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토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라토프는 러시아의 도시로, 볼가강 연안에 위치해 있으며 사라토프주의 행정 중심지이다. 1590년 요새 건설을 기원으로 하며, 18세기부터 볼가강의 주요 하항으로 발전했다. 19세기에는 독일인들의 정착지로, 20세기에는 소련의 군사적 요충지였다. 현재는 문화, 과학, 산업의 중심지이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라토프주 - 볼스크
볼스크는 러시아 사라토프주에 위치한 도시로, 1699년 말리코프카라는 슬로보다로 설립되어 1780년 도시 지위를 획득한 후 19세기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10월 혁명 이후 시멘트 생산의 중심지로 발전했고 다양한 유명 인물들을 배출했다. - 사라토프주 - 발라코보
발라코보는 러시아 사라토프주 볼가 강 좌안에 위치한 도시로, 사라토프 수력 발전소와 발라코보 원자력 발전소가 있어 에너지 산업의 중심지이며, 국제 스피드웨이 경기가 열리는 스피드웨이 클럽 터비나가 있다. - 러시아의 주도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주도 - 오룔
오룔은 러시아 오룔 주의 주도로, 1566년 요새로 건설되어 곡물 생산 및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혼란과 전쟁을 거쳐 재건되어 현재는 교육 및 교통의 중심지로서 국제 협력을 추진하는 도시이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사라토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유럽 러시아 |
도시 종류 | 시 |
건립 | 1590년경 |
현재 지위 획득 | 1708년 |
도시 면적 | 389km² |
인구 (2010년) | 837,900명 |
인구 순위 (러시아) | 16위 |
인구 (2015년 1월) | 842,097명 |
시간대 | 사마라 시간대(UTC+4) |
우편 번호 | 410000–410005, 410007–410010, 410012, 410015, 410017–410019, 410022, 410023, 410025, 410028–410031, 410033–410042, 410047–410056, 410059, 410060, 410062–410065, 410068, 410069, 410071, 410074, 410076, 410078, 410080, 410082, 410086, 410700, 410880, 410890, 410899, 410960–410965, 410999 |
지역 번호 | 8452 |
행정 | |
속한 연방 주체 | 사라토프 주 |
행정 중심지 | 사라토프 주 |
사라토프 도시 окру그 | 사라토프 도시 окру그 |
수장 | 미하일 이사예프 |
시 두마 | 사라토프 시 두마 |
지리 | |
위치 | 볼가 강 |
해발 고도 | 50m |
상징 | |
![]() | |
![]() |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사라토프 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사라토프는 1590년 표도르 1세 치세에 러시아 남동쪽 국경을 확보하기 위해 볼가강을 따라 건설된 여러 정착지 중 하나로 시작되었다.[10] 1708년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으며,[10] 1800년대에는 볼가강의 중요한 해운 항구로 성장했다. 1870년 랴잔-우랄 철도가 사라토프에 도달하면서[11] 도시는 더욱 발전했다. 1896년에는 철도가 볼가강 동쪽으로 확장되었고, 1935년 철교가 건설되기 전까지 39년간 기차-페리가 강을 건너는 연결 수단을 제공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라토프는 독일인, 유대인 등 잠재적 위험으로 간주된 사람들의 강제 이송 목적지가 되었다.[1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물자를 공급하는 중요한 철도역이었으며, 독일군의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13]
소련 시대 사라토프는 군용 항공기 제조 시설 때문에 외국인 출입이 금지된 "폐쇄 도시"였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이러한 제한은 해제되었다.
볼가 독일인들은 예카테리나 2세의 칙령으로 볼가 지역에 정착하여 사라토프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러시아화 정책과 스탈린의 강제 이주 명령으로 큰 고통을 겪었다. 오늘날 사라토프에는 볼가 독일인의 흔적이 일부 남아있다.
초기 사회혁명당(에스엘당)이 이 도시를 활동 거점으로 삼았다.
2024년 8월, 우크라이나의 무인기가 사라토프 시내의 고층 아파트에 충돌하여 폭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1]
2. 1. 고대와 중세
우베크는 골든 호드의 도시로, 13세기 중반부터 1395년 티무르에 의해 파괴될 때까지 현대 사라토프 부근에 위치해 있었다. 현대 사라토프의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능한 이론으로는 1590년경,[10] 차르 표도르 이바노비치 (1584–1598 재위) 치세에, 그의 국가의 남동쪽 경계를 확보하기 위해 볼가강을 따라 여러 정착지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1708년에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10]헤로도토스의 『역사』 제6권에는 스키타이의 도시로 고대 그리스인의 식민 도시이기도 했던 게로노스(Gelonus)라는 이름이 등장한다. 이를 현재의 사라토프 주변에 있었다고 주장하는 논쟁이 러시아에 있지만, 우크라이나 중부의 폴타바주에 있었다는 주장이 유력하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이 도시는 기원전 512년에 아케메네스 제국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1세에 의해 불태워져 멸망했다고 한다.
