 통치자 | 베렌가리오 1세 |
로마 황제 재위 기간 | 901년–905년 |
대관식 | 901년 2월, 로마 |
이전 통치자 | 아르눌프 |
다음 통치자 | 베렌가리오 1세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보소 |
어머니 | 에르멘가르드 |
배우자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안나 아델라이데 폰 부르군트 |
자녀 (안나) | 샤를 콘스탄틴 안나 도 프로방스 |
자녀 (아델라이데) | 루돌프 |
2. 생애
880년경 프로방스의 왕 보소와 에르멩가르드(황제 루이 2세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887년 1월 11일 아버지 보소가 사망하자, 7세의 어린 나이로 프로방스 왕위를 계승했다.[1] 프로방스 왕국은 비엔 주변으로 제한되었으며, 프로방스 귀족들은 루이의 삼촌 의로운 리샤르의 지원을 받아 에르멩가르드를 섭정으로 선출했다.
887년 5월, 에르멩가르드는 루이와 함께 친척인 뚱보 카를 황제의 궁정으로 가서 왕으로 인정받았다.[2] 카를은 루이를 양자로 삼고 모자를 보호했다. 889년 5월, 카를의 후계자인 아르눌프에게 복종을 맹세하고 교황 스테파노 5세의 축복을 받았다.
890년 8월, 발랑스 제후 회의에서 루이는 아를, 프로방스, 시스쥐라네 부르고뉴의 왕으로 선포되었다. 894년, 아르눌프에게 직접 경의를 표했다.
896년, 사라센과 전쟁을 벌였다.[1] 889년 프락시네트에 기지를 건설하고 프로방스 해안을 약탈한 사라센 해적들과 계속 싸웠다.[1]
900년, 토스카나 변경백 아달베르토 2세 등 여러 영주들의 초청으로 이탈리아로 갔다. 이들은 마자르족 약탈과 베렌가리오 1세의 무능한 통치로 고통받았다. 루이는 군대를 이끌고 알프스 산맥을 넘어 베렌가리오를 격파, 파비아에서 쫓아냈다. 900년 10월 12일, 산 미켈레 마조레 교회에서 롬바르디아의 철관을 쓰고 왕위에 올랐다.[4] 901년, 교황 베네딕토 4세에 의해 황제로 즉위했다. 그러나 마자르족 침입을 막지 못하고 북부 이탈리아 통제에 실패, 이탈리아 귀족들은 지지를 철회하고 베렌가리오와 연합했다.[4] 902년, 베렌가리오는 루이를 격파하고 프로방스로 쫓아내며 재침략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905년, 베렌가리오 통치에 불만을 품은 이탈리아 귀족들(이브레아의 아달베르토 1세 등)의 요청으로 다시 이탈리아를 침공했다.[5] 파비아에서 베렌가리오를 몰아내고 베로나를 점령, 주교 아달라르드의 지원을 약속받았다. 그러나 베로나의 베렌가리오 지지자들이 이 소식을 전했고, 바이에른 군대를 이끌고 온 베렌가리오에게 기습당했다. 루이는 성 베드로 교회로 피신했으나 체포, 905년 7월 21일 눈이 뽑히는 형벌을 받고 이탈리아 왕관과 황제 관을 포기해야 했다.
이후 20년 넘게 프로방스를 통치했으나, 사촌 아를의 위그가 실권을 장악했다.[8] 911년까지 대부분 왕권을 위그에게 넘겼다. 위그는 프로방스 변경백, 비엔 후작이 되었고 수도를 아를로 옮겼다. 위그는 루이의 여동생 빌라와 결혼했다. 루이는 잊혀진 채 살았고, 평생 로마 황제라 칭했다.[1] 928년 매형 위그가 뒤를 이었다.[5]
899년, 비잔틴 제국 레오 6세와 조에 자우치나의 딸 콘스탄티노폴의 안나와 약혼했다.[9] 이 약혼은 타오르미나 함락 직전, 이탈리아 남부 비잔틴 영토 보존을 위한 서방과의 동맹 강화 목적이었다.[11][1]
약혼의 실제 결혼 여부는 논쟁거리다.[9] 루이는 비엔 백작 샤를-콩스탕을 낳았다.[6] 샤를의 어머니는 불분명하나, 크리스티앙 세티파니는 레오 6세와 조에 자우치나의 딸 안나로 추정, 샤를-콩스탕의 이름이 비잔틴 어머니를 가리킨다고 주장한다.[1][12]
914년, 상부 부르군디의 루돌프 1세의 딸 아델라이드와 결혼, 아들 루돌프의 어머니로 추정된다.[12]
915년 12월, 딸 프로방스의 안나는 베렌가르와 결혼했다. 안나는 루이 3세와 안나의 딸로 추정된다.
