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돌프 아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돌프 아벨은 영국에서 태어난 소련의 첩보원이다. 코민테른에서 통역으로 일하다가 1948년 미국에 파견되어 원자력 시설 관련 정보를 수집했다. 1957년 FBI에 체포되어 30년형을 선고받았으나, 1962년 U-2기 사건으로 체포된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와의 맞교환을 통해 석방되었다. 석방 후 KGB에서 활동하며 1971년 사망했다. 그의 첩보 활동은 냉전 시대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으며, 영화 '간첩교'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GB 요원 - 가이 버지스
가이 버지스는 1911년 영국에서 태어나 케임브리지 5인조 스파이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영국과 미국의 기밀 정보를 소련에 제공하다가 1951년 소련으로 망명하여 1963년 사망했다. - KGB 요원 - 헤이다르 알리예프
헤이다르 알리예프는 아제르바이잔의 정치인으로, 소련 시대에는 KGB 의장과 공산당 제1서기를 역임했으며, 소련 붕괴 후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과 석유 개발을 겪으며 아제르바이잔 경제 발전에 기여하다 2003년 사망했다. - 냉전기의 간첩 - 마르쿠스 볼프
동독 해외정보국 국장 마르쿠스 볼프는 냉전 시대 서독 스파이 활동과 빌헬름 사건 주도, 테러 지원 혐의 등으로 유명하며, 통일 후 기소되었으나 은퇴 후 저술 활동을 했다. - 냉전기의 간첩 - 로버트 베어
로버트 베어는 미국의 작가이자 전직 CIA 요원으로, 1976년부터 1997년까지 주로 중동 지역에서 비밀 공작 업무를 수행했으며 CIA 퇴직 후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CIA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저술 활동을 펼쳤으나, 그의 주장이 때때로 음모론적인 시각을 드러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루돌프 아벨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루돌프 아벨 |
본명 | 윌리엄 어거스트 피셔 |
러시아어 이름 | 루돌프 이바노비치 아벨 |
러시아어 본명 | 빌리암 겐리호비치 피셔 |
별칭 | 앤드루 유르게소비치 카요티스 에밀 로버트 골드푸스 마크 콜린스 마크 알렉 |
국적 | 영국, 소련 |
출생일 | 1903년 7월 11일 |
출생지 | 뉴캐슬어폰타인, 벤웰, 영국 |
사망일 | 1971년 11월 15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 |
매장지 | 돈스코예 묘지 |
배우자 | 엘레나 스테파노브나 레베데바 (1927년 결혼) |
자녀 | 1명 |
군사 정보 | |
소속 | 소련 |
계급 | 대령 |
복무 기간 | 제2차 세계 대전 (1944년–1945년) 소련 냉전 스파이 (1948년–1957년) |
작전 |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
훈장 | 붉은 깃발 훈장 |
기타 정보 | |
직업 | 소련 정보 장교 |
2. 내력
영국 뉴캐슬의 러시아 정치 난민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러시아 제국 야로슬라블 현 출신의 독일계였고, 어머니는 사라토프 출신으로 두 사람 모두 혁명 운동에 참가했다. 1901년 피셔 부부는 영국으로 이주했다.
1920년 피셔 가족은 모스크바로 돌아갔고, 피셔는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국제 연락과 (OMS)에서 통역으로 일했다. 1924년 모스크바 동양학 대학 인도 분교에 입학했지만, 모스크바 군관구 제1통신 연대에 배속되었다. 제대 후에는 홍군 공군 과학 연구소에 들어갔다.
1927년 피셔는 통합 국가 정치국 (OGPU) 전략계보로 채택되어 유럽 국가에서 불법 활동을 실시했다. 모스크바 귀환 후 국가 보안 중위로 승진했지만, 1938년 말 아무 이유없이 해고되었다. 해고 후에는 전연방 상공 회의소, 후 항공 산업 공장에서 일했다. 첩보부로 복귀를 요청했지만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동부 전선 발발 후 1941년 9월, 파괴 공작과 빨치산 활동에 종사하는 부대에 지원하였다. 이 기간 이후 피셔는 가명인 루돌프 아벨을 사용하게 되었다. 피셔는 독일군 점령지에 파견되어 빨치산과 첩보원을 위한 무선수를 양성하였다.