중세 시대인 13세기부터 14세기경의 기록에는 조치 울루스의 교역 도시 우케크(Ukek, Ükäk|우케크tt)가 볼가강 연안의 사라토프 부근에 있었다고 한다. 우케크는 티무르 군에 의해 불태워졌지만, 모스크, 공방, 주거 등의 유적은 현재도 남아있다.
모스크바 대공국은 1552년에 카잔 칸국을, 1556년에 아스트라한 칸국을 정복하여 볼가강 일대는 모스크바령이 되었다. 차르 표도르 1세의 치세에 모스크바 대공국의 동쪽 국경과 볼가의 수운을 지키기 위해 몇 개의 요새와 도시가 볼가강 연안에 건설되었다. 1586년 여름에는 사마라에 요새가 건설되었고, 1589년에는 차리친(현재의 볼고그라드)에 요새가 건설되었다. 1590년, 그리고리 자세킨 공의 지시로 사마라와 차리친의 중간 지점인 사라토프에 요새가 건설되었다. 사라토프 도시의 목조 건축은 사라토프 건설 1년 전에 볼가강 상류의 도시에서 조립이 시작되었다. 조립된 건물은 1590년 봄에 목재에 표식을 하고 일단 해체되어 하류로 운반되어 사라토프에 육상으로 운반되어 조립되었다. 이렇게 신속한 요새 건설이 가능했다.
사라토프라는 지명의 유래는 모래가 드러난 언덕에 둘러싸여 있었기 때문에 타타르어로 "노란 산"을 의미하는 "사리 타우"(Sary Tau, Сары Тау|사리 타우ru)라는 이름이 붙어 사라토프로 바뀌었다는 설 외에도, 튀르크 계통 언어로 "매의 섬"을 의미하는 사리크 아토프(Saryk Atov)가 변했다는 설도 있다.
1613년의 화재로, 좌안의 사라토프강과의 합류점으로 이동된 후, 1674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2. 2. 요새 건설과 발전
우베크는 골든 호드의 도시로, 13세기 중반부터 1395년 티무르에 의해 파괴될 때까지 현대 사라토프 부근에 위치해 있었다. 현대 사라토프의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1590년경 차르 표도르 이바노비치 (1584–1598 재위) 치세에, 그의 국가의 남동쪽 경계를 확보하기 위해 볼가강을 따라 여러 정착지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는 이론이 있다.[10]모스크바 대공국은 1552년에 카잔 칸국을, 1556년에 아스트라한 칸국을 정복하여 볼가강 일대는 모스크바령이 되었다. 차르 표도르 1세의 치세에 모스크바 대공국의 동쪽 국경과 볼가의 수운을 지키기 위해 몇 개의 요새와 도시가 볼가강 연안에 건설되었다. 1586년 여름에는 사마라에 요새가 건설되었고, 1589년에는 차리친(현재의 볼고그라드)에 요새가 건설되었다. 1590년, 그리고리 자세킨 공의 지시로 사마라와 차리친의 중간 지점인 사라토프에 요새가 건설되었다. 사라토프 도시의 목조 건축은 사라토프 건설 1년 전에 볼가강 상류의 도시에서 조립이 시작되었다. 조립된 건물은 1590년 봄에 목재에 표식을 하고 일단 해체되어 하류로 운반되어 사라토프에 육상으로 운반되어 조립되었다. 이렇게 신속한 요새 건설이 가능했다.
사라토프라는 지명의 유래는 모래가 드러난 언덕에 둘러싸여 있었기 때문에 타타르어로 "노란 산"을 의미하는 "사리 타우"(Sary Tau, Сары Тауru)라는 이름이 붙어 사라토프로 바뀌었다는 설 외에도, 튀르크 계통 언어로 "매의 섬"을 의미하는 사리크 아토프(Saryk Atov)가 변했다는 설도 있다.
1613년의 화재로, 좌안의 사라토프강과의 합류점으로 이동된 후, 1674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1708년에 도시로 등록되었고,[10] 1780년 이후 사라토프주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사라토프는 18세기에 볼가의 주요 하항으로서 교통과 물류의 중심이 되었다.