2. 1. 초기 활동
878년 혹은 880년경, 882년경 루도비쿠스 2세의 딸 이르밍가르트와 프로방스와 부르군트의 제후로 서프랑크 왕국의 혼란기에 자립했던 보소의 아들로 태어났다. 881년생 설, 878년생 설도 있다. 외할아버지 루도비쿠스 2세는 아들이 없이 사망했고, 외할아버지의 동생인 로타르 2세의 서자 위그 역시 아들이 없이 사망했으므로, 맹인왕 루트비히는 어머니 이르밍가르트를 통해 카롤링거 왕조의 계승권을 주장할 수 있었다.그의 고모 리첼다는 서프랑크의 대머리왕 카롤루스 2세 칼부스의 후처였고, 삼촌 정의공 리샤르 오툉은 후일 서프랑크의 왕이 되는 라울의 아버지가 된다. 삼촌인 리샤르는 그가 고아가 되자, 그를 보호하기를 주저하였다. 그밖에 루도비쿠스의 할머니 리첼다는 장로 보소의 딸로, 로타링기아의 왕 로타르 2세의 처 토이트베르가의 자매이자, 성 마우리스-인-발레 대 수도원장 훅베르트와 남매간이었다.
887년 1월 11일 아버지 보소 5세가 죽자 그는 프로방스의 왕이 되었는데 나이가 어려 권력이 불안하였다. 혼란을 틈타 하부 부르고뉴(아를 지방)은 그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귀족들이 독자적으로 치안권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섭정으로는 어머니 이르밍가르트와 친 삼촌 정의공 리샤르 오툉이 그를 대신하여 왕국을 다스렸다. 어머니 이르밍가르트는 프로방스의 귀족들의 지지를 얻어냈다. 그러나 삼촌 리샤르 오툉은 그를 보호하는 것을 주저하였다. 프로방스의 군주로서 그는 외할아버지 루트비히 2세, 서프랑크의 말더듬이 루트비히에 이어 루이 4세에 해당되지만, 이탈리아의 왕이자 황제로는 루트비히 3세가 되어 루트비히 3세로 통칭된다.
887년 5월 그의 어머니 이르밍가르트는 아들과 함께 친척인 동프랑크의 황제 뚱보왕 카를 3세에게 의탁하여 도움을 요청하였고, 어머니 이르밍가르트의 사촌이었던 카를 3세는 그를 양자로 삼고 상속권과 왕의 지위를 인정, 보호해 주었다. 또한 그에게 비엔나 백작의 작위도 내려주었다. 그러나 887년 11월 카를이 조카 아르눌프의 쿠데타로 실각하고, 888년 1월 카를이 죽자, 다시 카를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된 케른텐의 아르눌프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아르눌프는 그가 아르눌프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봉신이 될 것을 인정하자, 아르눌프는 890년 루도비쿠스를 아를, 프로방스 그리고 부르고뉴의 왕으로 인정해고 보호해 주었고, Visio Karoli Grossi를 작성하여 그를 카롤링거 왕가의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 인정해주었다. 그러나 랭스의 대주교 풀크에 의하면 901년 그가 황제로 즉위한 뒤에, 자신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작성했다고도 한다.
882년 하순 서프랑크 왕국의 샤를로망 3세가 군사를 이끌고 프로방스와 부르군트를 침공, 한 달 정도 포위했다. 삼촌 리샤르 오툉은 이르멘가르트와 어린 루도비쿠스는 누이 엔젤베르가를 오툉으로 피신시켰다. 서프랑크의 샤를로망 3세가 퇴각한 뒤 다시 프로방스로 돌아왔다.