종전 후 불법 첩보에 복귀했다. 1948년 11월 원자력 시설에서 일하는 정보원으로부터 정보 입수를 위해 미국에 파견되었다. 피셔에게는 코드네임 마크(Марк)가 주어져 화가를 가장하여 코언 부부와 접촉하였다.
1949년 5월말까지 피셔는 업무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같은 해 8월에는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고, 적기 훈장을 수여했다. 피셔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1952년 무선수 헤이하넨이 그에게 파견되었으나, 헤이하넨은 모스크바에 소환하기로 결정되었지만 미국에 자수하고 자국의 존재를 당국에 통보했다.
브루클린의 신문 배달 소년이 우연히 떨어뜨린 신문 대금 5센트가 깨져서 그 안에 있던 마이크로필름이 발견되어, FBI는 뉴욕에 미국의 핵 정보를 탐색하는 간첩이 있다고 의심하였고, 1957년 자칭 화가였던 피셔는 FBI에 의해 체포되었다.
당시 소련 당국은 간첩 행위에 관여를 부인했다. 피셔는 자신이 체포된 것과 자신이 배신자가 아님을 모스크바에 알리기 위해 죽은 친구의 이름 "루돌프 아벨"로 밀어 붙였다. 취조 중 간첩 행위에 관여를 부정하고 재판에서 증언을 거부하고 미국 당국으로부터 회유 제안도 거절하였다. 재판에서는 OSS 고문 변호사 제임스 B. 도너번의 변호로 징역 30년으로 감형되었으며, 뉴욕의 감옥에 수감되었으며 후에 애틀랜타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도너번은 1960년 5월 1일에 일어난 U-2기 사건으로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의 석방과 학생 간첩 혐의로 구금되어 있던 프레더릭 프라이어와 피셔의 맞교환을 협상하였다.
1962년 2월 10일 동서 베를린의 경계인 글리니케 다리에서 1960년 5월 1일에 격추된 미국의 U-2 정찰기의 파일럿 프랜시스 개리 파워스와 간첩 혐의로 구속된 유학생 프레더릭 프라이어와 교환되는 형태로 소련으로 보내졌다.
1971년 11월 15일 사망하였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1903년 7월 11일, 영국 뉴캐슬어폰타인 벤웰에서 윌리엄 어거스트 피셔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6][7] 아버지 하인리히 피셔는 러시아 제국 야로슬라블 현 출신의 독일계[9]였고, 어머니 류보프 피셔는 사라토프 출신의 러시아계[9]로, 두 분 모두 차르 시대[9][7]의 혁명 운동가였다.[7] 피셔의 아버지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공과대학교에서 블라디미르 레닌과 함께 가르치고 활동했다.[7]1896년, 하인리히 피셔는 폭동죄로 체포되어 3년간의 내부 유형을 선고받았다.[10] 러시아 제국에 대한 범죄로 형을 복역했기 때문에 1901년 영국으로 도피해야 했다.[11] 그렇지 않으면 독일로 추방되거나 병역 기피로 러시아에서 투옥될 위기에 처해 있었다.[8] 영국에 거주하는 동안 열렬한 볼셰비키였던 피셔의 아버지는 영국 북동부에서 러시아 발트 해 연안[7]으로 무기를 운반하는 무기 밀수에 참여했다.[7]
피셔와 그의 형 헨리는 휘틀리 베이 고등학교와 몽키시턴 고등학교에서 장학금을 받았다.[13] 피셔는 과학, 수학, 언어, 예술, 음악에 재능을 보였으며, 특히 아마추어 무선에 대한 관심을 키워 간단한 스파크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작했다.[15]
피셔는 스완 헌터에서 제도사로 일하며 루더퍼드 칼리지에서 야간 수업을 들었고, 1920년 런던 대학교에 입학 허가를 받았다.[16][17] 그러나 비용 때문에 대학교에 진학하지는 못했다.[17] 1921년, 러시아 혁명 이후 피셔 가족은 뉴캐슬어폰타인을 떠나 모스크바로 돌아갔다.[18]