모스크바에서 랴잔을 거쳐 우랄 지방을 잇는 철도는 1870년에 사라토프에 도달했다.[11] 26년 후인 1896년에는 볼가강 건너편에도 철도가 완성되었다. 랴잔-우랄 철도가 소유한 철도 연락선은 1935년에 볼가강을 가로지르는 철교가 개통될 때까지 39년 동안 사라토프와 건너편의 포크롭스크(현재의 엥겔스) 사이를 계속 연결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독소전) 시기, 사라토프는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후방에서 지원하는 거점이 되었다. 남북 방향으로 병력과 무기 탄약 등을 스탈린그라드(현재의 볼고그라드)로 운반하는 특별 열차가 왕복했다.
전후, 시내에 제238수용지구(굴라크)가 설치되어 시베리아 억류를 겪은 일본인 포로들이 멀리 이송되어 왔다. 포로는 강제 노동에 종사했다[30]。
1991년의 소련의 붕괴 전까지, 군용기 제조 공장 등이 있어 소련의 우주 계획 및 공군력을 지원했던 사라토프는 외국인의 출입을 엄격히 규제하는 "폐쇄 도시"가 되었다.
2. 3. 러시아 제국 시기
우베크는 골든 호드의 도시로, 13세기 중반부터 1395년 티무르에 의해 파괴될 때까지 현대 사라토프 부근에 위치해 있었다. 현대 사라토프의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능한 이론으로는 1590년경,[10] 표도르 이바노비치 (차르, 1584–1598 재위) 치세에, 그의 국가의 남동쪽 경계를 확보하기 위해 볼가강을 따라 여러 정착지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1708년에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10]1800년대에 이르러 사라토프는 볼가강의 중요한 해운 항구로 성장했다. 랴잔-우랄 철도는 1870년에 사라토프에 도달했다.[11] 1896년, 이 노선은 볼가강을 건너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랴잔-우랄 철도 소유의 독특한 기차-페리가 1935년 철교 건설 전까지 39년 동안 철도의 양쪽 끝을 잇는 강을 건너는 연결 수단을 제공했다.
1915년 1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러시아의 국가적 의제를 지배하면서, 사라토프는 서부 전선에 더 가까이 있어 국가 안보에 잠재적 위험으로 인식된 민족 독일인, 유대인, 헝가리인, 오스트리아인 및 슬라브인들의 강제 이송 호송대의 목적지가 되었다.[12]
2. 4. 볼가 독일인의 정착
예카테리나 2세는 독일에서 발표한 두 개의 칙령을 통해 정착민들에게 볼가 지역으로 이주하더라도 독일어를 사용할 수 있고, 상당한 자치권을 누릴 것이라고 약속했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10] 그곳에서 독일인들은 독일어, 고유의 교육, 교회, 출판물 등을 계속 유지했다.그러나 그 지역에서 1세기 넘게 살아온 후, 독일인들의 생활 환경은 변화하기 시작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더 이상 살아 있지 않았고, 정부는 공격적인 러시아화 정책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1878년부터 일부 볼가 독일인들이 미국, 캐나다, 브라질, 아르헨티나로 이주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떠날 수 없거나 상황이 개선되기를 바라며 남은 사람들은 큰 고통을 겪었다. 그들의 자산 몰수 후에도 적대 행위는 멈추지 않았다. 1941년, 스탈린은 모든 민족 독일인의 추방을 명령했다.
오늘날 볼가 독일인에게 한때 중요한 장소였음을 보여주는 몇 가지 흔적만 남아 있다. 사라토프의 주요 거리였던 "독일 거리"(Deutsche Straßede, Немецкая Улица|Nemetskaya Ulitsaru)에 볼가 독일인들이 세운 로마 가톨릭 성 클레멘스 대성당은 첨탑이 제거되었고, 소련 정부의 명령에 따라 파이어니어 영화관으로 개조되었다(종교는 금지되었다). 한편, 사라토프의 구 독일 거리이자 보행자 거리였던 곳은 볼셰비키 지도자 세르게이 키로프를 기념하여 ''키로프 대로''로 이름이 바뀌었다. 2022년 4월 18일, 키로프 대로는 시 시장의 칙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스톨리핀 대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41년 이전 사라토프 맞은편의 포크로프스크(독일어: Kosakenstadt 코자켄슈타트, 1931년부터 프리드리히 엥겔스를 기념하여 엥겔스로 개명)는 볼가 독일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였다. 20세기 초 볼가 독일인은 80만 명에 달했다.
볼가 독일인 출신의 과학자, 산업가, 음악가 등이 많았으며, 사라토프의 여러 대학과 음악 학교의 기초를 세운 것도 그들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볼가 독일인의 절반 이상이 시베리아나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되었고, 후에 볼가 강 연안으로 돌아온 인원은 극소수였다. 1980년대에는 남은 볼가 독일인의 서독으로의 이주가 시작되었다.