889년 사라센인이 프로방스의 프락시네툼(Fraxinetum, 현 프락시네(Fraxinetum))에 요새를 건설하고, 프로방스의 해안가를 약탈하는 사라센인 해적들과 교전하였다. 889년 5월 루도비쿠스는 어머니 이르밍가르트와 동프랑크의 아헨으로 가 아르눌프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돌아왔다. 다시 894년 루도비쿠스는 동프랑크로 가 아르눌프에게 충성을 약속하고 봉신이 되었다. 890년 발랑스(Valence)의 프로방스의 가톨릭 성직자 회의에서 그를 프로방스와 부르고뉴의 국왕으로 선출, 정식으로 승인되었다.
896년 프로방스의 남부 해안가로 쳐들어온 사라센인 해적과 교전하였다. 898년에는 프락시네트 해변가로 올라오는 사라센 군사를 맞아 교전하였다.
2. 2. 이탈리아 원정과 황제 즉위
900년 롬바르디아 왕 베렌가리오 1세가 이탈리아로 쳐들어 온 마자르 족의 침입을 막아내지 못하자, 루도비쿠스는 베렌가리오 1세의 반대파 이탈리아 제후들의 요청으로 이탈리아로 가게 되었다. 토스카나 후작 아달베르토 2세는 그를 초청하여 이탈리아로 불러들였다.[17][18] 그밖에 북부 이탈리아의 일부 귀족이 루도비쿠스의 편을 들어주었다. 당시 이탈리아는 마자르족의 침입으로 무능한 베렝가리오 1세의 통치 아래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이탈리아의 북부 지역은 황폐화되었다.900년 루도비쿠스는 파비아에서 열린 이탈리아 귀족회의에서 귀족들에 의해 롬바르디아의 왕으로 선출되었다. 바로 군대를 이끌고 알프스를 넘어 이탈리아로 진격하여 베렝가리오의 군대를 무찌르고, 900년 9월 민치오에서 베렝가리오의 군대를 패주시켰다. 롬바르드족의 옛 수도인 파비아의 산 미켈레 마조레에서 10월 12일 롬바르디아의 철관을 수여받고 이탈리아 왕에 올랐다. 그는 계속하여 로마로 진군하여 교황 베네딕토 4세를 알현, 교황 베네딕토 4세에 의해 이듬해 2월 15일 또는 2월 22일에 축성받고 신성로마제국황제의 대관식도 치렀다.
그러나 902년까지 그는 마자르 족의 이탈리아 약탈을 물리치지 못했고, 루도비쿠스를 지지하던 일부 이탈리아의 귀족들은 다시 베렝가리오의 편으로 돌아섰다. 902년 베렝가리오 1세는 그에게 프로방스로 돌아가라고 강요했고, 루도비쿠스는 거절했다. 902년 그는 베렝가리오에게 패하여 영원히 이탈리아를 떠나는 서약을 하고 프로방스로 물러났다.[19]
904년 이탈리아를 재공략하여 롬바르디아의 북서부를 획득하였다. 905년 루도비쿠스는 다시 이탈리아로 와 달라는 이탈리아인 귀족들의 제의를 받았다. 그에게 이탈리아 방문을 제의한 귀족들 중에는 이브레아 후작 이브레아의 아달베르토 1세도 있었다. 루도비쿠스는 이탈리아의 공략을 준비한다. 다시 한번 그는 파비아에서 베렌가리오 1세 군사를 물리치고 입성하였으며, 베로나 시와 주교 아달하르트(Adalard) 등의 지원을 약속받았다.