2. 2. 소련으로의 귀환과 초기 경력
Вильям Генрихович Фишер|Vilyam Genrikhovich Fisherru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윌리엄 피셔는 1921년 가족과 함께 모스크바로 이주했다.[6] 그는 영어, 러시아어, 독일어, 폴란드어, 이디시어 등 여러 언어에 능통하여 코민테른에서 번역가로 일했다.[19][6] 1925년부터 1926년까지 붉은 군대 무선 대대에서 복무하며 무선 통신 기술을 익혔다.[20] 1927년, KGB의 전신인 OGPU에 채용되어 첩보 활동을 시작했다.[21] 같은 해,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하프를 전공하던 엘레나 레베데바와 결혼했고,[12] 1929년 딸 에블린을 낳았다.[22]피셔는 OGPU 소속 무선 통신사로서 노르웨이, 터키, 영국, 프랑스 등지에서 활동했다.[23] 1936년 소련으로 돌아와 불법 거주지에 파견될 무선 통신사들을 훈련하는 학교의 책임자가 되었다.[23] 그의 학생 중에는 훗날 "열일곱 개의 이름을 가진 스파이"로 알려진 키티 해리스도 있었다.[24]
1938년, 피셔는 NKVD에서 해고되었으나,[11]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파괴 공작 및 빨치산 활동 부대에 자원했다.[11] 이 시기에 그는 훗날 자신의 가명이 되는 루돌프 아벨을 만나게 되었다.[26] 또한, 그는 셰르혼 작전에 참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5]
3. 첩보 활동
피셔는 종전 후 불법 첩보 활동에 복귀했다. 1948년 11월, 원자력 시설에서 일하는 정보원으로부터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미국에 파견되었다. 코드네임 "마크"(Марк)가 주어졌고, 화가를 가장하여 코언 부부와 접촉하였다.
1949년 5월 말까지 피셔는 업무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같은 해 8월에는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어 적기 훈장을 수여받았다. 1952년 피셔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무선수 레이노 해이하넨(코드네임 "위크")이 파견되었으나, 해이하넨은 모스크바로 소환되기 전 미국에 자수하여 FBI에 피셔의 존재를 알렸다.
1953년, 브루클린의 신문 배달 소년이 우연히 떨어뜨린 5센트 동전이 깨져 그 안에 있던 마이크로필름이 발견되었다. FBI는 이를 통해 뉴욕에 간첩이 있음을 의심하였고, 1957년 자칭 화가였던 피셔를 체포했다. (이 사건은 "속이 빈 니켈 사건"으로 불리며 정보기관 역사에 남았다.[79])
당시 소련 당국은 간첩 행위에 관여를 부인했다. 피셔는 체포 사실과 자신이 배신자가 아님을 모스크바에 알리기 위해 죽은 친구의 이름 "루돌프 아벨"로 행세했다. 취조 중 간첩 행위를 부인하고 재판에서 증언을 거부했으며, 미국 당국의 회유도 거절하였다. 제임스 B. 도너번 변호사의 변호로 징역 30년으로 감형되어 애틀랜타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도너번은 1960년 5월 1일에 일어난 U-2기 사건으로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의 석방과, 학생 간첩 혐의로 구금되어 있던 프레더릭 프라이어와 피셔의 맞교환을 협상하였다. 1962년 2월 10일, 동서 베를린 경계인 글리니케 다리에서 파워스와 프라이어, 그리고 피셔가 교환되는 형태로 석방이 이루어졌다.