2. 5. 소비에트 시대
1870년에 랴잔-우랄 철도가 모스크바와 연결되면서 사라토프는 크게 발전하였다.[11] 1896년에는 이 노선이 볼가강을 건너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1935년 철교가 건설되기 전까지 39년 동안 랴잔-우랄 철도 소유의 독특한 기차-페리가 철도의 양쪽 끝을 잇는 강을 건너는 연결 수단을 제공했다.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사라토프는 병력, 탄약 및 물자를 스탈린그라드에 공급하는 특별 지정 군사 철도인 북남 볼즈스카야 로카다의 역이었다. 1942-1943년에는 독일 항공기의 폭격을 받았다.[13] 주요 목표는 키로프 정유소였으며, 심하게 폭격받아 시설이 심각하게 손상되었고 공장의 80%가 파괴되어 작업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루프트바페는 사라토프 기지의 모든 연료 비축량을 파괴하고 도시의 유정 공장을 제거할 수 있었다.[13]
전후, 시내에 제238수용지구(굴라크)가 설치되어 시베리아 억류를 겪은 일본인 포로들이 멀리 이송되어 왔다. 포로들은 강제 노동에 종사했다.[30]
1991년 소련의 해체까지, 소련 당국은 사라토프를 군용 항공기를 제조하는 중요한 시설이 있다는 군사적 중요성 때문에 모든 외국인의 출입을 금지하는 "폐쇄 도시"로 지정했다.
2. 6. 현대
1800년대에 이르러 사라토프는 볼가강의 중요한 해운 항구로 성장했다. 랴잔-우랄 철도는 1870년에 사라토프에 도달했으며,[11] 1896년에는 이 노선이 볼가강을 건너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랴잔-우랄 철도 소유의 독특한 기차-페리가 1935년 철교 건설 전까지 39년 동안 철도의 양쪽 끝을 잇는 강을 건너는 연결 수단을 제공했다.1915년 1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러시아의 국가적 의제를 지배하면서, 사라토프는 서부 전선에 더 가까이 있어 국가 안보에 잠재적 위험으로 인식된 민족 독일인, 유대인, 헝가리인, 오스트리아인 및 슬라브인들의 강제 이송 호송대의 목적지가 되었다.[1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사라토프는 병력, 탄약 및 물자를 스탈린그라드에 공급하는 특별 지정 군사 철도인 북남 볼즈스카야 로카다의 역이었다. 1942-1943년에는 독일 항공기의 폭격을 받았다. 주요 목표는 키로프 정유소였으며, 심하게 폭격을 받아 시설이 심각하게 손상되었고 공장의 80%가 파괴되어 작업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루프트바페는 사라토프 기지의 모든 연료 비축량을 파괴하고 도시의 유정 공장을 제거할 수 있었다.[13]
1991년 소련의 해체까지, 소련 당국은 사라토프를 군용 항공기를 제조하는 중요한 시설의 위치로서 군사적 중요성 때문에 모든 외국인의 출입을 금지하는 "폐쇄 도시"로 지정했다.
3. 행정 구역
사라토프는 오블라스트의 행정 중심지이자[14] 행정 구역 틀 내에서 사라토프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15] 사라토프는 사라토프스키 구에 속하지 않지만, 별도의 행정 구역으로 통합되어[16]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로 지정되었으며,[17]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17] 지방 자치체로서는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 사라토프가 '''사라토프 도시 오크루크'''로 통합된다.[18]
4. 지리
사라토프는 볼가강 서쪽 언덕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은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도시의 면적은 378km2이다.[3]
사라토프는 온난한 여름과 비교적 건조한 기후를 가진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4. 1. 기후
사라토프는 온난한 여름, 비교적 건조한 기후와 풍부한 맑은 날씨를 보이는 온대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다. 가장 따뜻한 달은 평균 기온이 23°C인 7월이며, 가장 추운 달은 -8°C인 2월이다.[33][34]여름은 덥고 사라토프에서는 30°C 이상의 낮 기온이 흔하며, 2010년 열파 동안에는 40.9°C까지 올라갔다. 겨울에는 눈과 얼음이 지배적이다. 겨울에는 영상의 날씨와 -25°C 이하의 밤 모두 나타난다.[33][34]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4.8°C | -4.7°C | 1.1°C | 13.3°C | 21.5°C | 26.2°C | 28.2°C | 26.6°C | 19.8°C | 11.1°C | 1.6°C | -3.6°C | 11.4°C |