2. 3. 패배와 최후
905년 이브레아의 후작 아달베르토 1세의 초청으로[5] 루도비쿠스는 알프스산맥을 넘어 이탈리아를 재침공했다. 파비아에서 베렝가리오의 군대를 물리치고 베로나까지 진격했으나, 바이에른 군대의 지원을 받은 베렝가리오에게 패했다. 베렝가리오 군에게 위치가 노출된 루도비쿠스는 성 페트로의 교회 성소에 숨었지만[4] 체포되어 베로나 감옥에 갇혔다. 905년 7월 21일 서약을 어긴 죄로 눈이 뽑히는 형벌을 받고[6] (이로 인해 '''맹인왕'''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탈리아와 황제 지위를 포기해야 했다. 이는 카롤링거 왕조가 이탈리아 지배를 시도한 마지막 사례였으며 실패로 끝났다. 베렝가리오는 루도비쿠스가 다시는 이탈리아에 오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고 풀어주었다.[20]프로방스의 수도 빈으로 돌아온 루도비쿠스는 이후 몇 년간 프로방스를 통치했지만, 911년부터 실권은 루도비쿠스의 매제이자 먼 친척(할머니 리첼디스의 조카손자)인 아를 백작 겸 비엔나 백작 위그에게 넘어갔다.[1] 위그는 리첼디스의 친정 오라비 훅베르트의 손자이자, 루도비쿠스의 여동생이자 상부르고뉴 왕 루돌프 1세의 미망인 윌라와 결혼했다. 루도비쿠스는 무력해져 프로방스 영주와 귀족들의 요구에 저항하지 못했다.
911년 루도비쿠스는 위그를 프로방스 후작에 임명했다. 924년 윌라가 죽은 뒤에도 위그는 재혼하지 않고 프로방스에서 실권을 행사했다. 크리스찬 스테파니에 따르면, 귀족들의 요구에 저항할 수 없었던 루도비쿠스가 위그를 섭정으로 임명했다고 한다. 루도비쿠스는 죽을 때까지 장님으로 살았지만, 자신을 로마 황제라 칭하며 로마 황제로서의 스타일을 유지했다.[1]
924년 이탈리아 북부 귀족들의 초빙을 받은 루돌프 2세가 이탈리아 왕위를 차지했으나, 928년 위그에게 양도했다. 프로방스 섭정이자 후작인 위그는 루도비쿠스가 살아있던 926년 7월 9일 이탈리아 왕으로 추대되었다. 루도비쿠스는 928년 7월 5일 프로방스 아를에서 사망했다. 정확한 사망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3. 결혼과 자녀
899년, 루이 3세는 비잔틴 제국 레오 6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 조에 자우치나의 딸인 콘스탄티노폴의 안나와 약혼했다.[9] 이 사실은 총대주교 니콜라스 미스티코스의 편지를 통해 확인되는데, 그는 레오 6세가 그의 딸을 프랑크의 왕자, 즉 베르타의 사촌과 결혼시켰으며, 이후 그에게 큰 불행이 닥쳤다고 증언한다. 그 불행한 왕자는 905년 7월 21일에 실명된 루이 3세일 수밖에 없는데, 그의 어머니 이르밍가르디스는 베르타의 사촌이었기 때문이다.[10] 이 약혼은 타오르미나가 아랍인에게 함락되기 직전에 이루어졌으며, 이탈리아 남부의 비잔틴 영토를 보존하기 위해 서방 세력과의 비잔틴 동맹을 강화하기 위한 외교 활동의 일환이었다.[11][1]
이 약혼이 실제 결혼으로 이어졌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9] 루이는 비엔 백작이 될 샤를-콩스탕을 낳았는데,[6] 샤를의 어머니는 어떤 자료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일각에서는 샤를의 어머니가 레오 6세와 조에 자우치나의 딸인 안나였다고 추측한다.[1][12] 이는 문서화된 약혼과 이름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샤를-콩스탕의 이름이 비잔틴 어머니를 가리킨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이론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안나가 태어났을 때 그녀가 나중에 황후가 된 첩의 딸이었다는 점과 샤를이 태어날 당시 그녀의 아버지는 재위 중인 황제였으므로, 주요 자료의 침묵은 이 이론에 불리하게 작용한다고 지적한다. 또한,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는 콘스탄티노폴에 대사였음에도 불구하고 이 비잔틴 연결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이 이론에 의문을 제기한다.
914년, 루이는 상부 부르군디의 루돌프 1세의 딸인 아델라이드와 결혼했다.[12] 이는 그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결혼이었을 것이며, 루이 맹인의 또 다른 기록된 아들인 루돌프의 어머니일 가능성이 높다.