3. 1. 제2차 세계 대전 중 활동
1941년 동부 전선 발발 후, 피셔는 독일군 점령지에 파견되어 빨치산과 첩보원을 위한 무선수를 양성하는 부대에 지원하였다. 이 시기부터 피셔는 가명인 루돌프 아벨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1] 그는 독일군 배후의 비밀 작전을 위한 무선 통신사를 훈련시켰다.[11] 1944년 8월, 파벨 수도플라토프의 후원으로 셰르혼 작전(Операция Березино|Operatsiya Berezinoru)에 참여했다. 수도플라토프는 이 작전을 "전쟁 중 가장 성공적인 무선 기만 작전"이라고 묘사했다.[25]3. 2. 미국에서의 첩보 활동 (1948년 ~ 1957년)
1948년 11월, 피셔는 소련 원자력 시설 관련 정보를 빼내기 위해 미국으로 파견되었다. 코드네임 "마크"를 부여받은 그는 화가로 위장하여 로나 코헨 부부와 접촉했다.[28] 피셔는 앤드류 카요티스, 에밀 로버트 골드푸스 등 여러 가명을 사용하며 신분을 위장했다.[27][28] 진짜 앤드류 카요티스는 리투아니아 출신 미국 이민자로, 소련 방문 비자를 받았으나 소련이 여권을 보관했고, 피셔가 이 여권을 사용했다.[28] 에밀 로버트 골드푸스는 생후 14개월 만에 사망한 아이였는데, NKVD가 스페인 내전 당시 획득한 출생 증명서를 피셔가 사용했다.[28]1949년 5월, 피셔는 업무를 체계화하고 8월에는 적기 훈장을 받을 정도로 성과를 냈다.[29] 그는 로나 코헨과 모리스 코헨 부부, 시어도어 홀 등과 함께 원자력 관련 기밀을 소련으로 빼돌리는 첩보망을 구축했다.[28][30]
1952년, 피셔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레이노 해이하넨(코드네임 "위크")이 파견되었다.[34][35][36] 해이하넨은 유진 니콜라이 마키라는 가명으로 뉴욕에 도착했다.[37] 그러나 해이하넨은 무책임하고 알코올 중독 증세를 보였으며, KGB 자금을 유흥에 탕진했다.[44]
1953년, '속이 빈 니켈 사건'이 발생했다.[1][38][39] 해이하넨이 실수로 떨어뜨린 속이 빈 5센트 동전에서 마이크로필름이 발견되었고, FBI는 이를 통해 뉴욕에 간첩이 있음을 인지했지만, 암호를 해독하지는 못했다.[1][38][39]
1957년, 피셔는 해이하넨의 배신으로 체포될 위기에 처했다. 해이하넨은 모스크바 소환 명령을 받고 미국에 망명하여 FBI에 피셔의 정보를 제공했다.[46]
3. 3. 체포와 재판 (1957년)
1957년, 레이노 헤이하넨의 밀고로 FBI는 윌리엄 피셔를 체포했다.[1] 체포 당시, 피셔는 사망한 친구이자 KGB 대령인 루돌프 이바노비치 아벨의 이름을 가명으로 사용했다. 이는 자신이 체포되었다는 사실과 자신이 배신자가 아니라는 것을 모스크바에 알리기 위함이었다.[46]FBI는 피셔의 호텔 방과 사진 스튜디오를 수색하여 단파 무선기기, 암호 패드, 카메라, 마이크로도트 제작용 필름, 속이 빈 면도 브러시, 속이 빈 볼트 등 다양한 간첩 장비를 발견했다.[1] 뉴욕 호텔 방에서는 4000USD,[55][56] 250페이지 분량의 러시아 암호 해독서가 들어 있는 속이 빈 흑단 블록, 마이크로필름에 암호화된 메시지가 들어 있는 속이 빈 연필, 그리고 15000USD가 들어 있는 안전 금고 상자 열쇠도 발견되었다.[57][58]
피셔는 간첩 혐의를 부인하고 재판에서 증언을 거부했으며, 미국 당국의 회유 제안도 거절했다.[60] 그는 제임스 B. 도너번 변호사의 변호를 받았으며,[61] 도너번은 피셔가 사형 대신 징역형을 선고받도록 노력했다.
피셔는 다음 세 가지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60]
혐의 | 형량 |
---|---|
소련에 방위 정보를 전달하려는 공모 | 징역 30년[1] |
방위 정보를 얻으려는 공모 | 징역 10년 |
국무장관에게 통보하지 않고 외국 정부의 대리인으로 미국에서 활동하려는 공모 | 징역 5년[1] |
배심원단은 세 가지 혐의 모두에 대해 유죄 평결을 내렸고,[1][5] 모티머 W. 바이어스 판사는 피셔에게 총 30년형과 3000USD의 벌금을 선고했다.[64] '아벨 대 미국' 사건에서 미국 대법원은 5대 4의 표결로 그의 유죄 판결을 확정했다.