평균 최저 기온 (℃) | -10.6°C | -11.1°C | -5.6°C | 3.7°C | 10.4°C | 15.1°C | 17.2°C | 15.5°C | 9.9°C | 3.7°C | -3.3°C | -8.9°C | 3°C |
역대 최고 기온 (℃) | 8.1°C | 7.3°C | 17°C | 31.1°C | 34°C | 39.5°C | 40.8°C | 40.9°C | 37.9°C | 25.1°C | 16.1°C | 11.7°C | 40.9°C |
역대 최저 기온 (℃) | -37.3°C | -34.8°C | -26.8°C | -17.8°C | -3.8°C | 2.2°C | 6.4°C | 4.3°C | -2.9°C | -12.6°C | -24.7°C | -33.4°C | -37.3°C |
월 강수량 (mm) | 41mm | 34mm | 31mm | 31mm | 35mm | 50mm | 49mm | 31mm | 49mm | 37mm | 46mm | 42mm | 476mm |
평균 강우일수 | 6 | 5 | 7 | 12 | 14 | 15 | 14 | 12 | 13 | 14 | 12 | 8 | - |
평균 강설일수 | 19 | 15 | 10 | 1 | 0 | 0 | 0 | 0 | 0 | 1 | 9 | 16 | - |
평균 상대 습도 (%) | 84 | 81 | 78 | 64 | 55 | 59 | 59 | 59 | 64 | 74 | 84 | 84 | 70 |
평균 일조 시간 | 56 | 81 | 140 | 219 | 279 | 309 | 319 | 273 | 153 | 115 | 60 | 50 | - |
[33][34]
사라토프의 기후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 관측된 기록과 1836년부터 현재까지 기록된 극한값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9][2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4.7°C | -4.3°C | 1.8°C | 13.8°C | 22.1°C | 26.4°C | 28.6°C | 27.4°C | 20.3°C | 11.6°C | 2.3°C | -3.3°C | - |
평균 최저 기온 (℃) | -10.2°C | -10.5°C | -4.8°C | 4.3°C | 11.2°C | 15.6°C | 17.7°C | 16.1°C | 10.4°C | 4.3°C | -2.6°C | -8.3°C | - |
역대 최고 기온 (℃) | 8.1°C | 8.4°C | 18.8°C | 31.1°C | 34.1°C | 39.2°C | 40.8°C | 40.7°C | 36.7°C | 25.5°C | 17.1°C | 11.7°C | 40.8°C |
역대 최저 기온 (℃) | -37.3°C | -34.8°C | -26.8°C | -17.8°C | -3.8°C | 2.1°C | 6.4°C | 4.3°C | -2.9°C | -12.6°C | -23.8°C | -33.4°C | -37.3°C |
월 강수량 (mm) | 43mm | 36mm | 33mm | 31mm | 36mm | 48mm | 44mm | 27mm | 50mm | 38mm | 39mm | 41mm | - |
평균 강우일수 | 6 | 5 | 7 | 12 | 14 | 15 | 14 | 12 | 13 | 14 | 12 | 8 | - |
평균 강설일수 | 19 | 15 | 10 | 1 | 0 | 0 | 0 | 0 | 0 | 1 | 9 | 16 | - |
평균 상대 습도 (%) | 84 | 81 | 78 | 64 | 55 | 59 | 59 | 59 | 64 | 74 | 84 | 84 | 70 |
평균 일조 시간 | 57 | 81 | 141 | 219 | 278 | 310 | 320 | 273 | 152 | 115 | 60 | 50 | 2056 |
5. 인구
연도 | 인구 |
---|---|
1897년 | 137,000명 |
1926년 | 212,395명 |
1939년 | 372,002명 |
1959년 | 584,092명 |
1970년 | 757,330명 |
1979년 | 855,702명 |
1989년 | 904,643명 |
2002년 | 873,055명 |
2010년 | 837,900명 |
2021년 | 901,361명 |