915년 12월, 그의 딸 프로방스의 안나는 베렌가리오 1세와 결혼했다. 주로 이름학적인 이유로, 안나는 루이 3세와 그의 아내 레오 6세의 딸인 안나의 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경우, 그녀는 어렸을 때 베렌가르와 약혼했을 것이고, 923년에야 그의 ''콘소르''이자 ''황후''가 되었을 것이다.
그의 아들 비엔나 백작 샤를 콘스탄틴의 어머니가 정확하게 누구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른 아들 루돌프는 클루니 수도원의 문헌에만 황제 루트비히의 아들이라는 것만 언급되었을 뿐, 생애와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져있지 않다.
배우자 | 자녀 |
---|---|
콘스탄티노폴의 안나 (추정, 886년경 - 914년) | 샤를 콘스탄틴 (? - 962년) - 비엔 백작 (어머니가 안나인지 불확실) |
아델하이트 (929년 5월 19일 사망) | 루돌프 (? - 929년 3월 19일 이후) |
4.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보소 5세 | |
어머니 | 이르멘가르트 2세 | |
고모 | 리첼다 | 서프랑크의 카를 2세의 후처 |
외조부 | 루도비쿠스 2세 이우니오르 | |
외조모 | 이르멘가르트 | 루도비쿠스 2세 게르마니쿠스의 딸 |
첫 번째 부인 | 동로마의 안나 |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오 6세의 딸, 899년 약혼, 914년 사망 |
두 번째 부인 | 아델하이트 | 콘라트 1세의 딸, 914년 결혼, 929년 5월 19일 사망 |
아들 | 샤를 콘스탄틴 | 비엔나 백작. 어머니가 안나인지 아델하이트인지는 불분명 |
며느리 | 트루아의 테오데베르가 | |
아들 | 루돌프 | 929년 5월 12일 사망, 어머니는 아델하이트로 추정 |
누이 | 프로방스의 윌라 | |
매부 | 루돌프 1세 | |
외조카 | 루돌프 2세 | |
사촌이자 매부 | 위그 |
참조
[1]
서적
Bouchard
[2]
서적
Duckett
[3]
논문
Charles the Fat's Constitutional Dream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4]
서적
Duckett
[5]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Volume 2
[6]
서적
Comyn
[7]
서적
The Capetians: kings of France, 987–132
[8]
서적
Duckett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Nos Ancêtres de l' Antiquité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yzantine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논문
Charles Constantine of Vienne
[13]
서적
The Reign of Leo VI (886–912): Politics and People
Brill
[14]
문서
루도비쿠스 1세 경건왕과 그의 외할아버지 루도비쿠스 2세 이탈리아왕, 그리고 루도비쿠스 2세 이탈리아왕 사후 프로방스와 부르군트를 차지한 카롤루스 2세 대머리왕의 아들 루도비쿠스 2세 말더듬이왕에 이어 프로방스와 부르군트의 군주로는 네번째 루도비쿠스가 된다.
[15]
문서
장로 보소의 딸 리첼디스(Richildis)는 고르즈의 비빈과 결혼했고, 이들은 루도비코의 아버지 보소 5세의 부모가 된다. 장로 보소의 아들 훅베르트의 아들이 아를의 테오발트이고, 테오발트의 아들이 토스카나의 보소와, 그의 매제이자 여동생의 2번째 남편 위그 형제이다.
[16]
문서
이는 910년 9월 11일에 작성된 클루니 수도원의 112번 문서에 나타난다.
[17]
서적
The Lives of the Popes in the Early Middle Ages, Vol IV: The Popes in the Days of Feudal Anarchy, 891–999
[18]
서적
History of the Western Empire, from its Restoration by Charlemagne to the Accession of Charles V, Vol. I
[19]
서적
The Lives of the Popes in the Early Middle Ages, Vol IV: The Popes in the Days of Feudal Anarchy, 891–999
[20]
서적
History of the Western Empire, from its Restoration by Charlemagne to the Accession of Charles V, Vol. 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