3. 4. 수감 생활과 석방 (1957년 ~ 1962년)
피셔는 애틀랜타 연방 교도소에서 복역했으며(죄수번호 80016-A)[65], 그림 그리기, 실크스크린 배우기, 체스, 로그표 작성 등을 하며 시간을 보냈다. 그는 그곳에서 모턴 소벨[5], 쿠르트 폰거[66] 등 다른 소련 간첩들과 친구가 되었다.1962년 2월 10일, 동서 베를린 경계의 글리니케 다리에서 1960년 5월 1일에 격추된 미국의 U-2 정찰기 조종사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와 간첩 혐의로 구속된 유학생 프레더릭 프라이어와 교환되는 형식으로 석방되었다.[79]
4. 소련 귀환 이후
소련으로 돌아온 피셔는 KGB 제1총국 불법 활동국에 고용되어 연설을 하고 어린이들에게 첩보 활동에 대해 강의하는 일을 맡았지만, 점차 환멸을 느꼈다.[69][71] 1968년, 소련 스파이 영화 ''죽은 계절''의 서문에 출연했고, 영화 자문으로도 활동했다.[72]
KGB는 피셔가 미국에서 9년 동안 발각되지 않고 첩보 활동을 한 것을 헌신적인 NKVD 요원의 승리로 묘사하여 자체 명성을 높이고자 했다. '마스터 스파이'의 이름이 루돌프 아벨이라는 인식은 피셔의 실제 신분을 대체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8년간 불법 체류자로 활동하는 동안, 피셔는 미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KGB 요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다. 비록 단 한 명의 첩보원도 모집하지는 않았지만, 잠재적인 스파이를 식별하고 기존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확장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CIA 국장 앨런 덜레스는 소련 내부에 아벨만큼 능력 있는 요원이 한 명이라도 있었으면 좋겠다고 언급하기도 했다.[70]
피셔는 골초였으며, 1971년 11월 15일 폐암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골은 돈스코예 묘지에 그의 실명으로 안치되었는데, 그곳은 전년도에 사망한 코논 몰로디의 옆자리였다. 서구 특파원 몇 명이 초대되어 "절대 굴복하지 않은" 스파이의 진짜 정체를 직접 확인했다.[73]
5. 유산 및 평가
윌리엄 피셔(루돌프 아벨)의 첩보 활동은 냉전 시대의 대표적인 첩보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의 체포와 석방 과정은 냉전의 긴장과 대립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기록되었다.[67] 그는 소련으로 귀환 후 KGB에서 활동하며 첩보원 양성에 기여했다.[69]
그의 이야기는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바딤 코제브니코프의 소설 ''방패와 칼''은 피셔의 운명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소설의 줄거리는 실제와는 다르다.[74]
- 1968년 영화 ''죽은 계절''에서 아벨은 영화의 공식 자문으로 참여했고, 소개 연설을 통해 대중에게 모습을 드러냈다.
- 2008년에는 다큐멘터리 "알려지지 않은 아벨"이 제작되었다.
- 2009년 러시아 1채널은 유리 벨라예프 주연의 2부작 전기 영화 ''미국 정부 대 루돌프 아벨''을 제작했다.
-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2015년 영화 ''스파이 브릿지''에서 마크 라이런스가 아벨 역을 맡아 아카데미 남우조연상과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75][76]
1990년, 소련은 "정보 요원" 시리즈의 일환으로 루돌프 아벨을 묘사한 우표를 발행했다.[78] 2015년에는 러시아 사마라에 윌리엄 겐리호비치 피셔의 추모비가 건립되었다. 이 흉상은 몰로도그바르데이스카야 거리 8번지에 세워졌는데, 이곳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정보장교의 가족이 살았던 곳으로 여겨진다.[77]
6. 한국과의 관계
윌리엄 피셔 사건은 한국 전쟁과 냉전의 맥락에서 한국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졌다. 특히, U-2기 사건으로 붙잡힌 프랜시스 게리 파워스와의 교환은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 간의 첩보전과 긴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한국 사회에 인식되었다.[79]
진보 진영에서는 윌리엄 피셔를 냉전 시대 이념 대립의 희생양으로 보기도 하며, 그의 첩보 활동을 제국주의에 맞선 저항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반면 보수 진영에서는 그를 공산주의 첩보원으로 규정하며, 그의 활동이 자유 세계에 대한 위협이었다고 평가한다.