사라토프 시내에는 901,361명이 거주하며, 도시권역에는 약 120만 명이 거주한다. 도시 인구의 90% 이상이 러시아인이다. 나머지 인구 중에는 타타르인, 카자흐인, 아르메니아인, 아제르바이잔인, 우크라이나인 등이 있다.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민족 집단이 있다:[24]
민족 집단 | 인구 | 비율 |
---|---|---|
러시아인 | 686,699명 | 92.8% |
타타르인 | 10,291명 | 1.3% |
카자흐인 | 7,354명 | 1.0% |
아르메니아인 | 6,456명 | 0.9% |
아제르바이잔인 | 4,198명 | 0.6% |
우크라이나인 | 3,392명 | 0.5% |
기타 | 40,262명 | 3.8% |
6. 경제
사라토프는 풍부한 천연 자원과 발달된 산업 덕분에 러시아에서 중요한 산업 중심지 중 하나이다. 또한, 사라토프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산하 연구소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 기관과 대학교가 위치하여 과학 및 문화의 중심지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23]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사라토프 시의 예산 수입 및 지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지표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수입 (10억 루블) | 63.8억러시아 루블 | 95.9억러시아 루블 | 104.5억러시아 루블 | 106.5억러시아 루블 | 121.5억러시아 루블 | 127.69999999999999억러시아 루블 | 120억러시아 루블 | 120.7억러시아 루블 | 110.60000000000001억러시아 루블 | 149.1억러시아 루블 | 148.4억러시아 루블 |
지출 (10억 루블) | 61.5억러시아 루블 | 93.9억러시아 루블 | 111.7억러시아 루블 | 112.30000000000001억러시아 루블 | 129.9억러시아 루블 | 132.89999999999998억러시아 루블 | 130.2억러시아 루블 | 127.5억러시아 루블 | 117.69999999999999억러시아 루블 | 153.1억러시아 루블 | 154억러시아 루블 |
잔액 (10억 루블) | 2.3000000000000003억러시아 루블 | 2억러시아 루블 | -7.199999999999999억러시아 루블 | -5.8억러시아 루블 | -8.4억러시아 루블 | -5.2억러시아 루블 | -10.2억러시아 루블 | -6.800000000000001억러시아 루블 | -7.1억러시아 루블 | -4억러시아 루블 | -5.699999999999999억러시아 루블 |
사라토프에서는 자동차 산업, 석유 화학 산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사라토프 항공기 공장에서는 다양한 항공기를 생산했으며, 볼가강에서는 철갑상어 어업이 활발하다.
6. 1. 교통
사라토프는 사라토프 가가린 공항(2019년 8월 20일에 개항하여 사라토프 중앙 공항을 대체)이 운행하며, 국제선과 국내선 항공편을 모두 운항한다. 사라토프 서부는 일반 항공 비행장이며, 항공우주 제조 산업은 사라토프 남부 공항에서 지원한다. 인근 엥겔스-2 (공군 기지)는 러시아 전략 Tu-95 및 Tu-160 폭격기의 주요 기지이다. 자동차 도로는 사라토프를 볼고그라드, 사마라, 보로네시와 직접 연결하며, 철도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프리볼시스카야 철도는 사라토프에 본사를 두고 있다. 볼가강 자체는 중요한 내륙 수로이다. 버스와 트롤리버스가 시내 대중교통의 중추를 이룬다.[21]사라토프에는 1908년에 개통된 트램 네트워크가 있다. 현재 2개의 차고가 있으며, 세 번째는 2001년에 폐쇄되었다. 현재 운행 차량은 71-605, 71-619, 71-608 및 MTTE와 MTTCh로 개명된 여러 대의 개조된 Tatra T3로 구성된다.
트롤리버스 네트워크도 시에 존재한다. 2021년 7월 2일, 볼가강을 횡단하여 엥겔스의 트롤리버스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도시 간 노선이 개통되었다.[22]
2019년 8월 20일에는 사라토프 중앙 공항이 폐쇄되었고, 그 대신 사라토프 가가린 공항이 개항했다. 중앙 공항 시대에는 이곳을 본거지로 하는 항공 회사 사라비아도 존재했다.
볼가 철도 지사의 사라토프 I역은 시의 중심역이 되고 있다. 시내에는 사라토프 시내 전차가 부설되어 있으며, 다른 볼가강 연안 도시와 마찬가지로 하천항이 설치되어 있다.
맞은편 엥겔스로 향하는 볼가강에 가설된 Saratov Bridge|사라토프 다리영어는 건설 당시 유럽 최장의 교량이었다.
7. 문화
사라토프는 풍부한 문화 유산을 자랑하는 도시이다. 19세기 네오 고딕 양식의 사라토프 음악원은 사라토프의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1] 사라토프 드라마 극장은 1802년에 설립된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 중 하나이며, 현재는 사라토프 출신의 배우이자 연극 감독인 이반 슬로노프의 이름을 따서 운영되고 있다.[1]
알렉산드르 라디셰프의 이름을 딴 라디셰프 미술관을 비롯하여 페딘 미술관, 사라토프 지방사 박물관,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의 이름을 딴 체르니셰프스키 영지 박물관 등 여러 미술관이 있다.[1]
이 외에도 오페라 발레 극장, 서커스, 콘서트 홀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이 있다.[2]
7. 1. 교육
사라토프에는 여러 대학과 대학교가 있다. 사라토프 국립 대학교(1909년), 사라토프 국립 기술 대학교, 사라토프 국립 의과 대학교, 사라토프 국립 법학 아카데미, 사라토프 국립 농업 대학교 등이 있다. 2014년에는 사라토프 지역 예술 대학의 새롭게 개조된 캠퍼스가 문을 열었다.[1]사라토프에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소속 연구소 6곳, 기타 연구소 21곳, 프로젝트 연구소 19곳, 사라토프 국립 대학교, 사라토프 국립 사회 경제 대학교를 비롯한 많은 과학 기술 계열 대학 및 연구소가 있어 산업을 뒷받침하고 있다.[1]
7. 2. 문화 시설
사라토프 음악원은 1912년에 세워졌을 때 러시아에서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다음으로 세 번째로 세워진 음악 교육 기관이었다. 1902년 건축가 알렉산드르 율리예비치 야그가 지은 본관은 원래 음악 학교로 사용되었으나, 1912년 음악원 개관 전에 건축가 세묜 아키모비치 칼리스토라토프에 의해 재건축되었다. 1912년 9월 개관 당시 1,000명의 학생들이 바로 수업을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1]사라토프 드라마 극장은 1802년에 설립되어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 중 하나로, 러시아 국립 극장 중 하나로 꼽힌다. 현재는 이 도시 출신의 배우이자 연극 감독, 교육자인 이반 슬로노프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1]
사라토프는 여러 미술관으로 유명한데, 알렉산드르 라디셰프의 이름을 딴 라디셰프 미술관, 러시아 소설가 콘스탄틴 페딘의 이름을 딴 페딘 미술관, 사라토프 지방사 박물관,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의 이름을 딴 체르니셰프스키 영지 박물관 등이 있다. 라디셰프 미술관에는 고대 러시아 성상, 카미유 코로, 오귀스트 로댕의 작품을 비롯하여 러시아 최고 화가들의 작품을 포함하여 2만 점 이상의 전시품이 소장되어 있다.[1]

이 외에도 오페라 발레 극장(1962년), 서커스, 콘서트 홀 등이 있다.[2]
7. 3. 스포츠
사라토프에는 여러 스포츠 클럽이 활동하고 있다.클럽 | 스포츠 | 창단 연도 | 현재 리그 | 리그 순위 | 경기장 |
---|---|---|---|---|---|
크리스탈 사라토프 | 아이스하키 | 1955년 | 상위 하키 리그 | 2위 | 크리스탈 스포츠 궁전 |
소콜 사라토프 | 축구 | 1930년 | 러시아 전국 축구 리그 | 2위 |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
아브토도르 사라토프 | 농구 | 1960년 | VTB 연합 리그 | 1위 | 크리스탈 스포츠 궁전 |
유니버설 사라토프[25] | 밴디 | 1953년 | 밴디 최고 리그 | 2위 | 디나모 스타디움[26] |
프로톤 사라토프 | 배구 | 1988년 | 배구 슈퍼리그 | 1위 |
사라토프에는 축구 클럽 '소콜 사라토프'가 있다.
8. 자매 도시
사라토프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27]
9. 유명 인물
사라토프는 미하일 불가코프(작가), 니콜라이 바빌로프(생물학자), 미하일 브루벨(화가), 표도르 셰흐텔(건축가), 니콜라이 지닌(화학자), 알프레트 슈니트케(작곡가), 올레크 안토노프(항공기 설계사) 등 많은 저명인사들의 고향이다.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의 생가는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 박물관으로 소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시브네프티의 前 회장이자 첼시 FC의 구단주로 유명한 로만 아브라모비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름 | 출생년도 | 직업 및 설명 |
---|---|---|
로만 아브라모비치 | 1966년 | 사업가, 정치인 |
보리스 안드레예프 | 배우 | |
올레크 안토노프 | 항공기 설계자 | |
보리스 바보치킨 | 배우, 감독 | |
데니스 바쿠르스키 | 전 러시아 프로 축구 선수 | |
레이첼 블루슈타인 | 시인 | |
알렉세이 보고류보프 | 화가 | |
니콜라이 본다렌코 | 정치인 | |
빅토르 보리소프-무사토프 | 화가 | |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 | 철학자 | |
가브릴라 데르자빈 | 시인 | |
이리나 드리아기나 | 제2차 세계 대전 조종사, 과학자 | |
카티아 엘리자 로바 | 모델 | |
콘스탄틴 페딘 | 작가 | |
니콜라이 그란코프스키 | 화가 | |
조셉 하코뱐 | 엔지니어 | |
레프 이고레프 | 화가 | |
아나스타샤 카르포바 | 팝 가수 | |
레프 카실 | 작가 | |
콤비나치야 | 여성 팝 밴드 | |
파벨 쿠즈네초프 | 1878년 | 화가, 그래픽 아티스트 |
에두아르트 리모노프 | 작가, 정치인 | |
콘스탄틴 로하노프 | 1998년 | 러시아 주니어 세계 챔피언, 미국 거주 올림픽 사브르 펜싱 선수 |