참조
[1]
웹사이트
FBI: Rudolph Ivanovich Abel (Hollow Nickel Case)
https://www.fbi.gov/[...]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12-01-04
[2]
서적
(제목 미상)
2004
[3]
서적
(제목 미상)
2010
[4]
서적
(제목 미상)
2004
[5]
서적
(제목 미상)
2010
[6]
서적
(제목 미상)
2004
[7]
서적
(제목 미상)
2010
[8]
서적
(제목 미상)
2004
[9]
서적
(제목 미상)
2004
[10]
서적
(제목 미상)
2004
[11]
서적
(제목 미상)
1999
[12]
서적
(제목 미상)
2010
[13]
서적
(제목 미상)
2004
[14]
서적
(제목 미상)
2004
[15]
서적
(제목 미상)
2004
[16]
서적
(제목 미상)
2001
[17]
서적
(제목 미상)
2004
[18]
서적
(제목 미상)
2004
[19]
서적
(제목 미상)
2006
[20]
서적
(제목 미상)
2004
[21]
서적
(제목 미상)
2004
[22]
서적
(제목 미상)
2004
[23]
서적
(제목 미상)
1999
[24]
서적
(제목 미상)
2001
[25]
서적
(제목 미상)
1994-1995
[26]
서적
(제목 미상)
2010
[27]
서적
(제목 미상)
2004
[28]
서적
(제목 미상)
1999
[29]
서적
(제목 미상)
2010
[30]
서적
(제목 미상)
2010
[31]
서적
(제목 미상)
1999
[32]
서적
(제목 미상)
2010
[33]
서적
(제목 미상)
1699
[34]
서적
(제목 미상)
2010
[35]
서적
(제목 미상)
2004
[36]
서적
(제목 없음)
1970
[37]
서적
(제목 없음)
2010
[38]
서적
(제목 없음)
1999
[39]
서적
(제목 없음)
2010
[40]
서적
(제목 없음)
1970
[41]
서적
(제목 없음)
2006
[42]
웹사이트
New York Times: The Spy of Cadman Plaza
https://www.nytimes.[...]
2013-02-02
[43]
서적
(제목 없음)
2010
[44]
서적
(제목 없음)
2006
[45]
서적
(제목 없음)
2004
[46]
서적
(제목 없음)
1999
[47]
서적
(제목 없음)
2010
[48]
서적
(제목 없음)
2010
[49]
서적
(제목 없음)
2010
[50]
서적
(제목 없음)
1999
[51]
서적
(제목 없음)
2010
[52]
서적
(제목 없음)
2010
[53]
서적
(제목 없음)
2010
[54]
서적
(제목 없음)
2010
[55]
서적
(제목 없음)
1990
[56]
서적
(제목 없음)
1970
[57]
서적
(제목 없음)
2010
[58]
서적
(제목 없음)
2004
[59]
서적
(제목 없음)
2001
[60]
서적
(제목 없음)
2010
[61]
서적
(제목 없음)
1964
[62]
뉴스
Thomas Debevoise, Prosecutor, 65, Dies
https://www.nytimes.[...]
1995-02-09
[63]
서적
(제목 없음)
2010
[64]
서적
(제목 없음)
2006
[65]
서적
(제목 없음)
1970
[66]
서적
(제목 없음)
1970
[67]
서적
(제목 없음)
1999
[68]
서적
(제목 없음)
2010
[69]
서적
(제목 없음)
2010
[70]
간행물
Russia: Advice to Young Spies
https://content.time[...]
1968-11-29
[71]
서적
Andrew (1999)
[72]
웹사이트
Propaganda, KGB style
http://www.agentura.[...]
2014-05-13
[73]
서적
Whittell (2010)
[74]
서적
Operation Snow
Geya
1996
[75]
웹사이트
Mark Rylance wins Best Supporting Actor in the most high profile British win of Oscars 2016
https://www.telegrap[...]
Telegraph.co.uk
2016-02-29
[76]
웹사이트
BAFTA Film Award Nominations and Winners 2016
http://www.bbc.co.uk[...]
BBC One
2016-02-10
[77]
웹사이트
A memorial plaque to the legendary Soviet intelligence officer William Fisher was put up in Samara
http://samadm.ru/med[...]
[78]
웹사이트
Portrait of R.I. Abel (1903-1971)
https://colnect.com/[...]
Colnect.com
[79]
문서
二銭銅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