콘스탄틴 파우스토프스키 | 작가 | |
쿠즈마 페트로프-보드킨 | 화가 | |
레프 피타옙스키 | 이론 물리학자 | |
나탈리아 포고니나 | 체스 선수, 여성 그랜드마스터 (WGM) | |
장-빅토르 퐁슬레 | 프랑스 엔지니어, 수학자 (포로) | |
알렉산드르 라디셰프 | 작가 | |
리디야 루슬라노바 | 러시아 민요 가수 | |
스위니 슈라이너 | 러시아 태생 캐나다 아이스하키 선수 | |
니콜라이 세묘노프 | 노벨상 수상 화학자 | |
엘렌 셰이들린 | 포토 블로거, 화가 | |
표도르 셰흐텔 | 건축가 | |
레오니드 소비노프 | 오페라 테너 | |
표트르 스톨리핀 | 정치가 | |
블라디미르 스투펠 | 러시아 태생 프랑스 피아니스트, 지휘자 | |
엘비라 T | 가수, 작곡가 | |
올레크 타바코프 | 배우 | |
예브게니 토마솁스키 | 체스 그랜드마스터, 전 세계 랭킹 15위 | |
발레리야 | 팝 가수 | |
니콜라이 바빌로프 | 생물학자, 유전학자, 사라토프 감옥에서 사망 | |
미하일 브루벨 | 화가 | |
올레크 얀코프스키 | 배우 | |
제드 | 음악 프로듀서, DJ, 사라토프 출생, 독일로 이주 | |
니콜라이 지닌 | 화학자 |
참조
[1]
법률
Law #78-ZSO
[2]
문서
Charter of Saratov, Article 22
[3]
웹사이트
Mikhail Aleksandrovich Isayev
http://saratovmer.ru[...]
[4]
인용
ru-pop-ref
[5]
웹사이트
Численность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муниципальным районам Саратовской области на 01.01.2015 г.
http://srtv.gks.ru/w[...]
[6]
웹사이트
Saratov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7]
사전
Saratov
2019-08-13
[8]
사전
Saratov
2019-08-13
[9]
웹사이트
Путешествие по России
http://cultrus.rosku[...]
2008-12-29
[10]
서적
Энциклопедия Города России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1]
웹사이트
Тамбовско-Саратовская линия
http://ruzgd.ru/is_t[...]
[12]
논문
"Die Politik Russlands gegenüber den Deutschen 1914–1918." In: Eisfeld, Alfred et al. [Hrsg.] ''Deutsche in Russland und in der Sowjetunion 1914–1941''
Lit Verlag, Berlin
[13]
웹사이트
«Волжская рокада». Линия Иловля - Саратов - Сызрань - Ульяновск - Свияжск
http://ruzgd.ru/roka[...]
[14]
문서
Charter of Saratov Oblast, Article 10
[15]
OKATO
OKATO reference
[16]
OKATO
OKATO reference
[17]
법률
Law #21-ZSO
[18]
법률
Law #79-ZSO
[19]
웹사이트
Saratov Climate
http://www.pogodaikl[...]
2023-10-04
[20]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https://worldweather[...]
2022-12-07
[21]
웹사이트
Saratov, Tramway — Vehicle Statistics
https://transphoto.o[...]
2021-07-03
[22]
웹사이트
Chronology: Saratov
https://transphoto.o[...]
2021-07-03
[23]
웹사이트
БЮДЖЕТ ГОРОДА
http://www.saratovme[...]
[24]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64.rosstat.g[...]
Территориальный органФедеральной службы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по Саратовской области
2023-06-07
[25]
웹사이트
Информация о команде "Универсал" Саратов - Реестр - Федерация хоккея с мячом России
http://www.rusbandy.[...]
Rusbandy.ru
2019-10-11
[26]
웹사이트
Информация о стадионе "Динамо", Саратов - Реестр - Федерация хоккея с мячом России
http://www.rusbandy.[...]
Rusbandy.ru
2019-10-11
[27]
웹사이트
Побратимские связи
http://www.saratovme[...]
Saratov
2020-02-01
[28]
뉴스
Dallas formally condemns invasion of Ukraine, suspends ties with Russian sister city Saratov
https://www.wfaa.com[...]
2023-05-28
[29]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04
[30]
서적
シベリア抑留全史
原書房
[31]
뉴스
ロシアの高層マンションにウクライナの無人機が激突
https://news.tv-asah[...]
テレ朝ニュース
2024-08-28
[32]
백과사전
사라토프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지리[...]
[33]
웹인용
Pogoda.ru.net
http://pogoda.ru.net[...]
2007-09-08
[3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s of Saratov
http://www.hko.gov.h[...]
2011-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